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660A -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660A
KR20120112660A KR1020127019781A KR20127019781A KR20120112660A KR 20120112660 A KR20120112660 A KR 20120112660A KR 1020127019781 A KR1020127019781 A KR 1020127019781A KR 20127019781 A KR20127019781 A KR 20127019781A KR 20120112660 A KR20120112660 A KR 20120112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vacuation
emergency personnel
floo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매이슨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11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가 비상 요원용 승강기로 지정되는, 적어도 2개의 승강기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은 소방관이 사람들을 안전한 대피층으로 운반하려는 목적으로 제2 승강기를 징집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은 대피용 승강기에 대한 요청이 건물의 여러 층들 중 한 층에 위치한 소방관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된 것인지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요청에 응답하여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 이외의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한다. 또한,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하고, 소방관에 의한 대피 명령의 수신 시에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한다.

Description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전반적으로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에서 건물 거주자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 상황 중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6,000,505호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1996년판 승강기용 ASME A17.1 규격은 화재 상황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전체 승강기들의 소환을 요구하고, 모든 홀 호출 스테이션의 전력이 끊기며, 모든 승강기들(즉, 승강기 차체들)이 건물의 기지정된 층으로 자동 소환된다. 승강기 차체들은 도어 열림 상태로 주차되며, 승강기들은 일시적으로 운행 중지된다. 도착 시에, 소방관들은 각각의 승강기 차체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소방관 키 스위치를 가동시킴으로써 소환 기능을 취소할 수 있다. 대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6,000,505호는 심지어 소방관들의 도착 전에 승강기를 비상 상황 중 탈출 대피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비상용 승강기 대피 제어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대피 절차는 승강기 차체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대피시키는 과정이 소방관들의 제어 및 감독 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규정하기도 한다. 이 절차에 따르면, 소방관은 승강기의 소환 기능을 취소하고, 층 점검 또는 사람들의 대피를 위해 상기 승강기를 건물 전체에 걸쳐 운행한다. 상기 승강기 및 소방관이 사람들의 대피 과정에 배정되므로, 건물의 소개가 완료될 때까지 다른 목적으로 활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 대피 절차를 위반하지 않으면서 대피 정원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비상 상황과 연계된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및 방법을 기술한다. 특히, 이 실시형태들은 소방관이 사람들을 안전한 대피층으로 운반하려는 목적으로 제2 승강기를 징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차체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되는, 비상 상황과 연계된 적어도 2개의 승강기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대피용 승강기에 대한 요청이 건물의 여러 층들 중 한 층에 위치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된 것인지 판단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서, 비상 요원용 승강기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한다. 아울러, 상기 방법은 대피 명령의 수신 시에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한다.
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차체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되는, 비상 상황과 연계된 적어도 2개의 승강기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승강기 시스템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 내에,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작 패널을 구비하되, 승강기 제어 시스템이 조작 패널에 연결되어 조작 패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이 건물의 여러 층들 중 한 층에 위치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된 것인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대피 명령의 수신 시에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건물 거주자들이 층 또는 건물에서 대피할 때까지, 소방관과 같은 비상 요원이 대피용 승강기를 반복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층의 소개는 소방관의 제어 및 승인 하에 이루어진다. 소방관의 승인은 층을 떠나길 두려워하는 겁에 질린 건물 거주자 집단의 공황 발생 위험을 줄인다. 건물 거주자들이 공황 상태가 아니면, 승강기 차체의 탑승이 보다 제어된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최대 인원이 탑승할 수 있다. 이는 승강기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승강기 차체 도어의 차단 또는 승강기 차체의 과적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한다. 