KR20120114545A -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545A
KR20120114545A KR1020110032122A KR20110032122A KR20120114545A KR 20120114545 A KR20120114545 A KR 20120114545A KR 1020110032122 A KR1020110032122 A KR 1020110032122A KR 20110032122 A KR20110032122 A KR 20110032122A KR 20120114545 A KR20120114545 A KR 2012011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nium
microreactor
ionic liquid
mol
y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168B1 (ko
Inventor
유정복
주정재
육덕수
이주원
김석인
주소경
김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to KR102011003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16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4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s
    • C07F9/5442Aromatic phosphonium compounds (P-C aromatic lin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온성 액체의 불순물로 알려진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고 순도의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할라이드를 20ppm 이하로 함유하고 녹는점이 330~511℃로 높았고 전기적특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복잡한 반응조건을 효율적으로 완화하고, 반응발열 위험성, 인체 위해성을 해소하여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를 제조가능케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Synthesis of Phosphonium-based Ionic Liquids with Low Halide Content Using Microreactor}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의 불순물로 알려진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고 순도의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마이크로리엑터를 이용하여 할라이드를 20ppm 이하로 함유하고 녹는점이 330~511℃로 높고 전기적특성이 개선된 고 순도의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트리알콕시히드록시포스포늄 카복실레이트 (trialkoxyhydroxyphosphonium carboxylate; TPC) 가 있다.
Figure pat00001
(R1 : 알킬기 또는 아릴, R2 : 알킬기, 할로알킬기 또는 아릴기)
이 트리알콕시히드록시포스포늄 카복실레이트는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반복 사용해도 흡수능의 감소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합성이 용이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여 이산화탄소 흡수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는 단백질 안정화 및 결정화에서 좋은 용매이다. 알킬 유도체에 에스테르, 에테르, 알코올, 알켄을 곁가지로 갖는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생물학적 분해반응에 이용된다.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할라이드, NTf2, 옥틸술페이트 등을 음이온으로 갖는다. 특히 옥틸술페이트를 음이온으로 갖는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늄이나 피리디늄의 양이온에 옥틸술페이트를 음이온으로 갖는 것보다 더 높은 생물분해성이 있다.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의 분해온도는 음이온에 따라 다르며, 많은 종류가 300℃ 이상이다.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tetrafluoroborate)의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는 400℃ 정도이다.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화학적, 열적으로 안정하여 재사용 용매가 가능하다.
현재까지 암모늄계 이온성 액체가 주로 연구되었으며,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아직은 드물게 연구되고 있다:
1) 테트라알킬포스포늄 토실레이트 (Tetraalkylphosphonium tosylate)의 ㅎ하이드로포밀레이션 (droformylation)에서 용매로 사용
2) 테트라알킬포스포늄 할라이드 (Tetraalkylphosphonium halide)의 팔라듐 촉매된 헥 반응 (palladium catalyzed Heck reaction)의 용매로 사용
3)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 클로라이드 (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chloride)의 팔라듐 중재 스즈키 크로스-커플링 반응 (palladium mediated Suzuki cross-coupling reaction)의 용매
4) 수용액에서 금속이온의 추출
최근에 트리알킬포스포늄염 (trialkylphosphonium salt) [HPR3]+[X]-의 활용이 보고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의 개선된 합성이 당업계에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잔류 할라이드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분해온도가 300℃ 이상 높고, 전기적 특성도 향상되어진 고순도의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를 마이크로리엑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고순도의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과 디메틸 술페이트, 트리플루오르메탄 술페이트, 및 요오드알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음이온-제공 화합물을 마이크로리엑터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합성된 이온성 액체는 추가로 감압 농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로는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프로필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등의 알킬포스핀; 및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페닐포스핀 등이 있다.
음이온-제공 화합물로는 디메틸 술페이트; 트리플루오르메탄 술페이트; 및 요오드메탄, 요오드에탄, 요오드프로판, 요오드부탄 등의 요오드알칸 등이 있다.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 및 음이온-제공 화합물은 반응용매 상에서 합성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반응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콜 용매, 초산 메틸, 초산 에틸, 초산 프로필, γ-부티로락톤, 프로피온카보나이트 등의 에스테르 용매,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단독 또는 임의의 2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된다.
