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274A -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274A
KR20120104274A KR1020127017104A KR20127017104A KR20120104274A KR 20120104274 A KR20120104274 A KR 20120104274A KR 1020127017104 A KR1020127017104 A KR 1020127017104A KR 20127017104 A KR20127017104 A KR 20127017104A KR 20120104274 A KR20120104274 A KR 20120104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holding
slit
source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사제
신타로 나카야마
?스케 후루타니
요시노리 구와하라
츠토무 모리모토
유스케 기노시타
유타카 구로사키
다카하루 야마다
도시노리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아이피 환도 운에이고우도우가이샤
토쿠시마 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아이피 환도 운에이고우도우가이샤, 토쿠시마 대학 filed Critical 엘에스아이피 환도 운에이고우도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2005/1019Sour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카트리지가 멸균 상태로 포장된 채로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카트리지 (C) 에 충전된 상태의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선원 (S) 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과, 카트리지 (C) 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30) 과, 유지 수단 (30) 을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동 수단이, 유지 수단 (30) 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지 수단 (30) 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카트리지 (C) 에 충전된 상태의 모든 선원이 수용부의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의 슬릿 (15h) 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지 수단 (30) 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OF SMALL SEALED RADIOACTIVE SOURCE FOR CANCER THERAPY}
본 발명은,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립선암의 밀봉 소선원 치료에 사용되는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암에 대한 밀봉 소선원 치료는, 주로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 125] 를 티탄제의 캡슐에 밀봉한 선원 (이하, 간단히 선원이라고 함) 을 전립선에 삽입함으로써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원은, 통상적으로 5 개 또는 15 개가 카트리지에 장전된 상태로 공급되고 있고, 이러한 카트리지 (C) 는 멸균 상태로 봉지에 밀봉된 상태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선원 (S) 은, 카트리지 (C) 내에 그 축방향을 정렬시켜 (축방향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충전되어 있다 (도 15(A)).
그런데, 밀봉 소선원 치료에서는, 각 선원에 밀봉되어 있는 방사성 물질의 방사능량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각 개인의 전립선암의 상황에 따라, 전립선에 삽입하는 선원의 수나 그 삽입 위치가 결정된다. 삽입하는 선원의 수는, 1 회의 밀봉 소선원 치료에 대해 70 ~ 100 개 정도이다.
그러나, 복수의 선원 중, 수 백개에 1 개 정도, 품질이 나쁜 것에서는 백개에 2 개 정도, 방사능량이 카트리지의 공급원의 공칭값과 상이한 불량품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거의 방사능이 없는 선원이나, 방사능량이 공칭값보다 커져 있는 선원 등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불량인 선원이 사용된 경우, 조사선량이 부족하여 기대한 치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반대로 조사선량이 과잉이 되어 다른 조직에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미국 의학 물리사학회 (AAPM) 에서는, 사용 예정 선원의 적어도 10 %, 가능하면 전체 수를 각 기관에서 측정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본래 같으면, 선원을 사용하는 각 시설에 있어서 전체 선원의 방사선 강도가 측정되어야 하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전리 상자 (방사선 측정기) 를 사용한 방사선 강도 측정 방법에서는, 캡슐의 방사능량을 1 개씩 측정해야 한다. 그러면, 이하의 (1) ~ (7) 과 같은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각 시설에 있어서 전체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1) 멸균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봉지로부터 꺼낼 필요가 있다.
(2) 카트리지로부터 선원을 꺼낼 필요가 있다.
(3) 선원을 1 개씩 측정하므로, 매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4) 카트리지로부터 꺼낸 선원을 재차 카트리지에 장전할 필요가 있다.
(5) 선원을 재장전한 카트리지를 재차 멸균할 필요가 있다.
(6) (1) ~ (5) 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손 및 손가락의 피폭이 피하기 어렵다.