소방관이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해제하고 (즉,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대피층으로 보내라는 명령을 그룹 제어기로 전송하고) 층에 남아있으면, 도어가 닫히고 승강기 차체가 층을 떠나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특징들 및 방법 단계들이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뿐만 아니라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도 1은 대피 정원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건물 내의 승강기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비상 요원이 다른 승강기 차체를 징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승강기 차체 내의 조작 패널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비상 상황 중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도 1은 고층 건물에 설치되며, 상기 고층 건물로부터 건물 거주자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비상 상황 중 작동하도록 구성된 승강기 시스템(1)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화재에 의해 초래된 비상 상황에 관한 것으로, 소방관들과 같은 비상 요원들이 필요한 경우 건물을 차단하고 건물에서 사람들을 대피시키는 확립된 절차를 따른다. 그러나, 지진, 폭파 위협, 폭풍 등과 같은 다른 비상 상황 또한 마찬가지로 비상 요원의 제어에 따른 건물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소개를 요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건물 사용자들 및 거주자들은 계단(2) 또는 개별 승강기(10, 10')에 의해 건물의 다양한 층들(L1, L2, L3)에 접근하여 탈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승강기 시스템(1)은, 예컨대 서로 인접하며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승강기(10, 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승강기(10, 10')는 연관된 승강기 차체(8, 8') 및 제어 시스템(14, 14')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구동 장치(12, 12')에 작용하여, 예컨대 승강기 샤프트(20, 20') 내에서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22, 22')에 의해 현수된 승강기 차체(8, 8')를 층들(L1, L2, L3) 중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시킨다. 인장 부재(22)는 원형 횡단면을 가진 강 로프이거나, 또는 비원형 횡단면, 예컨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합성 재료 내에 매립된 (강 또는 비금속) 코드군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여러 센서(6, 6')가 층들(L1, L2, L3)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 샤프트(20, 20') 내에 배치되며, 각각의 제어 시스템(14, 14')에 연결된다. 센서들(6, 6')은 승강기 차체(8, 8')의 접근을 검출하고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시스템(14, 14')은 생성된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승강기 차체(8, 8')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승강기 시스템(1)이 다른 방식으로 승강기 차체(8, 8')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승강기 차체(8, 8')의 감지 장비를 통해 또는 인장 부재(22)에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통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승강기 시스템(1)의 물리적 구조는 종래의 승강기 시스템의 물리적 구조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물리적 구조는 전술한 요소들(제어 시스템(14, 14'), 구동 장치(12, 12'), 및 인장 부재(22, 22')) 외에도 평형추, 승강기 차체(8, 8') 및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 제동기와 같은 안전 장비, 및 도어 메커니즘용 안전 회로 등을 포함한다. 승강기 시스템(1)의 개개의 실시형태에 따라, 샤프트(20, 20') 내의 이러한 요소들의 구성 및 배치가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구동 장치(12, 12')는 별개의 기계실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기계실이 없는 승강기"인 경우) 샤프트(20, 20')의 하부에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샤프트(20, 20') 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2개의 승강기(10, 10')는 그룹 제어기(16)의 제어 하에서 그룹 또는 뱅크로 정의되고, 그룹 제어기(16)는 각각의 승강기(10, 10')의 제어 시스템(14, 14')에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14, 14') 및 그룹 제어기(16)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그룹 제어기 또는 그 기능이 제어 시스템(14, 14') 중 적어도 하나에 통합되고, 그에 따라 제어 시스템(14, 14')은 배정된 개별 (단일) 승강기(10, 10')의 제어 및 승강기 그룹(10, 10')의 제어를 담당한다. 각각의 제어 시스템(14, 14')이 그룹 제어기의 기능을 포함하고, 이 기능이 한 번에 단지 하나의 제어 시스템(14, 14')에서만 활성화된다면, 비활성 그룹 제어기 또는 그 기능은 현재 활성 그룹 제어기(또는 그 기능)가 고장난 경우에 활성화되어 그룹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이는 그룹 제어기 기능의 여분을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그룹 제어기(16) 및 제어 시스템들(14, 14')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특수 목적 집적 회로(ASIC), 전원, 및 메모리/저장 장치와 같은 관련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은 지정된 제어 알고리즘 및 절차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예컨대, 그룹 제어기(16) 또는 그 기능이 제어 시스템(14, 14') 내에서 구현되는 경우,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방법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변형예를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룹 제어기(16)가 별개의 객체로 설명되지만, 그룹 제어기(16)의 기능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4, 14') 내에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그룹 제어기(16)는 하나 이상의 승강기(10, 10')의 작동 및 조작을 위한 중앙 관리자(central coordinator) 역할을 한다. 그룹 제어기(16)는 감독 범위 내에서 개별 승강기들(10, 1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개별 승강기들(10, 10')은 임의의 그룹 작동에 대한 가용성, 위치, 속도, 도어 상태, 현재 작동 모드(예컨대, 자동, 수동, 여러 특별 서비스 중 하나, 결함/비가용), 및 차체 호출 등과 같이 처리되어야 할 승객 요청에 관한 상태 정보로 그룹 제어기(16)를 업데이트한다.
