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406B1 -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406B1
KR101716406B1 KR1020150126997A KR20150126997A KR101716406B1 KR 101716406 B1 KR101716406 B1 KR 101716406B1 KR 1020150126997 A KR1020150126997 A KR 1020150126997A KR 20150126997 A KR20150126997 A KR 20150126997A KR 101716406 B1 KR101716406 B1 KR 10171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resident
terminal
smart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구
박준규
한원희
박영일
Original Assignee
휴네이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네이처(주) filed Critical 휴네이처(주)
Priority to KR1020150126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방문자 신원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방문자 단말기 및 거주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주거 침입 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에서 방문자 앱을 실행하여 방문지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로부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방문자 앱 실행 단계; 스마트 초인종 서버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통해 읽어들인 거주자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거주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방문자 앱에 초인종 버튼이 활성화되는 초인종 메뉴 실행 단계; 상기 방문자 앱의 활성화된 초인종 버튼이 클릭 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 클릭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는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거주자의 단말기에 초인종 알람을 발생시키는 초인종 알람 단계;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초인종 알람이 클릭 되면 거주자 앱이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가 상기 거주자 앱에 수신되는 방문자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에 수신된 상기 방문자 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문자 신원 확인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은 방문지의 일면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방문자 신원 확인하는 방문자 단말기;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스마트 초인종 서버; 및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거주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SMART DOORBEL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방문자 신원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방문자 단말기 및 거주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주거 침입 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혹은 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홀로 사는 여성을 목표로 한 침입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침입범죄는 주로 택배기사, 검침원 등으로의 신분 사칭을 통해 이루어지며 불특정 방문자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여 신분 사칭을 구분해 내는 것이 침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이다.
기존의 불특정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은 현관문에 있는 도어폰이나 비디오폰 또는 육성을 통한 확인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방문자의 정확한 신분을 확인할 수 없고 만약의 사고발생 시 증거확보기능이 미비해 별도의 보안장치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스마트 도어락등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저장하여 가정이나 원격지에서 집주인의 휴대단말기로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스마트 도어락은 장비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이며 저장된 정보를 저장장치를 통해 이동하여 PC나 단말기에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8679호 한국공개특허 제10-1249811호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 통신 모듈과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별도로 고가의 장비 없이도 가정이나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신원 및 현장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확인여 주거 침입 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게 하고 거주자와 방문자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개인 신변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에서 방문자 앱을 실행하여 방문지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로부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 전송하는 방문자 앱 실행 단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거주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방문자 앱에 초인종 버튼을 활성화하는 초인종 메뉴 실행 단계;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에서 활성화된 초인종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 클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서 상기 일치여부가 확인된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거주자의 단말기에 상기 초인종 버튼의 클릭에 대응하는 초인종 알람을 발생시키는 초인종 알람 단계;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초인종 알람이 클릭되면 거주자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방문자 정보 수신 단계;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수신된 방문자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문자 신원 확인 단계; 상기 방문자 신원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방문자 인증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 방문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방문자 인증 요청 단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는 상기 방문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방문자 정보와 함께 인증 요청을 방문자 인증이 가능한 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방문자 정보 및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거주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문자 인증 단계;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를 표시하는 방문자 인증 확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와 상기 방문자 인증을 위한 협약이 미리 체결된 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상기 방문자 인증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실시간 영상 메뉴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실시간 영상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서 제공하는 WebRTC(Web Real Time Communication)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P2P통신 연결 요청이 전송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수락하여 P2P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실시간 영상이 촬영되어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실시간 방문자 영상 수신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상기 방문자 앱 실행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NFC 태그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을 통해 자동으로 상기 방문자 앱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실행되어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방문자 앱이 설치되지 않아 자동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NFC 태그의 설치 정보를 통해 상기 방문자 앱이 설치된 후 자동 실행되어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거주자 식별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코드부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코드부의 촬영을 통해 상기 코드부에 기록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Wifi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Wifi 모듈에서 송신되는 Wifi 신호를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은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가시광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가시광통신 모듈의 광신호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광신호의 색상, 강도 변조 패턴 또는 온/오프 패턴을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은 방문지에 부착되며 거주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과 