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187A -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187A
KR20120112187A KR1020120032442A KR20120032442A KR20120112187A KR 20120112187 A KR20120112187 A KR 20120112187A KR 1020120032442 A KR1020120032442 A KR 1020120032442A KR 20120032442 A KR20120032442 A KR 20120032442A KR 20120112187 A KR20120112187 A KR 20120112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pad
area
display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584B1 (ko
Inventor
다카오 사토
쥰 츠보누마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이 탑재된 터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터치 표시부내의 소정 영역에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는 터치 패드 할당부와,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에 의해 터치 패드 영역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터치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터치 패드용 포인터를 표시시키는 포인터 표시부와, 상기 터치 패드 영역내의 터치 조작에 따른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상기 터치 패드 영역 이외의 상기 터치 표시부에 상기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그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원은 2011년 3월 29일에 신청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1-71699호에 의거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여기에 참조에 의해 도입되어 있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탑재된 터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터치 패널이 탑재된 대형 터치 표시부, 예를 들면 케이스의 표면 대략 전체를 덮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타겟의 오브젝트(예를 들면, 아이콘 또는 링크 데이터)를 이동 또는 선택할 때에, 손가락 또는 펜을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까지 실제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시각 및 조작의 특성으로부터 매우 이해하기 쉽고 유용한 반면, 한손 조작으로 사용하는데 곤란한 구성으로 되고 있었다. 즉, 한손 조작에서는 큰 범위 및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상황에서 손가락 또는 펜을 원활하게 움직이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아, 사용하기 곤란한 장치로 되고 있었다.
종래에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체가 표시된 영역의 외부의 소정 영역의 표시 화면상에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조작이 가능한 터치 패드 영역을 제안하고 있다. 이 터치 패드 영역에서의 터치 조작의 기술은 소프트웨어 키보드상의 키 조작에 대응한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8606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86064호
그러나, 상기 기술(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86064호의 기술)에 있어서는 터치 패드 영역의 터치 조작에 의해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손 조작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에서 터치 조작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체에도 손가락 또는 펜 등이 종종 터치되어, 오조작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터치 표시부내에 터치 패드 영역이 할당된 상태에서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표시부내에 터치 패드 영역이 할당된 상태에서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재고 관리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는 휴대 단말 장치(핸디 터미널)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의 (a)는 터치 표시부(5)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b)는 터치 표시부(5)의 소정의 영역에 할당된 터치 패드 영역 TP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c)는 터치 표시부(5)상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고 표시되었을 때에, 터치 패드 영역 TP와, 이 터치 패드 영역 TP에 표시된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터치 패드 실행 지시에 응답하여 실행이 개시되는 동작(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동작의 흐름도.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재고 관리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는 휴대 단말 장치(핸디 터미널)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단말 장치는 얇고 직사각형형상의 케이스를 가지며, 중앙 제어부(중앙 처리 유닛(CPU) 포함)(1)를 핵으로 하여, 전원부(2), 기억부(3), 메모리(4), 터치 표시부(5), 조작부(6), 이미지 스캐너(7) 및, 통신부(8)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부(1)는 전원부(2차 전지)(2)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동작되고, 기억부(3)내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이 휴대 단말 장치의 전체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기억부(3)는 예를 들면,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갖는 구성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및,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동작 시퀀스에 따라 바람직한 본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기억부(3)는 예를 들면, SD 카드 또는 IC 카드 등의 착탈 가능한 휴대형 메모리(기억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통신 기능을 통해 접속된 소정의 외부 서버측의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메모리(4)는 시간 데이터와 플래그 데이터 등, 휴대 단말 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형태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워크 에리어이다.
터치 표시부(5)는 얇고 직사각형형상의 케이스의 표면 영역의 대략 전체에 배치되는 대형의 터치 표시부이다. 이 터치 표시부(5)는 손가락 또는 펜 등으로 터치하는 것에 의해 조작된 위치를 검지하고, 그 검지된 위치의 좌표를 입력하는 터치 입력 수단(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며, 표시 패널(5a)과 터치 패널(5b)을 갖는다. 터치 패널(5b)은 정전 용량, 저항 피막, 전자 유도 또는 압전 기술 등의 적절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표시 패널(5a)은 예를 들면, 고정밀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키로서 기능하는 표시 기능명 및, 오브젝트(아이콘, 링크 등)를 표시한다. 제어부(1)는 후술하겠지만, 터치 패드 영역의 할당 지시를 받았을 때에, 터치 표시부(5)의 현재의 표시 상태를 해석하고, 그 표시 상태에 따른 소정의 영역내에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한다.