그룹 제어기(16)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 요청(예컨대, 층 호출 또는 목적지 기반 요청)을 처리할 "최적의" 승강기(10, 10')를 판단하고, 선택된 승강기(10, 10')를 요청한 승객의 위치로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은 동적 과정이며, 그룹 제어기(16)는 이송을 끊임없이 최적화하고, 그에 따라 처음에 이송한 승강기(10, 10')가 다른 작동 모드에 관여되어, 운행이 지연되거나 가용하지 않게 되는 일이 발생하면, 그룹 제어기(16)가 다른 승강기(10, 10')를 선택하여 이송할 수 있다.
그룹 제어기(16)는 또한 승강기 그룹에 특정된 특별 작동 모드를 관리한다. 이러한 특별 작동 모드들은 화재 비상 대피, 비상 전력 작동, 정지 기간 중 차체 주차, 및 특별한 승객 요청을 위한 차체 선택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룹 제어기(16)는 또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다른 승강기 그룹과의 통신 및 그룹 작동 조정에 있어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그룹 제어기(16)는 각각의 승강기(10, 10')의 상태, 즉 승강기 차체들(8, 8')의 현재 위치, 승강기 차체들(8, 8')이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상승하는지 하강하는지 여부, 현재 하중, 및 기타 작동 파라미터를 "알고 있다". 각각의 승강기 차체(8, 8')의 현재 위치는 예컨대 위치 알림 신호를 각 제어 시스템(14, 14')에 전달하는 층들(L1, L2, L3)의 센서들(6, 6')을 통해 검출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가 승강기 차체(8, 8')에 장착될 수 있고,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이 승강기 시스템(1)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객이 층들(L1, L2, L3) 중 한 층에서 호출한 경우, 그룹 제어기(16)는 작동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호출을 처리할 적절한 승강기(10, 10')를 선택한다. 멈춤으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승강기(10, 10')는 예컨대, 차체(8, 8')가 승객이 대기 중인 층(L1, L2, L3)에 가장 인접해 있는 승강기, 또는 차체(8, 8')가 승객이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미 이동 중인 승강기이다.
각각의 제어 시스템(14, 14')은 승강기(10, 10')의 구동 장치(12, 12')에 연결된다. 구동 장치(12, 12')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승강기 차체(8, 8')의 인장 부재(22, 22')에 작용한다. 제어 시스템(14, 14')과 같은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직접 또는 그룹 제어기(16)를 통해 원격 서비스 센터, 경찰서, 소방서, 및 원격 건물 관리 센터의 원격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기들(10, 10') 및 도어, 조명, 또는 창문과 같은 건물의 기타 요소들은 비상 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공중전화 통신망 또는 임의의 다른 통신망을 통해 비상비상 시에 원격 감시 및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건물 관리 센터에서는, 승강기 시스템(1)의 상태가 상패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비상 상황의 경우, 표시되는 상태는 예컨대 소방관용 승강기의 위치, 소방관이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요청했는지 여부, 대피용 차체가 선택되어 운행 중인지 여부, 소방관이 대피용 차체를 대피층으로 보내라는 명령을 전송했는지 여부, 또는 승강기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들에서, 건물 관리 센터의 요원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승강기(10, 10')(예컨대, 대피용 승강기의 운행)를 제어 또는 감시하거나, 건물의 소방관들에게 알리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1)이 3개 이상의 승강기(10, 10')를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룹 제어기(16)가 3개 이상의 승강기 그룹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승강기 시스템(1)의 소정의 실시형태들에서는, 2개 이상의 승강기 차체가 샤프트 내에서 운행 중일 수 있거나, 또는 승강기 차체가 다단 차체로 구성될 수 있다.
