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782A -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782A
KR20120105782A KR1020110023428A KR20110023428A KR20120105782A KR 20120105782 A KR20120105782 A KR 20120105782A KR 1020110023428 A KR1020110023428 A KR 1020110023428A KR 20110023428 A KR20110023428 A KR 20110023428A KR 20120105782 A KR20120105782 A KR 2012010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surveillance
area
surveillance camer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966B1 (ko
Inventor
오재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6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의 높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의 감시 영역을 나타내는 소실점을 이용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하는 공간 정보 설정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 내에 프리어버시 마스크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크 설정부; 및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는 마스킹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Monitoring system for controlling masking of ob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마스킹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특정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감시용 카메라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는 범죄나 도난을 감시하기 위해 건물, 길거리, 신호등과 같이 감시가 필요한 곳에 설치되고 있다. 이렇게 설치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은 건물 관리실이나 경찰서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그에 따라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곳의 상태를 관리인이나 경찰과 같은 감시 카메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범죄나 도난을 감시 및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대신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도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즉, 감시 카메라는 의도하지는 않더라도 개인의 활동까지도 촬영하며, 이것은 곧 개인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시 영역 중 프라이버시 영역을 마스크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감시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는 평면적인 2차원 영상에 대해서만 설정할 수 있고, 공간적인 3차원 영상에 대해서는 전혀 설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감시 카메라에 의해 감시되는 사람과 배경은 2차원이 아닌 3차원 공간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2차원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피사체가 마스킹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감시 대상이 아니라하더라도 마스킹되는 불합리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3차원으로 설정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통과하는 피사체의 마스킹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감시 시스템의 마스킹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의 높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의 감시 영역을 나타내는 소실점을 이용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하는 공간 정보 설정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 내에 프리어버시 마스크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크 설정부; 및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는 마스킹부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 내에 있는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부;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영역에 존재하는지 상기 감시 영역 밖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위치 판단부로부터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있다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통과하는 지를 판단하고, 만일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통과하면 상기 피사체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상기 좌표 검출부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마스크 설정부가 설정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최하단부의 좌표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마스킹부로 전달하는 마스킹 판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기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내에 있을 경우에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위치하는지 뒤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에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의 마스킹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감시 카메라의 높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의 감시 영역을 나타내는 소실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상기 감시 영역과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a-3)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상기 피사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a-4)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상기 피사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있는지 상기 감시 영역 밖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의 높이와 소실점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영역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통과할 경우에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있는지 뒤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그에 따라,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뒤에 위치할 때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고,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앞에 위치할 때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상기 피사체를 계속하여 감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소실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피사체가 프라이버시 마스킹 앞에 위치한 경우의 마스킹 방법을 보여준다.
도 5는 피사체가 프라이버시 마스킹 뒤에 위치한 경우의 마스킹 방법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마스킹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단계에 더 포함되는 마스킹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참조 부호들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101)은 감시 카메라(111), 제어기(121) 및 모니터(131)를 구비한다.
감시 카메라(111)는 전방의 상태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network)(L1)를 통해서 제어기(121)로 전송한다. 네트워크(L1)는 유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L1)가 유선인 경우에는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Intern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21)는 감시 카메라(11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내부에 저장하거나 디코딩(decoding)하여 모니터(131)에 디스플레이(display)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도시 안됨)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121)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memory)를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고, 서버(server)로써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서버와 같이 저장 용량이 큰 저장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제어기(121)는 모니터(13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특정 영역에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privacy mask area)(도 4 및 도 5의 421)을 설정하되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3차원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통과하는 피사체, 예컨대 사람을 선택적으로 마스킹(masking)한다. 즉, 제어기(121)는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뒤로 이동하면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masking)하여 디스플레이 되지 않게 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대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제어기(12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101)은 감시 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함으로써,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으로 이동하는지 뒤로 이동하는지를 알 수 있고, 만일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피사체를 계속해서 감시할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121)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121)는 입력부(211), 제어부(220), 조작부(231), 출력부(241) 및 저장부(250)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제어기(12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부(211)는 감시 카메라(도 1의 111)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입력부(211)는 감시 카메라(111)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가 암호화(encoding)된 경우에 이를 디코딩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제어부(220)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전압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조작부(231)는 사용자가 감시 시스템(101)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나 조이스틱 등을 구비한다. 즉, 감시 카메라(1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정 명령 및 제어부(220)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설정하거나 감시 카메라(111)의 높이(도 3의 h) 정보와 소실점(도 3의 341)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이 조작부(231)를 통해 입력된다.
출력부(241)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131)로 전송하거나 다른 장치로 전달한다. 출력부(241)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241)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다른 장치와 인터페이싱(interfacing)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51)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51)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ard disk driver)나 서버(server) 또는 소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나 디램(D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설정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통과하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선택적으로 마스킹한다. 제어부(220)는 공간 정보 설정부(221), 마스크 설정부(222), 피사체 검출부(223), 위치 판단부(224), 좌표 검출부(225), 비교부(226), 마스킹 판단부(227) 및 마스킹부(228)를 구비한다.
