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207B1 -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207B1
KR101993207B1 KR1020180164627A KR20180164627A KR101993207B1 KR 101993207 B1 KR101993207 B1 KR 101993207B1 KR 1020180164627 A KR1020180164627 A KR 1020180164627A KR 20180164627 A KR20180164627 A KR 20180164627A KR 101993207 B1 KR101993207 B1 KR 10199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nitoring data
signal
bel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민
Original Assignee
백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민 filed Critical 백현민
Priority to KR102018016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3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replying the identity and the state of the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근접 위치한 사용자 기기에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호출벨 ID를 전송하는 호출벨, 상기 호출벨로부터 호출벨 ID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벨 ID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화면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기기와의 통화가 수행되면 호스트 기기에 전달할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호출 신호를 전달할 호스트 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기기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 전달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호출 신호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호출 신호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호스트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기 연동된 호출벨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Calling system to perform situation analysis}
본 발명은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호출 신호를 발생한 사용자 기기 또는 호출벨에 의해 입력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공동현관은 평상시 폐쇄 되어 있으며, 외부인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로비폰을 통해 특정 세대를 호출하여 통화를 연결하고 도어 개방을 요청해야 한다.
또한 외부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출입구에는 차단바가 설치되어 있고 방문자는 차단바 인근에 마련된 호출벨을 눌러 관제실과 통화하여 차단바 개방을 요청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호출 시스템들은 출입구에 로비폰이나 호출벨을 구비하고, 상황실이나 각각의 세대(또는 사무실)마다 통신 선로가 연결되어야 해서 초기 구축 비용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차량을 이용하여 출입구에 도착하면 호출벨을 누르기 위해 차량에서 내려야 하거나 호출벨에 아주 가깝게 차량을 접근시켜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호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호출하는 경우에 대한 별도의 안전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종래의 호출 시스템은 긴급 또는 위급 상황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관리자 호출 기능을 갖는 호출 시스템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05111호(2010.05.19. '무선 호출 버튼을 이용한 경보 및 위치 알림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로비폰이나 통신 선로를 매설하지 않더라도 비콘벨과 방문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각 세대나 관리자와 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호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호출벨 및 사용자 소유의 기기를 통해 호출 신호와 함께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에 대응하는 후속 조치를 취하기 위해 기 연동된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근접 위치한 사용자 기기에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호출벨 ID를 전송하는 호출벨, 상기 호출벨로부터 호출벨 ID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벨 ID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화면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기기와의 통화가 수행되면 호스트 기기에 전달할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호출 신호를 전달할 호스트 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기기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 전달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호출 신호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호출 신호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호스트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기 연동된 호출벨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호출벨 및 사용자 소유의 기기를 통해 호출 신호와 함께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기 연동된 주변 장치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긴급 상황의 유형에 대응하는 후속 조치를 처리하므로, 사용자를 위험상황으로부터 구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긴급 상황 판단하는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서버 100, 호출벨 200, 사용자 기기 300 및 호스트 기기 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호출벨은 기존 주거시설에 존재하던 종래의 인터폰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호출벨 200을 살펴보면 사용자 기기 300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호출기능 전반을 제어하는 서버 100,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 기기로 비콘신호를 전달하는 호출벨 200과, 상기 서버 100에서 지원하는 호출 기능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호출벨 2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버 100로부터 상기 호출벨 200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 300, 사용자 기기 300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 100를 통해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호스트 기기 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의 호출 신호에 따라 호스트 기기 400에 호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 400에서 상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서버 100는 상기 호스트 기기 400와 사용자 기기 300간의 통화 연결 또는 그에 상응하는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주거지 외에도 다양한 장소 및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호출 시스템은 ATM 등에서 고객이 원거리에 있는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시스템은 