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631A - 회전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631A
KR20120110631A KR1020110028617A KR20110028617A KR20120110631A KR 20120110631 A KR20120110631 A KR 20120110631A KR 1020110028617 A KR1020110028617 A KR 1020110028617A KR 20110028617 A KR20110028617 A KR 20110028617A KR 20120110631 A KR20120110631 A KR 2012011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x
cultivation
cultivation box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048B1 (ko
Inventor
공성관
Original Assignee
공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성관 filed Critical 공성관
Priority to KR102011002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5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guided along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다단으로 마련되고 승하강구조로 구성된 재배수단에 의해 식물의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물의 관리 및 수확작업이 용이한 회전 재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회전 재배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단은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하단은 상기 종동스프로킷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순환체인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순환체인에 양단이 결합되어 순환체인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장착되는 설치수단과; 상기 설치수단에 각각 양측면이 회전 가능하게 매달지도록 결합되는 재배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재배장치{ROTATE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회전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마련되고 승,하강구조로 구성된 재배수단에 의해 식물의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식물의 관리 및 수확작업이 용이하며, 수확에 이르는 동안 외부의 유해 환경요인에 전혀 노출되지 않고 식물의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청정식물의 공급 및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회전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물 재배는 대개 이차원, 즉 평면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여러 가지로 강구되고 있다. 특히 농작물은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매우 한정된 면적 내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면적당 생산량의 증대는 재배농가의 수익과 직결되는 것이다.
한편, 각종 공해 속에서 생활해야 하는 도시민들의 무공해 채소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무공해채소는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가격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유통과정 중 신선도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분이나 각종 박스에 자신이 먹을 채소를 직접 재배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데, 아파트와 같이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 베란다 등으로 한정되는 경우 충분한 양의 채소를 재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이나 박스 등에 채소를 재배하는 경우 모든 채소에 햇볕을 고르게 쪼이기 위해서는 채소가 심어진 화분이나 박스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교체시켜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재배된 채소를 수확하고자 하는 경우, 채소가 심어진 각 상자를 따라 재배자가 직접 이동해가면서 채소를 수확해야 하므로, 수확하는 작업이 매우 힘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업이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공장시설의 확장과 주택의 건설로 농경지나 청정지역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화학비료 등의 사용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가 척박해짐은 물론 산업공해의 증가로 청정 농산물이나 각종 식물의 재배가 날로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함은 물론 오염물질이 식물 내에 축적되어 인간에게 공급되는 경우 상상하지 못한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일반 농가는 물론이고 특수작물을 재배하는 곳에서는 재배되는 식물이나 농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특수 시설을 구비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농작물과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고소득을 얻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반면에 경제적 이익창출은 크게 상승 되지못하는 문제점과, 재배되는 작물에 발생 되는 병충해와 환경의 적절한 제어 불능으로 작물의 성장이나 수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식물재배 방법, 특히 다양한 수경재배방법들이 개발되고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단으로 마련되고 승,하강구조로 구성된 재배수단에 의해 식물의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물의 관리 및 수확작업이 용이한 회전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확에 이르는 동안 외부의 유해 환경요인에 전혀 노출되지 않고 식물의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청정식물의 공급 및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회전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단은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하단은 상기 종동스프로킷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순환체인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순환체인에 양단이 결합되어 순환체인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장착되는 설치수단과; 상기 설치수단에 각각 양측면이 회전 가능하게 매달지도록 결합되는 재배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다단으로 마련되고 승,하강구조로 구성된 재배수단에 의해 식물의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물의 관리 및 수확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확에 이르는 동안 외부의 유해 환경요인에 전혀 노출되지 않고 식물의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청정식물의 공급 및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확대 부분사시도이며,
도 5는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확대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상자가 다단으로 마련되고, 이 재배상자가 승,하강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식물의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바닥에는 한쌍의 지지대(10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후술하는 재배장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아파트 베란다,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건물의 외벽 등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면 어디든지 설치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100) 사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동축(21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종동축(22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축(210)과 종동축(220)은 상기 지지대(100) 사이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21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동스프로킷(211)이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22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종동스프로킷(221)이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은 구동축(210) 및 종동축(220)의 양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축(210)과 종동축(22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에는 순환체인(300)이 연결되되, 상기 순환체인(300)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단은 상기 구동스프로킷(211)에 하단은 상기 종동스프로킷(221)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에 치합된 순환체인(300)은 상기 구동축(210)과 종동축(220)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100)의 