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206A -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 Google Patents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206A
KR20120110206A KR1020110027916A KR20110027916A KR20120110206A KR 20120110206 A KR20120110206 A KR 20120110206A KR 1020110027916 A KR1020110027916 A KR 1020110027916A KR 20110027916 A KR20110027916 A KR 20110027916A KR 20120110206 A KR20120110206 A KR 20120110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crank shaft
lip
oil se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국
장지덕
강재욱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206A/ko
Publication of KR2012011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1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 Y10S277/945Containing fluorine
    • Y10S277/946PT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 씰은,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에 삽입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크랭크 하우징 내의 오일이 상기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 메인 립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립은 상기 크랭크 축과 접하는 축 씰링부를 가지고, 상기 축 씰링부의 상기 크랭크 축과 접하는 상면에는 자기 윤활성을 가진 내열성 불소 시트가 접합되며,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 상면에는 헬릭스(helix)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LOW FRICTION OIL SEAL FOR CRANK SHAF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서 바퀴로 전달하는 차량 크랭크에 있어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 축은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장치이다. 크랭크 축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크랭크 축을 감싸는 크랭크 하우징에는 오일이 일부 채워진다. 또한, 크랭크 하우징으로부터 오일이 누설되지 않도록,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에는 오일씰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오일씰은 지지 프레임, 메인 립, 더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프레임은 오일씰을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에 삽입된다.
메인 립(main lip)은 크랭크 하우징 내의 오일이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다.
더스트 립(dust lip)은 크랭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메인 립과 크랭크 축 사이로 대기에 포함된 더스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다.
오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 립은 크랭크 축과, 예를 들어 0.5mm/side 의 간섭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스프링 하중이 메인 립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크랭크 축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크랭크축과 메인 립 사이에 마찰 저항이 커지게 된다.
상기 마찰 저항이 커지게 되면, 오일씰의 마모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찰 저항이 커지면, 크랭크 축이 회전하는데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되어서, 차량 연비가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랭크 축과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은,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에 삽입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크랭크 하우징 내의 오일이 상기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 메인 립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립은 상기 크랭크 축과 접하는 축 씰링부를 가지고, 상기 축 씰링부의 상기 크랭크 축과 접하는 상면에는 자기 윤활성을 가진 내열성 불소 시트가 접합되며,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 상면에는 헬릭스(helix)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불소 시트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TFE)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시트의 높이는 0.1mm 내지 0.5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릭스의 높이는 0.03mm 내지 0.07mm일 수 있다.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는 상기 메인 씰과 동시 가류 점착하여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립 외측에는, 상기 크랭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 립과 크랭크 축 사이로 대기에 포함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 더스트 립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립은 상기 더스트 립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 축 방향으로 점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 립부와, 상기 내측 립부와 접하면서 점점 상기 크랭크 축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 립부와, 상기 외측 립부와 상기 더스트 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립부가 상기 축 씰링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립 표면에 자기 윤활성 불소 시트가 점착됨으로써, 마찰 저항을 낮춘다. 또한, 헬릭스(helix)가 상기 자기 윤활성 불소 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펌핑 능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오일씰의 마모가 적게 되어서 수명이 연장되고, 차량의 연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크랭크 축용 오일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랭크 축용 오일씰이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축 씰링부 및 내열성 불소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내열성 불소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100)은 지지 프레임(110)과, 씰링 본체(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랭크 축용 오일씰(100)은 중공의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중공에 크랭크 축(20)이 삽입되어서 통과된다
지지 프레임(110)은 오일 씰의 기본 프레임으로서 씰링 본체(21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크랭크 하우징(10)과 크랭크 축(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지지부(111)와, 절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크랭크 하우징(10)과 크랭크 축(20) 사이에 끼움 결합시 크랭크 하우징(10)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부(111)는 크랭크 하우징(10)에 지지되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크랭크 하우징(10)의 내벽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113)는 지지부로부터 크랭크 축(2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절곡부는 오일씰 전체가 크랭크 하우징(10)과 크랭크 축(20)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일씰의 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지지부의 외측을 향한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110)은 씰링 본체(210)를 지지하는 효과를 높이는 한편, 크랭크 하우징(1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강성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 본체(210)는 크랭크 하우징(10) 내의 오일이 상기 크랭크 하우징(10)과 크랭크 축(20)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씰링 본체(210)은 메인 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립(120)은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축(20)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 축(20)의 둘레를 따라 