회사 출입문에서 사무실 부서 호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시스템은 주차장의 무인 요금 정산기에서의 관제실 호출, 선박 등에서 비상벨 호출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및 제어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30는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 주변장치 제어부 132 및 호출기능 제어부 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성 신호 분석부 131a, 영상 신호 분석부 131b, 통계부 13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호출벨 200, 사용자 기기 300, 호스트 기기 400 및 기타 주변 장치(예, CCTV) 등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하는 호스트 기기의 호출을 위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 110는 호스트 기기로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통신부 11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공개수배자의 신상 정보와 같은 범죄자 판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외부 웹 서버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호출벨 또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촬영된 모니터링 데이터(제 1 모니터링 데이터) 및 긴급 상황에서 주변장치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제 2 모니터링 데이터)에서 공개수배자의 모습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호스트 기기 400로부터 전달된 모니터링 관련 명령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호출벨 또는 사용자 기기 측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 110는 호출벨 및 사용자 기기 외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 등록된 주변 기기(예, CCTV 등)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모니터링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의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 120는 호출벨 200 또는 사용자 기기 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언어 감지, 인물 감지, 사운드 감지 및 동작 감지 등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 120는 예컨대, 모니터링 데이터에 대한 언어 감지를 수행하기 위해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모니터링 데이터에서 모션, 언어, 얼굴 이미지 등을 감지하는 데 요구되는 이미지 정보, 언어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서버 100는 모니터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긴급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록된 사운드로부터 발언 속도, 호흡(예, 호흡의 가쁜 정도 등), 말투(예, 더듬거리는 횟수 등)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 120는 이러한 특징 추출에 요구되는 정보, 명령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부 120는 서버 100에서 수행되는 동작 전반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상기 서버 100를 통해 산출된 정보(예,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통계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 120는 호출벨 ID별 대응하는 호출 지원 화면, 호스트 기기 호출에 요구되는 호스트 기기 및 호스트 정보, 사용자 계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30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기 연동된 호출벨의 주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30는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 주변 장치 제어부 132, 호출 기능 제어부 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임 여부를 판단하되, 모니터링 데이터 상의 인물의 동작, 표정, 음성 및 인상착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는 음성 신호 분석부 131a, 영상 신호 분석부 131b, 통계부 13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모니터링 대상의 목소리, 어투 및 발언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록된 사운드로부터 발언 속도, 호흡(예, 호흡의 가쁜 정도 등), 말투(예, 더듬거리는 횟수 등)의 특징을 저장부 120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록된 발언 내용을 음성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사용자가 하는 말의 내용과, 발언 속도, 호흡의 가쁜 정도, 말투 등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여부는 기록된 음성 내용에 기 설정된 특정 단어(예, 빨리, 얼른 등)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기록된 음성 내용이 경찰, 병원 등의 구조를 요청하는 내용인지의 여부 등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여부는 발언 속도가 기 설정된 빠르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언 중 호흡 사운드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 감지되는 경우, 더듬거리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녹음된 사운드(예, 제 2 모니터링 데이터의 사운드)로부터 촬영된 대상의 목소리 주파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기 저장된 범죄자 정보(예, 범죄자의 기 확보된 음성 정보)와 획득된 촬영 대상의 목소리 주파수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경찰 측 서버로 제공하여 범죄자 도주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사람의 음성뿐 아니라 다양한 사운드의 유형을 종류별로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사람의 언어적 사운드 뿐 아니라, 자동차의 엔진 소리, 충돌음, 빗소리, 동물의 울음소리 등과 관련된 비언어적 사운드를 감지할 수 있고, 비언어적 사운드의 반복 횟수, 소리의 크기 등에 기반하여 이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의 정상 범위와 이상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은 저장부 12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는 이상 요인이 다수개 감지될수록 긴급 상황의 정확도를 높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높아질수록 다수개의 주변장치 및 서버 측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호출벨 200의 카메라만을 제어하고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호출벨과 해당 호출벨의 비콘 발송 거리 범위에 있는 사용자 기기로 모니터링 동작을 요청함과 동시에,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제 2모니터링 데이터)를 경찰측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모니터링 대상의 동작, 표정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영상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데이터 상의 인물의 동작(걸음걸이, 제스처의 속도 등), 표정, 인상착의(예, 헤어스타일, 몸매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제 1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미 긴급 상황인 것으로 확인되어 추가의 영상 정보를 주변장치에 요청한 경우 제 2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상황 판단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촬영된 대상 인물의 다급성이 보이는 