조작부(6)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원 ON/OFF 버튼 등의 각종 푸시 버튼 키를 구비하고, 제어부(1)는 터치 표시부(5) 및 조작부(6)로부터의 입력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이미지 스캐너(7)는 CCD 또는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코드 데이터를 촬영한다. 제어부(1)는 이미지 스캐너(7)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서 코드 데이터를 읽는다. 통신부(8)는 무선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통해 호스트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호스트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이 실행된다.
도 2의 (a)는 터치 표시부(5)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SP1 내지 SP3은 소정 크기 이상의 빈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는 터치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표시 상태를 해석하고, 그 표시 상태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소정 크기 이상의 빈 영역을 특정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소정 크기 이상의 빈 영역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터치 표시부(5)의 크기의 1/8이상의 사이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2의 (b)는 터치 표시부(5)내의 소정 영역에 할당된 터치 패드 영역 T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는 터치 패드 영역의 할당 지시를 받았을 때에, 소정의 빈 영역내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드 영역 TP를 할당한다.
그러한 할당이 실행되는 경우, 도 2의 (a)에 나타낸 빈 영역 SP1 내지 SP3 중, 터치 표시부(5)의 가장자리부 또는 가장자리부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빈 영역 SP3에 터치 패드 영역 TP의 할당을 우선시키도록 할당이 이루어져 있다(도 2의 (b) 참조).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될 때, 이 빈 영역 SP3의 크기에 따라 할당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빈 영역 SP3의 크기의 범위내에 있어서, 터치 표시부(5)의 크기의 1/4 이하의 사이즈의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 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TP내 및 터치 표시부(5)내에 나타내는 십자형의 화살표는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서의 조작이 터치 표시부(5)에서의 범위내의 조작으로서 취급되는 범위의 정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터치 패드 영역 TP내의 전체 범위가 터치 표시부(5)의 전체 범위에 대응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터치 표시부(5)내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고 표시되었을 때에, 터치 패드 영역 TP의 표시와, 이 터치 패드 영역 TP에 표시된 터치 패드 포인터 PT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는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를 나타내고,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포인터와 함께 터치 패드 영역 TP가 처음에 표시된다(도 3의 (a) 참조). 이 예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서 터치 조작(슬라이드 조작)이 실행되면, 그 터치 조작의 이동 방향으로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가 이동한다(도 3 참조). 또한,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서 터치 조작(슬라이드 조작)이 실행되면, 그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가 재차 이동된다. 도 3의 (c)는 원하는 오브젝트(아이콘 또는 링크 등)의 표시 위치에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서 1회의 터치 조작(탭 조작)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2회 연속해서 터치 조작(더블 탭 조작)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실행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의 동작 개요를,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 기능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되고, 이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이 순차 실행된다. 또,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를 거쳐 전송되어 온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순차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기억 매체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전송 매체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 특유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전체 동작 중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의 동작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흐름에 남는 경우에는 처리를 전체 동작의 메인 흐름(도시 생략)으로 되돌린다.
도 4 및 도 5는 터치 패드 실행 지시에 따라 실행 개시되는 동작(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터치 표시부(5)상에 소정의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 제어부(1)는 터치 패드 영역 TP의 기동이 지시된 것으로 하여, 도 4 및 도 5의 흐름의 실행을 개시한다. 우선, 터치 표시부(5)상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의 표시 내용이 해석되고, 그 표시 상태에 따라 소정 크기 이상의 빈 영역이 특정된다(스텝 S1).
그리고, 터치 패드 영역 TP의 배치 영역으로서 기동 가능한 복수의 빈 영역이 특정되는 경우, 터치 표시부(5)의 가장자리부 또는 가장자리부의 근처에 존재하고 있는 빈 영역이 복수의 빈 영역으로부터 터치 패드 영역 TP의 배치 영역으로서 특정된다(스텝 S2).