립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 립(120)은 크랭크 하우징(10)과 크랭크 축(20) 사이의 씰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출 부위가 크랭크 축(20)과의 간섭에 의해 탄성 변형될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립(120)은 탄성 부재(150)에 의해 크랭크 축(20)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씰링 본체(210)는 더스트 립(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립(130)은 대기에 포함된 먼지가 외부로부터 메인 립(120)과 크랭크 축(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크랭크 축(20)이 메인 립(120)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에 의해 메인 립(120)이 마모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더스트 립(130)은 메인 립(120)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더스트 립(130)은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 크랭크 축(20)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더스트 립(130)은 크랭크 축(20)의 둘레를 따라 립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더스트 립(130)은 메인 립(120)과 크랭크 축(20) 사이로 외측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출 부위가 크랭크 축(20)과의 간섭에 의해 탄성 변형될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스트 립(130)은 상기 크랭크 축(20)과 0.2㎜ 내지 0.6㎜ 정도의 간섭량으로 간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씰링 본체(110)는 외곽 씰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씰링부(14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 외곽을 감싸면서, 상기 크랭크 하우징(1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크랭크 하우징과의 사이로 오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100)은 탄성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메인 립(120)을 상기 크랭크 축(20)으로 가압시킨다. 이를 위하여 탄성 부재(150)가, 메인 립(120)을 크랭크 축(20)으로 밀착시키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인장시 수축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탄성 부재(150)는 메인 립(120)을 크랭크 축(20)으로 고르게 가압할 수 있도록, 메인 립(12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립(120)은 축 씰링부(22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축 씰링부(220)는 크랭크 축과 간섭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탄성을 가지며 상기 크랭크 축(20)과 접하게 된다. 상기 축 씰링부(220)의 상기 크랭크 축(20)과 접하는 상면에는 자기 윤활성을 가진 내열성 불소 시트(160)가 적층 결합된다.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가 자기 윤활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크랭크 축(20)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마찰 저항이 낮아지면, 오일 씰의 마모가 적게 되어서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는데, 오일 씰의 축 씰링부는 하나의 저항으로 작용하는데, 그 저항력이 약해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연비가 향상된다.
차량의 엔진 온도는 110℃까지 올라가므로, 상기 크랭크 축에 접하는 불소 시트는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불소 시트는 15만km 이상의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불소 시트는 낮은 마찰 저항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불소 시트(160)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TF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TFE 수지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내구성,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는 상기 축 씰링부(220)와 동시 가류 점착하여 성형될 수 있다. 가류 점착하는 하나의 예를 들면, 불소 시트 표면에 화학적 에칭을 통하여 표면을 활성화 시키고, 이러한 불소 시트를 씰링부의 고무와 동시에 가류함으로서 점착시킨다.
가류 점착에 의해서, 축 씰링부 표면과 내열성 불소 시트가 일체화되어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크랭크 축과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는 0.1mm 내지 0.5mm 의 두께(t)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께(t)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가류 점착시에 상기 불소 시트가 고무에 묻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불소 시트가 0.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력이 작아져서, 크랭크 축과의 씰링력이 약해진다.
이 경우,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립(220)의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가 형성되는 상면에는,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6)에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126)의 높이는 상기 불소 시트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0.1mm 내지 0.5m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상기 오일씰이 크랭크 축과 적절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160)의 상면, 즉 크랭크 축과 접하는 면에는 헬릭스(helix)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헬릭스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크랭크 축 내부로 펌핑되어 유입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오일이 크랭크 축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다시 크랭크 축 내부로 가이드 시킨다. 이에 따라서 오일씰의 펌핑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오일 씰의 씰링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헬릭스(165)는 크랭크 축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크랭크 축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우수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헬릭스의 높이(h)는 0.03mm 내지 0.07mm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높이가 0.03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헬릭스와 크랭크축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서 크랭크 축이 회전하지 않거나 저속 회전시 누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상기 높이가 0.07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펌핑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헬릭스 간의 피치(λ)는 0.5mm 내지 1mm이고, 헬릭스의 각도는 120o,헥릭스 선 각도는 20o정도로 할 수 있다.
즉, 내열성 불소 시트는 크랭크 축과의 마찰 저항을 낮춤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킨다. 또한, 상기 마찰 저항이 낮아짐에 따라서 오일씰의 마모가 작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오일 씰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오일 씰의 마찰 저항이 낮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펌핑 기능을, 헬릭스를 통하여 향상시킴으로써 씰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헬릭스는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 상면에 먼저 형성시킨 뒤에, 상기 헬릭스가 형성된 내열성 불소 시트를 오일 씰 고무와 가류 점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립(120)은 상기 더스트 립 방향으로, 내측 립부(121)와, 외측 립부(124)와, 연결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립부(121)는 상기 크랭크 축 방향으로 점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외측 립부(124)는 상기 내측 립부(121)와 접하면서 점점 상기 크랭크 축(20)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 립부(124)와 내측 립부(121)의 접선이 크랭크 축과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면이고, 상기 내측 립부(121)이 상기 크랭크 축과 간섭되도록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립부(124)가 축 씰링부(220)가 된다.
