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88Y1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888Y1 KR200466888Y1 KR2020120008940U KR20120008940U KR200466888Y1 KR 200466888 Y1 KR200466888 Y1 KR 200466888Y1 KR 2020120008940 U KR2020120008940 U KR 2020120008940U KR 20120008940 U KR20120008940 U KR 20120008940U KR 200466888 Y1 KR200466888 Y1 KR 2004668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sitor
- phone number
- visit
- unit
- tex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방문자로부터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표시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문자로부터 입력받은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집주인이 방문자의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출입문의 개폐 여부 및 방문자와의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인종은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집에 있는 사람이 인터폰 화면으로 방문자를 확인한 후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데, 방문자를 인터폰 화면으로 확인하기 전에는 방문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고, 방문자가 낯선 사람인 경우에도 불필요한 대화로 방문 목적 등을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많은 범죄 사건이 발생하고 있어 방문자가 낯선 사람인 경우에는, 집주인이 인터폰으로 방문자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두려움, 불안감 또는 스트레스 등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초인종은 아무나 누를 수 있게끔 되어 있어 지나가는 행인이나 아이들이 심심풀이로 눌러도 사전에 제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빈집을 노리는 범죄자가 초인종을 이용하여 빈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빈집털이 대상이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방문자가 초인종 벨을 누르면 초인종의 통화장치와 집주인의 휴대폰이 서로 연결되어 집주인이 집 밖에 있더라도 방문자와 대화할 수 있어 빈집털이를 예방할 수 있는 초인종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초인종 장치도 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방문자와 대화를 해야 하고, 빈집털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집주인이 집에 있는 것처럼 속이기 위해 방문자에게 불필요한 거짓말을 해야하므로 집주인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고 집주인의 시간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자로부터 입력받은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집주인이 방문자의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출입문의 개폐 여부 및 방문자와의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방문자로부터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표시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방문자로부터 방문 호수를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방문 호수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방문 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단말기 전화번호를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문자전송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집주인 단말기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집주인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방문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문자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결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도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문자가 상기 요금결제부를 통해 상기 문자 요금을 결제하면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CCTV 촬영부로부터 상기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문자전송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방문자로부터 입력받은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집주인이 방문자의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출입문의 개폐 여부 및 방문자와의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방문자가 방문이유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방문자가 범죄자인 경우 범죄의욕을 상실시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범죄자가 빈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범죄자로부터 빈집털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집주인이 방문자와 대화하지 않고도 방문자의 방문 문자메시지, 사진 또는 영상 등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한 후 방문자에 대한 대처방법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범죄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친구, 회사동료 또는 연인이 방문 문자메시지를 입력하여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집주인에게 평소 하기 힘들었거나 직접 전하기 힘들었던 말을 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방문자가 방문 문자메시지를 입력하여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한 경우, CCTV 촬영부를 통해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도 함께 전송되므로, 방문자의 행적을 입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문자전송부(140),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 요금 결제부(160) 및 CCTV 촬영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는 실외 출입문이나 아파트 출입구 등에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방문자로부터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방문자로부터 방문 호수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방문자로부터 입력받은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상에 한글 또는 영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를 제공하여 방문자가 방문이유를 포함하는 방문 문자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상에 숫자패드를 제공하여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스크린 이외에도 키보드나 키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0)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받은 표시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여 방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받은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방문자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방문 호수를 더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방문 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문자전송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각 방문 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단말기 전화번호들은 상기 제어부(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문자전송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문자전송부(1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집주인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은 집주인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대표적으로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문자전송부(140)는, 내부에 저장된 집주인 단말기(200)의 전화번호에 따라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집주인 단말기(200)의 전화번호에 따라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집주인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는 집주인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집주인은 자신의 지인이나 친척 등의 전화번호를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로 입력할 수 있다.
요금 결제부(160)는 방문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문자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의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또는 전화카드 등으로서, 요금 결제부(160)는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마그네틱 리더부 또는 IC카드 리더부를 구비하거나, 전화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방문자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한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에는,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문자전송부(140)로 전송할 수 있고, 문자전송부(140)는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방문자 전화번호가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에는, 방문자가 집주인의 지인 또는 친척인 것으로 판단하고, 문자전송을 위한 문자 요금 결제를 방문자에게 요청하지 않고 집주인이 문자 요금을 부담할 수 있다.
