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953A -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953A
KR20120112953A KR1020110030567A KR20110030567A KR20120112953A KR 20120112953 A KR20120112953 A KR 20120112953A KR 1020110030567 A KR1020110030567 A KR 1020110030567A KR 20110030567 A KR20110030567 A KR 20110030567A KR 20120112953 A KR20120112953 A KR 20120112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tourist
tou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열
Original Assignee
최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시열 filed Critical 최시열
Priority to KR102011003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2953A/ko
Publication of KR2012011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와이브로 방식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역관광안내 정보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숙박시설이나 음식점을 예약한다거나 또는 물건을 구매하는 기능 등을 추가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관광지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데이터를 와이브로 방식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중계기, 상기 관광지역에서 관광정보를 획득하거나,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 시설을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단말기인지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한 관광정보를 사용자 국가의 언어로 제공하며,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시설의 예약을 수행하는 관광정보제공 서버,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 기록을 저장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중계기, 사용자 단말기 및 관광정보제공 서버의 음성 및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망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와이브로 방식의 통신 및 별도 서버의 운용을 통하여, 제한된 영역 내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제공되는 관광정보가 항상 최신의 것으로 효율적으로 갱신되도록 함과 동시에 숙박시설이나 음식점을 예약한다거나 또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Regional tou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WiBro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국인 관광객 등의 입국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여권 번호 및 신용카드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발급하여 소정 영역 내에서 해당 영역과 관련한 관광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하여 주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역관광안내 정보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숙박시설이나 음식점을 예약한다거나 또는 물건을 구매하는 기능 등을 부가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와이브로 방식의 전용 단말기를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자의 여권 번호 및 신용카드 정보와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시켜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한 결제를 처리하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노트북컴퓨터, PDA, 차량용 수신기, 휴대전화 등 사용자 각각이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관광산업은 굴뚝없는 공장이라고 일컬어질만큼,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에 있어서는 중요한 경제적 자원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오늘날 관광산업은 세계적으로 경제, 사회발전을 이끌어나갈 전략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 관광대국이라고 불리우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미국 등은 오래전부터 자국의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많은 투자와 정책을 지원해 오고 있다.
외국인들의 국내에서 관광을 목적으로 여행하는 경우 제일 필요로 하는 것은 해당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얼마나 손쉽고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느냐일 것이다. 즉, 어느 지역에 어떠한 관광 명소가 있고 그 관광지에서는 무엇을 보고 경험할 수 있는지를 다양한 방식의 정보로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와 같은 정보는 다국어로 제공되어야 하고, 또한 각 지역 및 시설에 대한 관련정보가 항상 최신의 것으로 적시 적소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서 제안될 수 있는 것이 미술관 또는 박물관 등에서 채택되고 있는 근거리 통신에 의한 정보제공 방법이다.
근거리 통신의 방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거리상의 제한이 따르고 또한 각 장소마다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고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통신 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선 및 무선을 이용한 많은 통신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특히, 무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던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동중에도 고속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서비스는 CDMA, FDMA, TDMA 기술을 이용하는 이동전화 서비스와, 무선랜, CDMA, 휴대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영역 및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일 예로,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39936호(이하, '종래 기술 1' 이라 함)에는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또는 가입자에게 현재 위치에 대한 지역정보를 제공하도록, 현재의 위치에 대한 문화적, 역사적, 지리적 지역정보를 다양한 외국어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 1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가 지역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지 판단하고, 지역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는 통신모드를 실행하는 통신 모드 과정, 상기 통신 모드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지역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현재 등록되어 있는 기지국의 위치를 검색하여 확인하는 서비스 준비과정, 사용자 단말기의 확인된 등록위치에 대한 행정구역 정보와 해당 지역정보를 검색하는 검색과정, 검색된 행정구역정보와 지역정보의 음성출력 언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언어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92689호(이하, '종래 기술 2' 이라 함)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지역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맞춤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최신 지역정보를 입수하여 맞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맞춤정보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하면 이동전화사업자로부터 맞춤정보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c) 맞춤정보이용자가 특정된 ARS 번호로 접속하면 ARS 번호에 지정된 맞춤정보를 선택정보로 인식하거나 맞춤정보이용자가 종합서비스 ARS번호로 접속하면 음성선택메뉴를 제공하고 음성선택정보 또는 