착륙 조작 패널(landing operating panel, LOP)로도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조작 패널(4, 4')이 각 층(L1, L2, L3)에 설치되며, 제어 시스템(14, 14')과 같은 승강기 제어 시스템에 직접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승강기 시스템(1)의 개개의 구성에 따라, 조작 패널(4, 4')은 승객이 예컨대 "상향(up)" 또는 "하향(down)"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입력 장치(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를 통해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함으로써, 승강기 차체를 호출할 수 있게 한다. 조작 패널(4, 4')은 전자 판독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승객은 승강기 차체를 호출하기 위해 카드 또는 배지를 전자 판독 장치 옆에 위치시켜야 하고, 상기 전자 판독 장치는 이러한 카드 또는 배치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판독 장치는 배지로부터 바코드를 판독하거나 또는 배지 상의 정보 저장 RFID 장치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 패널(4, 4')이 승강기 시스템(1)의 개개의 구성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장착됨은 물론이다.
비상 상황의 경우에는, 화재로 인한 오작동 위험 때문에, 조작 패널(4, 4')을 보통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조작 패널(4, 4')에 행해진 모든 입력을 무시한다. 승강기 시스템(1) 또는 건물 통신 시스템의 소정의 실시형태들에서는, 건물 관리 센터에 연결된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 시스템(예컨대, 스피커와 마이크)이 층에 장착될 수 있다. 비상 상황에서, 통신 시스템은 건물 관리 센터의 요원 및 상기 층의 건물 거주자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비상 요원이 다른 승강기 차체를 징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승강기 차체(8, 8') 내의 조작 패널(18, 18')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승강기 차체(8, 8') 내에서, 조작 패널(18, 18')은 내벽에 장착되거나 통합되고, 제어 시스템(14, 14')에 연결된다. 조작 패널(18, 18')은 또한 차체 조작 패널(car operating panel, COP)로도 알려져 있다. 승강기 시스템(1)의 개개의 구성에 따라, 조작 패널(18, 18')은 승객이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키패드(30)를 통해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조작 패널(18, 18')의 종래의 다른 기능들, 예컨대 경보 또는 SOS 기능, 통신 기능(말하기, 듣기), 및 층(번호) 및/또는 운행 방향("상향", "하향") 지시기(38)는 승강기 시스템(1)의 개개의 구성과 무관하다.
아울러, 미국과 같은 일부 국가들에서는, 비상 상황 중 소방관이 승강기 차체(8, 8')를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소방관 기능이 조작 패널(18, 18')에 구비될 것을 요구한다. 조작 패널(18, 18')의 일 실시형태에서, 소방관 기능은 조작 패널(18, 18')의 잠금실(locked compartment, 32)에 집중되어 있다. 이 잠금실(32)은 승객이 보거나 접근할 수 없는 "내장형 상자(hidden box)"로도 알려져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도 2는 덮개 없이 잠금실(32)을 보여주기 때문에, 도 2에서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 이하에서는 "MMI(28)"로 지칭함)를 볼 수 있다. 잠금실(32)은 예컨대 소방관 키 스위치, 목적층 입력용 개별 버튼들, 및 도어 개폐용 버튼들을 포함한다.
소방관 또는 어떤 다른 비상 요원이 건물의 보다 효율적인 소개를 위해 사람들을 안전한 대피층으로 운반하려는 목적으로 제2 승강기를 징집할 수 있도록, 조작 패널(18, 18')(또는 그 "내장형 상자")은 종래의 소방관 MMI(28) 외에도, 소방관이 승강기 차체(8, 8')를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전용 기능을 가진다. 이 전용 기능은 소방관이 다른 승강기 차체를 자신의 현재 위치로 요청할 수 있게 한다. 이 전용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잠금실(32) 내의 다른 위치에서 또는 MMI(28)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별개의 버튼(34) 또는 키 스위치로, 또는 기존 버튼 상의 추가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예컨대, 소방관이 현재 점검 중인 층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 시스템(14, 14') 및/또는 그룹 제어기(16)가 이를 다른 승강기 차체(8, 8')를 상기 층으로 보내달라는 요청으로 해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작 패널(18, 18')은 소방관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 시스템(14, 14')으로부터 발송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메시지를 소방관에게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36)를 구비한다. 메시지는 적어도 요청 상태(예컨대, "승강기 이송", "승강기 도착", 또는 "승강기 비가용"), 승강기 식별자(예컨대, 승강기 번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출력 장치(36)는 시각적 출력(예컨대, 표시기 또는 색채 코딩 및/또는 점멸 (LED) 램프와 같은 광원을 이용함), 메시지에 대응하는 청각적 출력(녹음된 안내방송 또는 실시간 안내방송),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에서, 출력 장치(36)는 버튼(34) 아래에 배치된 광원이고, 그에 따라 버튼(34) 및 출력 장치(36)가 쌍을 이룬다. 또한, 도 2는 이 쌍 옆에 다른 버튼-출력 장치 쌍을 보여준다. 