반응은 마이크로리엑터에서 행해진다. 마이크로리엑터는 유체가 흐르는 경로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이며, 가열, 냉각 속도가 빠르고 흐름이 층류이며, 단위 체적당 표면적이 크므로 물질이 확산되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반응이 신속히 진행하는 등의 연속반응의 특징이 있다 (도 2 및 도 3). 본 발명에서는 화학반응에 안전성이 확보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리엑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의 사용농도는 0.0002몰~1.0몰이 바람직하고, 1.0몰을 초과하면 참여하지 않는 생성물이 발생하며 0.0002몰 미만이면 반응완결이 진행되지 않아 수율이 낮게 된다. 마이크로리엑터로 흘려보내는 흐름속도는 0.11ml/min~13.0ml/hr이 바람직하다. 13.0ml/hr 초과하면 유속이 빨라져 미반응화물이 발생하여 재반응시켜야 하며 0.11ml/min 미만인 경우에는 유속이 너무 느려져, 반응완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음이온-제공 화합물의 사용농도는 0.0002몰~1.0몰이 바람직하고, 1.0몰을 초과하면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생성물이 제거해야 할 부산물로 되며 0.0002몰 미만이면 반응완결도가 낮아서 수율이 낮게 된다. 마이크로리엑터로 흘려보내는 흐름속도는 0.01ml/min~2.0ml/min이 바람직하다. 2.0ml/hr 초과하면 유속이 빨라져 미반응화물이 발생하여 재반응시켜야 하며 0.01ml/min 미만인 경우에는 유속이 너무 느려져서 반응완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포함한 반응온도는 0~100℃가 바람직하다. 100℃가 넘으면 부산물 및 분해산물의 생성이 촉진되며 색상이 짙어져 제거하기 어려우며, 0℃ 미만이면 과량이 미반응화 되어 수율이 낮게 된다. 반응시간은 10~30분이 바람직하다. 30분 초과하면 부산물의 생성이 일어나며 색상이 짙어져 제거하기 어려우며, 분해산물이 촉진되며 10분 미만이면 미반응화물이 존재하며 반응완결도가 낮아진다.
생성물의 추가 감압 농축은 1기압하에 내부온도 50~60℃에서 1~2시간 동안 행해질 수 있다. 농축시 755~760torr를 유지하여야 하며, 농축물 내부온도가 높으면 열적안정성이 낮은 화합물은 분해산물이 발생하며 색상이 짙어지게 되며, 농축시간이 길어도 열적안정성이 낮은 화합물은 분해산물이 발생하거나, 색상이 짙어지게 된다. 농축시 755torr 보다 낮으면 농축효율이 떨어져 잔류용매와 수분이 과량 잔존하게 되며, 농축물 내부온도가 낮거나 농축시간이 짧아도 농축효율이 떨어져 잔류용매와 수분이 과량 잔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할라이드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녹는점이 330~511℃로 대단히 높은, 고순도의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를 마이크로리엑터로 연속적으로 안전하게 수득할 수 있었다.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잔류 할라이드 함유량이 20ppm 이하인, 고순도의 포스포늄기를 양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를 마이크로리엑터로 연속적으로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는 고순도일뿐 아니라, 열적 안정성이 개선되어 녹는점이 330~511℃로 대단히 높고, 전기전도도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은 고체상과 액체상을 수득하는데 복잡하게 요구되는 반응조건을 완화하여, 반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스케일업이 용이하고, 설계, 투자 및 가동 비용 감소와 원료, 용매, 폐기물 및 에너지절감으로 인해 합성수율 개선, 화학적 순도 개선 및 생산단가를 절감의 효과를 가져 온다.
도 1은 마이크로리엑터 합성장치의 전체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마이크로리엑터로 시약 A와 B를 실린저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을시, 마이크로 믹서를 통과하여 목적화합물이 되는 과정을 합성 회로도로 나타낸다.
도 3은 마이크로 믹서의 종류인 Y 타입, Helix 타입과 Static 타입을 나타낸다.
도 4는 할라이드 측정장치인 716 DMS Titrino 이온분석기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 기기>
마이크로리엑터는 일본 YMC사 Keychem L을 사용하였고, 실린저 펌프는 MRSY04-40을, 마이크로 믹서는 우수한 열교환력과, 교반력이 좋고, 유기합성에 적합한 구조인 Helix 타입을 사용하였다.