통신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방문자 앱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저장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에 대한 거주자 확인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실행된 방문자 앱에 초인종 버튼을 활성화하는 방문자 단말기;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거주자 확인 결과를 상기 거주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초인종 버튼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거주자 확인 결과에 따른 거주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거주자의 단말기로 상기 초인종 버튼의 클릭에 대응하는 초인종 알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마트 초인종 서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상기 초인종 알람을 수신받으면 상기 수신된 초인종 알람을 활성화하고 상기 초인종 알람이 클릭되면 내부에 설치된 거주자 앱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문자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거주자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와 상기 방문자 인증을 위한 협약이 미리 체결되어 상기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에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방문자 인증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 방문자 인증 요청을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는 상기 방문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방문자 정보와 함께 인증 요청을 방문자 인증이 가능한 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방문자 정보 및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거주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은 거주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방문자 앱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은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수행하는 통신의 종류에 따라 NFC 태그, 코드부, 무선 통신 모듈, Wifi 모듈 또는 가시광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NFC 태그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NFC 태그가 태깅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방문자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문자 앱이 자동으로 설치된 후 실행되며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코드부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코드부를 촬영하여 코드에 기록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Wifi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Wifi 모듈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가시광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가시광통신 모듈의 광신호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광신호의 색상, 강도 변조 패턴 또는 온/오프 패턴을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에서 상기 거주자 단말기는 상기 방문자 정보가 수신되면 실시간 영상 메뉴가 활성화되고, 상기 실시간 영상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의 WebRTC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P2P통신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요청을 수락하여 P2P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은 방문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 방문지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과 방문자 및 거주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고 고가의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보안화된 P2P 통신을 통해 방문자의 신분을 확인하기 때문에 거주자의 개인 연락처를 공개하지 않고도 방문자와 영상 및 음성을 교환할 수 있어 거주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실시간 방문자 영상 수신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방문자 인증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스마트 통신 모듈에 실시예들이 적용되었을 때의 방문자 앱 실행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방문자 단말기 및 거주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방문자 앱 및 거주자 앱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은 방문지의 일면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110)과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방문자 신원 확인하는 방문자 단말기(120)와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 및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거주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에는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관 서버(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은 방문지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로써 상기 방문지 및 거주자를 식별하기 위한 거주자 식별정보(20)를 저장하며 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은 일 예로 NFC 태그와 같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 또는 QR Code(Quick Response Code), Bar Code 등과 같은 코드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Wifi(Wireless fidelity), 가시광통신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스마트 통신 모듈(110)의 일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문자 단말기(120)와의 통신을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20)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라면 본 발명의 적용 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는 상기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Application)이 실행 가능한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는 상기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을 통해 방문자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방문자 앱(121) 및 거주자 앱(141)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는 상기 방문자 앱(131) 및 상기 거주자 앱(141)을 실행하여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방문자 및 거주자의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전송하며 방문자 신원 확인을 위해 상기 방문자 앱(131) 및 상기 거주자 앱(141)의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방문자 앱(131) 및 상기 거주자 앱(141)에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상기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방문자 신원 확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와 3G 및 LTE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방문자 앱(121) 및 상기 거주자 앱(141)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송수신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방문자가 방문지에 도착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방문자 앱(121)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되면(201) 방문지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13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10)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를 읽어들인다.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는 거주지 또는 거주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거주자가 정한 고유의 숫자/문자/기호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는 읽어들인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를 상기 방문자 앱(121)을 통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받은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에 포함된 거주자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202) 그 결과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상기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는 상기 거주자 앱(141)을 통해 미리 입력되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저장된 정보로써 거주자의 이름, 전화번호 및 거주자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 확인 결과(21)가 일치하는 것으로 수신되면(203)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실행된 상기 방문자 앱에 초인종 버튼이 활성화 되고(204)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 확인 결과(21)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수신되면(203) 상기 방문자 앱(121)이 종료된다(205).