공간 정보 설정부(221)는 감시 카메라(111)의 높이(eh 3의 h) 정보와 소실점(도 3의 341)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111)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 정보를 설정한다. 즉, 공간 정보 설정부(221)는 감시 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을 3차원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의 특정 영역에 설정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도 3차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11)의 높이(도 3의 h)와 소실점(도 3의 341)은 사용자가 조작부(231)를 통해서 제어기(121)로 입력할 수 있고, 프리셋(preset) 값으로 미리 설정된 후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11)의 높이(도 3의 h) 정보는 감시 카메라(111)가 설치된 곳의 지면으로부터 감시 카메라(111)가 고정된 곳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전방의 감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감시 카메라(111)는 지면에 설치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특정한 높이를 갖는 곳에 설치된다. 예컨대, 거리를 이동하는 차량들의 신호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111)는 지면으로부터 차량들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신호등에 설치된다.
소실점(도 3의 341) 정보는 감시 카메라(111)가 촬영하는 장소의 감시 영역(도 3의 321)을 표시한다. 상기 감시 영역(도 3의 321)은 지면에 설정되며, 감시 대상은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하늘을 날아다니거나 강이나 바다 위로 이동하는 피사체는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소실점 정보는 감시 영역(도 3의 321)을 다른 영역과 구분하거나 지면을 하늘 또는 바다와 구분해주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소실점(도 3의 341)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 내에 도로(321)와 건물들(331,332)이 존재하며, 감시 영역(321)은 도로로 설정되고 건물들(331,332)은 도로의 양단에 위치해 있다. 감시 대상은 도로(321)로 이동하는 사람으로 설정된다고 가정하면, 소실점(341)은 도로(321)를 공간적으로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하는데 필요하다.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의 하부 양쪽 꼭지점들에서 도로(321)의 양단을 연결하는 선을 그어주면 맨 끝에 한 점(341)이 나타나며, 이것이 소실점(341)이다. 소실점(341)은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상 내에서 좌표로써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소실점 정보로 사용한다. 피사체의 위치 좌표와 상기 소실점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의 공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마스크 설정부(222)는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상 중 특정한 영역에 프리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설정한다.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은 사용자에 의해 그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은 다양한 형태, 예컨대 사각형, 원형 등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마스크 설정부(222)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피사체 검출부(223)는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 내에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피사체 검출부(223)는 움직이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는 모두 검출한다. 만일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여럿이면 그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피사체, 예컨대 사람을 검출한다.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사람인지 동물인지 구별하는 기술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피사체 검출부(223)는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 내에서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검출되면 이를 위치 판단부(224)로 전달한다. 감시 대상인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21)가 여럿이면 이들 모두에 대한 정보를 위치 판단부(224)로 전달한다.
위치 판단부(224)는 피사체 검출부(223)로부터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 내에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있다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감시 영역(321)에 존재하는지 감시 영역(321) 밖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도로(321)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한다. 위치 판단부(224)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감시 영역(321) 밖에 존재하면 이를 무시하고, 감시 영역(321) 내에 있으면 이를 좌표 검출부(225)로 전달한다.
좌표 검출부(225)는 위치 판단부(224)로부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감시 영역(321) 내에 있다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통과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크스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통과할 경우에는 좌표 검출부(225)는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의 분할(segmentation)을 수행하고,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검출하여 비교부(226)로 전달한다.
비교부(226)는 좌표 검출부(225)로부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수신하고, 이를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최하단부의 좌표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비교부(226)는 좌표 검출부(225)로부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수신하는 즉시 마스크 설정부(222)에 신호를 보내어 마스크 설정부(222)에 저장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수신한다. 비교부(226)는 논리 게이트(logic gate)를 구비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논리 신호로써 출력하여 마스킹 판단부(227)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의 최하단부의 좌표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최하단부의 좌표보다 앞에 위치할 때는 비교부(226)의 출력 신호는 논리 로우(logic low)로써 출력되고,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의 최하단부의 좌표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최하단부의 좌표보다 뒤에 위치할 때는 비교부(226)의 출력 신호는 논리 하이(logic high)로써 출력된다.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스킹 판단부(227)는 비교부(226)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 앞에 위치하는지 또는 뒤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마스킹부(228)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마스킹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 그대로 출력되게 하고,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뒤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마스킹하여 원래의 모습이 보이지 않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111)가 촬영하는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함으로써,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으로 통과하는지 뒤로 통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으로 이동할 때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마스킹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 그대로 보여주고,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뒤로 이동할 때만 마스킹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101)의 마스킹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킹 제어 방법은 제1 단계 내지 제 3 단계(611?63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감시 시스템(101)의 마스킹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계(611)로써, 감시 대상인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 중 기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에 존재하면 아래 제2 단계(621)를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제1 단계(611)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제2 단계(621)로써,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뒤에 위치하는지 앞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제3 단계(631)로써,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뒤에 위치할 경우에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마스킹하고(632),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에 존재할 경우에는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마스킹하지 않는다(631).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단계(611)에 더 포함되는 마스크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단계(611)는 아래 4가지 단계들(711?741)을 더 포함한다.