행동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촬영된 대상의 제스처의 속도의 빠르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촬영된 대상의 제스처 속도가 빠를수록 다급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촬영된 대상 인물의 표정에서 웃음기가 확인되는지 여부, 찡그린 표정을 짓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웃음기가 없고 찡그린 표정일수록 긴급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기준 정보를 통해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사용자가 호출 요청시 보이는 태도, 모습을 기반으로 현재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수화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수화의 내용이 긴급한 도움을 요청하는 내용으로 해석될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긴급 상황 감지에 따라 주변장치(예, CCTV, 타 사용자 기기 등)로부터 촬영된 제 2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데이터에 촬영된 인물의 얼굴 이미지 및 행동 정보와 기 저장된 범죄자 정보, 범죄 행동 정보, 위험 상황 정보 등을 비교하여, 일치 비율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범죄자 특정, 문제 원인 특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제 2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공개수배자의 얼굴 이미지와 동일한 대상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폭력적 동작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제 2 모니터링 데이터에서 감지된 문제 상황 정보를 경찰측 서버, 건물 관리자측 서버로 제공되거나 이들에 의해 열람 가능하도록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 131a 및 영상 신호 분석부 131b는 다양한 유형의 긴급 상황을 판단하는 유형별 긴급 상황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에서 감지하는 유형별 긴급 상황 판단은 예컨대, 범죄 상황, 재난 상황, 구조 및 구급 상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는 판단된 긴급 상황의 유형에 대응하여 경찰서, 앰뷸런스, 소방서 측으로 모니터링 데이터 및 사용자 기기(또는 호출벨)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는 호스트 기기 400측에서 기 설정한 특정 인물 정보를 모니터링 데이터에서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호스트는 예컨대, 범죄자, 스토커와 같이 기피 대상에 대한 인물 정보를 서버 1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인물 정보는 얼굴 이미지 정보, 통화 목소리 정보, 의사전달 내용(예, 특정 단어가 포함된 발언을 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기피 대상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 메뉴에는 예컨대, '얼굴의 80%를 가린 사람', '검정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 등과 같은 선택 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통계부 131c는 긴급 상황 발생과 관련된 통계 정보를 산출하되, 시간대, 지역, 연령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따른 긴급 상황 발생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통계 정보는 추후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1에서의 긴급 상황의 정확도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서버 100의 제어부 130의 구성 중 주변장치 제어부 132는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기 연동된 주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변장치 제어부 132는 예컨대, 호출벨, 상기 호출벨의 주변 위치에 존재하는 CCTV 및 상기 호출벨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 비콘 신호를 송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장치 제어부 132는 모니터링 데이터(예, 영상 데이터)에 촬영된 정보에 포함된 음성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가 기 등록된 기피 대상에 대한 인물 정보와 조건이 일치하는 경우 호출벨 및 호출벨 주변의 기 연동된 CCTV 및 방범장치에 대하여 방범 기능(예, 얼굴 이미지 확대 모니터링, 이동 경로 모니터링 등)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변장치 제어부 132는 영상 데이터 상의 동작, 안면 및 인상착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기 연동된 주변 장치를 이용한 방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주변장치 제어부 132는 방범 기능에 의해 획득된 기피 대상의 모니터링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고, 경찰, 관리자 측 서버로 주기적으로 자동 전송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사용자 기기 300로부터 호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 100로 호출벨 ID를 전송하면, 해당 호출벨 ID가 속한 유형의 호출 요청 화면(예, 호출 요청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 화면)을 검색 및 사용자 기기 3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호출 신호에 포함된 호출 대상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호출 대상으로 호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호출 대상이 되는 호스트 기기 400는 상기 서버 100에서 지원하는 호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였거나 호스트 기기 400에 대한 정보(예, 전화번호 등)가 서버 100의 저장부 120에 기 등록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호출벨 200 또는 사용자 기기 300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호스트 기기 400로 호출 신호를 전달하며, 호스트 기기 400측으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면 상기 호스트 기기 400와 호출벨 200 또는 사용자 기기 300가 통화할 수 있도록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통화 연결 시, 호출벨 200 또는 사용자 기기 300로부터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 40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벨 200은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제어부 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통신부 210는 BLE 모듈 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230는 호출 요청 판단부 231, 모니터링부 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10는 BLE 모듈 211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근접한 사용자 기기 300측에 BLE 신호(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비콘 신호에는 호출벨이 갖는 고유 ID가 포함될 수 있다. 