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169A -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169A
KR20080114169A KR1020070063489A KR20070063489A KR20080114169A KR 20080114169 A KR20080114169 A KR 20080114169A KR 1020070063489 A KR1020070063489 A KR 1020070063489A KR 20070063489 A KR20070063489 A KR 20070063489A KR 20080114169 A KR20080114169 A KR 2008011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image
signal
video sig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환
정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4169A/ko
Priority to EP08152572A priority patent/EP2009931A1/en
Priority to US12/051,865 priority patent/US20090002482A1/en
Publication of KR2008011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에 따르면,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3차원, 영상신호, PDP

Description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 and video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PDP TV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 3차원 영상처리부 130 : 영상버퍼
140 : PDP 구동부 160 : 제어부
170 : 송신부 180 : 안경부
310, 311 : 좌-영상신호 320, 321 : 우-영상신호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실제 눈으로 얻은 정보는 3차원 입체 영상이기 때문에, 눈과 귀만의 정보가 아닌 입체감과 현실감이라는 느낌의 정보까지도 포함한 입체영상정보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3차원 TV와 같은 차세대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의 개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는 입체표시방식, 시점, 안경착용여부, 시스템의 구성, 관찰조건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3차원 영상의 인식은 주로 양쪽 눈의 시차에 의해 발생하며, 양쪽 눈에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입력되면 두뇌작용으로 공간감을 인식하게 된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는 영상 인식정도에 따라 두 종류로 분류되며, 2안 방식과 3차원 방식이 있다. 2안 방식은 양쪽 눈의 시차를 이용한 것으로 안경의 착용 여부에 따라 안경식과 비안경식이 있다. 3차원 방식은 기존 디스플레이에 이미지 스플리터와 실린더형 렌즈들이 결합된 구조로, 3차원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소수 인원(1인 또는 수인)에 한정하여 3차원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사람은 두 개의 눈으로 공간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3차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왼쪽 눈에 대한 영상정보와 오른쪽 눈에 대한 영상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좌-영상신호는 왼쪽 눈이 봐야할 영상에 대한 신호를 의미하고, 우-영상신호는 오른쪽 눈이 봐야할 영상에 대한 신호를 의미한다.
기존의 2안 방식 중 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는, DLP(Digital Light Precessing) TV에 의해 다음과 같이 3차원 영상을 구현하였다.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120Hz로 표시한다. 그리고 전자식 안경을 이용하여 사람의 눈에는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가 합쳐진 화면이 60Hz로 표시되는 것처럼 인식되게 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는 60Hz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방식에 의한 3차원 디스플레이는 120Hz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DLP TV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60Hz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방식으로 3차원 영상을 구현하면, 우리 눈은 30Hz로 표시되는 것처럼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깜빡거림(flicker)이 감지될 우려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60Hz로 작동한다. 따라 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은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부 행들은, 홀수번째 행들 및 짝수번째 행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좌-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고, 상기 우-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홀수번째 행들에는 좌-영상신호가 포함되고 짝수번째 행들에는 우-영상신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픽셀 단위로 번갈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은, 상기 3차원 영상신호가 행 단위로 번갈아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주파수가 60Hz이고,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주파수로 번갈아 표시하여, 120Hz의 주파수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계는, 저장된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은, 상기 표시될 영상신호가 상기 좌-영상신호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부 행들은, 홀수번째 행들 및 짝수번째 행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고, 상기 우-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은 좌-영상신호를 포함하고 짝수번째 행들은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픽셀 단위로 번갈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3차원 영상신호가 행 단위로 번갈아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도록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주파수가 60Hz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주파수로 번갈아 표시하여, 120Hz의 주파수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저장된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표시될 영상신호가 상기 좌-영상신호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인 안경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안경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경구동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PDP(Plasma Display Panel) TV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3차원 영상표시방법은,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영상기기는,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PDP TV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P TV는 3차원 영상수신부(110), 3차원 영상처리부(120), 영상버퍼(130), PDP 구동부(140), PDP(150), 제어부(160), 송신부(170) 및 안경부(180)로 구축된다.