반면에, 방문자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한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도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방문자가 낯선 사람인 것으로 판단하고 방문자가 요금결제부(160)를 통해 문자 요금을 결제해야만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문자전송부(140)를 통해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는, 무료문자 대상자가 아닌 경우 방문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해 문자 요금 결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낯선 사람이 심심풀이로 방문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CTV 촬영부(170)는,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방문자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CCTV 촬영부(170)로부터 입력받은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문자전송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문자전송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주인은, 집주인 단말기(200)를 통해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집주인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동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주인 단말기(200)는, 가정의 실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같은 형태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는, 내장 스피커, 조명장치, 스탠드, 경광등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내장 스피커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방문자에게 안내 음성을 제공할 수 있고, 조명장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주변이 어두워지면 켜질 수 있다. 또한 스탠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를 고정할 수 있고, 경광등은 비상상황 등이 발생한 경우에 켜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2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장치(100)의 동작방법은, 먼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방문자로부터 방문알림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는, 인터페이스부(1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방문알림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방문알림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110)가 버튼 형식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외부에 형성된 방문알림버튼을 누름으로써 방문알림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부(120)에 문자입력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문자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방문알림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방문알림명령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어부(130)로 전달되고,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문자입력화면 표시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동작방법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를 입력받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가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 등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문자입력화면상에 방문자가 입력한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문자는, 자신이 입력한 방문 문자메시지 등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방문자는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 등의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문자전송버튼을 눌러 문자전송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동작방법은,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상기 문자 전송명령에 따라 방문자로부터 입력받은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동작방법은,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존재하는 경우(S24 -> YES), 방문 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단말기(200)로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문자 전화번호가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에는, 방문자가 집주인의 지인 또는 친척인 것으로 판단하고, 문자전송을 위한 문자 요금 결제를 방문자에게 요청하지 않고 집주인이 문자 요금을 부담하여 방문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의 동작방법은,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24 -> NO), 요금결제부(160)를 통해 방문자에게 문자요금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26) 및 요금결제가 완료되면 집주인 단말기(200)로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S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문자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한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도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방문자가 낯선 사람인 것으로 판단하고 방문자가 요금결제부(160)를 통해 문자 요금을 결제해야만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는, CCTV 촬영부(170)를 통해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집주인은 자신의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된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확인하여 방문자의 신원 및 방문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집주인은 방문자의 신원 및 방문이유를 확인한 후, 방문자에게 전화를 해서 방문이유를 자세히 확인할 수도 있고, 방문자가 택배원 등으로 위장한 경우에는 택배회사로 전화해서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집주인은 방문자가 범죄자로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된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 등을 경찰서 등으로 전송하여 신고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는, 인터페이스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요금결제부(360) 및 CCTV 촬영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구현한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 문자전송부(미도시) 및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 등은 도 3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는, 방문호수를 입력할 수 있는 방문호수 입력부(316)가 구비되어 있어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여러 세대가 입주하고 있는 건물의 출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알림버튼(311), 문자전송버튼(312), 취소버튼(313), 문자메시지 입력부(314), 방문자 전화번호 입력부(315) 및 방문호수 입력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방문자가 방문알림버튼(311)을 누르면 제어부(미도시)로 방문알림명령이 전달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방문알림 멘트 및 문자입력요청 멘트가 내장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문자메시지 입력부(314)에 문자입력이 가능한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방문자는 문자메시지 입력부(314)를 통해 자신의 방문이유를 설명하는 방문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방문 문자메시지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방문자는 방문자 전화번호 입력부(315)를 통해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방문호수 입력부(316)를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호수를 입력할 수 있다. 방문자 전화번호 입력부(315) 및 방문호수 입력부(316)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방문자에 의해 입력된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도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방문자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확인한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가 모두 자신의 의도에 맞게 작성되었으면, 문자전송버튼(312)을 눌러서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방문 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방문자 전화번호가 무료문자 대상자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방문자가 문자전송버튼(312)을 누르면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가 집주인 단말기(200)로 바로 전송될 수 있지만, 방문자가 무료문자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된 요금결제부(360)에 신용카드를 터치하는 방식 등으로 문자 요금을 결제해야만 방문 문자메시지가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방문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를 이용하던 도중 취소를 원할 때는 취소버튼(313)을 누름으로써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의 이용을 취소할 수 있다.
