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635A -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635A
KR20120108635A KR1020110026772A KR20110026772A KR20120108635A KR 20120108635 A KR20120108635 A KR 20120108635A KR 1020110026772 A KR1020110026772 A KR 1020110026772A KR 20110026772 A KR20110026772 A KR 20110026772A KR 20120108635 A KR20120108635 A KR 20120108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hone
video
online
external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우
Original Assignee
채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우 filed Critical 채상우
Priority to KR102011002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635A/ko
Publication of KR20120108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상기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의 작동신호 및 명령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감지영역모양을 활용하여 위급한 상황과 오락 및 터치감지장치를 갖춘 전자장치가 이용자의 터치 상태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 중심의 누르는 작용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끝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많은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Electronic devices and use the intercom to online recor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터폰의 촬영저장과 인터폰의 온라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오늘날 인터폰 시스템에서 초인종과 촬영 및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방문객을 확인하고 출입문을 개방하는 많은 방식의 기존의 인터폰 전자장치가 있다.
일반 가정에 설치한 인터폰 전자장치를 활용하는 면에서 이용자들이 방문객을 확인하고 통화함에 있어서, 사용자 입장에서 심적인 안정과 기록보관, 외부인에 대한 객관적인 관리, 불필요한 의심과 오해 및 방범의 예방, 발생한 범죄의 기록자료 등에 관한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과 기존의 인터폰전자장치에 장착된 촬영장치와 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인터폰 사용환경에서 인터폰의 외부 송수신장치에 장착한 초인종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촬영 및 통화내용을 인터폰메모리장치, 원격온라인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기록, 보관 및 확인하고 활용한다는 면에서 불확실한 방문객의 위험요소를 객관적으로 관리하고 방범, 범죄 등 불안요소를 방지함과 위험한 사고가 가정에서 발생함에 있어서 촬영 및 대화 내용을 인터폰으로 저장 및 전송함으로 결정적인 기록저장과 더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심적인 안정을 가질 수 있어 더욱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
이용자가 인터폰으로 확인된 내용을 이용자의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외출 중에도 인터폰에서 방문한 손님을 확인하여 원거리에서 방문객과 통화를 할 수 있어서 차후에 생길 불필요한 일들을 미리 확인하여 방문자와 전화로 간단한 정보를 교류하여 차후에 생기는 불필요한 일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의 방범 및 불청객의 방문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증거의 자료를 남기고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어서 가정에 장착하는 블랙박스기능을 수행하고 방문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어서 사후에 일이 발생하는 간단한 과정들을 해결 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중심의 발전하는 멀티 유비쿼터스 환경과 이에 따른 전자기기의 발전을 진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용자의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를 활용하여 방문객의 이미지 및 동영상, 대화내용 및 시간 등을 일정기간 인터폰메모리와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서버에 저장 및 이용자의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전송 및 통화가 가능하여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이용자들이 기존에 사용하는 인터폰장치에 방문객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를 저장 및 기록하여 불필요한 의심 및 심적인 부담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욱 사실적으로 기록 및 보관하여서 방범 및 범죄를 예방할 수 있어서 특히 가정에서 노약자가 안심하고 온라인 인터폰을 사용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가 동작하고 온라인 인터폰이 촬영대기 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방문객이 초인종을 작동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방문객을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방문객을 감지하는 판단단계; 상기 외부 방문객이 접근하여 근접센서로 감지되면 설정한 일정기간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로 방문객 및 이용자를 감지하여 외부 인터폰 송수신기에 부착된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로 이용자가 사용하는 출입문 키에 부착되거나 추가된 무선데이터확인장치의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를 이용해서 이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출입문 키의 고유설정신호를 무선으로 보내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아니면 인터폰 및 현관문에 설치한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데이터를 인터폰에 디스플레이 및 인터폰 벨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한 동영상 및 이미지를 인터폰 내장 및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유무선 랜장치 또는 인터폰겸 집전화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통합서버에 전송 및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더 편리하고 편안하게 멀티 유비쿼터스 환경을 누릴 수 있으며, 위급한 상황 및 불청객의 기록을 남김으로 빠른 범죄 예방과 범죄가 발생했을 때에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멀티 환경에서 사용자중심의 전자기기의 발전을 진전시키기 위해서 일반 가정에 설치하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노약자의 보호 및 범죄예방의 객관적인 자료의 기록과정으로 이용할 수 있고 더욱 안전한 인터폰 전자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의 외부감지 및 촬영과 송수신자료를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어 저장되고 송수신되는 시스템과정을 보기 쉽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의 원격온라인 통합관리자 서버에서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의 원격온라인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에서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의 원격온라인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에서 집 전화 및 인터폰단말기를 이용하여 집에 방문한 방문객과 송수신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실시 예에 따른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예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의 외부감지 및 촬영과 송수신자료를 인터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어 저장되고 송수신하는 시스템과정을 보기 쉽게 나타낸 블록도이며 외부의 방문객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여 보여주는 인터폰 디스플레이(100), 상기 인터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상기 인터폰의 촬영 및 저장자료를 온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보내는 인터폰 유무선 랜 장치(120), 상기 촬영 및 관련자료를 