첫 번째 단계(711)로써, 감시 카메라(111)의 높이(도 3의 h)와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의 감시 영역을 나타내는 소실점(도 3의 341)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한다.
두 번째 단계(721)로써,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 중 감시 영역(도 3 내지 도 5의 321)과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설정한다. 감시 영역(도 3 내지 도 5의 321)과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은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또는 프리셋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731)로써,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에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에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있으면 아래 네 번째 단계(741)를 수행하고,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에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없으면 상기 세 번째 단계(731)를 반복한다.
네 번째 단계(741)로써,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역에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상기 감시 영역(도 3 내지 도 5의 321) 내에 있는지 감시 영역(도 3 내지 도 5의 321) 밖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감시 영역(도 3 내지 도 5의 321)) 내에 있으면 도 6의 제1 단계(611)를 실행하고,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감시 영역(도 3 내지 도 5의 321) 밖에 있으면 상기 네 번째 단계(741)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감시 카메라(111)의 촬영 영상을 감시 카메라(111)의 높이(도 3의 h) 정보와 소실점(도 3의 341)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설정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을 3차원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도 4 및 도 5의 421) 앞에 있는지 또는 뒤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크스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뒤에 있을 때만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마스킹하고,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가 프라이버시 마크스 영역(도 4 및 도 5의 421)의 앞에 있을 때는 마스킹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피사체(도 4 및 도 5의 411)를 계속하여 감시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9)

  1.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의 높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의 감시 영역을 나타내는 소실점을 이용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하는 공간 정보 설정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 내에 프리어버시 마스크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크 설정부; 및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는 마스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 내에 있는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영역에 존재하는지 상기 감시 영역 밖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로부터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있다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통과하는 지를 판단하고, 만일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통과하면 상기 피사체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검출부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최하단부의 좌표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마스크 설정부가 설정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최하단부의 좌표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마스킹부로 전달하는 마스킹 판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7.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기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내에 있을 경우에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위치하는지 뒤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뒤에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의 앞에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를 마스킹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의 마스킹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감시 카메라의 높이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의 감시 영역을 나타내는 소실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3차원으로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상기 감시 영역과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a-3)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상기 피사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a-4)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상기 피사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있는지 상기 감시 영역 밖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의 마스킹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상기 피사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a-3)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의 마스킹 제어 방법.
KR1020110023428A 2011-03-16 2011-03-16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7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28A KR101237966B1 (ko) 2011-03-16 2011-03-16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28A KR101237966B1 (ko) 2011-03-16 2011-03-16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82A true KR20120105782A (ko) 2012-09-26
KR101237966B1 KR101237966B1 (ko) 2013-02-27

Family

ID=4711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428A KR101237966B1 (ko) 2011-03-16 2011-03-16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830A1 (ko) * 2013-03-26 2014-10-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마스크 처리 방법
KR20170002308A (ko) * 2015-06-29 2017-01-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물체 영역에 근거하여 화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47B1 (ko) * 2006-10-18 2009-01-12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JP2009124618A (ja) * 2007-11-19 2009-06-04 Hitachi Ltd カメラ装置、画像処理装置
JP2010193227A (ja) * 2009-02-19 2010-09-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映像処理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830A1 (ko) * 2013-03-26 2014-10-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마스크 처리 방법
GB2527235A (en) * 2013-03-26 2015-12-16 Hanwha Techwin Co Ltd Privacy mask processing method
US9794517B2 (en) 2013-03-26 2017-10-17 Hanwha Techwin Co., Ltd. Privacy masking method
GB2527235B (en) * 2013-03-26 2019-12-25 Hanwha Techwin Co Ltd Privacy masking method
KR20170002308A (ko) * 2015-06-29 2017-01-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물체 영역에 근거하여 화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966B1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256B1 (ko) 능동형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85900B1 (ko) 교차로 사고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9740444B (zh) 人流量信息展示方法及相关产品
KR101397453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6376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530255B1 (ko) 객체 자동 추적 장치가 구비된 cctv 시스템
KR101496390B1 (ko)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KR20160088129A (ko)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KR101049758B1 (ko)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210759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moving objects
EP3018902A1 (en) Monitoring camera system
KR101466374B1 (ko) 저비용으로 사생활 보호 및 관심 강조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5693147B2 (ja) 撮影妨害検知方法、妨害検知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795798B1 (ko)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US108416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and passenger density
KR101237966B1 (ko)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2327B1 (ko) 스쿨존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178886B1 (ko)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및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의 데이터 전송 방법
EP2827259A1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data for a location
KR2020009040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48564A1 (zh) 一种全景大数据应用监测管控系统
CN108362382A (zh) 一种热成像监控方法及其监控系统
CN112367478A (zh) 一种隧道机器人全景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101937582B1 (ko) 인도 보안 안전 시스템
KR102434154B1 (ko) 영상감시시스템에서의 고속 이동물체의 위치 및 모션 캡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