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154A -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154A
KR20120109154A KR1020110027402A KR20110027402A KR20120109154A KR 20120109154 A KR20120109154 A KR 20120109154A KR 1020110027402 A KR1020110027402 A KR 1020110027402A KR 20110027402 A KR20110027402 A KR 20110027402A KR 20120109154 A KR20120109154 A KR 2012010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signal
right eye
lef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939B1 (ko
Inventor
여장현
박재완
김경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939B1/ko
Priority to US13/241,408 priority patent/US9374575B2/en
Priority to EP11191636A priority patent/EP2506583A1/en
Priority to JP2011264608A priority patent/JP6105200B2/ja
Priority to CN201210085261.9A priority patent/CN102710948B/zh
Publication of KR2012010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제1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제2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수신된 프레임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좌안용 인지 우안용 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핀(pin)이 불필요하므로 회로 구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METHOD OF PROCESSING THREE-DIMENSION IMAGE DATA AND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한다. 최근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입체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의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두 눈은 일정 정도 떨어져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눈으로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영상은 뇌에 입력된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사람의 상기 양안시차를 이용한다.
상기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안경 방식과 비안경 방식(autostereoscopic)이 있다. 상기 안경 방식은 양안에 각기 다른 편광축을 갖는 편광 필터에 의한 수동적(passive)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방식과, 시간 분할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주기적으로 표시하고, 이 주기에 동기된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개폐하는 안경을 쓰는 능동적(active) 셔터 안경(Shutter Glasses) 방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서, 또한, 표시되는 영상을 정확히 시인하기 위해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는 신호가 필요하다.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는 신호가 없으면, 영상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 간에 동기가 맞지 않으므로 원치 않는 영상을 표시하여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를 간단하게 전송하기 위한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제1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제2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1 차등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등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2 차등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등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블랭킹 구간 중 선택 구간 동안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구간 동안 검출된 상기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는 반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반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대비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의 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신호 수신부, 타이밍 제어부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는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제1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제2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채널과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채널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제공하고, 상기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제공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블랭킹 구간 중 선택 구간에 검출된 상기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는 반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반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대비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의 전압으로 조절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수신된 프레임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좌안용 인지 우안용 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핀(pin)이 불필요하므로 회로 구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신호 송신부의 입력 핀(pin) 및 신호 수신부의 출력 핀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데이터 차등 신호 및 클럭 차등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부의 입력 신호들에 대한 파형도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스케일러(100), 인터페이스부(200), 타이밍 제어부(300), 패널 구동부(400) 및 표시 패널(500)을 포함한다.
상기 스케일러(100)는 영상 데이터(DATA) 및 제어 신호(CONTR)를 수신한다.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500)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 스케일링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 신호(CONTR)는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도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프레임 구간 중 제1 구간(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구간 중 제2 구간(블랭킹 구간)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인지 또는 3차원 영상인지에 대한 영상 모드 신호(MODE_S)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500)의 해상도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스케일링하고, 프레임의 상기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가 3차원 모드이면,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좌안용 영상 데이터와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를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으로 스케일링하고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으로 스케링한다. 상기 스케일러(100)는 제1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하고, 제2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제1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다음 프레임에 전송되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한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스케일러(100)는 상기 제2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다음 프레임에 전송되는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안용 식별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0)는 신호 송신부(210) 및 신호 수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상기 스케일러(1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식별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식별 데이터 및 제어 신호로 복원한다.
