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129A -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129A
KR20160088129A KR1020150007449A KR20150007449A KR20160088129A KR 20160088129 A KR20160088129 A KR 20160088129A KR 1020150007449 A KR1020150007449 A KR 1020150007449A KR 20150007449 A KR20150007449 A KR 20150007449A KR 20160088129 A KR20160088129 A KR 20160088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overlapping
overlapping area
video summa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210B1 (ko
Inventor
김지성
백영민
임정은
최은지
김대환
이활석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210B1/ko
Priority to US14/996,303 priority patent/US10043079B2/en
Publication of KR2016008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7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comparisons between temporally consecutive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05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10Recognition assisted with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는 복수의 영상장치의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중첩영역에 대해 복수의 영상장치 각각에서 서로 다른 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객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생성한 복수의 비디오 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video summaries}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특정 객체에 대해 동시에 다중 비디오써머리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영상 감시 시스템이란 사용자가 특정 목적 또는 방범을 위해 감시를 원하는 거리, 빌딩, 공장 등의 환경에 네트워크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촬영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환경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영상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전송망을 통하여 전달받아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안상황을 사람이 직접 감시하거나 DVR/NVR/VMS 등으로 저장한 후 사후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보안 시스템은 급속한CCTV 카메라 수의 증가에 따라 사람에 의한 직접감시 및 분석의 한계가 존재하고 또한 사후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는 시간도 카메라 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새로운 방식의 검색 기술이 필요하였다. 이로 인해 Video Synopsis/Summary 기술이 개발되었다.
Video Summary는 장시간의 녹화 영상을 요약하여 압축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녹화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KR 1392676
CCTV 등의 영상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에서 피해자의 얼굴 등을 확인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주변 카메라의 영상을 검색하여 피해자의 얼굴을 검색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CCTV 등에서 제공하는 영상에서 피해자의 얼굴 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동일 시간대에 주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생성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객체에 대해 다각도에서 촬영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여 검색 효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은 복수 개의 영상장치 각각이 감시하는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중첩영역과, 상기 검출된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 영역에 매핑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각각에서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해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생성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영상장치는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감시영역에 대한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각각의 영상장치는 이동 물체가 중첩영역에서 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중첩영역에 매핑된 다른 영상장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함께 표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첩영역에 대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영역에서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물체를 서로 다른 영상장치에서 서로 다른 화각(Field of View)에 기초하여 촬영한 각각의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중첩영역에 대한 각각의 비디오써머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영상장치는 비디오 써머리 생성시, 상기 중첩영역에 대해 다른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초로 생성된 비디오 써머리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영상장치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첩영역에 대해 각각의 영상장치에서 생성한 비디오 써머리와 다른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초로 생성된 비디오 써머리를 매핑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는 복수 개의 영상장치 각각이 감시하는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정보를 저장하는 화각정보저장부; 상기 화각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영역 각각에 대해, 각각의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부; 및 상기 중첩 영역에 매핑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각각에서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해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생성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다중비디오써머리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디오써머리를 제공하는 영상재생장치는 공항 군사, 항만, 도로, 교량 등 주요 국가시설, 지하철, 버스, 빌딩, 경기장, 주차장, 카지노 자동차 및 모바일 기기에 이르기까지 이동 물체 탐지가 필요한 다양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거나, 특정 객체를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빠르게 원하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객체에 대해 복수의 영상장치에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비디오 써머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특정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영상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에서 복수개의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에서 다중비디오 써머리를 제공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특정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영상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여,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의 구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네트워크카메라나 외부 영상장치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한 입력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입력영상을 재생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력영상을 재생할 때 재생하는 입력영상의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복수의 네트워크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복수 개 채널의 영상을 단일 화면에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입력 영상 각각에 대한 비디오써머리도 디스플레이 화면에 함께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단일 객체에 대해 복수의 영상 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비디오 써머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화각정보저장부(210), 매핑부(220) 및 다중비디오써머리제공부(230)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화각정보저장부(210)는 복수 개의 영상장치(110, 120, 130, 140, 150) 각각이 감시하는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정보(S110, S120)를 저장한다. 화각정보저장부(210)는 복수 개의 영상장치(110, 120, 130, 140, 150) 각각의 화각(field of view)을 검출하여 영상장치(110, 120, 130, 140, 150) 각각의 감시영역을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을 참고하면, 제 2 카메라(120) 및 제 3 카메라(130)간에 제 1 중첩영역(S110)이 검출되고, 제 3카메라(130)와 제 4 카메라(140)간에 제 2 중첩영역(S120)이 검출된다.