(7) 전용의 교정 완료된 전리 상자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원을 카트리지에 장전한 상태에 있어서, 각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의 기술은,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기에 관한 기술로, 이 측정기는 밀봉 소선원을 장전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내부에 가지고 있고, 게다가, 외부로부터 수용부에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삽입구와 수용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므로, 측정기의 수용부에 카트리지를 삽입구로부터 삽입하고, 복수의 개구가 X 선 필름 상에 접하도록 측정기를 X 선 필름 상에 배치하면, 각 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은, 각각 대응하는 개구를 통하여 측정기 외로 누출된다. 그러면, 측정기에 접하고 있는 X 선 필름이 방사선에 의해 감광되므로, 각 선원의 방사선 강도의 정보가 필름 상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 필름 상의 기록을 해석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 의 측정기는, 카트리지에 장전되어 있는 선원을 그대로 측정하므로, 상기 서술한 (2) ~ (4) 의 문제는 해소될 가능성은 있지만, 멸균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봉지로부터 꺼내지 않으면 측정을 할 수 없으므로, 상기 서술한 (1), (5) 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게다가, 카트리지를 봉지로부터 꺼내 작업을 실시하므로,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이 높아져, (6) 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 특허문헌 1 의 측정기에서는, 상기 서술한 (2) ~ (4) 의 문제는 해소할 수 있어도, 방사선 강도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특허문헌 1 의 측정기의 경우, 측정기는 복수의 개구 h 로부터 각각 누출되는 방사선에 의해 X 선 필름을 감광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각 개구 h 에 하나의 선원이 대응하도록, 복수의 선원 (S) 의 중심축과 복수의 개구 h 의 중심축의 위치를 모두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 (도 15(B)).
그러나, 카트리지 (C) 에 장전되어 있는 선원 (S) 은, 모두 동일한 간극으로 장전되어 있지 않아, 개개의 카트리지 (C) 에 있어서 선원 (S) 의 배치에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그러면, 선원 (S) 의 평균적인 선 직경 (0.8 ㎜) 에 맞추어 등간격으로 복수의 개구 h 의 위치를 형성하면, 평균적인 선 직경으로부터 어긋난 선원 (S) 이 장전되어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장전 간격이 평균적인 선 직경과 다른 경우에는, 선원 (S) 의 중심축과 개구 h 의 중심축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각 선원 (S) 의 정확한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도 15(C)).
이상과 같이, 특허문헌 1 의 측정기에서는, 종래법의 (1) ~ (7) 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측정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3132529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카트리지가 멸균 상태로 포장된 채로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간단하면서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카트리지에 충전된 상태의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그 유지 수단을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된 상기 카트리지가 반입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그 수용 공간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설치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릿은, 그 폭이 상기 선원의 선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카트리지를, 그 카트리지에 충전되어 있는 상기 선원의 축방향이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그 유지 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카트리지에 충전된 상태의 선원이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 발명 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매거진과 그 매거진의 선단에 설치된 그 매거진의 직경보다 두께가 얇은 판상의 시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시드 카트리지는, 그 표면과 상기 선원의 축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그 선원을 그 내부에 충전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유지 수단은, 봉지에 밀봉된 상태의 상기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유지 기구가, 그 유지 수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기 시드 카트리지의 두께보다 간격이 좁은 간극을 가지고 있고, 그 간극에는, 그 간극의 일방의 개구와 연속되는 공간인 선단 유지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유지 영역에는, 그 간극을 형성하는 면으로부터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고정홈은, 그 선단면이,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평행한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으로부터 그 간극을 형성하는 타방의 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를 봉입하고 있는 상기 봉지의 두께와 상기 시드 카트리지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그 선단 유지 영역에 상기 시드 카트리지의 선단 부분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2 발명 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는, 상기 일방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와 상기 선단 유지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 영역에는, 상기 고정홈의 저면과 상기 일방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 제 2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원은, 그 축방향이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에 충전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해, 상기 봉지에 봉입된 상태의 카트리지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봉입되어 있는 상기 봉지를 유지하는 봉지 유지 기구와, 그 봉지 유지 기구와 상기 유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중심축과 동축인 기준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봉지 유지 기구와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되는 위치 결정 기구와, 상기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유지 수단에 공급하는 카트리지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봉지 유지 기구에 상기 