출력 장치(36) 또는 그 기능이 버튼(34)에 통합될 수 있고, 예컨대 버튼(34)이 일체형 광원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MMI(28)는 별개의 출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신기, 버튼(34), 및 출력 장치(36)는 MMI(28)에 통합된다. 그러나, 차체의 통신 수단 또는 적어도 스피커가 청각 메시지용 출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MMI(28)는 별개의 출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MMI(28)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MMI(28)에 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요청하고,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대피층으로 이송될 준비가 되면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해제하기 위한 하나의 버튼(34)이 구비된다. 제어 시스템(14, 14') 중 적어도 하나 및 그룹 제어기(16)의 제어 하에서, 출력 장치(36)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을 확인한다. 예컨대, 출력 장치(36)의 점멸하는 광원은 요청된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운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고, 연속적인 광(예컨대, 녹색)은 차체가 도착하여 층에서 대기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해제되면, 광원은 상이한 주파수 또는 상이한 색상으로 점멸하여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대피층으로 운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연속적인 광은 차체가 대피층에 도착했음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MMI(28)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요청하기 위한 하나의 ("요청") 버튼(34), 및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해제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해제") 버튼(34)을 구비한다. 각각의 버튼(34)은 각 요청의 상태를 소방관에게 알리기 위해 연관된 ("요청" 및 "해제") 출력 장치(36)를 각각 구비한다. 출력 장치(36)의 광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예컨대, "요청" 출력 장치(36)는 승강기 차체가 이송된 후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해제" 출력 장치(36)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된 후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서, 버튼(34)은 (예컨대, 숫자) 다이얼을 구비하여, 다이얼을 돌림으로써 승강기들(10, 10')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이 이루어지면, 소방관이 대피용 승강기를 요청하기 위해 버튼(34)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MMI(28)는 더 많은 정보를 소방관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MMI(28)는 표시기 또는 다른 출력 장치를 구비하여, "승강기 이송", "승강기 도착", 또는 승강기 비가용"과 같은 메시지 및/또는 소방관과 그의 차단 임무에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비상 상황 중 도 1의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의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예컨대, 건물 내에 건물의 화재 경보 시스템의 일부로 설치된 검출기들 중 하나가 연기, 열, 가스, 또는 화재나 초기 화재를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작동되어, 화재 상황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 경우, 비상 상황이 실재한다. 이 상황에서, 승강기 시스템(1)은 제어 시스템(14, 14') 및 그룹 제어기(16)를 통해 정상 작동 모드에서 비상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은 화재 상황에 대해, 그리고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 그룹 제어기(16)의 관점으로, 본원에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단계 S1에서 시작되고, 단계 S13에서 종료된다.
단계 S2를 참조하면, 승강기 시스템(1)은 정상 작동 모드로 작동되고, 그룹 제어기(16)는 각각의 승강기(10, 10')의 상태를 계속 감시한다. 이러한 감시로 인해, 그룹 제어기(16)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들(10, 10')의 다양한 작동 파라미터들을 "알고 있고" 호출에 응답하여 적절한 승강기(10, 10')를 배정할 수 있다.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상기 방법은 화재 상황 또는 승강기 시스템(1)의 안전한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상황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경보가 없는 경우, 상기 방법은 '아니오'라인을 따라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건물의 화재 경보 시스템이 경보를 발한 경우, 상기 방법은 '네' 라인을 따라 단계 S4로 진행된다.
단계 S4에서, 그룹 제어기(16)는 모든 승강기 차체들(8, 8')을 건물의 기지정된 대피층, 예컨대 건물 출구가 있는 로비로 소환한다. 승강기 차체들(8, 8')은 도어 열림 상태로 주차되며, 승강기들(10, 10')은 일시적으로 운행 중지된다. 도착 시에, 소방관들은 승강기 차체(8, 8')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소방관 키 스위치를 가동시킴으로써 소환 기능을 취소할 수 있다. 승강기 그룹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가 통상적으로 소방관용 승강기로 지정된다. 소방관용 승강기는 화재 상황에서 작동하도록 장착된다. 예컨대, 소방관용 승강기는 배기구에 설치된 (추가) 필터 및/또는 난연성 재료를 포함한다.