예를 들면, 2차원 모드인 경우,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상기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3차원 모드인 경우, 상기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제1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제2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제1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다음 프레임의 정보인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다음 프레임의 정보인,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를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수신된 상기 제1 전송 신호를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수신된 제2 전송 신호를 상기 우안용 식별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수신된 상기 제1 전송 신호를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수신된 제2 전송 신호를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식별부(310) 및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패널 구동부(400)를 구동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패널 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신호 및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3차원 모드의 경우, 상기 블랭킹 구간에 수신된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여 다음 프레임이 좌안용인지 또는 우안용인지를 식별한다. 즉,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다음 프레임을 좌안용으로 결정하고, 상기 우안용 식별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다음 프레임을 우안용으로 결정한다. 상기 메모리(320)는 기준값을 저장하고,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블랭킹 구간 중 상기 기준값에 의해 선택된 구간 동안 수신된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식별부(310)에서 결정된 영상 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모드에서, 한 화면 영상은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좌안용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안용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용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각각 처리한다. 즉,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다음 프레임의 종류에 기초하여, 한 화면 영상에 대응하는 좌안용 영상 데이터와 우안용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전압들이 기준 전압 대비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반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는 상기 반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전압 대비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을 갖는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3차원 모드에 사용된 안경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경부는 좌안용 액정 셔터와 우안용 액정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다음 프레임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부에 상기 좌안용 액정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액정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경부는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동기되어 상기 좌안용 액정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액정 셔터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경부는 인에이블 구간에 좌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500)에 출력하는 제1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상기 좌안용 액정 셔터를 열고 반대로 상기 우안용 액정 셔터를 닫는다. 또한, 상기 안경부는 인에이블 구간에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500)에 출력하는 제2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상기 우안용 액정 셔터를 열고 반대로 상기 좌안용 액정 셔터를 닫는다. 따라서 상기 표시 패널(5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되어 상기 안경부의 액정 셔터를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400)는 데이터 구동부(410) 및 게이트 구동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준 전압 대비 제1 극성 및 제2 극성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500)에 제공한다. 상기 게이밍 구동부(420)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이 상기 표시 패널(500)에 출력되는 타이밍에 동기되어 게이트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500)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 패널(500)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각 화소(P)는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TR)와, 상기 스위칭 소자(TR)와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소(P)는 상기 스위칭 소자(TR)가 상기 게이트 배선(GL)에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면 상기 데이터 배선(DL)에 전달된 데이터 전압을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에 충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영상을 표시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신호 송신부의 입력 핀(pin) 및 신호 수신부의 출력 핀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200)는 신호 송신기(210)와 신호 수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0)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8비트의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제1 신호 변환부(211), 제1 위상동기부(Phase-Locked Loop : PLL)(212) 및 제1 신호 생성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 채널들(TxIN0 ~ TxIN27)과 클럭 입력 채널(TxCLK_IN)을 포함하고, 4 개의 데이터 출력 채널들(TxOUT0 ~ TxOUT3)과 클럭 출력 채널(TxCLK_OU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변환부(211)는 상기 데이터 입력 채널들(TxIN0 ~ TxIN27)로부터 수신된 8비트의 레드 데이터(R[0] ~ R[7]), 그린 데이터(G[0] ~ G[7]), 블루 데이터(B[0] ~ B[7]),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리셋 신호(RS)를 4 개의 데이터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 PLL(212)은 상기 클럭 입력 채널(TxCLK_IN)로부터 수신된 도트 클럭 신호(Dot_Clk)를 이용하여 클럭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 신호 생성부(213)는 상기 4 개의 데이터 펄스 신호들을 이용하여 위상이 서로 반전된 4 쌍의 데이터 차등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클럭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이 서로 반전된 1 쌍의 클럭 차등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데이터 차등 신호들 및 상기 클러 차등 신호는 상기 신호 송신부(210)에서 생성된 전송 신호들이다.
상기 신호 송신부(210)는 상기 4 쌍의 데이터 차등 신호들을 4 개의 출력 채널들(TxOUT0 ~ TxOUT3)을 통해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하고, 1 쌍의 클럭 차등 신호를 1 개의 클럭 출력 채널(TxCLK_OUT)을 통해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제2 신호 생성부(221), 제2 신호 변환부(222) 및 제2 PLL(223)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4 개의 데이터 입력 채널들(RxIN0 ~ RxIN3)과 클럭 출력 채널(RxCLK_IN)과, 복수의 데이터 출력 채널들(RxOUT0 ~ RxOUT27)과 클럭 출력 채널(RxCLK_OU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 생성부(221)는 상기 데이터 입력 채널들(RxIN0 ~ RxIN3)로부터 수신된 4 쌍의 데이터 차등 신호들을 4 개의 데이터 펄스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클럭 입력 채널(RxCLK_IN)로부터 수신된 한 쌍의 클럭 차등 신호를 1 개의 클럭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2 신호 변환부(222)는 상기 4 개의 데이터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 데이터인, 8비트의 레드 데이터(R[0] ~ R[7]), 그린 데이터(G[0] ~ G[7]), 블루 데이터(B[0] ~ B[7]),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리셋 신호(RS)로 변환한다.
상기 제2 PLL(223)은 상기 클럭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 신호인, 도트 클럭 신호(Dot_Clk)를 생성한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데이터 차등 신호 및 클럭 차등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들이다.