키패드신호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d) 선택정보에 따라 맞춤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맞춤정보 이용자의 위치로부터 일정 수치의 기준반경 거리 내에 위치하는 맞춤정보관련사업자를 검색하며, 해당하는 검색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일정 회수의 단계로 기준반경거리를 증가시켜 맞춤정보관련사업자를 검색하고 해당 맞춤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검색결과를 ARS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맞춤정보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정보 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들에 있어서는, 해당 정보가 음성으로 제공되는 것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고, 사용자의 위치를 기지국에 의존하여 결정하므로 오차범위가 넓으며 또한 이동전화사업자의 시스템을 이용하여야 하는 등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 외국인 관광객 등이 사용하는 경우, 자신이 사용하던 단말기를 로밍하여 사용하던가 또는 별도의 통역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관광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 비용을 부담하여야 할 뿐 아니라, 관광지역에서 사용자끼리 통화하는 경우, 통화 비용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스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관광지역 내에서 위치에 기반한 정보제공을 근거리 통신기술로 수행하며, 또한 해당 지역 내에서는 사용자 단말기 상호 간 통화가 가능하며, 숙박시설 또는 음식점의 예약이나 물품의 구매 등이 부가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광지역의 관광정보와 관광지역에서 사용자의 통화 비용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은 와이브로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관광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 단말기의 신용한도 및 사용기한을 포함하는 신용제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 요청을 승인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를 발급하는 단계, (c) 관광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정보의 검색 및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f)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된 관광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c) 와 (d) 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지정된 영역으로 들어온 새로운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와이브로 통신모듈을 주 구성요소로 하는 전용단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GPS 칩을 내장하거나 또는 중계기 간의 삼각측정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g) 상기 제공된 관광정보 중 구매 가능한 품목에 대하여 전자결제대행 서버를 통하여 온라인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h) 상기 제공된 관광정보 중 숙박시설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광정보는 사용자 국가의 언어로 이루어진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관광지역 내에서 사용자 상호 간 음성통신 또는 다른 지역과의 통신이 무료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은 관광지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데이터를 와이브로 방식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중계기, 상기 관광지역에서 관광정보를 획득하거나,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 시설을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단말기인지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한 관광정보를 사용자 국가의 언어로 제공하며,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시설의 예약을 수행하는 관광정보제공 서버,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 기록을 저장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중계기, 사용자 단말기 및 관광정보제공 서버의 음성 및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는, 상기 관광지역 내에서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연결 확인부,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정보검색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위치 파악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숙박 또는 관광시설에 관한 최신 정보를 업 데이트하여 제공하는 지역시설정보 서버, 물품구매를 대행하는 전자결제대행 서버 및 추가적인 관광정보를 업 데이트하여 제공하는 지역정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와이브로 방식의 통신 및 별도 서버의 운용을 통하여, 제한된 영역 내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제공되는 관광정보가 항상 최신의 것으로 효율적으로 갱신되도록 함과 동시에 숙박시설이나 음식점을 예약한다거나 또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관광지역의 관광정보와 관광지역에서 사용자의 통화 비용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관광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광정보제공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 내지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창에 나타나는 관광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무선통신 기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와이브로는 와이어리스 브로드밴드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줄임말이며,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라고 한다. 한국어로는 무선광대역인터넷, 무선 초고속인터넷, 2.3㎓ 휴대인터넷 등으로 풀이된다.
즉, 휴대형 무선단말기를 이용해 정지 및 보행 또는 시속 60㎞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고속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퍼스널컴퓨터·노트북컴퓨터·PDA·차량용 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이동하는 자동차 안이나 지하철에서도 휴대폰처럼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와이브로는 2002년 10월 정보통신부가 무선가입자용(N-WLL)으로 사용하던 2.3㎓ 대역의 주파수를 휴대인터넷용으로 재분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삼성전자 등이 개발을 시작하여 기술표준 'HPi'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표준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고, 2005년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에 의하여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었다. 2007년 10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는 와이브로를 3세대 이동통신의 6번째 기술표준으로 채택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광정보제공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창에 나타나는 관광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의 일 실시 예는 관광지역(Z)에 설치되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정보제공 서버(11), 관광정보를 저장하는 관광정보 데이터 베이스(12),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11)와 유무선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중계기(13), 상기 중계기(13)를 통해 관광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5), 사용자 단말기(15)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메인서버(17), 메인 데이터 베이스(18) 및 네트워크망을 포함한다.