봉지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봉지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에 접근하여, 그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중심축이 상기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그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4 발명 에 있어서, 상기 봉지 유지 기구는,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면을 사이에 둔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봉지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한 쌍의 봉지 유지부는, 상기 봉지를, 상기 기준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는 중심면 근방에 있어서 유지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부는, 상기 중심면을 사이에 두도록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그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간에는, 그 위치 결정 기구가 상기 봉지 유지 기구에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을 위치 결정한 상태가 되도록 수용하는 매거진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매거진 수용 공간은, 그 중심축이, 상기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대향면이,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이 수용될 때에, 그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중심축이 상기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그 카트리지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에 있어서,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기준축과 평행한 한 쌍의 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중심면을 끼우고, 또한, 그 한 쌍의 축상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 설치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를, 상기 기준축의 방향을 따라, 상기 봉지 유지 기구에 대해 접근 이간시키는 축상 부재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는, 그 한 쌍의 축상 부재간의 거리 및/또는 그 한 쌍의 축상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짧아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고, 각 축상 부재는, 그 선단부에서는, 상기 기준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4, 제 5 또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봉지 유지 기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 변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동부는, 상기 봉지 유지 기구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6,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와 평행하고, 또한, 그 한 쌍의 축상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한 쌍의 축상부는, 그 한 쌍의 축상부간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짧고,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축상 부재와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 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약간 길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4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유지 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그 폭이, 상기 봉지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에는, 그 간극의 일방의 개구와 상기 선단 유지 영역 사이에, 그 간극을 형성하는 양면을 함몰시켜 형성된 그 선단 유지 영역과 연속되는 공간인, 상기 매거진을 수용하기 위한 대략 원통 형상의 공간인 매거진 유지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는, 상기 선단 유지 영역과 상기 매거진 유지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 영역에는, 상기 고정홈의 저면과 상기 매거진 유지 영역의 오목면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슬릿 형성판을 갖는 슬릿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릿 형성판은, 그 일단면에, 기준면과, 그 기준면과 평행하고 또한 그 기준면에 대해 그 슬릿폭 만큼 오프셋으로서 형성된 슬라이드면과, 그 슬라이드면과 상기 기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슬릿 형성판을, 하나의 슬릿 형성판에 있어서의 기준면과 다른 슬릿 형성판에 있어서의 슬라이드면이 면접촉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슬릿 플레이트와, 그 슬릿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릿 플레이트는, 2 매의 판상 부재를 그 단면끼리 면접촉하도록 맞추어 형성된 것이며, 그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타방의 판상 부재와 면접촉하는 단면에는, 그 단면으로부터 오목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제 1 내지 제 1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은, 상기 슬릿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방사선 차단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그 방사선 차단 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측정기를 배치하는 측정기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이동 수단에 의해 카트리지를 유지한 유지 기구를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까지 이동시키면, 복수의 선원 (예를 들어, 모든 선원) 이 순차적으로 슬릿의 위치를 통과하므로, 슬릿을 통과하는 방사선 양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방사선 양의 변동에 기초하여, 각 선원의 방사능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1 회의 측정으로, 복수의 선원을 카트리지에 충전한 채, 각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선원의 방사능 측정을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선원을 이동시켜 방사선 양의 변동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선원의 장전 간격에 다소의 차이가 존재해도,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의 피크치나 피크치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의 위치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해도, 각 선원의 정확한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봉지에 수용한 채로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각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방사선 강도의 측정을 한층 더 단시간에 또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선단 유지 영역에 시드 