도 1, 도 2a, 도 2b,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럭 차등 신호(DS_Clk)의 1 주기에 동기되어 4 쌍의 데이터 차등 신호들(DS_Data0, DS_Data1, DS_Data2, DS_Data3)이 전송 및 수신된다.
제1 데이터 차등 신호(DS_Data0)는 데이터 입력 채널들(TxIN23, TxIN17, TxIN16, TxIN11, TxIN10, TxIN5, TxIN27)로부터 수신된 리셋 신호(RS), 최상위 비트의 블루 데이터(B[7]), 차상위 비트의 블루 데이터(B[6]), 최상위 비트의 그린 데이터(G[7]), 차상위 비트의 그린 데이터(G[6]), 최상위 비트의 레드 데이터(R[7]), 차상위 비트의 레드 데이터(R[6])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차등 신호(DS_Data1)는 데이터 입력 채널들(TxIN26, TxIN25, TxIN24, TxIN22, TxIN21, TxIN20, TxIN1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제5 비트의 블루 데이터(B[5]), 제4 비트의 블루 데이터(B[4]), 제3 비트의 블루 데이터(B[3]), 및 제2 비트의 블루 데이터(B[2])를 포함한다.
제3 데이터 차등 신호(DS_Data2)는 데이터 입력 채널들(TxIN18, TxIN15, TxIN14, TxIN13, TxIN21, TxIN20, TxIN19)로부터 수신된 차하위 비트의 블루 데이터(B[1]), 최하위 비트의 블루 데이터(B[0]), 제5 비트의 그린 데이터(G[5]), 제4 비트의 그린 데이터(G[4]), 제3 비트의 그린 데이터(G[3]), 제2 비트의 그린 데이터(G[2]) 및 차하위 비트의 그린 데이터(G[1])를 포함한다.
제4 데이터 차등 신호(DS_Data3)는 데이터 입력 채널들(TxIN7, TxIN6, TxIN4, TxIN3, TxIN2, TxIN1, TxIN0)로부터 수신된 최하위 비트의 그린 데이터(B[0]), 제5 비트의 레드 데이터(R[5]), 제4 비트의 레드 데이터(R[4]), 제3 비트의 레드 데이터(R[3]), 제2 비트의 레드 데이터(R[2]), 차하위 비트의 레드 데이터(R[1]) 및 최하위 비트의 레드 데이터(R[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스케일러(100)는 인에이블 구간에,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 및 상기 제어 신호들을 상기 신호 송신부(210)에 제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케일러(100)는 3차원 모드에서,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신호 송신부(210)의 입력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다음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좌안용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케일러(100)는 제5 비트의 레드 데이터(R[5])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채널(TxIN22)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제공하면, 상기 블랭킹 구간에 상기 제2 데이터 차등 신호(DS_Data1)에 상기 식별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제2 데이터 차등 신호(DS_Data1)를 상기 좌안용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로 복원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3차원 모드에서 상기 신호 송신부(210) 및 상기 신호 수신부(22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인에이블 구간에서, 상기 제1 신호 변환부(211)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신호 생성부(213)는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1 차등 신호들(DS_DATA0, DS_DATA1, DS_DATA2, DS_DATA3)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신호 생성부(221)는 상기 제1 차등 신호들(DS_DATA0, DS_DATA1, DS_DATA2, DS_DATA3)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신호 변환부(222)는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다음, 상기 블랭킹 구간에서, 상기 제1 신호 변환부(211)는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신호 생성부(213)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2 차등 신호들(DS_DATA0, DS_DATA1, DS_DATA2, DS_DATA3)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신호 생성부(221)는 상기 제2 차등 신호들(DS_DATA0, DS_DATA1, DS_DATA2, DS_DATA3)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신호 변환부(222)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부의 입력 신호들에 대한 파형도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스케일러(100)로부터 제공된 모드 신호(MODE_S)에 따라서 영상 모드를 판단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3차원 모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제공된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도트 클럭 신호 등의 제어 신호와, 좌안용 또는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및 좌안용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제5 비트의 레드 데이터(B[5])가 전송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0)의 채널을 통해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1")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0")가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전송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식별부(310)는 제N 프레임 구간(N FRAME)의 블랭킹 구간(VB)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다음 프레임인, 제N+1 프레임 구간(N+1 FRAME)의 인에이블 구간(EN)에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320)에는 클럭 기준값(Clk_reg)과 라인 기준값(Line_reg)이 기 저장된다.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블랭킹 구간(VB)에 수신된 식별 데이터가 좌안용 식별 데이터("1") 이면 다음 프레임의 종류를 좌안용으로 결정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가 우안용 식별 데이터("0")이면 다음 프레임의 종류를 우안용으로 결정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도트 클럭 신호(Dot_Clk) 등의 제어 신호 및 좌안용 또는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IN_Data)가 수신된다.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에 기초하여 상기 블랭킹 구간(VB)인지를 판단한다(S112).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도트 클럭 신호(Dot_Clk)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값(Clk_cnt)을 "1" 씩 증가시킨다(단계 S113). 상기 도트 클럭 신호(Dot_Clk)의 클럭 카운팅값(Clk_cnt)이 기 저장된 상기 클럭 기준값(Clk_reg) 보다 작으면(단계 S115),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도트 클럭 신호(Dot_Clk)에 동기되어 수신된 식별 데이터를 검출한다(단계 S115).