상단 및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의 양측에는 원형의 지지턱(212,222)이 형성되어, 상기 순환체인(300)이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2)에 치합되어 회전될 때, 순환체인(300)의 양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축(210)과 종동축(220)의 회전에 의해,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순환체인(300)이 상기 원형의 지지턱(212,222)을 통해 양단이 지지되어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지대(10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210)의 일단에 결합되고, 구동축(210)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축(210)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축(21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은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3)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213a)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14)와, 상기 구동축(2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풀리(215)와, 상기 구동풀리(214)와 종동풀리(215)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21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모터(213)의 동력이 구동풀리(214), 벨트(216), 종동풀리(215), 구동축(210) 순으로 전달되어 구동축(210)이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풀리(214,215)는 스프라켓으로 벨트(216)는 체인으로 마련하여 구동모터(213)의 동력이 구동축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13)와 구동풀리(214) 사이에는 미도시된 감속기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한쌍의 순환체인(300)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설치수단(400)이 장착되고, 상기 설치수단(400)에 각각 양측면이 회전 가능하게 매달지도록 결합되는 재배상자(50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설치수단(400)은 상기 순환체인(300)에 재배상자(500)가 일정간격으로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하고, 순환체인(30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재배상자(5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면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수단(400)은, 양단이 상기 순환체인(300)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분에 관통공(411)이 형성된 고정판(410)과, 상기 고정판(410)의 양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단부에 결합공(421)이 형성되는 지지판(420)과, 상기 결합공(421)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재배상자(5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420) 상에서 재배상자(50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4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체인(30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상기 고정판(410)이 장착되는 장착구(310)가 설치된다. 또한, 재배상자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결합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판(4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11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더(110)는 상기 지지대(100) 측면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측판(111)과, 상기 측판(111)에서 상기 고정판(410)의 단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고정판(410)의 양단부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더판(1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더(110)에 고정판의 양단부가 수용 및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지지대(100)의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20) 사이의 상기 고정판(410)의 중앙부분에는 상단부에 결합공(441)이 형성되는 중앙지지판(4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 중앙지지판(440)과 지지판(420) 사이에 복수의 재배상자(500)가 결합핀(43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재배상자(500)의 좌우폭이 넓어지면 재배상자 내부의 흙의 중량에 의해 재배상자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중앙지지판(440)을 통해 재배상자의 좌우폭을 축소하여 고정판(410) 상에 복수개의 재배상자(500-1)가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폭이 짧은 복수개의 재배상자(500-1)에 적정량의 흙이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되어, 흙의 중량에 의해 재배상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축(220)의 상측에는 지지대(100)의 하단으로 이동되는 재배상자(5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6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수단(600)은 지지대(10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재배상자(500)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공급수단(600)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610)와, 상기 수조(6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관(620)과, 상기 급수관(620)의 단부에 결합되고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631)를 구비하여 플로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플로트밸브(630)와, 상기 수조의 저면에서 배출되어 재배상자(5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재배상자(500)로 수조(610)의 물이 공급되어 수조의 수위가 저하되면 이로 인해 플로트(631)가 하강하게 되고, 플로트밸브(630)가 개방되면서 급수관(620)으로부터 프로트밸브(63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에 의해 수조(610) 내의 수위가 상승되어 플로트(631)가 상승되면 플로트밸드(630)를 폐쇄시키므로 수조(610)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수단(600)은 재배상자(500)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만 작동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공급 작동을 수동 및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상자(500)의 하단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수단(520)이 마련된다. 즉, 상기 배수수단(520)은 지지대(10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재배상자(500)에서 자동으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수단(520)은 상기 재배상자(500)의 저면 양측에 배수관(521)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521)의 상측에 배수관(5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개폐밸브(522)가 마련되며, 상기 재배상자(500)의 하단 양측에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부로 이동될 때, 지지대(100)의 내측면에 눌림되어 개폐밸브(522)를 개방시키는 버튼부(523)가 마련된다. 즉, 재배상자(500)가 지지대(100)의 하단부를 이동될 때, 상기 재배상자(500)의 하단 양측에 마련된 버튼부(523)가 지지대(100)의 내측면에 눌림되어 개폐밸브(522)를 개방시키고, 이 개폐밸브(522)의 개방에 의해 배수관(521)을 통해 재배상자(500)의 내부의 물이 재배상자의 외부로 자동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100)의 외곽을 감싸도록 투명의 온실(70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실(700)은 유리판, 비닐하우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온실(700)은 재배상자에 심어진 식물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온도를 유지하고 수확에 이르는 동안 외부의 유해 환경요인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청정식물의 공급 및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재배상자(500)에 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면, 구동수단의 동력이 구동축이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축(210)의 회전에 의해 구동스프로킷(211), 종동스프로킷(221), 종동축(220)이 회전되면서, 구동스프로킷(211)과 종동스프로킷(221)에 치합된 순환체인(3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체인(300)에 설치수단(400)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재배상자(500)가 지지대(100)의 상단 및 하단으로 승,하강하면서 순환된다.