상기 오일 씰에 상기 크랭크 축(20)이 삽입되면, 외측 립부(124)가 상기 크랭크 축(20)에 접하게 된다. 연결부(127)는 상기 외측 립부(124)와 상기 더스트 립(130) 사이를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크랭크 축용 오일 씰 110: 지지 프레임
120: 메인 립 121: 내측 립부
124: 외측 립부 127: 연결부
130: 더스트 립 150: 탄성 부재
160: 내열성 불소 시트 165: 헬릭스
210: 씰링 본체 220: 축 씰링부

Claims (6)

  1.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에 삽입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크랭크 하우징 내의 오일이 상기 크랭크 하우징과 크랭크 축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 메인 립;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립은 상기 크랭크 축과 접하는 축 씰링부를 가지고, 상기 축 씰링부의 상기 크랭크 축과 접하는 상면에는 자기 윤활성을 가진 내열성 불소 시트가 접합되며,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 상면에는 헬릭스(helix)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시트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TFE)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시트의 높이는 0.1mm 내지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릭스의 높이는 0.03mm 내지 0.0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불소 시트는 상기 메인 씰과 동시 가류 점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립 외측에는, 상기 크랭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 립과 크랭크 축 사이로 대기에 포함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축으로 돌출 형성된 더스트 립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립은 상기 더스트 립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 축 방향으로 점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 립부와, 상기 내측 립부와 접하면서 점점 상기 크랭크 축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 립부와, 상기 외측 립부와 상기 더스트 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립부가 상기 축 씰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KR1020110027916A 2011-03-29 2011-03-29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KR20120110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16A KR20120110206A (ko) 2011-03-29 2011-03-29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16A KR20120110206A (ko) 2011-03-29 2011-03-29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06A true KR20120110206A (ko) 2012-10-10

Family

ID=4728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916A KR20120110206A (ko) 2011-03-29 2011-03-29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2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9746A (zh) * 2018-08-17 2018-11-23 苏州欧拉透平机械有限公司 旋转设备用油封结构
KR20190044890A (ko) 2017-10-23 2019-05-02 현대위아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구조를 갖는 동력전달장치
KR20190076584A (ko) * 2017-12-22 2019-07-02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오일 씰
CN110529599A (zh) * 2019-08-16 2019-12-03 广东亿达汽车密封件股份有限公司 用于旋转轴的唇型密封件
KR20200081635A (ko) * 2018-12-27 2020-07-08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오일 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890A (ko) 2017-10-23 2019-05-02 현대위아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구조를 갖는 동력전달장치
KR20190076584A (ko) * 2017-12-22 2019-07-02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오일 씰
CN108869746A (zh) * 2018-08-17 2018-11-23 苏州欧拉透平机械有限公司 旋转设备用油封结构
KR20200081635A (ko) * 2018-12-27 2020-07-08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오일 씰
CN110529599A (zh) * 2019-08-16 2019-12-03 广东亿达汽车密封件股份有限公司 用于旋转轴的唇型密封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869B1 (en) Sealing device
US6945537B2 (en) Sealing ring
JP4158042B2 (ja) 高圧ポンプシール
JP4966072B2 (ja) ラジアルシャフトシール
JP4665046B1 (ja) 密封装置
US20100237567A1 (en) Sealing element
KR20120110206A (ko) 차량 크랭크축용 저마찰 오일씰
JP2004316681A (ja) オイルシール
KR20110109281A (ko)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씰
JP2012092976A (ja) 回転軸シール
JP2010190300A (ja) 回転軸シール
US9759330B2 (en) Energy saving seal with rocking dust lip
JP2000074223A (ja) オイルシ―ル
JP5520556B2 (ja) 密封装置
US9695937B2 (en) Energy saving seal with vacuum induced counter-balance and rocking feature
JP2015045357A (ja) 密封装置
KR20110109282A (ko) 극세 요철면을 갖는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씰
WO2020080408A1 (ja) 密封装置
JPWO2020090180A1 (ja) 密封装置
JP2010138986A (ja) 軸封装置
KR101269622B1 (ko) 벨로우즈 형상을 가진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씰
JP7489816B2 (ja) 密封装置および密封構造
JP3902084B2 (ja) バルブステムシール
JP2018168896A (ja) 密封装置
JP2002372155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