저장하는 인터폰 외장 및 내장 메모리(130), 상기 온라인 인터폰장치를 내장하는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140), 상기 외부 방문객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장치(230), 상기 외부의 출입문 근방에 설치하여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장치(160), 상기 외부와 통화하는 송수신기(170), 상기 방문객이 신호를 보내는 초인종 버튼(180), 상기 외부인이 방문할 때에 촬영신호를 보내는 근접센서(190), 상기 이용자의 출입문 키에 장착된 이용자인지 인지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확인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200), 상기 이용자의 이용하는 출입문(240)과 출입문 손잡이(220), 상기 출입문이 개방 및 잠금인지 확인하는 문 개방확인 센서(210), 상기 이용자의 출입문 키에 추가되는 이용자인지 인지하는 무선데이터 확인장치(250), 상기 무선데이터 확인장치에 내장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260), 상기 방문객을 촬영 및 관련자료를 저장 및 보관하는 원격 온라인 서버(270),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핸드폰(280) 및 상기 이용자가 사용하는 온라인 인터폰과 연결되는 집 전화(29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14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S100)이며 상기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140)가 동작하고 온라인 인터폰이 촬영대기 하는 단계(S110); 상기 외부 방문객이 초인종(180)을 작동하는지 판독하는 단계(S120); 상기 외부 방문객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90)가 외부 방문객을 감지하여 판독하는 단계(S130); 상기 외부 방문객이 접근하여 근접센서(190)가 외부인을 감지하면 설정한 일정기간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 상기 근접센서(190)로 방문객 및 이용자를 감지하여 외부 인터폰 송수신기(150) 또는 출입문에 부착된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200)로 고유의 신호 및 데이터를 이용자의 출입문 키에 부착되거나 추가된 무선데이터확인장치(250) 및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260)에 데이터를 송수신해서 이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출입문 키의 고유설정신호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보내어 판단하는 단계(S150); 상기 이용자가 아니면 인터폰 및 현관문에 설치한 카메라(160)로 촬영하는 단계(S160); 상기 촬영한 데이터를 인터폰에 디스플레이 및 인터폰 벨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S170); 및 상기 촬영한 동영상 및 이미지를 인터폰 내장 및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유무선 랜 장치(120)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초인종 또는 근접센서가 먼저 작동 및 감지될 때에 그 상태를 일정한 기간 촬영 또는 실내 인터폰의 송수화기를 이용할 때에 연속하여 촬영, 데이터를 전송 및 저장을 유지한다.
상기 근접센서의 종류는 자기형, 자기 포화형, 고주파 발진형, 차동 코일형, 정전용량형 등이 있으며 근접센서가 일정한 기간 동안 감지동작 될 때에 작동됨으로써 불필요한 오보 및 오작동을 줄 일수 있고 초기에 작동되었던 기록을 대조하여 잦은 감지작동이 실행되거나 작은 실보 - 감지신호를 상실하는 상태 - 가 발생하여 이상이 있을 때에 근접센서의 기능을 시험하거나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근접센서의 기능동작을 확인하고 그에 맞게 유지하는 자기유지시스템을 실시하는 기능으로 스스로 고장을 파악하고 시스템을 유지하며 발생한 고장을 인터폰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벨로 신호를 이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터폰의 외장메모리는 USB, SD CAD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140)의 원격온라인 통합관리자 서버(270)에서 구성 및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S200)이며 상기 원격온라인 통합관리자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S210); 상기 가입자의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에서 수신한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 관련데이터를 일정기간 저장하는 단계(S220); 상기 가입자가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 자료데이터에 관련한 기능사용 및 관리사항을 설정하는 단계(S230); 상기 가입자가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 관련데이터를 확인 및 신고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가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에 관한 자료 및 데이터에서 기능 설정사항으로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선택, 이미지 촬영 횟수 선택, 동영상 촬영시간 선택, 일정기간 선택, 사용자 단말기 전송 선택, 이미지 및 동영상 서버 저장기간 선택, 동영상 확인 및 신고 선택, 온라인 인터폰의 작동시간 및 요일선택 등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른 구현방법으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140)의 원격온라인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에서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S300)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280)에 연결하는 단계(S310); 상기 가입자의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의 단말기 또는 통합관리자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수신한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 관련데이터를 확인 및 저장하는 단계(S320); 상기 가입자가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 관련데이터를 확인 및 신고하는 단계 (S330); 상기 가입자가 방문자를 확인하고 직접 방문자에게 전화로 통화하거나 이용자의 집전화(290) 및 인터폰 단말기로 외부 인터폰 송수신장치에 연결하여 송수신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며 실시 예에 따른 구현방법으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140)의 원격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자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에 수신된 집에 방문객을 촬영한 관련자료를 확인하고 이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집 전화 및 인터폰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객과 송수신하는 흐름도(S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방문객의 이미지 및 동영상촬영 관련데이터 및 자료를 수신하고 확인하는 단계(S410);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집 전화 또는 인터폰 및 개인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S420);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를 통해서 방문객과 송수신하는 단계(S430)를 포함하며 실시 예에 따른 구현방법으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무선 랜장치는 와이 파이, 도킹시스템, 유무선전화단말기, 전기선을 이용한 원격온라인 시스템 등일 수 있고 전자장치에 고유의 주소 및 식별요소가 주어진 전자장치 등일 수 있으며 인터폰 메모리 장치는 내장메모리 및 외장메모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이용자의 집 전화 또는 인터폰겸용 집 전화는 외출신호를 인식될 때에 외부 방문객을 알리는 신호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전해지고 이용자가 집 전화 또는 인터폰겸용 집 전화로 연결하여 외부 인터폰 송수신장치로 통화할 때에 집 전화 또는 인터폰겸용 집 전화의 외출 및 부재 신호일 때에 통화상태에서 특정한 버튼을 이용하여 외부인터폰 송수신장치로 연결되든가 사용자의 단말기 및 핸드폰을 이용하여 온라인 통합서버 및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인 인터폰단말기 또는 외장 단말기에 와이 파이 등을 이용한 도킹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 다르게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방법 및 방식을 칩에 내장하여 이용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명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다른 구현방법도 상기 발명방법에 해당된다.