한편, CCTV 촬영부(3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의 전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CTV 촬영부(370)에서 촬영된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은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와 함께 집주인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요금결제부(360) 및 CCTV 촬영부(370)의 형태 및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의 인터페이스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요금결제부(360) 및 CCTV 촬영부(370)의 형태 및 배치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400)는, 인터페이스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요금결제부(460) 및 CCTV 촬영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구현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 문자전송부(미도시) 및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 등은 도 4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400)는, 방문호수를 입력할 수 있는 방문호수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단독 세대의 출입구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40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300)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정리하면, 종래의 초인종은 외부로 노출된 초인종을 아무나 누를 수 있어 집주인이 불필요하게 초인종을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도 외부인이 누르는 초인종 자체가 없기 때문에, 집주인에게 불필요한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초인종은 마이크 기능이 있어 집에 집주인이 있는 경우 방문자의 말에 응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스트레스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마이크 기능이 없어 방문자와 집주인이 불필요한 대화를 할 필요가 없고 방문자와의 대화 진행 여부를 집주인이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초인종은 방문자가 직접 방문이유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장치가 없고, 초인종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알림문자메시지가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될 뿐이므로 알림문자메시지를 전송받더라도 방문자의 방문이유를 알 수 없지만, 본 고안에 따른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방문자가 방문 이유를 직접 입력한 방문 문자메시지 및 방문자 전화번호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므로 집주인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의 방문 이유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300, 400: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110, 310, 410: 인터페이스부
120, 320, 4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문자전송부
150: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
160, 360, 460: 요금 결제부
170, 370, 470: CCTV 촬영부
200: 집주인 단말기
311, 411: 방문알림버튼
312, 412: 문자전송버튼
313, 413: 취소버튼
314, 414: 문자메시지 입력부
315, 415: 방문자 전화번호 입력부
316: 방문호수 입력부
110, 310, 410: 인터페이스부
120, 320, 4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문자전송부
150: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
160, 360, 460: 요금 결제부
170, 370, 470: CCTV 촬영부
200: 집주인 단말기
311, 411: 방문알림버튼
312, 412: 문자전송버튼
313, 413: 취소버튼
314, 414: 문자메시지 입력부
315, 415: 방문자 전화번호 입력부
316: 방문호수 입력부
Claims (4)
- 방문자로부터 방문 문자메시지,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 호수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표시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호수를 입력받고,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 및 방문호수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방문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단말기 전화번호를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문자전송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 또는 방문호수를 입력받고,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상기 입력 받은 방문 호수에 대응되는 집주인 전화번호에 따라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전송부;
집주인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무료문자 대상자 데이터베이스부; 및,
방문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문자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결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료문자 대상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도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문자가 상기 요금결제부를 통해 상기 문자 요금을 결제하면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는,
상기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CCTV 촬영부로부터 상기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문자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문자전송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방문자의 사진 또는 영상을 상기 방문 문자메시지 및 상기 방문자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집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8940U KR200466888Y1 (ko) | 2012-10-04 | 2012-10-04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8940U KR200466888Y1 (ko) | 2012-10-04 | 2012-10-04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735U KR20120008735U (ko) | 2012-12-20 |
KR200466888Y1 true KR200466888Y1 (ko) | 2013-05-10 |
Family
ID=5371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8940U KR200466888Y1 (ko) | 2012-10-04 | 2012-10-04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88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378Y1 (ko) * | 2012-11-28 | 2013-06-17 | 강윤성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935Y1 (ko) | 2001-07-31 | 2001-12-24 | 박원배 | 댁내 부재시 방문자 자동확인 서비스 시스템 |
JP2003018305A (ja) * | 2001-07-03 | 2003-01-17 | Sharp Corp | ドアフォンシステム |
-
2012
- 2012-10-04 KR KR2020120008940U patent/KR20046688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18305A (ja) * | 2001-07-03 | 2003-01-17 | Sharp Corp | ドアフォンシステム |
KR200257935Y1 (ko) | 2001-07-31 | 2001-12-24 | 박원배 | 댁내 부재시 방문자 자동확인 서비스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735U (ko) | 2012-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20459B2 (en) |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 |
US8294574B2 (en) | Securit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 |
KR101187342B1 (ko) |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 |
JP6126751B2 (ja) | 電話発信識別方法、電話発信識別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101716406B1 (ko) |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 |
EP2592830A1 (en) | Video door entry system | |
JP2009052279A (ja) | 集合住宅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FR3043484A1 (fr) | Procede de gestion d'acces a un local | |
KR20140021874A (ko) |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841938B1 (ko) |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JP2015074938A (ja) | 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オートロック扉用の無線認証装置 | |
KR101746114B1 (ko)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영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 |
KR102251931B1 (ko) |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0466888Y1 (ko)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
US1073345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hysical object to be shared by several potential users | |
TW201419223A (zh) | 能即時進行身份比對之安全辨識方法 | |
JP2009030307A (ja) | 集合住宅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KR101736563B1 (ko) | 출입 기기를 이용한 세대 상황 알림 장치 | |
CN106384443B (zh) | 取物提醒的方法及装置 | |
JP5536127B2 (ja) |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 |
JP2019193124A (ja) |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0467378Y1 (ko) |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 |
JP2019193095A (ja) |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 |
KR20150137662A (ko) |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030087313A (ko) |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