이 예에 있어서,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표시부(5)의 가장자리부 또는 가장자리부의 근처에 존재하고 있는 빈 영역 SP3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된 빈 영역의 크기에 의거하여 터치 패드 영역 TP의 사이즈가 특정된다(스텝 S3). 특정된 빈 영역내에 정해진 크기의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고 배치된다(스텝 S4). 또한, 이 터치 패드 영역 TP의 배치 표시에 따라 이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포인터가 또한 배치 표시된다(스텝 S5). 그 후, 터치 표시부(5)에의 터치 조작을 무효, 즉, 터치 표시부(5)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TP 이외의 모든 영역에의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6).
이 상태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TP에서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는(스텝 S7: YES), 터치 조작의 종류로서, 슬라이드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탭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더블 탭 조작이 실행되었는지가 판별된다(스텝 S8). 슬라이드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는(스텝 S8) 그 슬라이드 방향 및 슬라이드량이 검출되고(스텝 S9), 그 슬라이드 방향 및 슬라이드량에 따라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가 이동 표시된다(스텝 S10). 이 경우,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이동 표시는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는 슬라이드 방향 및 슬라이드량에 따라 그 터치 패드 영역 TP의 외측에 이동 표시된다. 그 후, 무조작 시간을 계측하는 무조작 시간 타이머(도시 생략)가 리세트 개시된 후(스텝 S11), 처리 전에 스텝 S7로 되돌린다.
또, 터치 패드 영역 TP상에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는(스텝 S8), 처리를 스텝 S12로 이행하여, 터치 패드 영역 TP 이외의 터치 표시부(5)의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오브젝트가 이 위치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12: NO), 금회의 탭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처리를 스텝 S7로 이행한다. 그러나,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으면(스텝 S12: YES), 이 오브젝트는 처리를 위해 선택된다(스텝 S13). 그리고, 무조작 시간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세트 개시시킨 후(스텝 S11), 처리를 스텝 S7로 되돌린다.
터치 패드 영역 TP에서 더블 탭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는(스텝 S8), 처리를 스텝 S14로 이행하여, 터치 패드 영역 TP 이외의 터치 표시부(5)의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오브젝트가 이 위치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14: NO), 금회의 더블 탭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처리를 스텝 S7로 이행한다. 그러나,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으면(스텝 S14: YES), 아이콘 또는 링크 등의 오브젝트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15). 그리고, 무조작 시간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세트 개시시킨 후(스텝 S11), 처리를 스텝 S7로 되돌린다.
이하, 터치 조작이 실행될 때마다(스텝 S7: YES), 터치 조작의 종류에 따라(스텝 S8),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를 이동시키는 처리(스텝 S10),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처리(스텝 S13), 또는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처리(스텝 S15)가 반복한다.
한편, 터치 조작이 실행되지 않으면(스텝 S7: NO), 흐름이 도 5로 이행하여, 무조작 시간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발생했는지를 조사하고(스텝 S16), 터치 패드 영역의 종료가 유저 조작 또는 자동적으로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하거나(스텝 S17), 터치 표시부(5)의 화면 내용의 변경(화면 변경 또는 스크롤)이 유저 조작 또는 자동적으로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한다(스텝 S18). 모든 스텝 S16, S17 및, S18이 “NO”로서 판단되었을 때에는 처리를 도 4의 스텝 S7로 되돌린다.
무조작 시간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면(스텝 S16: YES), 터치 패드 영역 TP의 할당이 해제(터치 패드 영역 TP가 소거)되고(스텝 S19),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표시가 소거된다(스텝 S20). 또, 터치 패드의 종료가 지시되면(스텝 S17: YES), 터치 표시부(5)상의 터치 패드 영역 TP의 표시가 소거되고(스텝 S21), 그 후, 터치 패드 영역 TP의 할당이 해제(터치 패드 영역 TP가 소거)되며(스텝 S19),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표시가 소거된다(스텝 S20). 그 후, 처리는 도 4 및 도 5에 남는다. 또, 화면 내용의 변경이 지시되면(스텝 S18: YES), 처리를 도 4의 제 1 스텝인 스텝 S1로 되돌리고,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는 터치 표시부(5)내의 소정 영역에 터치 패드 영역 TP를 할당한다. 그리고, 터치 표시부(5)내의 소정 위치에 터치 패드용 포인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터치 조작이 실행되면, 그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터치 패드 영역 TP의 외부에서 터치 표시부(5)에 터치 조작이 실행되면, 그 터치 조작이 무효로서 취급된다. 즉, 터치 표시부(5)내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된 상태에서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한 손 조작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드 영역 TP로의 할당이 지시되면, 터치 표시부(5)의 현재의 표시 상태가 해석되고, 그 표시 상태에 따른 소정 영역내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된다. 터치 표시부(5)의 표시 상태와 관련하여 터치 패드 영역 TP를 할당할 수 있다.