그리고, 재배상자(500)가 상기 종동축(220)의 상측에는 지지대(100)의 하단으로 이동되면, 물공급수단(600)에 의해 재배상자(500)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재배상자(500)의 하단 양측에 마련된 버튼부(523)가 지지대(100)의 내측면에 눌림되어 개폐밸브(522)를 개방시키고, 이 개폐밸브(522)의 개방에 의해 배수관(521)을 통해 재배상자(500)의 내부의 물이 재배상자의 외부로 자동 배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재배장치는 체인이 결합된 구동축 및 종동축에 회전가능토록 다단으로 재배상자가 설치되고, 순환체인의 회전을 통해 재배상자가 회전되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재배공간을 효율적인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재배공간이 평면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단으로 마련된 재배장치가 승,하강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물을 작업자가 재배상자의 전면에서 자신이 가장 작업하기 편한 자세로 앉거나 서서 매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관리 및 수확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씨앗의 파종에서부터 작물의 수확시까지 아파트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재배되는 식물이 각종 질병이나 해충으로부터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조건의 유지하면서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상 신선한 채소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지지대 210: 구동축
211: 구동스프로킷 220: 종동축
222: 종동스프로킷 300: 순환체인
400: 설치수단 410: 고정판
420: 지지판 430: 결합핀
500: 재배상자 600: 물공급수단
700: 온실

Claims (8)

  1.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단은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하단은 상기 종동스프로킷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순환체인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순환체인에 양단이 결합되어 순환체인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장착되는 설치수단과;
    상기 설치수단에 각각 양측면이 회전 가능하게 매달지도록 결합되는 재배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양단이 상기 순환체인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재배상자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상에서 재배상자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가 마련되되,
    상기 가이더는 상기 지지대 측면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에서 상기 고정판의 단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고정판의 양단부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더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사이의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분에는 상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중앙지지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 중앙지지판과 지지판사이에 복수의 재배상자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의 양측에는 원형의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순환체인이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에 치합되어 회전될 때, 순환체인의 양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의 상측에는 지지대의 하단으로 이동되는 재배상자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물공급수단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를 구비하여 플로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플로트밸브와, 상기 수조의 저면에서 배출되어 재배상자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상자의 하단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재배상자의 저면 양측에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의 상측에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재배상자의 하단 양측에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로 이동될 때, 지지대의 내측면에 눌림되어 개폐밸브를 개방시키는 버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곽을 감싸도록 투명의 온실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재배상자.