단계 S5로 진행하여, 소방관이 승강기 차체(8, 8') 내부의 조작 패널(18, 18')을 이용하여 소환 기능을 취소하면, 그룹 제어기(16)는 단지 소방관용 승강기의 작동만을 허용한다. 소방관은 소방관용 승강기를 이용하여, 층 단위로(floor by floor basis), 예컨대 화재 상황을 보고한 층 아래로 한 층 또는 두 층까지 건물을 차단한다. 다시 말하면, 소방관은 각 층(L1, L2, L3)에서 승강기 차체(8, 8')를 멈추고, 승강기 차체(8, 8')를 여는 것이 안전한지 점검하고, 안전한 경우, 건물 거주자들이 대피할 필요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그룹 제어기(16)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이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소방관이 사용하는 승강기 차체(8, 8')는 소방관이 MMI(28)를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층)로의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이송을 요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소방관이 건물 거주자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소방관은 예컨대 잠금실(32, 내장형 상자)의 지정된 버튼(예컨대, 도 2의 버튼(34))을 누르며, 상기 방법은 '네' 라인을 따라 단계 S7로 진행된다. 대피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방법은 단계 S6에서 대기 모드로 유지된다('아니오' 라인).
단계 S7에서, 그룹 제어기(16)는 소방관용 승강기의 위치를 판단한다. 단계 S2를 참조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그룹 제어기(16)는 작동 중인 모든 승강기(10, 10')의 상태를 알고 있다. 예컨대, 그룹 제어기(16)는 필요한 경우, 각 승강기의 위치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위치 정보 검색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S8로 진행하여, 그룹 제어기(16)는 소방관용 승강기의 위치에 적합한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피용 승강기 차체는 기지정된 대피층에 주차된 승강기 차체들 중 하나이다.
단계 S9로 진행하여, 그룹 제어기는 지정된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소방관의 위치로 이송하고, 도어 열림 상태로 주차시킨다. 대피해야 하는 건물 거주자들은 이제 소방관의 제어 및 승인 하에 차체에 탑승할 수 있다.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그룹 제어기(16)는 대피 명령이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 모든 거주자들이 차체에 탑승하거나 또는 차체가 만원이면, 소방관이 소방관용 승강기 차체 또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부터 대피 명령을 내린다. 예컨대, 소방관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대피층으로 운행되는 즉시 건물의 차단을 계속할 수 있다. 대안으로, 거주자들이 층에 여전히 남아있는 경우, 소방관은 다른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층에 보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방법은 단계들 S8~S10을 다시 수행할 것이다. 그룹 제어기(16)가 소방관이 대피 명령을 전송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방법은 '네' 라인을 따라 단계 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아니오' 라인).
단계 S11로 진행하여, 그룹 제어기(S11)는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대피층으로 보낸다. 대피층에서는, 다른 소방관이 대피한 건물 거주자들을 맞는다. 대피용 승강기 차체는 비워지자마자 단계 S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된다.