호출벨 ID는 추후 사용자 기기 300측에서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 기기 300에 의해 서버 1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 100는 상기 호출벨 ID를 수신하면 수신한 호출벨 ID에 기반하여 해당 호출벨에 대응하는 호출 지원 화면을 검색하고 이를 매칭하여 사용자 기기 300측에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20는 비콘 전송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 220는 비콘 전송 주기, 비콘 전송 조건, 비콘 신호에 포함할 정보의 내용 등의 비콘 전송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2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호출벨 200에서 생성되는 모니터링 데이터, 서버 또는 호스트 기기의 명령에 따른 동작 구동 조건 등에 대한 프로그래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30는 호출 요청 판단부 231 및 모니터링부 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호출벨에 근접한 사용자 기기 300측에 비콘 신호를 통해 호출벨 ID를 전송하는 동작을 비롯하여, 호출벨에서 수행하는 호스트 기기 호출과 관련된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30의 호출 요청 판단부 231는 호출벨 200의 일 버튼을 조작하여 직접 호스트 기기를 호출하는 직접 호출 요청 동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요청 판단부 23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서 발생되는 호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동작을 기 연동된 호스트 기기 400측 또는 서버 100(예, 서버100를 통해 호스트 기기 400로 전달)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30의 모니터링부 232는 서버 100 또는 호스트 기기 400측의 명령이 모니터링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카메라부(미도시), 오디오처리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니터링부 232는 서버 100로부터 긴급 상황 감지에 따른 모니터링 동작 명령이 수신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부 232는 호출벨 200의 카메라, 마이크 등을 활용한 호출벨 200 주변의 모니터링(촬영, 녹음 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300는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입력부 330, 표시부 340, 오디오처리부 350, 카메라부 360 및 제어부 3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370는 호출벨 신호 감지부 371,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310는 호출벨 200로부터 제공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출벨 2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는 해당 호출벨의 ID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310는 서버100 로의 호출 신호 전달을 위한 정보 송신 동작 및 서버 100로부터의 호출 요청 화면 수신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 310는 호출벨 200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320는 서버 100에서 제공하는 호출 요청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320는 모니터링 데이터 생성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320는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 320는 호출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330는 호출 요청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 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정보 입력 방식은 예컨대 키 입력, 터치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34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호출 요청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호출 신호와 관련된 정보(예, 호출하고자 하는 동, 호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340는 호출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호출 동작에 의해 호스트 기기 4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모니터링 데이터 생성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 340는 호스트 기기 400로 전송할 동영상의 촬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 350 및 카메라부 36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과 관련된 촬영 및 음성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370는 호출벨 신호 감지부 371,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호출벨 신호 감지부 37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출벨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벨 신호 감지부 371은 호출벨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신호에 포함된 호출벨 관련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호출벨 신호 감지부 371는 호출벨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 100로 상기 비콘 신호 내 포함된 호출벨 ID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화면을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호출벨로부터 비콘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대응하여 수신되는 호출 요청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호출 요청 화면은 호출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표시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하에 별도의 웹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호출 요청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호출 신호를 서버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호출 명령은 호출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출 명령은 호출 목적의 유형(예, 호스트와의 통화 요청, 방범 기능 요청 등)에 관한 정보(예,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언급된 정보들을 호출 요청 화면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기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데이터의 가공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수화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 기기 300 또는 호출벨 200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로 입력된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공하는 동작은 수화를 통역한 내용을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 기능 제어부 133는 이와 같이 가공 동작의 결과로 산출된 통역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 400에 추가로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서버 100는 호스트 기기 400와 호출한 사용자를 통화 연결할 시, 원본 모니터링 데이터 뿐 아니라 호출 기능 제어부 133에 의해 산출된 통역 데이터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서버 100에 호출 신호를 전달한 후, 호스트 기기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버 100의 중개 하에 호스트 기기와의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시, 오디오 처리부 350 및 카메라부 3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데이터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는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음성, 얼굴 이미지, 모션 등을 촬영 및 녹음한 정보일 수 있다. 호스트는 호스트 기기 400로 출력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확인하여 호출한 사용자의 신원 또는 용무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속 절차(예, 현관문 오픈, 구조 요청 등)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사용자가 먼저 호출 요청을 수행한 경우가 아닌 특수 상황(예, 범죄가 의심되는 긴급 상황)하에서도 서버 100 또는 호스트 기기 400를 통해 모니터링 데이터 생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모니터링 데이터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호출벨 기능 지원부 372는 모니터링 데이터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화면 상에 '위급 상황 감지로 인해 모니터링 데이터가 요청되었습니다.