활성화된 상기 방문자 앱(121)의 초인종 버튼이 클릭 되면(206)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초인종 클릭정보(30)가 전송되고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와 일치하는 거주자의 단말기(140)에 초인종 알람(31)을 발생시킨다.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발생된 상기 초인종 알람(31)이 선택되면(207)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거주자 앱(141)이 실행되고(208) 상기 거주자 앱(141)에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40)가 수신된다. 상기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40)는 상기 방문자 앱(141)을 통해 미리 입력되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저장된 정보로써 방문자의 사진, 이름, 전화번호, 소속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거주자는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서 상기 거주자 앱(141)에 수신된 상기 방문자 정보(40)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다(209).
또한, 본 발명에서 거주자는 상기 방문자 정보(40)뿐 아니라 방문자의 실시간 영상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방문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실시간 방문자 영상 수신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문자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실시간 영상 메뉴가 도시되고 상기 실시간 영상 메뉴가 선택되면(301)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는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예를 틀어 WebTC(Web Real Time Communication)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P2P통신 연결 요청(50)을 보낸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가 상기 P2P통신 연결을 수락하면(302)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와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간의 P2P통신이 연결되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시간 방문자 영상(51)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의 WebRTC 서비스를 통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전송된다. 거주자는 상기 실시간 방문자 영상(51)을 통해 방문자의 신원 및 방문자 주변 상황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303).
또한, 본 발명에서 거주자는 방문자의 휴대폰 또는 기관 서버를 통한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방문자 인증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방문자 휴대폰을 통한 방문자 인증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방문자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방문자 인증 메뉴가 도시되고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가 선택되면(401)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로 방문자 인증 요청(60)이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휴대폰 인증을 요청한다. 휴대폰 인증은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서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암호화된 비밀번호(70)가 발급된 후, 상기 방문자 앱(121)의 방문자 인증 창에 비밀번호(71)가 기재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가 상기 기재된 비밀번호(71)와 상기 암호화된 비밀번호(70)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휴대폰 인증이 완료되면(402)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방문자 인증 결과(61)를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로 전송하며 거주자는 상기 방문자 인증 결과(61)를 확인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기관 서버를 통한 방문자 인증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만약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상기 방문자 앱(121)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 최초로 설치되고 실행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40)가 없기 때문에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서 상기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40)만으로는 방문자의 신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방문자 단말기에 방문자 앱이 최초로 실행되어 방문자의 휴대폰 번호 외에 다른 정보가 없을 때 방문자가 본인의 신원을 택배 배달원이라고 밝힌 상황에서 방문자의 휴대폰 번호만으로는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은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기관 서버(150)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방문자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방문자 인증 메뉴가 도시되고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가 선택되면(410)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로 방문자 인증 요청(62)이 전송된다.
이때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실행되는 상기 거주자 앱(141)에는 상기 기관 서버(150)를 통한 방문자 인증 메뉴가 추가로 구성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에서 상기 기관 서버를 통한 인증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문자 인증 요청(62)을 받은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상기 기관 서버(150)에 방문자 신원 인증 요청(63)과 함께 인증에 사용될 상기 방문자의 휴대폰 번호(64)를 전송한다.
상기 기관 서버(150)는 상기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의 방문자 인증을 위한 협약이 미리 체결된 기관의 서버로써 이동통신사, 택배회사 및 공공기관 등의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방문자의 휴대폰 번호(64)와 방문자 신원 인증 요청(63)을 수신받은 상기 기관 서버(150)는 상기 방문자의 휴대폰 번호(64)를 기저장된 신원 인증 데이터를 검색하여 동일한 휴대폰 번호(64)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여 해당 신원 인증 데이터(65)를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에 전송한다.
상기 기저장된 신원 인증 데이터는 이름, 소속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미리 신원 인증 데이터 제공인으로부터 신원 정보 제공을 동의받아 저장된다.