<잔류 할라이드의 측정>
Metrohm사 716 DMS Titrino 이온분석기를 사용하였고, 표준측정법에 의한 분석방법으로 잔류 할라이드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실시예 1: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페닐포스핀 1.0g을 메탄올에 희석 (0.0038 몰)시켜서 7.9 ml/hr로, 디메틸술포네이트 0.48g을 메탄올에 희석 (0.0038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6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시켜서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0.38g이었다(수율: 82%).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7.4ppm, 전기전도도: 1.384 mS/cm, 녹는점: 367℃(dec.)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시예 2: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3.0g을 메탄올에 희석(0.0148 몰)시켜서 8.2 ml/hr로, 디메틸술포네이트 1.87g을 메탄올에 희석(0.0148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시켜서 트리부틸프로필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를 액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7.99 g이었다(수율: 82%).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12.5ppm, 전기전도도: 1.540 mS/cm, 녹는점: 340℃(dec.)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실시예 3: 트리프로필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프로필포스핀 3.0g을 메탄올에 희석(0.0187 몰)시켜서 12.6 ml/hr로, 디메틸술포네이트 2.36g을 메탄올에 희석(0.0187 몰)시켜서 0.1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프로필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를 액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1.1 g이었다(수율: 48%).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2.4ppm, 전기전도도 : 2.152 mS/cm, 녹는점: 345℃(dec.)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실시예 4: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에틸포스핀 2.0g을 메탄올에 희석(0.0169 몰)시켜서 4.7 ml/hr로, 디메틸술포네이트 2.13g을 메탄올에 희석(0.0169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7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0 g이었다(수율: 67%).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3.7ppm, 전기전도도 : 2.369 mS/cm, 녹는점: 33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실시예 5: 테트라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메틸포스핀 2.0g을 메탄올에 희석(0.0262 몰)시켜서 4.7 ml/hr로, 디메틸술포네이트 3.31g을 메탄올에 희석(0.0262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메틸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4.3 g이었다(수율: 89%).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9.3ppm, 전기전도도: 1.781 mS/cm, 녹는점: 39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실시예 6: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페닐포스핀 0.5g을 아세토나이트릴에 희석(0.002 몰)시켜서 12.6 ml/hr와 메틸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 0.34g을 아세토나이트릴에 희석(0.002 몰)시켜서 0.11ml/min으로 6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메틸트리페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0.5 g이었다 (수율: 6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4.2ppm, 전기전도도 : 1.266 mS/cm, 녹는점: 424℃(dec.)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실시예 7: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1.16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5 몰)시켜서 6.6 ml/hr로, 메틸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 0.94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5 몰)시켜서 0.05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0.9 g이었다 (수율: 43%).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라이드: 9.8ppm, 전기전도도: 0.384 mS/cm, 녹는점: 365℃.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실시예 8: 메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2.19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3 몰)시켜서 5.3 ml/hr로, 메틸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 2.23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3 몰)시켜서 0.05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 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메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4.0 g이었다 (수율: 9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라이드: 9.2ppm, 전기전도도: 0.986 mS/cm, 녹는점: 511℃.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실시예 9: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에틸포스핀 0.88g을 메탄올에 희석(0.007 몰)시켜서 3.9 ml/hr로, 메틸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 1.22g을 메탄올에 희석(0.007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7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0.6 g이었다 (수율: 68%).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라이드: 5.9ppm, 전기전도도: 3.029 mS/cm, 녹는점: 388℃(dec.)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실시예 10: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의 합성
트리메틸포스핀 1.12g을 메탄올에 희석(0.014 몰)시켜서 2.7 ml/hr로, 메틸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 2.4g을 메탄올에 희석(0.014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트리플로우르메탄술포네이트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5 g이었다 (수율: 7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라이드: 7.2ppm, 전기전도도: 2.211 mS/cm, 녹는점: 366℃(dec.)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실시예 11: 부틸트리메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메틸포스핀 1.27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67 몰)시켜서 2.7ml/hr로, 1-아이오도부탄 3.07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67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부틸트리메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7 g이었다 (수율: 63%).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10.01ppm, 전기전도도: 0.789 mS/cm, 녹는점: 435℃.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실시예 12: 트리메틸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메틸포스핀 1.19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57 몰)시켜서 3.1ml/hr로, 1-요오드프로판 2.66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57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 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메틸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3.0 g이었다 (수율: 8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3.18ppm, 전기전도도: 2.170 mS/cm, 녹는점: 485℃.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실시예 13: 에틸트리메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메틸포스핀 1.11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46 몰)시켜서 3.8ml/hr로, 1-요오드에탄 2.27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46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 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에틸트리메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3.0 g이었다 (수율: 88%).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2.81ppm, 전기전도도: 2.172 mS/cm, 녹는점: 452℃.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실시예 14: 테트라메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메틸포스핀 0.73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93 몰)시켜서 4.9ml/hr로, 1-요오드메탄 1.32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93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시켜서 테트라메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0.7 g이었다 (수율: 37%).