3차원 영상수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3차원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수신된다. 또한 이외에도 PDP TV는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3차원 영상처리부(120)는 3차원 영상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3차원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 디코딩, 영상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영상처리부(120)는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3차원 영상신호가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고 60Hz의 주파수를 가진다면,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는 각각 1920*540의 해상도를 가지고 60Hz의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영상버퍼(130)는 3차원 영상처리부(120)에서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그리고, 영상버퍼(130)에서는 PDP 구동부(140)가 PDP를 구동할 때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가 각각 따로 출력된다.
PDP 구동부(140)는 영상버퍼(130)에 저장된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이를 PDP(15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PDP 구동부(140)는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PDP(15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되고, 우-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PDP 구동부(140)에는 어드레스 구동부(미도시)와 데이터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어드레스 구동부는 영상버퍼(130)에서 행 단위로 출력되는 좌-영상신호 또는 우-영상신호에 응답하여 PDP(150)를 구성하는 각각의 행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어드레스 펄스를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어드레스 구동부에서 선택된 행에 해당하는 영상정보(예컨데 852번째 화소에 대한 영상정보)에 따라 데이터 펄스를 생성하여 PDP(150)에 공급한다.
따라서, 홀수번째 행들만을 표시하는 경우, PDP 구동부(140)는 홀수번째 행들에만 어드레스 펄스를 생성하여 홀수번째 행들만 인에이블 시킨다. 반대로, 짝수번째 행들만을 표시하는 경우, PDP 구동부(140)는 짝수번째 행들에만 어드레스 펄스를 생성하여 짝수번째 행들만 인에이블 시킨다.
이와 같이, 홀수번째 행들 또는 짝수번째 행들만을 표시하게 되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하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걸리는 시간동안, 홀수번째 행들만을 한번 표시하고 짝수번째 행들만을 한번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면, 60Hz로 작동하는 PDP TV를 120Hz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120Hz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PDP(150)는 이러한 어드레스 펄스와 데이터 펄스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한 다. PDP(150)는 행 단위로 어드레스 펄스와 데이터 펄스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PDP(150)의 모든 행이 어드레스 펄스와 데이터 펄스를 공급받았을 때, 일괄적으로 방전하여 빛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하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3차원 영상처리부(120), 영상버퍼(130), PDP 구동부(140) 및 송신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단, 제어부(160)는 3차원 영상처리부(120)가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영상버퍼(130)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적절한 시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PDP 구동부(140)가 PDP(150)의 홀수번째 행들 또는 짝수번째 행들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좌-영상신호는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고 우-영상신호는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도록, 제어부(160)는 PDP구동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PDP 구동부(140)에 의해 표시될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지 우-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송신부(170)에 전달한다.
송신부(170)는 표시될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지 또는 우-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는다. 그리고 송신부(170)는 표시될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지 또는 우-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인 안경구동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또한, 안경구동신호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부(170)는 안경구동신호를 송신할 때,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안경부(180)는 송신부(170)에서 송신한 안경구동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안경부(180)는 수신된 안경구동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부(180)의 렌즈는 안경구동신호에 따라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좌-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는 안경부(180)의 왼쪽 렌즈가 열리고 오른쪽 렌즈는 닫히게 된다. 또한 우-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는 안경부(180)의 왼쪽 렌즈는 닫히고 오른쪽 렌즈는 열리게 된다.
안경부(18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왼쪽 눈은 좌-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화면을, 오른쪽 눈은 우-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화면을 번갈아 가면서 보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3차원 영상을 보고 공간감 및 입체감을 느낄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3차원 영상 표시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수신부(110)는 3차원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210).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모두 포함한 형태로 전송된다. 또한,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해당되는 부분은 좌-영상신호로 구성되고 짝수번째 행들에 해당되는 부분은 우-영상신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3차원 영상처리부(120)는 3차원 영상수신부(110)로부터 전달받은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좌-영상신 호와 우-영상신호는 영상버퍼(130)에 저장된다(S220). 예를 들어, 3차원 영상신호가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진다면,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는 각각 1920*540의 해상도를 가지게 된다.
그 후에, PDP 구동부(140)가 영상버퍼(130)에 저장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추출할 수 있도록, 제어부(160)는 영상버퍼(130)와 PDP 구동부(140)를 제어한다(S230).