상기 신원 인증 데이터(65)를 수신받은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130)는 상기 신원 인증 데이터(66)를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거주자 단말기(140)는 상기 신원 인증 데이터(66)를 상기 거주자 앱(141)에 표시하여 상기 방문자의 소속정보등을 통해 신원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의 스마트 통신 모듈(110)에는 태그, 코드 및 각종 통신 모듈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종류에 따라 방문자 앱의 실행 및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과정에 차이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의 스마트 통신 모듈에 실시예들이 적용되었을 때의 방문자 앱 실행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a는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NFC 태그가 적용되었을 때의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이 NFC 태그(111)인 경우, 먼저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를 상기 NFC 태그(111)에 태깅하면(510) 상기 방문자 단말기(12)는 상기 NFC 태그(111)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20)와 방문자 앱 실행/설치 명령(511)을 받아 상기 방문자 앱(121)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만약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상기 방문자 앱(121)이 설치되지 않아 자동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512), 자동으로 상기 방문자 앱(121)이 설치되고(514)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 실행되어(513) 상기 NFC 태그(111)에 기록된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20)를 읽어들인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방문자의 선택에 의해 방문자 앱(121)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b는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QR Code 등의 코드부가 적용되었을 때의 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이 코드부(112)인 경우, 먼저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상기 방문자 앱(121)을 실행하여(520) 스마트 통신 모듈(110)의 종류를 코드부(112)로 선택한다(521). 코드부(112)가 선택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의 카메라가 자동으로 실행되고(522) 상기 코드부(112)를 촬영하여(523) 코드부에 기록된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20)를 읽어들인다.
도 5c는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무선 통신 모듈이 적용되었을 때의 흐름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이 무선 통신 모듈(113)인 경우, 먼저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상기 방문자 앱(121)을 실행하여(530) 스마트 통신 모듈(110)의 종류를 무선 통신 모듈(113)로 선택한다(531). 무선 통신 모듈(113)이 선택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검색하여(532) 연결을 요청한다(533). 상기 무선 통신 모듈(113)에서 연결을 수락하면(534) 무선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13)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20)를 읽어들인다.
도 5d는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Wifi 모듈이 적용되었을 때의 흐름도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이 Wifi 모듈(114)인 경우, 먼저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상기 방문자 앱(121)을 실행하여(540) 스마트 통신 모듈(110)의 종류를 Wifi 모듈(114)로 선택한다(541). Wifi 모듈(114)이 선택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Wifi 신호를 검색하여(542) 연결한 다음(543) 상기 Wifi 통신 모듈(114)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20)를 읽어들인다.
도 5e는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가시광통신 모듈이 적용되었을 때의 흐름도이다.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110)이 가시광통신 모듈(115)인 경우, 먼저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상기 방문자 앱(121)을 실행하여(550) 스마트 통신 모듈(110)의 종류를 가시광통신 모듈(115)로 선택한다(551). 가시광통신 모듈(115)이 선택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의 카메라가 자동으로 실행되고(552) 상기 가시광통신 모듈(115)은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를 인코딩하고(553), 그 인코딩된 거주자 식별정보(20)에 대응하도록 광송신부에서 색상, 강도 변조 또는 온/오프를 통해 광신호를 송출한다(554).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의 카메라는 상기 가시광통신 모듈(115)의 광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를 촬영하여(555) 이미지 프레임을 디코딩하여(556) 상기 촬영된 광신호의 색상, 강도 변조 패턴 또는 온/오프 패턴을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를 추출하여 읽어들인다(557). 즉,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에 대응하도록 광신호의 색상, 강도 변조 패턴 또는 온/오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광신호의 색상 패턴별로 거주자 식별정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광신호의 세기를 변조하여 광신호의 세기 패턴에 따라 거주자 식별정보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광신호의 온/오프 패턴에 따라 거주자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100)의 각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방문자 앱(121) 및 상기 거주자 앱(141)은 상술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 구성 및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방문자 단말기 및 거주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방문자 앱 및 거주자 앱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방문자 신원 확인의 실시 예이다.
먼저 맨 좌측의 그림처럼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실행된 방문자 앱(121)에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20)에 따른 방문지 정보가 표시되고 초인종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버튼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두번째 그림처럼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초인종 알람이 뜨게 된다. 거주자가 초인종 알람의 초인종 버튼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맨 우측의 그림과 같이 방문자의 정보가 표시되고 추가적인 방문자 신원 확인을 위한 '실시간 영상 보기'와 '방문자 인증 하기' 메뉴 버튼이 활성화 된다.
도 6b는 '실시간 영상 보기' 메뉴 실행의 실시 예이다.