매핑부(220)는 화각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영역 각각에 대해(S110, S120), 각각의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정보를 매핑한다.
일 예로서, 제 1 중첩영역(S110)에는 제 2 카메라(120)와 제 3 카메라(130)를 매핑하고, 제 2 중첩영역(S120)에는 제 3카메라(130)와 제 4 카메라(140)가 매핑된다.
제 2 중첩영역(S120)에서 사람(100)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매핑부(22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 3카메라(130)와 제 4 카메라(140)의 매핑정보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제 2중첩 영역(S120) 내에서 사람(100)의 움직임이 검출된 A라는 지점의 좌표가 제 3 카메라(130)에서는 (10, 100)으로 표현되고, 제 4 카메라(140)에서는 (20, 100)으로 표현되는 경우, 제 3 카메라(130)의 (10, 100)지점과 제 4 카메라(140)의 (20, 100) 지점은 동일한 지점이라는 매핑 정보(calibration 정보)를 미리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매핑부(220)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추가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중첩 영역(S120) 내에서 t3시간에 사람(100)의 움직임이 A라는 지점에서 검출된 경우, 타임스탬프 정보, 중첩영역 정보 및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영상장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t3, 제 2 중첩영역, 제 3카메라(10, 100), 제 4 카메라(20, 100))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200)는 위의 일 실시예와 같은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t3 시간에 제 3 카메라의 (10,100) 좌표 지점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 4카메라에서 t3 시간에 (20,100) 좌표 지점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비디오써머리제공부(230)는 매핑부(220)의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영상장치에서 서로 다른 화각을 이용하여 중첩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 생성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다중비디오써머리제공부(230)는 타임스탬프 정보 및 제 2 중첩영역(S120)을 촬영하는 제 3카메라(130)와 제 4 카메라(140)의 촬영영상을 기초로, 제 3 카메라(130)에서 제 2 중첩영역(S120)에 대해 생성한 비디오써머리와 제 4 카메라(140)에서 제 2 중첩영역(S120)에 대해 생성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현된다.
도 3 내지 4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에서 복수개의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에서 특정 객체에 대해 동시에 복수의 비디오써머리를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t3 시간에 사람(330)이 검출되고, 사람(330)이 검출된 영역이 제 4 카메라(도 1, 140)와 중첩영역인 경우의 일 예이다.
t3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사람(330)의 크기가 작아서 얼굴 확인이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중첩영역에 대해 다른 영상장치에서 제공하는 비디오써머리를 선택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3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사람(330)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 있는 동일한 사람(330)을 제 4 카메라(도 1, 140)에서 다른 화각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34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4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사람(331)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 있는 동일한 사람(331)을 제 4 카메라(도 1, 140)에서 다른 화각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34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5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사람(332)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 있는 동일한 사람(332)을 제 4 카메라(도 1, 140)에서 다른 화각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342)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영상 장치에서 촬영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t1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영상(S400)에는 중첩영역(S430) 내에서 어떠한 객체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에는 t1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한 제 1 사람(410)과 제 2 사람(420(t1))이 표시된 비디오써머리가 표시된다.