이 때, 제어부(160)는 추출된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만약 추출된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 경우는, PDP(150)의 홀수번째 행들에 좌-영상신호를 표시한다(S241). 반면, 추출된 영상신호가 우-영상신호인 경우는, PDP(150)의 짝수번째 행들에 우-영상신호를 표시한다(S242).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단 제어부(160)가 추출된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추출된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PDP 구동부(140)가 PDP(150)의 홀수번째 행들만 인에이블 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PDP 구동부(140)는 PDP(150)의 홀수번째 행들에만 어드레스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추출된 영상신호가 우-영상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PDP구동부(140)가 PDP(150)의 짝수번째 행들에만 어드레스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짝수번째 행들만 인에이블 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 때, PDP 구동부(140)는 PDP(150)의 홀수번째 행들 및 짝수번째 행들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키므로, 모든 행을 구동시킬 때에 비하여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60)는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모두 끝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만약 끝이 아닌 경우는 S230 단계로 돌아가 다음 좌-영상신호 또는 우-영상신호를 표시하게 된다(S250-N). 이러한 과정을 통해 3차원 영상신호의 마지막 부분까지 디스플레이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면서, PDP TV는 3차원 영상신호의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120Hz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차원 영상신호가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고 60Hz의 주파수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3차원 영상처리부(120)에서 3차원 영상신호를 분리하면,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는 각각 1920*540의 해상도를 가지고 60Hz의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좌-영상신호 또는 우-영상신호를 각각 한번씩 홀수번째 행들 또는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모든 행을 표시하는데 걸리는 시간동안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각각 한번씩 표시할 수 있다. 즉,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면서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신호를 120Hz의 주파수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 60Hz의 주파수를 가진 PDP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120Hz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도 2를 바탕으로 3차원 영상 표시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에 해당 되는 부분은 좌-영상신호로 구성되고 짝수번째 행에 해당되는 부분은 우-영상신호로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3차원 영상신호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영상신호는 홀수번째 행에 해당되는 부분이 우-영상신호로 구성되고, 짝수번째 행에 해당되는 부분이 좌-영상신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신호는, 행 단위가 아닌 픽셀 단위로 번갈아가면서 좌-영상신호 또는 우-영상신호가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차원 영상처리부(120)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픽셀 단위로 번갈아 배열된 3차원 영상신호를 행 단위로 번갈아 배열된 3차원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차원 영상수신부(110)가 3차원 영상신호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3차원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장착된 저장부나 저장 매체를 통해서도 입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추출하도록 구현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방식으로 영상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영상신호를 두번, 우-영상신호를 두번씩 번갈아 가면서 추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영상신호가 좌-영상신호인 경우 PDP(150)의 홀수번째 행들에 좌-영상신호를 표시하고, 추출된 영상신호가 우-영상신호인 경우 는 PDP(150)의 짝수번째 행들에 우-영상신호를 표시하도록 구현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다른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영상신호를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고, 우-영상신호를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두 행씩 번갈아 가면서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예컨데, 좌-영상신호는 1,2,5,6,9,10...번째 행, 우-영상신호는 3,4,7,8....번째 행). 그리고,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모두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모두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350)는 좌-영상신호(310,311)와 우-영상신호(320,32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좌-영상신호(310,311)는 각각 홀수번째 행(첫번째, 세번째 행)에 존재하고, 우-영상신호(320,321)는 각각 짝수번째 행(두번째, 네번째 행)에 존재한다.
3차원 영상신호가 3차원 영상처리부(120)에서 분리되면, 3차원 영상신호에 비하여 세로축 해상도가 절반인 좌-영상신호(310,311)와 우-영상신호(320,321)가 된다(360).
좌-영상신호(310,311)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되면, 디스 플레이 화면들(370) 중 디스플레이 화면1과 같이 표시된다. 이 때, 짝수번째 행들(331,332)은 인에이블이 되지 않기 때문에 빛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영상신호(320,321)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되면, 디스플레이 화면들(370) 중 디스플레이 화면2와 같이 표시된다. 이 때, 홀수번째 행들(333,334)은 인에이블 되지 않기 때문에 빛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들(370) 중 디스플레이 화면1과 디스플레이 화면2가 번갈아 표시됨으로써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PDP TV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기기로 PDP 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PDP TV 이외의 영상기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영상기기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프로젝션 TV,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영상처리부(410)와 구동부(420)를 구비한다.
