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210A -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210A
KR20120110210A KR1020110027921A KR20110027921A KR20120110210A KR 20120110210 A KR20120110210 A KR 20120110210A KR 1020110027921 A KR1020110027921 A KR 1020110027921A KR 20110027921 A KR20110027921 A KR 20110027921A KR 20120110210 A KR20120110210 A KR 2012011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ynthetic resin
fusion
compressed air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102011002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210A/ko
Publication of KR2012011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도 1a는 종래 원통형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반원통형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도시된 측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a, 100b :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110a, 110b : 본체 112a, 112b : 전열선
120a, 120b : 중공부 130a, 130b : 안내돌기
132a, 132b : 안내부

Description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FUSION BONDED-TYPE CONNECTOR IMPROVING FUSIONBONDED EFFICIENCY}
본 발명은 융착식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주면에 전열선이 배치된 본체의 내부에 전열
선을 따라 형성되고,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융착 작업 시 중공부에 압축에어가 유입되
게 하여 용융된 수지를 합성수지관의 외경 측으로 거동(擧動)되게 하여 외경의 공차가 큰 합성수지관의 연결,
또는 외경 표면이 불규칙한 합성수지관에 연결부재가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게 하는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
식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관 자체에서 용출되는 물질이 거의 없고, 부식될 염려가 없으며, 인위적인 손상을
가하지 않는 한 수명이 반영구적일 뿐만 아니라, 자재비 및 시공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가스관, 수도
관, 하수관, 배수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가스관과 수도관은 가스(gas)가 가지는 특성상 관의 두
께와 내경 및 외경이 일정하게 제작되지만, 하수관 및 배수관은 제작환경에 따라서 두께, 내경 및 외경 등에
허용 공차자체가 크게 제작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원하는 길이를 얻기 위해서 서로 연결하여
사용되고, 또한 주 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각각의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가지관을 연결하여 사용되는데, 그
연결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나 열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대부분 전기융착(Electro-Fusion;
EF)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a는 종래 원통형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b는 종래 반원통형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
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0a, 10b)는 원통형 본체(12a) 또는 반원통형 본체(12b)를 구비한다.
원통형 본체(12a) 또는 반원통형 본체(12b)의 내주면 상에는 내주면을 따라 전열선(14a, 14b)이 배치되고,
전열선(14a, 14b)의 각각의 단부는 본체(12a, 12b)의 외주면 상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전열선(14a, 14b)의
각각의 단부는 원통형 본체(12a) 또는 반원통형 본체(12b)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접지단자(16a, 16b)와 연
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원통형 연결부재(10a)는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P1)과 또 다른 합성수지관(P2)을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반원통형 연결부재(10b)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주 배관(P3)에서 가지관(P4)을 연결하
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 원통형 연결부재(10a)는 외경이 일정한 가스관과 수도관에서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외
경이 일정하지 못한 하수관 및 배수관과 같은 합성수지관에서는 원통형 연결부재(10a)와 합성수지관(P1,
P2)들의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원통형 연결부재(10a)와 합성수지관(P1, P2)의 융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반원통형 연결부재(10b) 역시 주 배관(P3)의 외경이 불규칙한 경우 반원통형 연결부재(10b)와 주
배관(P3)의 융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주면에 전열선이
배치된 본체의 내부에 전열선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융착 작
업 시 중공부에 압축에어가 유입되게 하여 용융된 수지를 합성수지관의 외경 측으로 거동(擧動)되게 하여 외
경의 공차가 큰 합성수지관의 연결, 또는 외경 표면이 불규칙한 합성수지관에 연결부재가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게 하는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주면을 따라 전열선이 배치된 원통 형상, 또는 반 원통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합성수지관
에 융착되는 본체를 가지는 융착식 연결부재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는 전열선을 따라 형성되고 압축에어가 안내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융착 시 전열선에 의해 용
융된 수지를 합성수지관 측으로 거동되게 하는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공부는 전열선 및 본체의 외주면 상에 간섭되지 않게 본체 내부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외주면 상에는 압축에어가 주입되는 주입호스와 연결되는 안내돌기가 일체로 형
성되고, 안내돌기에는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안내부가 중공부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전열선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압축에어가 유
입되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융착 작업 시 전열선에 의해 용융된 수지를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
경 측으로 거동되게 할 수 있어 외경의 차이가 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 및 표면이 불규칙한 합성수지관에 연
결부재를 용이하게 융착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도시된 측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
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100a, 100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원통 형상으로 제조된다. 도
2a에 도시된 원통 형상의 연결부재(100a)는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P1)과, 또 다른 합성수지관(P2)을 연결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반 원통 형상의 연결부재(100b)는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P3; 주 배
관)에서 가지관(P4)을 분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0a, 100b)는 원통 형상의 본체(110a), 또는 반 원통 형상의 본체(110b)를 구