좌측의 그림과 같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서 실행된 거주자 앱(141)의 '실시간 영상 보기' 메뉴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는 우측 그림처럼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서 촬영되고 있는 방문자의 실시간 영상이 표시되며 추가적인 기능으로 '음성 통화 하기'와 '문자 전송 하기' 메뉴 버튼이 활성화된다. 거주자는 음성 통화 및 문자 전송을 통해 방문자에게 직접 방문 목적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재중인 경우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c는 '방문자 인증 하기' 메뉴 실행의 실시 예이다.
좌측 상단 그림과 같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서 실행된 거주자 앱(141)의 '방문자 인증 하기' 메뉴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우측 상단 그림처럼 인증번호가 문자 등의 방식으로 전송되고 우측 하단 그림처럼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120)에 실행된 방문자 앱(121)의 휴대폰 인증창에 기재하고 인증 버튼을 클릭하면, 인증 결과가 좌측 하단 그림과 같이 상기 거주자 단말기(140)에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10 : 스마트 통신 모듈
120 : 방문자 단말기 130 : 스마트 초인종 서버
140 : 거주자 단말기

Claims (23)

  1. 방문자 단말기에서 방문자 앱을 실행하여 방문지에 부착된 스마트 통신 모듈로부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 전송하는 방문자 앱 실행 단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거주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방문자 앱에 초인종 버튼을 활성화하는 초인종 메뉴 실행 단계;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에서 활성화된 초인종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 클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서 상기 일치여부가 확인된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거주자의 단말기에 상기 초인종 버튼의 클릭에 대응하는 초인종 알람을 발생시키는 초인종 알람 단계;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초인종 알람이 클릭되면 거주자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방문자 정보 수신 단계;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수신된 방문자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문자 신원 확인 단계;
    상기 방문자 신원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방문자 인증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 방문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방문자 인증 요청 단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는 상기 방문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방문자 정보와 함께 인증 요청을 방문자 인증이 가능한 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방문자 정보 및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거주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문자 인증 단계; 및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를 표시하는 방문자 인증 확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 서버는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와 상기 방문자 인증을 위한 협약이 미리 체결된 기관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실시간 영상 메뉴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실시간 영상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에서 제공하는 WebRTC(Web Real Time Communication)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P2P통신 연결 요청이 전송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수락하여 P2P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실시간 영상이 촬영되어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실시간 방문자 영상 수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앱 실행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NFC 태그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을 통해 자동으로 상기 방문자 앱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실행되어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방문자 앱이 설치되지 않아 자동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NFC 태그의 설치 정보를 통해 상기 방문자 앱이 설치된 후 자동 실행되어 상기 NFC 태그에 기록된 상기 거주자 식별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코드부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코드부의 촬영을 통해 상기 코드부에 기록된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Wifi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Wifi 모듈에서 송신되는 Wifi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가시광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앱이 수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가시광통신 모듈의 광신호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광신호의 색상, 강도 변조 패턴 또는 온/오프 패턴을 통해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실행방법.