영상처리부(410)는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구동부(420)는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3차원 영상표시방법에 의하면, 먼저 영상기기는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한다(S510). 그리고, 영상기기는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한다(S520).
이에 의해서도,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영상처리부(610)와 구동부(620)를 구비한다.
영상처리부(610)는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한다. 그리고, 구동부(620)는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3차원 영상 표시방법에 의하면, 먼저 영상기기는 3 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한다(S710). 그리고, 영상기기는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한다(S720).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신호(810)는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좌-영상신호는 각각 홀수번째 행(첫번째, 세번째 행)에 존재하고, 우-영상신호는 각각 짝수번째 행(두번째, 네번째 행)에 존재한다.
3차원 영상신호가 3차원 영상처리부(120)에서 분리되면, 3차원 영상신호에 비하여 세로축 해상도가 절반인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820)가 된다.
이러한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된다. 좌-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픽셀 단위로 번갈아 표시되면, 디스플레이 화면들(830) 중 디스플레이 화면1과 같이 표시된다. 좌-영상신호의 각 픽셀들((1)~(10))은 디스플레이 화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단위로 번갈아 표시된다. 이 때, 표시되지 않는 픽셀은 인에이블이 되지 않기 때문에 빛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픽셀 단위로 번갈아 표시되면, 디스플레이 화면들(830) 중 디스플레이 화면2와 같이 표시된다. 우-영상 신호의 각 픽셀들((a)~(j))은 디스플레이 화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단위로 번갈아 표시된다. 이 때, 표시되지 않는 픽셀은 인에이블 되지 않기 때문에 빛이 발생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화면들(830) 각각은 전체 픽셀의 절반만 표시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데 시간이 절반만 걸리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 하나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전체화면을 표시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절반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화면1과 디스플레이 화면2를 번갈아 표시하여 120Hz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들(830) 중 디스플레이 화면1과 디스플레이 화면2가 번갈아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도,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3차원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한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2차원 영상 뿐만 아니라 3차원 영상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120Hz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패널 구동장치의 구동속도를 올릴 필요 없이 구동되는 행을 제어하여 간단하게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기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행들은,
    홀수번째 행들 및 짝수번째 행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좌-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고, 상기 우-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홀수번째 행들에는 좌-영상신호가 포함되고 짝수번째 행들에는 우-영상신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픽셀 단위로 번갈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가 행 단위로 번갈아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주파수가 60Hz이고,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주파수로 번갈아 표시하여, 120Hz의 주파수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계는,
    저장된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될 영상신호가 상기 좌-영상신호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11.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영상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행들은,
    홀수번째 행들 및 짝수번째 행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에 표시하고, 상기 우-영상신호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짝수번째 행들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홀수번째 행들은 좌-영상신호를 포함하고 짝수번째 행들은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픽셀 단위로 번갈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3차원 영상신호가 행 단위로 번갈아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번갈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주파수가 60Hz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주파수로 번갈아 표시하여, 120Hz의 주파수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저장된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행들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될 영상신호가 상기 좌-영상신호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인 안경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안경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경구동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PDP(Plasma Display Panel) TV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2.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방법.
  23. 3차원 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신호로 분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한 픽셀 건너 한 픽셀씩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영상기기.