상기 방법은 단계 S13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단계 S6으로 이어지는 파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반복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1) 및 비상 상황 중 승강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에 대한 소정의 실시형태들을 기술하였지만, 승강기 시스템(1) 및/또는 작동 방법이 소정의 요건에 따라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승강기 시스템(1)은 소방관이 현재 층으로 2개 이상의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동시에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소방관이 많은 건물 거주자들이 대기 중인 층에 도착하거나, 또는 예컨대 차체의 통신 시스템을 통해 많은 건물 거주자들이 대기 중이라는 사전 정보를 받은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MMI(28)는 여러 개의 버튼(34) 및 출력 장치(36)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쌍이 상이한 승강기에 배정된다. 버튼(34)들은 승강기들의 식별자(예컨대, 문자 또는 번호)로 표시될 수 있다. 소방관이 이웃하는 승강기를 선택하도록 지시 받을 수 있거나, 또는 그룹 제어기(16)가 소방관용 승강기의 인근에 도착한 승강기 차체, 예컨대 이웃하는 승강기(다른 통로의 승강기가 아님)를 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방관은 모든 대피용 승강기 차체들의 탑승을 감독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연기로 인해 가시성이 제한된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단계 S8에 설명된 대피층에 주차되는 차체의 지정에 대한 대안으로, 그룹 제어기(16)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로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그룹 제어기(16)는, 소방관의 현재 위치에 가까우며 여전히 추가 승객들을 수용할 용량을 가진 승강기 차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차체는 예컨대 다른 소방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앞서 본원에 기재된 목적, 수단, 및 이점을 전적으로 만족하는 비상 상황 중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및 방법이 명백히 설명되었다. 예컨대, 비상 요원은 보다 효율적으로 건물을 소개할 수 있고, 모든 건물 거주자들이 층 또는 건물에서 대피할 때까지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반복 요청할 수 있다. 비상 요원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해제하는 즉시, 소방관용 승강기를 대피용으로 사용할 필요 없이 건물의 차단을 계속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강기 시스템(10) 및/또는 그룹 제어기(16)는, 지정된 소방관용 승강기가 작동 불가능하게 될지라도, 건물의 효율적이며 안전한 소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소방관은 MMI(28)를 이용하여 대피용 승강기를 요청할 수 있고, 도착하면, 현재 작동 불가능한 소방관용 승강기로부터 소방관 키를 분리하고, 소방관용 승강기에서 나온다. 이후, 소방관은 소방관 키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패널에 삽입하여, 대피 기능을 취소하고, 상기 승강기를 새로 지정된 소방관용 승강기로 등록한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차체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되는, 비상 상황과 연계된 적어도 2개의 승강기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서,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이 건물의 여러 층들 중 한 층에 위치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대피 명령의 수신 시에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대피 명령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대피 명령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이송된 층에서,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도어를 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요청 확인 및 승강기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 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시각적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메시지에 대응하는 청각적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 이외의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승강기 차체를 지정하는 단계는,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의 인근에 도착하도록 구성된 승강기 차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승강기 차체를 지정하는 단계는,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가 위치한 층에 인접하며 승객들을 수용할 용량을 가진 승강기 차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차체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되는, 비상 상황과 연계된 적어도 2개의 승강기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에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 내에 구비되며,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작 패널; 및
    조작 패널에 연결되어 조작 패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승강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이 건물의 여러 층들 중 한 층에 위치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에서 유래된 것인지 판단하고,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서,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하고, 대피 명령의 수신 시에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요청하고 대피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는 단일 장치로 통합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출력 장치는 시각적 출력 및 청각적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를 요청하기 위한 제1 입력 장치 및 대피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 장치를 구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된 후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상태에 관한 제1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1 출력 장치, 및 대피용 승강기 차체가 기정의된 대피층으로 이송된 후 대피용 승강기 차체의 상태에 관한 제2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2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대피용 승강기 차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비상 요원용 승강기 차체 이외의 승강기 차체를 대피용 승강기 차체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KR1020127019781A 2009-12-31 2010-10-21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KR20120112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51,094 US8230980B2 (en) 2009-12-31 2009-12-31 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US12/651,094 2009-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660A true KR20120112660A (ko) 2012-10-11

Family

ID=4343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781A KR20120112660A (ko) 2009-12-31 2010-10-21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30980B2 (ko)
EP (1) EP2519464B1 (ko)
KR (1) KR20120112660A (ko)
CN (1) CN102712445B (ko)
AU (1) AU2010338566B2 (ko)
BR (1) BR112012015858A2 (ko)
CA (1) CA2785874C (ko)
ES (1) ES2457547T3 (ko)
HK (1) HK1176047A1 (ko)
MX (1) MX2012007651A (ko)
MY (1) MY166080A (ko)
PL (1) PL2519464T3 (ko)
SG (1) SG181945A1 (ko)
WO (1) WO2011079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7406A1 (ja) * 2008-12-08 201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8800722B2 (en) * 2009-04-15 201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ler