t3 시간에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영상(S410)에서 중첩영역(S430)에서 제 2 사람(420)이 검출되는 경우(420(t3)), 제 2 사람(420(t3)) 근처에는 제 2 사람(420(t3))이 위치한 중첩영역(S430)을 촬영하고 있는 다른 영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창(S44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안내창(S440)에는 매핑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창(S440)에는 중첩영역(S430) 내에 검출된 사람(420(t3))을 촬영하고 있는 또 다른 영상장치(예, 제 4 카메라(도 1, 140))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는 안내창(S440)의 매핑정보를 참고하여, 중첩영역(S430) 내에 검출된 사람(420(t3))에 대해 제 3 카메라(도 1, 130)에서 촬영된 영상(S410)을 기초로 생성한 비디오써머리 420_camera1(460) 외에, 중첩영역(S430) 내에 검출된 사람(420(t3))을 촬영하고 있는 또 다른 영상장치에서 생성한 비디오써머리 420_camera2(470)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에서 다중비디오 써머리를 제공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7을 참고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는 감시영역 내에 전/후방, 좌/우측, 내부 등 필요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한다. 그 후,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Calibration을 수행하여, Geometry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간 영상의 Overlap을 계산한다.
이 후,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S511)를 다중 비디오 써머리부(520)에서 분석하여 비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S510). 이 경우, 비디오 메타데이터는 움직임 물체 검출 및 검출 시각, 움직임 물체 궤적, 물체 컬러/형태, 물체 변화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는 비디오써머리 요청이 입력된 경우, 비디오 써머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비디오써머리 스크립트를(S512) 생성한다. 비디오써머리 스크립트(S512)는 물체의 위치,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는 1차적으로 특정 카메라에 대한 비디오써머리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이 후 다른 카메라에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 중 상기 특정 카메라와 화각이 중첩되는 중첩영역 부분에 대한 영상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비디오써머리 스크립트를 추가한다.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500)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하여 중첩영역에 대한 비디오써머리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고, 영상을 렌더링 한다. 특히 복수의 카메라에서 탐지된 물체의 경우 동시 재생을 위하여 타임스탬프 정보를 저장하여 최종 영상을 출력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는 감시영역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Calibration을 수행하여, Geometry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간 영상의 Overlap을 계산한다. 이 과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감시영역을 파악하고, 복수 개의 카메라 간에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을 검출한다(S610).
이 후, 검출된 각각의 중첩영역과, 검출된 각각의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정보를 매핑한다(S620). 이 후, 각각의 중첩영역에 대해 비디오써머리를 제공할 때, 도 3 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생성한 복수의 비디오써머리를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제공한다(S630). 관리자는 중첩영역에서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 이동물체를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서로 다른 화각(Field of View)에 기초하여 촬영한 영상으로 생성한 비디오써머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복수 개의 영상장치 각각이 감시하는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중첩영역과, 상기 검출된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 영역에 매핑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각각에서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해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생성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장치는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감시영역에 대한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각각의 영상장치는 이동 물체가 중첩영역에서 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중첩영역에 매핑된 다른 영상장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함께 표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영역에 대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영역에서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물체를 서로 다른 영상장치에서 서로 다른 화각(Field of View)에 기초하여 촬영한 각각의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중첩영역에 대한 각각의 비디오써머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장치는
    비디오 써머리 생성시, 상기 중첩영역에 대해 다른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초로 생성된 비디오 써머리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장치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첩영역에 대해 각각의 영상장치에서 생성한 비디오 써머리와 다른 영상장치에서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초로 생성된 비디오 써머리를 매핑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6. 복수 개의 영상장치 각각이 감시하는 감시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정보를 저장하는 화각정보저장부;
    상기 화각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영역 각각에 대해, 각각의 중첩영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부; 및
    상기 중첩 영역에 매핑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장치 각각에서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해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생성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디오써머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다중비디오써머리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장치.