실생활에서 이용자의 집에 설치된 인터폰으로 원거리에서 송수신 및 기록하여 방문자와 대화통화로 간편하게 일 처리를 할 수 있어 신속하며 멀티 네트워크통신 및 전자정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중심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개선하고 더욱 효율적인 이용자 중심의 안전하고 편리한 네트워크 기반을 만들고 이용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100: 인터폰 디스플레이. 110: 인터폰 제어부.
120: 인터폰 유무선 랜 장치. 130: 인터폰 외장 및 내장 메모리.
140: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230: 송수신장치.
150: 외부 초인종 인터폰 송수신 장치. 160: 촬영장치. 170: 송수신기. 180: 초인종 버튼.
190: 근접센서. 200: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
240: 출입문. 220: 출입문 손잡이.
210: 문 개방확인 센서. 250: 무선데이터 확인장치.
260: 무선데이터 송수신센서. 270: 원격온라인 서버.
280: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

Claims (26)

  1. 인터폰장치를 이용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가 초인종을 작동하는지 판독하는 단계(ⅰ);
    상기 외부에 설치한 촬영장치가 방문객을 이미지 및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단계(ⅱ)를 포함하는 인터폰장치를 구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이 접근하는지 근접센서로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가 설정기간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키와 외부 인터폰 송수신장치에 장착한 무선데이터확인센서의 고유신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동작이 확인되면 카메라로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 및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의 초인종은 카메라의 촬영신호인 구현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작동은 카메라의 촬영신호인 구현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폰 송수신장치에 장착한 무선데이터확인장치는 이용자인지 확인하는 장치인 구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데이터확인장치로 이용자로 판단하면 촬영하지 않는 구현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외부인터폰 송수신장치에 장착하는 구현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인종 또는 근접센서의 판독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인터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구현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를 인터폰 외장메모리에 저장하는 구현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를 인터폰 내장메모리에 저장하는 구현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구현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구현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는 이미지인 구현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는 동영상인 구현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는 음성인 구현방법.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의 온라인전송의 대상은 통합서버인 구현방법.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의 온라인전송의 대상은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인 구현방법.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하여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집전화 또는 인터폰전자장치를 통해서 방문객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현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화를 이용하여 외부 인터폰 송수신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송수신하는 구현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인터폰 송수신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및 핸드폰으로 송수신하는 구현방법.
  26. 인터폰 및 인터폰기능을 가진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인종 또는 근접센서가 작동 및 감지하는지 판독하는 센서부;
    상기 초인종 또는 근접센서가 작동 및 감지할 때에 외부 인터폰송수신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폰 및 인터폰기능을 가진 전자장치.
KR1020110026772A 2011-03-25 2011-03-25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KR20120108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772A KR20120108635A (ko) 2011-03-25 2011-03-25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772A KR20120108635A (ko) 2011-03-25 2011-03-25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635A true KR20120108635A (ko) 2012-10-05

Family

ID=4728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772A KR20120108635A (ko) 2011-03-25 2011-03-25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899A (zh) * 2021-07-20 2021-11-02 广州慧睿思通科技股份有限公司 对讲机在线状态检测方法、对讲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899A (zh) * 2021-07-20 2021-11-02 广州慧睿思通科技股份有限公司 对讲机在线状态检测方法、对讲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459B2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CA2691774A1 (en) Security system with two-way communication and video
JP20072085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841938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81780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7011201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2015074938A (ja) 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オートロック扉用の無線認証装置
JP5869449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736563B1 (ko) 출입 기기를 이용한 세대 상황 알림 장치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2009024426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120114489A (ko) 온라인 블랙박스 인터폰 및 이용방법
KR20120108635A (ko) 온라인 인터폰 블랙박스 및 이용방법
JP201919309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JP2009260837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49477B1 (ko) 비디오 도어폰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179319Y1 (ko) 웹 인터폰 시스템
KR200255553Y1 (ko) 홈 관제 시스템
KR200466888Y1 (ko)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