터치 표시부(5)에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므로, 표시 내용에 영향이 없는 위치에 터치 패드 영역 TP를 할당할 수 있다.
터치 표시부(5)의 가장자리부 및 가장자리부의 근처의 빈 영역에 우선해서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므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터치 패드 영역 TP를 할당할 수 있다.
터치 표시부(5)의 빈 영역에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는 경우, 그 빈 영역의 크기에 따라 터치 패드 영역 TP가 할당되는 할당이 실행되므로, 터치 패드 영역 TP를 빈 영역의 크기에 대응시킬 수 있고,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초기 표시 위치가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표시되도록 구성했으므로, 터치 패드 영역 TP와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대응 관계가 명확한 구성으로 된다.
터치 패드 영역 TP내의 터치 조작의 종류에 따라,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를 이동시키는 처리,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처리, 또는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처리가 실행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드 영역 TP내의 터치 조작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이들 종류에 따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초기 표시 위치로서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표시된 구성이 이용되었지만, 터치 패드 영역 TP의 근처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터치 패드 영역 TP의 근처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터치 패드 영역 TP와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대응 관계가 명확하게 될 뿐만 아니라, 터치 패드 영역 TP내에 표시되는 경우보다 포인터 터치 패드용 포인터 PT의 이동량이 적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표시부(5)상에서 소정의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 터치 패드 영역 TP의 기동이 지시된 것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조작부(6)상에 소정의 푸시 버튼 키가 조작되었을 때에, 터치 패드 영역 TP의 기동이 지시된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유저 조작은 터치 조작 및/또는 푸시 버튼 조작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또는 음성 지시 등의 다른 수단이 실행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핸디 터미널에 적용했을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DA, 디지털 카메라 또는 뮤직 플레이어 등의 다른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치” 및 “부”는 단일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능에 따라 복수의 경우로 분리되어도 좋다. 상기 흐름도에서 나타낸 각 스텝은 시계열적인 처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스텝이 병렬로 실행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는 처리가 분리되어 실행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하여 예시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그 형태 및 상세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 숙련자들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해당하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모든 변형 및 변경도 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 제어부
2 전원부
3 기억부
5 터치 표시부
6 조작부
TP 터치 패드 영역
PT 터치 패드용 포인터

Claims (8)

  1. 터치 패널이 탑재된 터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
    상기 터치 표시부내의 소정 영역에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는 터치 패드 할당부와,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에 의해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터치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터치 패드용 포인터를 표시시키는 포인터 표시부와,
    상기 터치 패드 영역내의 터치 조작에 따른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상기 터치 패드 영역 이외의 상기 터치 표시부에 상기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그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는 상기 터치 표시부상의 현재의 표시 상태를 해석하고, 그 표시 상태에 따른 상기 터치 표시부내의 소정 영역에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는 상기 터치 표시부의 빈 영역에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빈 영역에 어떠한 데이터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영역은 복수의 빈 영역을 갖고,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는 상기 복수의 빈 영역 중에서 상기 터치 표시부의 가장자리부에 가장 가까운 빈 영역에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할당부는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의 크기가 상기 빈 영역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빈 영역에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부는 상기 터치 패드 영역내 또는 근처에 상기 터치 패드용 포인터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영역내에 상기 터치 조작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 조작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종류에 따라, a) 상기 터치 패드용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b) 상기 터치 패드용 포인터에 중첩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c) 상기 오브젝트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a) 터치 표시부내의 소정 영역에 터치 패드 영역을 할당하는 동작,
    (b) 상기 소정 영역에 상기 터치 패드 영역이 할당되면, 상기 터치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터치 패드용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
    (c) 상기 터치 패드 영역내의 터치 조작에 따른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동작,
    (d) 상기 할당된 터치 패드 영역 이외의 상기 터치 표시부에 상기 터치 조작이 실행되면,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소정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120032442A 2011-03-29 2012-03-29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368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1699 2011-03-29
JP2011071699A JP5397707B2 (ja) 2011-03-29 2011-03-29 タッチ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87A true KR20120112187A (ko) 2012-10-11
KR101368584B1 KR101368584B1 (ko) 2014-02-28

Family