  12. 방문지에 부착되며 거주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과 통신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방문자 앱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에 저장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에 대한 거주자 확인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실행된 방문자 앱에 초인종 버튼을 활성화하는 방문자 단말기;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거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거주자 확인 결과를 상기 거주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초인종 버튼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거주자 확인 결과에 따른 거주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거주자의 단말기로 상기 초인종 버튼의 클릭에 대응하는 초인종 알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마트 초인종 서버;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상기 초인종 알람을 수신받으면 상기 수신된 초인종 알람을 활성화하고 상기 초인종 알람이 클릭되면 내부에 설치된 거주자 앱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문자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거주자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와 상기 방문자 인증을 위한 협약이 미리 체결되어 상기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에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방문자 인증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방문자 인증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로 방문자 인증 요청을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는 상기 방문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방문자 정보와 함께 인증 요청을 방문자 인증이 가능한 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방문자 정보 및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거주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거주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주자 앱을 통해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은 거주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방문자 앱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거주자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은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수행하는 통신의 종류에 따라 NFC 태그, 코드부, 무선 통신 모듈, Wifi 모듈 또는 가시광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NFC 태그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NFC 태그가 태깅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방문자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문자 앱이 자동으로 설치된 후 실행되며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코드부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코드부를 촬영하여 코드에 기록된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Wifi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Wifi 모듈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모듈이 가시광통신 모듈인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상기 방문자 앱이 수동으로 실행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가시광통신 모듈의 광신호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광신호의 색상, 강도 변조 패턴 또는 온/오프 패턴을 통해 거주자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자 단말기는 상기 방문자 정보가 수신되면 실시간 영상 메뉴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실시간 영상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초인종 서버의 WebRTC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P2P통신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요청을 수락하여 P2P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50126997A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171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997A KR101716406B1 (ko)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997A KR101716406B1 (ko)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406B1 true KR101716406B1 (ko) 2017-03-27

Family

ID=5849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997A KR101716406B1 (ko)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4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0496A (ja) * 2017-09-08 2019-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応答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9559462A (zh) * 2019-01-18 2019-04-02 苏州优智达机器人有限公司 一种便于与机器人互动的门铃装置
KR101993207B1 (ko) * 2018-12-18 2019-09-30 백현민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KR102071185B1 (ko) * 2019-06-18 2020-01-29 백현민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호출 시스템
WO2020204432A1 (ko) * 2019-04-02 2020-10-08 서영규 방문자 확인 시스템
KR20200116847A (ko) * 2019-04-02 2020-10-13 서영규 방문자 확인 시스템
WO2023219649A1 (en) * 2022-05-10 2023-11-16 Google Llc Context-based user interf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79B1 (ko)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KR101249811B1 (ko) 2012-11-26 2013-04-05 김선욱 원격으로 개폐 제어가 가능한 홈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4489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핑거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콘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 폰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20150000353A (ko) *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브랜덤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79B1 (ko)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KR20130064489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핑거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콘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 폰
KR101249811B1 (ko) 2012-11-26 2013-04-05 김선욱 원격으로 개폐 제어가 가능한 홈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20150000353A (ko) *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브랜덤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0496A (ja) * 2017-09-08 2019-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応答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993207B1 (ko) * 2018-12-18 2019-09-30 백현민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CN109559462A (zh) * 2019-01-18 2019-04-02 苏州优智达机器人有限公司 一种便于与机器人互动的门铃装置
WO2020204432A1 (ko) * 2019-04-02 2020-10-08 서영규 방문자 확인 시스템
KR20200116847A (ko) * 2019-04-02 2020-10-13 서영규 방문자 확인 시스템
KR102265138B1 (ko) * 2019-04-02 2021-06-15 서영규 방문자 확인 시스템
US11991584B2 (en) 2019-04-02 2024-05-21 Young Kyu Seo Visitor identification system
KR102071185B1 (ko) * 2019-06-18 2020-01-29 백현민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호출 시스템
WO2023219649A1 (en) * 2022-05-10 2023-11-16 Google Llc Context-based user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06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CN107004312B (zh) 用于提供进入建筑物中的访客受控通路的方法
JP5164448B2 (ja) 正当性認証システム及び正当性認証方法
US8429732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6056707A (zh) 一种小区网络门禁方案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5592146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1511085A (zh) 一种利用身份识别限制使用移动终端功能的方法及设备
EP3166088A1 (fr) Procede de gestion d'acces a un local
KR101577036B1 (ko) Ip 카메라 기반의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074879A (zh) 服务器以及接待用画面的显示方法
KR20130142646A (ko) Qr코드를 이용한 그룹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00372B2 (ja) 認証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102001607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617228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15121969A (ja) 携帯端末、業務情報管理システム、業務情報管理方法および業務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2436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금고 운영 방법
KR101234927B1 (ko) 근거리 내 상대방의 실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이용한 모바일채팅 방법 및 장치
US11991584B2 (en) Visitor identification system
KR102547371B1 (ko) 출입 관리를 위한 등록 및 관리 시스템
KR200466888Y1 (ko) 범죄예방을 위한 방문자 확인 장치
KR20130101658A (ko)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4241642B (zh) 一种门禁实现方法、访客终端和门禁设备
KR20170009664A (ko) 비대면 신원확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