KR1020150007449A 2015-01-15 2015-01-15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KR10216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49A KR102161210B1 (ko) 2015-01-15 2015-01-15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US14/996,303 US10043079B2 (en) 2015-01-15 2016-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video summ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49A KR102161210B1 (ko) 2015-01-15 2015-01-15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129A true KR20160088129A (ko) 2016-07-25
KR102161210B1 KR102161210B1 (ko) 2020-09-29

Family

ID=5640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449A KR102161210B1 (ko) 2015-01-15 2015-01-15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3079B2 (ko)
KR (1) KR102161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4126A (zh) * 2016-11-30 2018-06-0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流处理方法、设备及视频监控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806B1 (ko) * 2015-10-26 2022-08-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291191B1 (en) * 2016-08-29 2019-10-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uspicious person report system and suspicious person report method
US10970915B2 (en) * 2017-01-06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Virtual viewpoint setting apparatus that sets a virtual viewpoint according to a determined common image capturing area of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and related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783648B2 (en) * 2018-03-05 2020-09-22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US10769450B1 (en) * 2019-10-25 2020-09-08 7-Eleven, Inc. Tracking positions using a scalable position tracking system
US10958854B2 (en) * 2018-11-02 2021-03-23 BriefCam Lt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generating an output video from multiple video sources
KR102604937B1 (ko) * 2018-12-05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릭터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13469200A (zh) * 2020-03-30 2021-10-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计算设备
JP2022040434A (ja) * 2020-08-31 2022-03-1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画像通信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96671B2 (en) 2021-02-19 2022-11-08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urveillance video streams with embedded object dat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3658A1 (en) * 2001-06-29 2003-03-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s regarding same
KR20090122767A (ko)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88054A1 (en) * 2011-07-21 2013-07-25 Lee S. Weinblatt Monitoring Technique Utilizing an Array of Cameras for Eye Movement Recording
KR101392676B1 (ko) 2005-07-18 2014-05-07 톰슨 라이센싱 다중 비디오 스트림 핸들링 방법
US20150381902A1 (en) * 2014-06-26 2015-12-31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 Image Alignment in Video Conferenc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2738B2 (en) * 2004-12-01 2011-07-1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montages of sprites for indexing and summarizing video
JP4980606B2 (ja) 2005-11-15 2012-07-18 株式会社岩根研究所 移動型自動監視装置
KR100876494B1 (ko) 2007-04-18 2008-12-3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비디오 및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통합 파일 포맷 구조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0257454B2 (en) * 2010-12-24 2014-03-06 Canon Kabushiki Kaisha Summary view of video objects sharing common attributes
KR101341808B1 (ko) 2011-11-30 2013-12-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내 비주얼 특징을 이용한 영상 요약 방법 및 시스템
KR102025362B1 (ko) * 2013-11-07 2019-09-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검색 시스템 및 영상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3658A1 (en) * 2001-06-29 2003-03-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s regarding same
JP2004531842A (ja) * 2001-06-29 2004-10-14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サーベイランスシステムおよび監視システムに関する方法
KR101392676B1 (ko) 2005-07-18 2014-05-07 톰슨 라이센싱 다중 비디오 스트림 핸들링 방법
KR20090122767A (ko)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88054A1 (en) * 2011-07-21 2013-07-25 Lee S. Weinblatt Monitoring Technique Utilizing an Array of Cameras for Eye Movement Recording
US20150381902A1 (en) * 2014-06-26 2015-12-31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 Image Alignment in Video Conferenc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4126A (zh) * 2016-11-30 2018-06-0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流处理方法、设备及视频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3079B2 (en) 2018-08-07
US20160210516A1 (en) 2016-07-21
KR102161210B1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129A (ko)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US20160330425A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maging information
CN105554440A (zh) 监控方法和设备
KR101695249B1 (ko)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N110557603B (zh) 移动目标的监控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96288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summary
KR102159786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WO2021167374A1 (ko) 영상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10093040A (ko) 피사체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12082B1 (ko) 영상인식장치 및 그 영상 감시방법
KR20100007535A (ko) 영상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동 물체 특성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방법
US20230125724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a thumbnail from a video stream or file, and video surveillance system
KR20210108691A (ko) 영상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060414B1 (ko)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US11151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oving objects
KR101698864B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4179740A (ja) 映像検索装置、映像検索システム、および映像検索方法
KR20180049645A (ko)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90281257A1 (en) Video monitoring apparatus for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JP3834641B2 (ja) カメラ映像データ管理システム、カメラ映像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36271B1 (ko)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제어 시스템
KR101462269B1 (ko)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KR20120105782A (ko)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