ID=4602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42A KR101368584B1 (ko) 2011-03-29 2012-03-29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49420A1 (ko)
EP (1) EP2506134A3 (ko)
JP (1) JP5397707B2 (ko)
KR (1) KR101368584B1 (ko)
CN (1) CN1027367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667A (ko) 2012-10-05 201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4120091A (ja) * 2012-12-19 2014-06-30 Riso Kagaku Corp 電子機器
US20140184503A1 (en) * 2013-01-02 2014-07-03 Samsung Display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05806B1 (ko) * 2013-01-07 2015-03-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포인터 활성화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253494A1 (en) * 2013-03-11 2014-09-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display damage and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JP6208082B2 (ja) * 2014-05-28 2017-10-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88691A (ko) * 2016-01-25 201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10001878B2 (en) 2016-02-04 2018-06-1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ascia damage and repairing the same
JP6538785B2 (ja) * 2017-09-06 2019-07-0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2302A (en) * 1994-03-07 1999-11-09 Ure; Michael J. Touch-sensitive keyboard/mouse
JP3787404B2 (ja) * 1997-02-24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6278443B1 (en) * 1998-04-30 2001-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screen with random finger placement and rolling on screen to control the movement of information on-screen
TW528981B (en) * 2001-10-25 2003-04-2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computer and related method for preventing input interruption by write-tracking input region
US7242387B2 (en) * 2002-10-18 2007-07-10 Autodesk, Inc. Pen-mouse system
JP2004151987A (ja) * 2002-10-30 2004-05-27 Casio Comput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081887B2 (en) * 2002-12-19 2006-07-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software keyboard
JP4215549B2 (ja) * 2003-04-02 2009-01-28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モード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モードで動作する情報処理装置
US8487910B2 (en) * 2005-05-02 2013-07-16 Smart Technologies Ulc Large scale touch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same
JP2007028512A (ja) * 2005-07-21 2007-02-01 Fujifilm Holdings Corp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818918B1 (ko) * 2006-02-14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4699955B2 (ja) * 2006-07-21 2011-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754855B2 (en) * 2008-06-27 2014-06-1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touchpad
JP4672756B2 (ja) * 2008-06-30 2011-04-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1676844A (zh) * 2008-09-18 2010-03-24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摸屏输入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JP2010086064A (ja) * 2008-09-29 2010-04-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42762A (ko) *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JP2010134625A (ja) * 2008-12-03 2010-06-17 Sharp Corp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24218B1 (ko) * 2009-09-14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9420A1 (en) 2012-10-04
KR101368584B1 (ko) 2014-02-28
JP2012208561A (ja) 2012-10-25
EP2506134A2 (en) 2012-10-03
CN102736783A (zh) 2012-10-17
EP2506134A3 (en) 2013-03-06
JP5397707B2 (ja)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84B1 (ko) 휴대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US9626104B2 (en) Thumb access area for one-handed touchscreen use
US9671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with varying sensitivity regions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JP5490508B2 (ja) タッチセンサを有する装置、触感呈示方法及び触感呈示プログラム
US8370772B2 (en) Touchpad controlling method and touch device using such method
US94831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program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WO2013094371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56610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10063410A (ko)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04346088A (zh) 一种进行页面切换的方法及装置
EP40272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5043135A (ja) 情報処理装置
US20120319958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key arrangement alteration method therefor
JP6264423B2 (ja) タッチ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95171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128145B2 (ja) タッチ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34140B2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04212B2 (ja) タッチ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24662B2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79578A1 (ja) 入力支援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入力支援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100035017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15049850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