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선택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승인 하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출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벨 ID를 수신하는 605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수신된 호출벨 ID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화면을 제공하는 6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호출 요청 화면 상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호출 대상 정보 및 호출 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서버 100는 이를 수신하는 6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호출대상 확인 및 호출 대상의 기기(예, 선택한 아파트 동,호수에 대응하는 호스트 기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6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호출 대상이 호출 신호에 응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6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응답하지 않는 경우 호출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호출 대상이 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을 수행하는 63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공 필요성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630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원본 모니터링 데이터 및 가공 결과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로 전송하는 6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긴급 상황 판단하는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서버 100는 호출 신호와 함께 모니터링 데이터를 호출벨 또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705동작이 수행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긴급성 요소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7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치 이상의 긴급성 요소가 감지되는 경우는 예컨대, 긴급 상황의 정확도가 일정 확률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 100는 기준치 이상의 긴급성 요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모니터링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에 전달하는 715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서버 100는 기준치 이상의 긴급성 요소가 감지되는 경우 긴급 상황 유형을 판단하는 72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긴급 상황 유형은 예컨대, 범죄 상황, 구조 상황, 재해 상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긴급 상황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대처 기능을 수행하는 7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31 :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
132 : 주변 장치 제어부
133 : 호출기능 제어부
131a : 음성 신호 분석부
131b : 영상 신호 분석부
131c : 통계부
200 : 호출벨
231 : 호출 요청 판단부
232 : 모니터링부
300 : 사용자 기기
371 : 호출벨 신호 감지부
372 : 호출벨 기능 지원부
400 : 호스트 기기

Claims (7)

  1. 근접 위치한 사용자 기기에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호출벨 ID를 전송하는 호출벨;
    상기 호출벨로부터 호출벨 ID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벨 ID에 대응하는 호출 요청 화면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기기와의 통화가 수행되면 호스트 기기에 전달할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호출 신호를 전달할 호스트 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기기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 전달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호출 신호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호출 신호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호스트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기 연동된 호출벨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임 여부를 판단하되, 모니터링 데이터 상의 인물의 동작, 표정, 음성 및 인상착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되, 긴급 상황의 유형 및 긴급한 정도를 분류하고, 상기 긴급 상황의 유형인 범죄 상황, 재난 상황 및 구조/구급 상황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경찰서, 앰뷸런스 및 소방서 각각으로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는
    모니터링 대상의 목소리, 어투 및 발언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음성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신호 분석부는
    이상 요인이 다수개 감지될수록 상기 긴급 상황의 정확도를 높게 측정하고, 상기 정확도가 높아질수록 다수개의 주변장치 및 상기 서버 측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는
    모니터링 대상의 동작, 표정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신호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신호 분석부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수화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화의 내용이 긴급한 도움을 요청하는 내용으로 해석될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가공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고, 수화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로 입력된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수화를 통역한 내용을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상기 가공의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가공의 동작의 결과로 산출된 통역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에 추가로 전달하도록 지원하는 호출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부는
    긴급 상황 발생과 관련된 통계 정보를 산출하되, 시간대, 지역, 연령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따른 긴급 상황 발생 비율을 산출하는 통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기 연동된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주변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변장치 제어부는
    호출벨, 상기 호출벨의 주변 위치에 존재하는 CCTV 및 상기 호출벨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 비콘 신호를 송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시스템.