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4.18ppm, 전기전도도: 0.729 mS/cm, 녹는점: 486℃.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실시예 15: 부틸트리에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에틸포스핀 0.85g을 메탄올에 희석(0.0076 몰)시켜서 3.8ml/hr로, 1-요오드부탄 1.33g을 메탄올에 희석(0.0076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7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부틸트리에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1.3 g이었다 (수율: 63%).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4.07ppm, 전기전도도: 0.492 mS/cm, 녹는점: 40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실시예 16: 트리에틸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에틸포스핀 1.44g을 메탄올에 희석(0.0122 몰)시켜서 4.5ml/hr로, 1-요오드프로판 2.07g을 메탄올에 희석(0.0122 몰)시켜서 0.05ml/min으로, 7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 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에틸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8 g이었다 (수율: 82%).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5.11ppm, 전기전도도: 1.308 mS/cm, 녹는점: 41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실시예 17: 테트라에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에틸포스핀 1.13g을 에탄올에 희석(0.0096 몰)시켜서 5.5ml/hr로, 1-요오드에탄 1.49g을 에탄올에 희석(0.0096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8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테트라에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2 g이었다 (수율: 86%).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9.18ppm, 전기전도도: 1.436 mS/cm, 녹는점: 420℃.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실시예 18: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에틸포스핀 1.43g을 에탄올에 희석(0.0121 몰)시켜서 7.1ml/hr로, 1-요오드메탄 1.72g을 에탄올에 희석(0.0121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8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9 g이었다 (수율: 94%).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3.18ppm, 전기전도도: 0.865 mS/cm, 녹는점: 433℃.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실시예 19: 부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프로필포스핀 1.21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76 몰)시켜서 5.24ml/hr로, 1-요오드부탄 1.39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76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부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1.1 g이었다 (수율: 42%).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12.4ppm,전기전도도: 0.998 mS/cm, 녹는점: 38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실시예 20: 테트라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프로필포스핀 3.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8 몰)시켜서 6.1ml/hr로, 1-요오드프로판 3.18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8 몰)시켜서 0.05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테트라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3.6 g이었다 (수율: 6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3.9ppm, 전기전도도: 0.392 mS/cm, 녹는점: 387℃.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실시예 21: 에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프로필포스핀 2.39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4 몰)시켜서 7.5ml/hr로, 1-요오드에탄 2.32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4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 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에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2.8 g이었다 (수율: 6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8.2ppm, 전기전도도: 0.880 mS/cm, 녹는점: 394℃.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실시예 22: 메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프로필포스핀 2.51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5 몰)시켜서 9.6ml/hr로, 1-요오드메탄 2.22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15 몰)시켜서 0.05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메틸트리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3.5 g이었다 (수율: 75%).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8.9ppm, 전기전도도: 1.555 mS/cm, 녹는점: 399℃.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실시예 23: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0.42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02 몰)시켜서 6.6 ml/hr로, 1-요오드부탄 0.38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02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으로 얻었다. 수득량은 0.8 g이었다 (수율: 40%).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6.4pm, 전기전도도: 0.930 mS/cm, 녹는점: 389℃.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실시예 24: 트리부틸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3.15g을 에탄올에 희석(0.015 몰)시켜서 5.1 ml/hr로, 1-요오드프로판 2.63g을 에탄올에 희석(0.015 몰)시켜서 0.053ml/min로, 7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부틸프로필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4.1 g이었다 (수율: 71%).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9.1ppm, 전기전도도: 0.748 mS/cm, 녹는점: 382℃.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실시예 25: 트리부틸에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1.17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58 몰)시켜서 9.4 ml/hr로, 1-요오드에탄 0.9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58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부틸에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0.8 g이었다 (수율: 38%).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4.4ppm, 전기전도도: 1.359 mS/cm, 녹는점: 38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실시예 26: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요오드의 합성
트리부틸포스핀 1.56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52 몰)시켜서 12.0 ml/hr로, 1-요오드메탄 1.09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희석(0.0052 몰)시켜서 0.053ml/min으로, 40℃로 조절한 마이크로리엑터로 실린저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1기압, 50℃, 1시간) 시켜서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요오드를 고체로 얻었다. 수득량은 1.6 g이었다 (수율: 63%).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 할로겐: 9.1ppm, 전기전도도: 1.9340 mS/cm, 녹는점: 395℃.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Claims (7)

  1. 고순도의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과
    디메틸 술페이트, 트리플루오르메탄 술페이트, 및 요오드알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음이온-제공 화합물을 마이크로리엑터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이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프로필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및 트리페닐포스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반응되어 나온 이온성 액체를 별도로 감압농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의 사용농도는 0.0002~1.0몰이고, 음이온-제공 화합물의 사용농도는 0.0002~1.0몰 인 것인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리엑터에서 양이온-제공 포스포늄 화합물의 흐름속도는 0.11~13.0ml/hr이며, 음이온-제공 화합물의 흐름속도는 0.01~2.0ml/hr 인 것인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리엑터를 포함한 반응온도는 0~100℃ 인 것인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포늄계 이온성 액체의 할라이드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녹는점 330~511℃인 것인 방법.