상기 "1" 이 증가된 카운팅값(Clk_cnt+1)이 상기 클럭 기준값(Clk_reg) 보다 크면(단계 S115),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값(Line_cnt)을 "1" 씩 증가시킨다(단계 S116). 상기 "1"이 증가된 카운팅값(Line_cnt + 1)이 기 저장된 상기 라인 기준값(Line_reg) 보다 작으면(단계 S117), 상기 단계(S113)로 돌아가 상기 도트 클럭 신호(Clk_cnt)를 다시 카운팅한다. 이후, 동작은 상기 "1" 이 증가된 카운팅값(Line_cnt + 1)이 기 저장된 상기 라인 기준값(Line_reg) 보다 크면(단계 S117), 상기 식별부(310)는 지금까지 검출된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식별부(310)는 검출된 식별 데이터가 대부분 "1" 이면 다음 프레임을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으로 결정하고, 대부분이 "0" 이면 다음 프레임을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럭 기준값(Clk_reg)이 "40" 이고, 상기 라인 기준값(Line_reg)이 "5" 인 경우,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블랭킹 구간(VB)에 포함된 i 개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들(DE1, DE2, ..., DEi) 중 제1 부터 제5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들(DE1, DE2, ..., DE5) 각각에 포함된 도트 클럭 신호들(D_Clk) 중 제1 내지 제5 도트 클럭 신호들에 동기되어 수신된 식별 데이터를 검출한다. 즉, 5 ㅧ 40 개의 식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부(310)는 5 ㅧ 40 개의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결정된 다음 프레임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지 않는다. 즉, 스케일러는 좌안용 또는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영상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모드를 전환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3차원 모드 신호(MODE_3D)가 수신되면, 제1 화면 영상에 해당하는 제1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1), 제1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 제2 화면 영상에 해당하는 제2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2), 제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2), 제3 화면 영상에 해당하는 제3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3), 제3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3) 등을 수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3차원 데이터 프레임인,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 및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차례대로 수신한다(IN_DATA).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수신된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 및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순서대로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한다(OUT_DATA).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모드 신호(MODE_3D)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반전 제어 신호(REV)를 제공한다.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는 동일한 화면 영상에 대응하는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과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ㅣ데이터 전압들이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모드 신호(MODE_3D)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1)과 제1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은 제1 극성(+)을 갖고, 상기 제2 화면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2)과 제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2)은 기준 전압(Vcom) 대비 상기 제1 극성(+)에 반전된 제2 극성(-)을 갖도록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동일한 화면 영상에 대해 동일한 극성의 좌안용 및 우안용 데이터 전압들은 출력한다(OUT_V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표시 장치는 정상 모드(NOR_MODE)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표시 장치가 정전기 등과 같은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으로 오동작하는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오동작 신호(FAIL_DET)를 생성하고 상기 오동작 신호(FAIL_DET)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오동작 모드(F_MODE)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기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설정된 데이터(FAIL_D)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 모드(F_MODE)의 일정 구간 동안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수신 및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를 다시 정상 모드(NOR_MODE)로 동작시킨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다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오동작 신호(FAIL_DET)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OUT_DATA). 이때, 화면 영상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부터 출력하지 않고, 화면 영상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부터 출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화면 영상의 제1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2)부터 차례대로 출력된다(OUT_DATA).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 신호(FAIL_DET)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제1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2)과 제13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13)의 영상 데이터는 제1 극성(+)의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되고, 제13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3)과 제14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14)의 데이터는 제2 극성(-)의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된다(OUT_Vd).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동일한 화면 영상에 대해 반전된 좌안용 데이터 전압과 우안용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여 정상 모드(NOR_MODE)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오동작 모드(F_MODE) 이후, 다시 정상 모드(NOR_MODE)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반전 방식이 동기되지 않으므로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3차원 모드 신호(MODE_3D)가 수신되면, 좌안용 또는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 및 좌안용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3차원 인에이블 신호(MODE_3D)에 응답하여, 제1 프레임(F1)의 인에이블 구간(EN)에 데이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블랭킹 구간(VB)에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각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EN)에, 제1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1), 제1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 제2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2), 제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2), 제3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3), 제3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3) 등을 차례대로 수신한다(IN_DATA).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각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VB)에 좌안용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1" or "0")를 수신한다.