KR1020110028617A 2011-03-30 2011-03-30 회전 재배장치 KR10122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17A KR101229048B1 (ko) 2011-03-30 2011-03-30 회전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17A KR101229048B1 (ko) 2011-03-30 2011-03-30 회전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631A true KR20120110631A (ko) 2012-10-10
KR101229048B1 KR101229048B1 (ko) 2013-02-04

Family

ID=4728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617A KR101229048B1 (ko) 2011-03-30 2011-03-30 회전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04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7958A (zh) * 2013-09-25 2014-01-01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立体植物栽培自动浇水系统及利用该系统控制浇水的方法
KR101447331B1 (ko) * 2012-11-28 2014-10-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형 화분받침대
CN104757830A (zh) * 2015-04-24 2015-07-08 广西大学 A字型垂直种植架
WO2016068788A1 (en) * 2014-10-27 2016-05-06 Arianetech Pte Ltd Intelligently controlled indoor plantation system in the context of an led plant growth light
CN107836240A (zh) * 2017-10-30 2018-03-27 孔军旭 垂直绿化装置
CN108668877A (zh) * 2018-04-17 2018-10-19 刘波 种养设备
CN110122115A (zh) * 2019-06-26 2019-08-16 浙江大学城市学院 阳台用鱼菜共生系统
KR20200071230A (ko)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KR20200104029A (ko) * 2019-02-26 2020-09-03 기승철 버섯 생육장치
KR102214546B1 (ko) * 2019-08-01 2021-02-09 이제욱 육묘 재배장치
DE202021102469U1 (de) 2021-05-06 2021-06-23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KR20220008196A (ko) * 2020-07-13 2022-01-20 박길수 자가발전형 회전식 식물재배기
KR20220141154A (ko) 2021-04-12 2022-10-19 김재헌 수경식물 재배장치
DE102021111899A1 (de) 2021-05-06 2022-11-10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CN115413535A (zh) * 2022-09-20 2022-12-02 庆元县食用菌产业中心(庆元县食用菌科研中心) 一种用于香菇菌种的栽培装置及其栽培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561B1 (ko) 2021-11-04 2024-04-09 이규상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7052U (ko) 1979-10-11 1981-05-16
JPS61139167U (ko) * 1985-02-19 1986-08-28
KR19980037173A (ko) * 1996-11-18 1998-08-05 정관선 승하강구조의 다단식 동물사육을 겸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
JP5314399B2 (ja) * 2008-12-04 2013-10-16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多段式栽培システム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31B1 (ko) * 2012-11-28 2014-10-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형 화분받침대
CN103477958A (zh) * 2013-09-25 2014-01-01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立体植物栽培自动浇水系统及利用该系统控制浇水的方法
CN103477958B (zh) * 2013-09-25 2016-08-17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立体植物栽培自动浇水系统及利用该系统控制浇水的方法
WO2016068788A1 (en) * 2014-10-27 2016-05-06 Arianetech Pte Ltd Intelligently controlled indoor plantation system in the context of an led plant growth light
CN104757830A (zh) * 2015-04-24 2015-07-08 广西大学 A字型垂直种植架
CN107836240B (zh) * 2017-10-30 2019-11-19 永康市杰创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垂直绿化装置
CN107836240A (zh) * 2017-10-30 2018-03-27 孔军旭 垂直绿化装置
CN108668877A (zh) * 2018-04-17 2018-10-19 刘波 种养设备
KR20200071230A (ko)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KR20200104029A (ko) * 2019-02-26 2020-09-03 기승철 버섯 생육장치
CN110122115A (zh) * 2019-06-26 2019-08-16 浙江大学城市学院 阳台用鱼菜共生系统
KR102214546B1 (ko) * 2019-08-01 2021-02-09 이제욱 육묘 재배장치
KR20220008196A (ko) * 2020-07-13 2022-01-20 박길수 자가발전형 회전식 식물재배기
KR20220141154A (ko) 2021-04-12 2022-10-19 김재헌 수경식물 재배장치
DE202021102469U1 (de) 2021-05-06 2021-06-23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DE102021111899A1 (de) 2021-05-06 2022-11-10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CN115413535A (zh) * 2022-09-20 2022-12-02 庆元县食用菌产业中心(庆元县食用菌科研中心) 一种用于香菇菌种的栽培装置及其栽培方法
CN115413535B (zh) * 2022-09-20 2024-04-30 庆元县食用菌产业中心(庆元县食用菌科研中心) 一种用于香菇菌种的栽培装置及其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048B1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0631A (ko) 회전 재배장치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US62338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aquatic greening in a space of a structure
US8151518B2 (en) Vertically integrated greenhouse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CN104855262A (zh) 有机铁皮石斛的培育种植方法
KR20140117093A (ko) 식물 수경재배장치
KR20130136226A (ko) 농작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JP2000069858A (ja) 植物の温室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52229A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20110128490A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317974B1 (ko) 식물 재배장치
KR101633424B1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JP2010154822A (ja) 水気耕栽培装置
KR20140064011A (ko) 수경재배 장치
JP2928758B2 (ja) 植物栽培装置
AU2009200747A1 (en) Hydroponic green feed production
CN210157803U (zh) 一种垂直水耕栽培设备
JP2012095633A (ja) 多目的型植物栽培装置
KR100226152B1 (ko)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CN1171190A (zh) 生态温室
JP3246585U (ja) 立体型植物循環水耕栽培コンテナハウス
CN205454554U (zh) 一种用于自动化大棚蔬菜种植生产线的自动移栽机
KR20200022081A (ko) 자동화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