KR1020110032122A 2011-04-07 2011-04-07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KR101331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122A KR101331168B1 (ko) 2011-04-07 2011-04-07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122A KR101331168B1 (ko) 2011-04-07 2011-04-07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45A true KR20120114545A (ko) 2012-10-17
KR101331168B1 KR101331168B1 (ko) 2013-11-19

Family

ID=4728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122A KR101331168B1 (ko) 2011-04-07 2011-04-07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752A (zh) * 2013-11-25 2014-03-12 华东理工大学 一种糖甲基化用氢氧化钠涂覆毛细管空心微反应器的制备与应用
CN109369722A (zh) * 2018-12-14 2019-02-22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双亚磷酸酯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06969D1 (de) 2000-08-24 2004-08-05 Solvent Innovation Gmbh Halogenidfreie Herstellung ionischer Flüssigkeiten
JP4499594B2 (ja) * 2005-03-29 2010-07-07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超高純度イオン性液体
JP2008222592A (ja) 2007-03-09 2008-09-25 Nippon Chem Ind Co Ltd 新規ホスホニウム塩イオン液体、それを用いた反応溶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752A (zh) * 2013-11-25 2014-03-12 华东理工大学 一种糖甲基化用氢氧化钠涂覆毛细管空心微反应器的制备与应用
CN103623752B (zh) * 2013-11-25 2015-07-22 华东理工大学 一种糖甲基化用氢氧化钠涂敷毛细管空心微反应器的制备与应用
CN109369722A (zh) * 2018-12-14 2019-02-22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双亚磷酸酯的制备方法
CN109369722B (zh) * 2018-12-14 2021-12-17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双亚磷酸酯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168B1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5747B1 (en) Method for producing conjugated diene
KR101331168B1 (ko)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포스포늄계-이온성 액체의 합성
US20070100181A1 (en) Olefin isomerization
TWI586844B (zh) 苯酚與萘酚之電化學偶合
TWI770453B (zh) N-乙烯基羧酸醯胺製造用組成物
CN107868053B (zh) 一种硫酸一烃基酯盐的制备方法
US11021499B2 (en) Bis(6-methyl-3-sulphophenyl)(2-methylphenyl)phosphine, ammonium salt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ouch et al. Tartrate-based ionic liquids: unified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KR101257486B1 (ko)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할라이드 함유량이 적은 술포네이트-이온성 액체의 합성
JP2009046429A (ja) エーテルの製造方法
CN104817513A (zh) 杂多酸十三吗啉季铵盐的制备方法
KR101453888B1 (ko) 이온성 액체 내의 고비점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방법
KR101279607B1 (ko)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메탈프리의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
EP3181545A1 (en) Method for producing triphenylbutene derivative
Xie et al. A Straightforward and Practical Approach to Chiral Inducer:(2R, 3R)-1, 4-Dimethoxy-1, 1, 4, 4-tetraphenylbutane-2, 3-diol
TW201536719A (zh) 離子性化合物之製造方法
Weisshaar et al. Investigation of the stability of quaternary ammonium methyl carbonates
CN110431132A (zh) 含有高纯度碳酸亚乙酯的组合物的稳定化方法
CN105294408B (zh) 阳离子光引发剂(2‑羟基十四烷氧苯基)苯碘鎓六氟锑酸盐的制备方法
JP2013227262A (ja) 1−オクタンスルホン酸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
US10696701B2 (en) Bis(6-methyl-3-sulphophenyl)phenylphosphine, ammonium salt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Bragato Development of Organocatalysts for the Synthesis of Heterocyclic Compounds through CO2 Insertion Reactions
JP6622634B2 (ja) ミルタザピンの製造方法
González Hernando Ionic liquids
EP2977368A1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trans-1,2-diaminocyclohex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