관광정보제공 서버(11)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정 지역(관광지역)마다 별도로 설치되어 운영되며, 사용자 단말기(15)가 메인서버(17)에 의해 인증된 단말기인지 판단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5)의 위치에 기반한 관련 관광정보를 제공하며,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시설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11)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2)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관광정보를 업 데이트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숙박 또는 관광시설에 관한 최신 정보를 별도로 업 데이트하여 제공하는 독립된 지역시설정보 서버(21)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물품구매를 대행하는 전자결제대행 서버(22) 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역사, 문화, 지리적 정보를 별도로 업 데이트하여 제공하는 지역정보 서버(23)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13)는 제한된 관광지역(Z)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와이브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지역관광정보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제한된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계기(13)의 신호가 미치는 영역 내에서만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5)는 상기 중계기(13)가 설치되어 있는 제한된 영역 내에서 와이브로 방식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써, 통신모듈을 제외한 기타 구성을 제외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용도로서만 사용이 가능한 전용단말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단말기(15)는 관광지역(Z) 내 특정 위치와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시설/식당의 예약을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한된 영역 내에서는 상호 간 음성통신이 가능하며, 통상의 휴대전용 단말기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5)는, 예를 들어 외국인 관광객 등의 입국자의 여권 번호 및 신용카드에 기반하여 공항 등에서 메인서버(17)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발급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국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랑스 관광객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5)를 통해 입수하는 정보를 프랑스어로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15)의 발급시 사용 언어를 프랑스어로 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 언어의 선택은 메인서버(17)를 통해 관광정보제공 서버(11)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5)를 프랑스어로 지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광지역(Z)인 경복궁에 관한 문자정보 및 사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5)의 표시창에 프랑스어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5)에는 부가적으로, GPS기능을 탑재함과 동시에 관광지 정보가 표시되는 지도정보를 포함하여 관광지역(Z) 이외의 지역에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를 지원하는 서울 지하철 안내와 같은 단순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 발급정보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17)는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기록 및 사용자 단말기(15) 자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8)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광정보제공을 위하여는 외국인이 입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5)를 공항 등의 장소에서 발급할 수 있도록 하고, 발급 당시 해당 외국인 또는 사용자의 여권번호, 이름, 대여기간, 결제정보 등을 획득하여 저장한다. 즉, 상기와 같은 자료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특정 지역(관광지역)에서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15)가 정상적으로 발급되어 사용가능한 기간 안에 있는 인증된 것인지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하고, 또한 예약이나 구매가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바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15)가 설정된 서비스 영역인 관광지역(Z) 내에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 연결 확인부(32),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5)가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15)인지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검색부(33),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5)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 위치 파악부(34), 사용자 단말기(15)의 현재 위치와 관련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정보 제공부(3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광정보 데이터 베이스(12)는 관광지역(Z)에 관한 관광정보, 예를 들어 관광지역(Z) 내의 유적 등에 대해 다국어로 저장된 유적 정보, 역사정보, 관련 인물 정보, 유래 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광정보DB(121)와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정보, 즉 메인 서버(17)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정보DB(122)를 구비한다. 따라서 메인 서버(17)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5)는 사용자의 국적에 대응하는 언어로만 관광정보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11)는 상기 지역시설정보 서버(21)의 숙박시설 및 음식점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기(15)를 통하여 온라인 예약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예약부(36), 상기 전자결제대행 서버(22)와 연동하여 물품의 온라인 결제를 지원하는 결제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서버(17)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정보 수신부(61), 사용자 신용 조회부(62), 단말기 발급 승인부(63), 단말기 결제 한도 판단부(64), 단말기 결제 요청부(65), 단말기 결제 승인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급정보 수신부(61)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카드정보 등에 따라 단말기의 신용한도 및 사용기한을 포함하는 신용제한 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기의 발급요청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용제한 정보는 사용지역을 더 포함한다.
또, 발급정보 수신부(61)는 상기 정보에 더하여 사용자 단말기(15)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발급정보 수신부(61)는 사용자의 여권 및 사용자 단말기(15)의 이용계약서 사본도 더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 수신하는 사용자의 여권 사본은 앞서 본 바와 같이 사용자를 현장(예를 들어, 공항)에서 인증하기 위한 자료이다. 여권에는 기본적인 여행자(또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고 출입국 날짜 기한 등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를 인증하기에 적합한 자료이다.
또, 사용자 단말기(15)의 이용계약서 사본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5)로 결제하여 청구한 금액을, 사용자의 신용카드로 결제 청구할 수 있음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계약서 내용을 포함한다.
신용 조회부(62)는 신용카드의 카드사 서버에 사용자 단말기(15)의 신용을 조회한다. 조회하는 내용은 사용자 단말기(15)의 유효 여부, 사용자 단말기(15)가 사용자에게 발급한 단말기인지 여부, 사용자 단말기(15)의 사용 가능 금액, 유효기간(또는 사용기한) 등을 포함한다. 확인하는 정보는 크게 신용한도와 사용기한이다.