상기 식별부(310)는 각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VB)에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의 종류를 결정한다. 상기 식별부(310)는 식별 데이터가 좌안용 식별 데이터("1")이면, 다음 프레임을 좌안용으로 결정하고, 우안용 식별 데이터("0")이면, 다음 프레임을 우안용으로 결정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수신된 3차원 영상인,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 및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순서대로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한다(OUT_DATA).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식별부(310)에서 결정된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서 반전 제어 신호(REV)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제1 프레임(F1)의 블랭킹 구간에 검출된 우안용 식별 데이터("0")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인, 제2 프레임(F2)이 우안용으로 결정됨에 따라서, 상기 제2 프레임(F2)의 극성을 상기 제1 프레임(F1)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는 상기 표시 패널(500)에 동일한 화면 영상에 대해 동일한 극성의 좌안용 및 우안용 데이터 전압를 출력한다(OUT_Vd). 이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는 정상 모드(NOR_MODE)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표시 장치가 정전기 등과 같은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으로 오동작하는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오동작 신호(FAIL_DET)를 생성하고 상기 오동작 신호(FAIL_DET)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오동작 모드(F_MODE)로 동작한다. 상기 오동작 모드(F_MODE)의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에 기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설정된 데이터(FAIL_D)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오동작 모드(F_MODE)의 일정 구간 동안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수신 및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 장치를 다시 정상 모드(NOR_MOFDE)로 동작시킨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다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IN_DAT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인에이블 구간에 데이터 프레임(R12)을 수신하고, 블랭킹 구간에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식별부(310)는 상기 블랭킹 구간에 검출된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 즉, 제24 프레임(F24)을 우안용으로 결정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오동작 신호(FAIL_DET)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OUT_DAT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제1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2)부터 차례대로 출력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식별부(310)에서 결정된 다음 프레임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는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에 기초하여 상기 제1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2)의 영상 데이터를 제1 극성(+)(또는 제2 극성(-))의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한다(OUT_Vd).
이후,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는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에 기초하여, 제13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13) 및 제13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3)을 상기 제12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2)과 반전된 극성의 제2 극성(+)(또는 제1 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각각 출력한다(OUT_Vd).
결과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식별부(310)에서 결정된 다음 프레임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반전 제어 신호(REV)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구동부(410)는 표시 패널(500)에 동일한 화면 영상에 대해 동일한 극성의 좌안용 및 우안용 데이터 전압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오동작 모드(F_MODE) 이후, 다시 정상 모드(NOR_MODE)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프레임에 동기된 반전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수신된 프레임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좌안용 인지 우안용 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핀(pin)이 불필요하므로 회로 구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케일러 200 : 인터페이스부
210 : 신호 송신부 220 : 신호 수신부
300 : 타이밍 제어부 310 : 식별부
320 : 메모리 400 : 패널 구동부
410 : 데이터 구동부 420 : 게이트 구동부
500 : 표시 패널

Claims (20)

  1.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제1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제2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1 차등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등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2 차등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등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블랭킹 구간 중 선택 구간 동안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구간 동안 검출된 상기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는 반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반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대비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의 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0.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제1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제2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식별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프레임의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채널과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채널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구간에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제공하고, 상기 블랭킹 구간에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제공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1 차등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 차등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변환부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위상이 반전된 한 쌍의 제2 차등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차등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신호 변환부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식별 데이터 또는 우안용 식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블랭킹 구간 중 선택 구간에 검출된 상기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좌안용 인지 또는 우안용 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다음 프레임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는 반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좌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반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대비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의 전압으로 조절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10027402A 2011-03-28 2011-03-28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181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402A KR101817939B1 (ko) 2011-03-28 2011-03-28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13/241,408 US9374575B2 (en) 2011-03-28 2011-09-23 Method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nd a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EP11191636A EP2506583A1 (en) 2011-03-28 2011-12-01 Method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nd a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11264608A JP6105200B2 (ja) 2011-03-28 2011-12-02 3次元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3次元画像データ処理方法により表示する表示装置