  7. 삭제
KR1020180164627A 2018-12-18 2018-12-18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KR10199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27A KR101993207B1 (ko) 2018-12-18 2018-12-18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27A KR101993207B1 (ko) 2018-12-18 2018-12-18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411A Division KR102071185B1 (ko) 2019-06-18 2019-06-18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호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207B1 true KR101993207B1 (ko) 2019-09-30

Family

ID=6809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627A KR101993207B1 (ko) 2018-12-18 2018-12-18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2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306A (ko) * 2012-04-30 2013-11-07 전자부품연구원 위험요소 예측 기반 스마트 보안시스템
KR20150092545A (ko) * 2014-02-05 2015-08-13 김세영 시공적 상황데이터를 이용한 경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0834A (ko) * 2014-09-11 2016-03-21 박성수 스마트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JP2016178363A (ja) * 2015-03-18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処理装置、制御装置、ロビー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70024911A (ko) * 2015-08-26 2017-03-08 딕스비전 주식회사 비콘과 휴대 단말을 이용한 비상호출 시스템
KR101716406B1 (ko) * 2015-09-08 2017-03-27 휴네이처(주)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20180076169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이마을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306A (ko) * 2012-04-30 2013-11-07 전자부품연구원 위험요소 예측 기반 스마트 보안시스템
KR20150092545A (ko) * 2014-02-05 2015-08-13 김세영 시공적 상황데이터를 이용한 경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0834A (ko) * 2014-09-11 2016-03-21 박성수 스마트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JP2016178363A (ja) * 2015-03-18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処理装置、制御装置、ロビー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70024911A (ko) * 2015-08-26 2017-03-08 딕스비전 주식회사 비콘과 휴대 단말을 이용한 비상호출 시스템
KR101716406B1 (ko) * 2015-09-08 2017-03-27 휴네이처(주)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20180076169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이마을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4798B (zh) 用于监视和礼宾服务的可扩展系统和方法
US11475745B2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US10657782B2 (en) Networked premises security
US93117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emote presence security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AU2019295856B2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US201501940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or responding to incapacitated person using video motion analytics
US10419728B2 (en) Monitoring system hav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981900B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4254A (ko) 도어벨 장치
US20200410832A1 (en) Methods of Cautioning and Alerting within Umbras, and Penumbras of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EP3550465A1 (en) Security system for preventiving miuse of entered sensitive information
KR102488741B1 (ko) 현장 상황 식별성이 향상된 비상벨 시스템
KR20010007700A (ko)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영상 감시 서비스방법
US11823674B2 (en) System and method of deploying a virtual assistant at an electronic media device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ublic-safety incident
KR102071185B1 (ko) 긴급 상황의 유형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호출 시스템
KR101977263B1 (ko) 비콘을 이용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KR102251931B1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A2966139C (en) Alarm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993207B1 (ko)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호출 시스템
JP2019140652A (ja) ドアベル
US10846810B2 (en) Leverag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to enhance public safety
US20190295343A1 (en) Virtual Doors, Locks, Umbras, and Penumbras of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