바람직하게, 신용 조회부(62)는 사용지역을 신용 조회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관광지역(Z)의 국가 내에서는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지역에 대한 신용제한은 없다.
발급 승인부(63)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신용이 상기 신용제한 정보의 신용을 수용하는지를 확인하여, 수용하면 상기 발급요청을 승인한다. 상기 발급 승인부(63)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5)가 사용자에 의해 발급된 것이고, 사용자 단말기(15)의 신용한도 및 사용기한이 사용자 단말기(15)의 신용한도 및 사용기한 이내이면, 발급요청을 승인한다.
한편, 발급 승인부(63)는 상기 발급요청을 승인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정보를 이용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로 등록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5)는 미리 준비되고 현장(예를 들어 공항 등의 입국장)에서 발급하는 것이므로, 만들어진 사용자 단말기(15)를 사용자의 여권 번호 등의 정보에 의해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5)의 발급이 완료된다. 따라서 발급 승인부(63)는 발급요청이 승인되면 사용자 단말기(15)의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은 미리 준비된 사용자 단말기(15)를 비치하였다가 현장에서 사용자 단말기(15)의 정보만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15)를 사용자에게 건네줌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5)의 사용이 바로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단말기 결제 한도 판단부(64)는 사용자 단말기(15)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결제가 상기 신용제한 정보의 신용에 수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단말기 결제 한도 판단부(64)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5)로 결제하거나 결제요청된 누적금액이 신용한도 이내이고, 상기 결제요청의 청구일이 상기 신용제한 정보의 사용 기한 이전이고, 상기 결제요청의 청구지역이 상기 신용제한 정보의 관광지역(Z)에 포함되면, 상기 결제요청이 상기 신용제한 정보의 신용에 수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기 결제 요청부(65)는 신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청된 결제의 결제금액을 예를 들어 관련 서버에 청구한다.
단말기 결제 승인부(66)는 상기 결제금액이 승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결제요청을 승인한다.
또 데이터베이스(18)는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5)의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정보 DB(71), 사용자 단말기(15)의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결제정보 DB(72)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18)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을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급 과정을 거쳐 공항 등에서 발급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에 대한 정보와 이를 소지한 외국인(사용자)의 인적 정보는 메인 서버(17)에 등록되고, 발급 승인이 허여되면,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15)를 발급한다(S100).
이후, 사용자가 관광지역(Z)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5)를 사용하는 경우, 즉 사용자 단말기(15)가 상기 중계기(13)의 신호가 미치는 본 발명의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관광정보제공 서버(11)가 상기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5)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15)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1). 한편 상기 단계 S101에서 단말기의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종료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식별정보라 함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호가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5)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발급된 인증된 단말기인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적정보, 대여기간, 결제정보 등의 정보로서 상기 메인 서버(17)의 발급 승인부(63)와 연동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서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15)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에서 정보의 검색 및 수신 가능하도록 활성화 시킨다(S102). 이때 활성화라 함은 해당 사용자 단말기(15)가 특정 관광정보제공 서버(11)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11)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게 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중국인으로서 관광지역(Z)인 경주에 있고, 중국어 지원 단말기로 발급 신청한 단말기가 활성화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표시창에는 중국어로 표시된 경주 지역의 관광정보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5)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S103), 사용자 단말기(15) 내부에 GPS 칩을 내장하거나 또는 중계기 간의 삼각측정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5)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 지역 내로 들어온 사용자 단말기(15) 소지자의 동선을 따라 현재 위치한 곳에서 필요한 다른 관광 정보를 구별해 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15)의 표시창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서비스 지역의 전체 지도와 함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되며(S104), 관광객(사용자)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다음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의 동선을 예측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광지역(Z)의 전체 관람 일정을 짜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파악된 위치가 사용자 단말기(15)에 표시되면서, 동시에 해당 위치에서 가용한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S105).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자신의 목적에 맞는 요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106). 이러한 경우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기(15) 사이에 주어지는 인터페이스 형태는 현재 공지된 문자방식, 아이콘방식 또는 터치방식 어느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므로 생략한다.