FI125122B (fi) * 2010-02-01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3534190B (zh) 2011-06-30 2015-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US9347254B2 (en) * 2012-05-04 2016-05-24 The Chamberlain Group, Inc. Command priority levels for an access controller apparatus
EP3149666A1 (en) * 2014-05-30 2017-04-05 Otis Elevator Company First responder interface for emergency control
JP6223598B2 (ja) * 2014-11-21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4463477A (zh) * 2014-12-15 2015-03-25 江苏国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应对地震的单兵调度方法以及系统
US9689190B2 (en) * 2015-06-26 2017-06-27 Shanghai TOB Intelligent Doors and Windows Science&Technology Inc.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oors and windows
EP3190077A1 (en) * 2016-01-11 2017-07-12 Inventio AG Elevator control in case of fire
JP6705683B2 (ja) * 2016-03-30 2020-06-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建物、及び、建物における避難誘導方法
CN105826119B (zh) 2016-03-31 2018-04-06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报警解锁装置
US10207895B2 (en) 2016-04-28 2019-02-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emergency power feeder balancing
EP3299326A1 (en) * 2016-08-24 2018-03-28 Otis Elevator Company Communication with a trapped passenger in a transportation system
US20180086598A1 (en) * 2016-09-29 2018-03-29 Otis Elevator Company Group coordination of elevators within a building for occupant evacuation
US10384911B2 (en) 2016-09-30 2019-08-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lockdown mode
US10150647B2 (en) * 2016-12-22 2018-12-11 Siemens Schweiz Ag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nfiguration of a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in a building
CN106882669A (zh) * 2017-04-14 2017-06-23 安徽省沃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火灾报警的小区电梯控制系统
JP6787498B2 (ja) * 2017-09-27 2020-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EP3569542B1 (en) * 2018-05-15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levator system
US11383956B2 (en) 2018-12-10 2022-07-12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vator system during lockdown
US11542124B2 (en) * 2019-05-13 2023-01-03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fusion door status detection
US11450226B2 (en) * 2020-10-07 2022-09-20 Lghorizon, Llc Predictive building emergency training and guid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625A (en) * 1995-11-29 1997-08-12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elevator cab commandeering shuttle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2004203623A (ja) * 2002-12-23 2004-07-22 Inventio Ag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JP4266010B2 (ja) * 2003-05-14 2009-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システム
WO2005121004A1 (ja) * 2004-06-10 2005-12-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
CN100475680C (zh) * 2004-06-24 2009-04-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停电时运转装置
CN101006002B (zh) * 2005-02-14 2011-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火灾时管制运转系统及电梯火灾时管制运转方法
US7669695B2 (en) * 2005-09-05 2010-03-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ire evacuation operation system for group controlled elevators
FI118332B (fi) * 2005-10-14 2007-10-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US7743889B2 (en) * 2006-01-20 2010-06-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which operates an elevator in an event of a fire
WO2007096969A1 (ja) * 2006-02-23 2007-08-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FI118465B (fi) * 2006-03-03 2007-11-30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5094210B2 (ja) * 2007-05-24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5128961B2 (ja) * 2008-01-07 2013-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9464B1 (en) 2014-01-15
CN102712445B (zh) 2014-10-22
BR112012015858A2 (pt) 2016-06-21
WO2011079975A1 (en) 2011-07-07
CN102712445A (zh) 2012-10-03
ES2457547T3 (es) 2014-04-28
US20110155516A1 (en) 2011-06-30
MY166080A (en) 2018-05-23
AU2010338566B2 (en) 2015-02-19
CA2785874A1 (en) 2011-07-07
HK1176047A1 (en) 2013-07-19
MX2012007651A (es) 2012-11-22
SG181945A1 (en) 2012-07-30
PL2519464T3 (pl) 2014-06-30
AU2010338566A1 (en) 2012-07-05
CA2785874C (en) 2016-10-11
EP2519464A1 (en) 2012-11-07
US8230980B2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660A (ko)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JP5452505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6000505A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US7182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and a method for modernization of an existing building with said system
JP5660594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EP1068142B1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WO2012026015A1 (ja) エレベーターのモニター制御装置
WO2008072344A1 (ja) 火災時避難支援システム、及び防火戸制御装置
JP2011236036A (ja) エレベータかご内異常通報システム
EP14337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H04235881A (ja) 個人住宅用エレベータ非常時遠隔救出装置
CN106715311B (zh) 电梯装置
JP201212655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1588838B1 (ko)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EP3290373A1 (en)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arrangement with an emergency priority function and elevator arrangement implementing such method
JPH09142754A (ja)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装置
WO2019064371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H0436196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表示装置
Fordyce Fire and life safety systems at Washington Park station: North America's deepest underground transit station
JP2002060150A (ja) ビ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