KR1020070063489A 2007-06-27 2007-06-27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20080114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89A KR20080114169A (ko) 2007-06-27 2007-06-27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EP08152572A EP2009931A1 (en) 2007-06-27 2008-03-11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video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US12/051,865 US20090002482A1 (en) 2007-06-27 2008-03-20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video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89A KR20080114169A (ko) 2007-06-27 2007-06-27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169A true KR20080114169A (ko) 2008-12-31

Family

ID=3946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489A KR20080114169A (ko) 2007-06-27 2007-06-27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02482A1 (ko)
EP (1) EP2009931A1 (ko)
KR (1) KR200801141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03B1 (ko) * 2009-11-30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100645B2 (en) 2010-12-06 2015-08-04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stereopsi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78668B2 (en) 2011-05-31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ixel, and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KR101876848B1 (ko) * 2010-12-14 2018-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 및 3차원 겸용 영상 표시장치, 및 2차원 및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71B1 (ko) * 2008-10-15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피로 없는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굴절률 가변 셔터 안경
CN102224737B (zh) * 2008-11-24 2014-12-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组合三维视频和辅助数据
US20100328428A1 (en) * 2009-06-26 2010-12-30 Booth Jr Lawrence A Optimized stereoscopic visualization
CN102576509A (zh) * 2009-10-13 2012-07-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装置的驱动方法、等离子显示装置以及等离子显示系统
US9438896B2 (en) * 2009-11-13 2016-09-06 Kopin Corporation Method for driving 3D binocular eyewear from standard video stream
GB2487722A (en) 2011-01-25 2012-08-08 Cambridge Display Tech Ltd Stereoscopi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US20130156090A1 (en) * 2011-12-14 2013-06-20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ltiuser u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26082C (en) * 1989-09-06 1994-01-11 Peter D. Macdonald Full resolution stereoscopic display
US5821989A (en) 1990-06-11 1998-10-13 Vrex, Inc. Stereoscopic 3-D viewing system and glasses having electrooptical shutters controlled by control signals produced using horizontal pulse detection with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period of computer generated video signals
JPH08240790A (ja) * 1994-12-16 1996-09-17 Sharp Corp 自動立体表示装置および空間光変調器
US6252707B1 (en) 1996-01-22 2001-06-26 3Ality, Inc. Systems for three-dimensional viewing and projection
GB2317291A (en) * 1996-09-12 1998-03-18 Sharp Kk Observer tracking directional display
US6046849A (en) * 1996-09-12 2000-04-04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ax barrier, display,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AUPO981997A0 (en) * 1997-10-15 1997-11-06 Lions Eye Institute Of Western Australia Incorporated, The Stereo optic disc analyser
US6157396A (en) * 1999-02-16 2000-12-05 Pix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bitstream information to process images for use in digital display systems
AU1320502A (en) * 2000-10-12 2002-04-22 Reveo Inc Digital light processing based 3d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WO2002076107A1 (en) * 2001-01-12 2002-09-26 Vr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isplay using column interleaved data with digital light processing
GB2399653A (en) * 2003-03-21 2004-09-22 Sharp Kk Parallax barrier for multiple view display
GB2403023A (en) * 2003-06-20 2004-12-22 Sharp Kk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GB2405519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US20070040905A1 (en) * 2005-08-18 2007-02-22 Vesely Michael A Stereoscopic display using polarized eyewear
US7813042B2 (en) * 2005-09-12 2010-10-12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DE102006055641B4 (de) * 2006-11-22 2013-01-31 Visumotion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fnahme und Wiedergabe von Bildern einer Szene und/oder eines Objekt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03B1 (ko) * 2009-11-30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100645B2 (en) 2010-12-06 2015-08-04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stereopsi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76848B1 (ko) * 2010-12-14 2018-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 및 3차원 겸용 영상 표시장치, 및 2차원 및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US9378668B2 (en) 2011-05-31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ixel, and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2482A1 (en) 2009-01-01
EP2009931A1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169A (ko)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4965184B2 (ja) 3dグラフィックデータ処理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並びに立体映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811580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1025482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view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ewing system
JP5545060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シャッター眼鏡、並びに表示装置
KR10199863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EP2381689A2 (en) 2D/3D switchable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2015017264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10149052A1 (en) 3d imag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JP2011015119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視聴用眼鏡、及び映像システム
JP5702063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39222A (ja) 立体画像処理装置、tv受信機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US9124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817939B1 (ko) 3차원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EP2416585B1 (en) Shutter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ir of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20120249525A1 (en) Display system
JP2011250368A (ja) 立体表示装置、表示制御回路、および表示方法
JP201206023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19589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20040947A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영상 처리방법
JP2013013089A (ja) 3d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れに適用される3dディスプレイ方法
CN102256160B (zh) 一种立体图像处理设备及方法
CN102256152B (zh) 一种立体图像处理设备及方法
TWI499279B (zh) 影像處理裝置及其方法
JP2012019376A (ja) 立体映像観賞用メガ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