비한다. 전술한 본체(110a, 110b)의 내주면 상에는 본체(110a, 110b)의 내주면을 따라 전열선(112a, 112b)
이 배치된다. 이러한 전열선(112a, 112b)의 각각의 단부는 본체(110a, 110b)의 외주면 상으로 배치되는 접
지단자(114a, 114b)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열선(114a, 114b)의 방사상 일측은 본체(110a, 110b)의 내주면 상에 매몰되고, 전열선
(114a, 114b)의 방사상 타측은 본체(110a, 110b)의 내주면 상으로 노출된다.
한편, 본체(110a, 110b)의 내부에는 전열선(114a, 114b)을 따라 압축에어가 안내되는 중공부(120a, 120b)
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부(120a, 120b)는 전열선(112a, 112b) 및 본체(110a, 110b)의 외주면 상에 간섭되
지 않게 본체(110a, 110b)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a, 110b)의 외주면 상에는 안내돌기(130a, 130b)가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돌기(130a, 130b)에
는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안내부(132a, 132b)가 중공부(120a, 120b)와 연결되게 형성되는데, 안내돌기
(130a, 130b)에는 압축에어가 주입되는 주입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다.
즉, 안내부(132a, 132b)를 통해 유입된 압축에어는 중공부(120a, 120b) 측으로 안내되고, 중공부(120a,
120b) 측으로 안내된 압축에어는 고주파전류가 인가된 전열선(112a, 112b)에 의해서 용융된 용융수지를 연
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P1, P2, P3) 측으로 거동되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
다.
먼저,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P1)과 또 다른 합성수지관(P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원통 형상의 본체(110a)
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합성수지관(P1, P2)을 삽입시킨다. 이렇게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P1, P2)이 원
통 형상의 본체(100a)에 삽입되면 융착기계(도시되지 않음)의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접지단자(114a)에
연결시킨 상태 하에서 융착기계를 작동시키면 케이블 및 접지단자(114a)를 통해 전열선(112a)에 고주파 전
류를 인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선(112a)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본체(110a)의 내주면 상으로 매몰된 전열선
(112a)은 본체(110a)의 내주면 표면을 용융시키고, 본체(110a)의 내주면 외부로 노출된 전열선(112a)은 본
체(110a)에 삽입된 합성수지관(P1, P2)의 외주면을 용융시킨다. 이때, 전열선(112a)으로 인가되는 고주파 전
류를 차단하고, 안내돌기(130a)를 통해 압축에어를 공급하면, 압축에어는 안내부(132a)를 통해 중공부
(120a)로 유입되고, 중공부(120a)로 유입된 압축에어는 본체(110a) 내주면에 용융된 수지를 합성수지관(P1,
P2) 측으로 거동시켜 합성수지관(P1, P2)의 외주면 상에 용융된 수지와 융착되게 한다. 즉, 압축에어는 중공
부(120a)를 부풀려 본체(110a) 내주면에 용융된 수지를 합성수지관(P1, P2) 측으로 거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압축에어에 의해서 부풀려지는 중공부(120a)는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P1, P2)의 외경의 오차로 인해
본체(110a)의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아도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다.
한편, 반 원통 형상의 본체(100b) 역시 합성수지관(P3)에 밀착시킨 상태 하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융착 연결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불규칙한 합성수지관(P3) 표면에도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
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
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내주면을 따라 전열선이 배치된 원통 형상, 또는 반 원통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합성수지관
    에 융착되는 본체를 가지는 융착식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전열선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압축에어가 안내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융착 시
    상기 전열선에 의해 용융된 수지를 상기 합성수지관 측으로 거동되게 하는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
    재.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전열선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 상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압축에어가 주입되는 주입호스와 연결되는 안내돌기가 일
    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에는 상기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안내부가 상기 중공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1020110027921A 2011-03-29 2011-03-29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120110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21A KR20120110210A (ko) 2011-03-29 2011-03-29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21A KR20120110210A (ko) 2011-03-29 2011-03-29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10A true KR20120110210A (ko) 2012-10-10

Family

ID=4728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921A KR20120110210A (ko) 2011-03-29 2011-03-29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2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2649C1 (ru) Электрофузионная муфта
RU2002100708A (ru) Армированная электросварочная муфта дл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US11441716B2 (en) Resin pipe joint, piping, and piping production method
CN208535417U (zh) 一种防脱落克拉管
EP3225896B1 (en) Electroweldable saddle-type fitting and relative welding method
CN101223022B (zh) 电焊套筒组件和利用电焊套筒组件来产生管道连接的方法
KR20120110676A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110049351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100008359A (ko) 이중벽관을 이용한 융착식 연결부재
KR20140005001U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20120110210A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103026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015786B1 (ko) 융착식 연결부재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JPH10220676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100546443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100550826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200387864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140039115A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JP2002257284A (ja) 電気融着継手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20200049077A (ko) 파이프의 전기융착이음관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