CN201210085261.9A CN102710948B (zh) 2011-03-28 2012-03-28 处理三维图像数据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402A KR101817939B1 (ko) 2011-03-28 2011-03-28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154A true KR20120109154A (ko) 2012-10-08
KR101817939B1 KR101817939B1 (ko) 2018-01-15

Family

ID=4542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402A KR101817939B1 (ko) 2011-03-28 2011-03-28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74575B2 (ko)
EP (1) EP2506583A1 (ko)
JP (1) JP6105200B2 (ko)
KR (1) KR101817939B1 (ko)
CN (1) CN1027109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4401B (zh) * 2014-12-15 2016-05-11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无速率调制的立体视频传输方法
CN105652536B (zh) * 2016-01-25 2019-01-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连接器以及具有该连接器的液晶显示器
KR102422036B1 (ko) * 2017-12-29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낮은 레이턴시 가상 현실을 구동 및 보상하는 표시장치
CN108737807B (zh) * 2018-05-10 2020-05-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终端、服务器和计算机存储介质
CN112383765B (zh) * 2020-11-10 2023-04-07 中移雄安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vr图像传输方法及装置
CN114373410B (zh) * 2021-12-20 2024-05-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异常侦测方法、异常侦测装置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590A (ja) * 1986-11-04 1988-05-20 Nippon Hoso Kyokai <Nhk> 立体ビデオデイスクレコ−ド
JPH0748883B2 (ja) 1987-08-21 1995-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シャッタ−駆動装置
JPH09116931A (ja) 1995-10-18 1997-05-02 Sanyo Electric Co Ltd 時分割立体映像信号の左右映像識別方法
JP3472667B2 (ja) * 1996-08-30 2003-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データ表示装置
US6529175B2 (en) 2000-01-27 2003-03-04 Vrex, Inc. Stereoscopic LCD shutter glass driver system
CN1344116A (zh) 2001-09-03 2002-04-10 刘显钢 投影立体电视系统
KR20020027413A (ko) 2002-02-20 2002-04-13 김완수 Pc용 입체영상 시청장치
JP4053508B2 (ja) 2004-03-10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5544680B2 (ja) 2007-09-21 2014-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01904175B (zh) 2007-12-18 2012-12-2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立体图像数据在显示接口上的传送
KR101488199B1 (ko) 2008-03-1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재생 방법, 그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286541B1 (ko) 2008-05-19 2013-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338166B2 (ja) 2008-07-16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JP5380996B2 (ja) 2008-10-10 2014-01-08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画像システム、表示装置、3次元画像システムのシャッター動作同期装置、3次元画像システムのシャッター動作同期方法及び電子機器
JPWO2010050084A1 (ja) 2008-10-31 2012-03-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KR101599848B1 (ko) 2008-11-18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US8797231B2 (en) 2009-04-15 2014-08-05 Nlt Technologies, Ltd. Display controller,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a multiple viewpoint display
JP5448558B2 (ja) 2009-05-01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の送信方法、受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の受信方法、中継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の中継方法
JP5521486B2 (ja) 2009-06-29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立体画像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
KR20110024642A (ko)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9522A1 (en) 2012-10-04
JP6105200B2 (ja) 2017-03-29
JP2012209930A (ja) 2012-10-25
US9374575B2 (en) 2016-06-21
CN102710948B (zh) 2016-12-14
CN102710948A (zh) 2012-10-03
EP2506583A1 (en) 2012-10-03
KR101817939B1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971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2346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03456B1 (ko) 3차원 데이터 변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804890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811580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817939B1 (ko)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1109152B1 (ko) 액정셔터 안경 및 액정셔터 제어방법
KR101906402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20044333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9863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20080114169A (ko)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2011015119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視聴用眼鏡、及び映像システム
JP5702063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63945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크로스토크 보상방법
KR20120109720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20120128853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1615770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86824A (ko) 3d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0433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4024030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of
KR10171937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의 데이터 처리방법
KR200366330Y1 (ko) 액정셔터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
KR20110137664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21963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73111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