단계 S106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5)를 통하여 관광정보제공을 위한 요청을 하게 되면, 관광정보제공 서버(11)는 해당 요청에 따른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107). 상기 정보는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국가의 언어로 이루어진 음성, 문자, 영상, 이미지 등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과정 중,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15)가 해당 관광지역(Z) 내로 새로이 들어온 단말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계속 온(on) 인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5)의 경우 활성화를 반복하지 않게 함으로써 전력소모 또는 통신부하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5)를 통하여 제공되는 관광정보를 열람하는 도중에, 기념품 등을 구매하거나 또는 숙박 및 음식점의 예약 등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상기 시스템의 구성 중 전자결제대행 서버(22)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지역시설정보 서버(21)와 연동하여 온라인 예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108).
이때 상기 물품의 구입은 반드시 사용자 단말기(15)로 제공되는 관광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해당 관광지역(Z) 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물품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USIM 칩의 내장으로 상기와 같은 결제를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서버(17)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도 구매 결제 및 예약기능을 수행한다(S109).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브로를 통신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관광지역(Z) 내에 들어와 있는 사용자 단말기(15) 상호 간은 음성통화는 물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다른 지역 간의 통화도 무료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5)를 가지고, 여러 관광지역(Z)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소정 영역 내에서 해당 영역과 관련한 관광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하여 주는 방법 및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관광정보제공서버 12 : 데이터베이스
13 : 중계기 15 : 사용자 단말기
17 : 메인 서버 21 : 지역정보서버
22 : 전자결제대행 서버 23 : 지역시설정보 서버
32 : 사용자 단말기 연결 확인부 33 : 사용자 단말기정보검색부 34 : 사용자 단말기 위치파악부 35 : 관광정보 제공부
36 : 예약부 37 : 결제부

Claims (2)

  1. 와이브로 방식의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관광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 단말기의 신용한도 및 사용기한을 포함하는 신용제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 요청을 승인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를 발급하는 단계,
    (c1) 관광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지정된 영역으로 들어온 새로운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정보의 검색 및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관광지역에 설치되고, 데이터를 와이브로 방식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중계기 간의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파악하는 단계,
    (f)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된 관광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
    (g) 상기 제공된 관광정보 중 구매 가능한 품목에 대하여 전자결제대행 서버를 통하여 온라인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공된 관광정보 중 숙박시설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와이브로 통신모듈을 주 구성요소로 하는 전용단말기기이고,
    상기 관광정보는 사용자 국가의 언어로 이루어진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관광지역 내에서 사용자 상호 간 음성통신 또는 다른 지역과의 통신이 무료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방법.
  2. 관광지역에 설치되고, 데이터를 와이브로 방식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중계기,
    상기 관광지역에서 관광정보를 획득하거나,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 시설을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단말기인지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간의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한 관광정보를 사용자 국가의 언어로 제공하며, 물품의 구매 또는 숙박시설의 예약을 수행하는 관광정보제공 서버,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발급 기록을 저장하는 메인 서버,
    물품구매를 대행하는 전자결제대행 서버,
    상기 중계기, 사용자 단말기 및 관광정보제공 서버, 전자결제대행 서버의 음성 및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망,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숙박 또는 관광시설에 관한 최신 정보를 업 데이트하여 제공하는 지역시설정보 서버 및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추가적인 관광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지역정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광정보제공 서버는,
    상기 관광지역 내에서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연결 확인부,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검색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관광지역에 설치되고, 데이터를 와이브로 방식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중계기 간의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 위치 파악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KR1020110030567A 2011-04-04 2011-04-04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2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67A KR20120112953A (ko) 2011-04-04 2011-04-04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67A KR20120112953A (ko) 2011-04-04 2011-04-04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53A true KR20120112953A (ko) 2012-10-12

Family

ID=4728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567A KR20120112953A (ko) 2011-04-04 2011-04-04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29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01B1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US79567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ation-based parking
JP2004310316A (ja) 配車処理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US20230300562A1 (en) Real-time custom interfaces through multi-channel geo-fencing
US20130275043A1 (e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and Wishing Service Method Thereof
US6859837B2 (e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00004406A (ko) 여행 가이드 매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562666B2 (ja) 観光スポットを案内する宿泊予約サーバ、観光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70037170A (ko) 여행객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여행객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쇼핑 방법
KR101143612B1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80001119A (ko) 관광객통신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4956651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案内方法
KR100952255B1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111046B1 (ko) Sns를 이용한 예약 및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6895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식점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120106411A (ko) 위치 기반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도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90602B1 (ko) 스마트 카 쉐어링 시스템
KR20120119222A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581358B1 (ko) 여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61201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
JP5522876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20112953A (ko) 와이브로를 이용한 지역관광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7123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5829723B2 (ja) スポットを案内する予約サーバ、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04663B1 (ko) 국내 교통 카드 서비스 가입자에게 해외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