카트리지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시드 카트리지를 선단 유지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선단 유지 영역의 고정홈의 선단면에 시드 카트리지의 선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선원의 축방향과 슬릿의 축방향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방호 장갑을 낀 채로도, 정확한 위치 자세가 되도록, 카트리지를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유지 수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연결 영역이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삽입할 때에 시드 카트리지가 기울어져 있어도, 카트리지를 밀어넣으면, 경사면에 의해 선원의 축방향과 슬릿의 축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시드 카트리지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드 카트리지의 자세를 매회 동일한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봉지 유지 기구에 카트리지를 수용한 봉지를 유지시키면,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를 그 매거진의 중심축이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결정한 상태인 채, 카트리지 공급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를 유지 수단에 공급하면, 봉지에 봉입된 상태의 카트리지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 수단에 유지시킬 수 있다. 요컨대, 봉지 유지 기구에 카트리지를 수용한 봉지를 유지시키는 것만으로, 카트리지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 수단에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수단에 의해 카트리지를 유지한 유지 기구를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까지 이동시키면, 순차적으로 슬릿의 위치에 복수의 선원 (예를 들어, 모든 선원) 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슬릿을 통과하는 방사선 양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다. 요컨대, 봉지 유지 기구에 카트리지를 수용한 봉지를 유지시키는 것만으로, 카트리지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 수단에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카트리지를 봉지에 봉입한 채, 거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가 매거진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면, 매거진의 중심축이 기준축과 일치하도록 카트리지의 자세가 변경되므로,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축상 부재간의 거리 및/또는 한 쌍의 축상 부재와 지지 부재의 거리가,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짧아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한 쌍의 축상 부재는 양자간의 거리 및 지지 부재와의 거리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축상 부재 이동부에 의해 한 쌍의 축상 부재를 봉지 유지 기구에 유지되어 있는 봉지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이 봉지에 봉입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그 매거진의 축방향이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기구가 간단한 구조가 되어,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위치 변동부에 의해, 중심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와 봉지 유지 기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면, 봉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봉지 유지 기구에 유지된 봉지 내의 카트리지가 유지 수단에 유지되는 소정의 자세로부터 회전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사람이 카트리지의 자세를 조정하지 않고, 카트리지의 자세를 유지 수단이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을 실시할 때, 작업자가 봉지 내의 카트리지와 접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봉지 유지 기구를 중심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중심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와 봉지 유지 기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므로, 카트리지의 자세를 조정하는 기구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매거진 수용 공간을 4 개의 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하므로, 매거진 수용 공간 내에 카트리지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부와 유지 수단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 채, 카트리지를 유지 수단에 유지시킬 수 있다.
제 11 발명에 의하면, 봉지에 수용한 채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각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방사선 강도의 측정을 보다 한층 단시간에 또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선단 유지 영역에 시드 카트리지를 밀어넣는 것 만으로, 시드 카트리지를 선단 유지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선단 유지 영역의 고정홈의 선단면에 시드 카트리지의 선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선원의 축방향과 슬릿의 축방향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방호 장갑을 낀 채로도, 정확한 위치 자세가 되도록, 카트리지를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유지 수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2 발명에 의하면, 연결 영역이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삽입할 때에 시드 카트리지가 기울어져 있어도, 카트리지를 밀어넣으면, 경사면에 의해 선원의 축방향과 슬릿의 축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시드 카트리지의 자세를 매회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슬릿 플레이트)
제 13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슬릿 형성판을 연결하면, 한 쌍의 슬릿 형성판의 슬라이드면 사이에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슬릿 형성판에 있어서의 기준면과 다른 슬릿 형성판에 있어서의 슬라이드면을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슬릿의 축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면, 슬릿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방사선 강도 측정을 실시하는 선원에 맞추어 슬릿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슬릿 플레이트로 복수의 선원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는 선원에 맞추어 슬릿 플레이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비품을 적게 할 수 있고, 선원을 변경했을 때의 슬릿 조정도 용이해진다.
제 14 발명에 의하면, 판상 부재의 단면을 깎아 오목부를 형성하면, 다른 판상 부재의 단면을 이 오목부를 형성한 단면에 맞추면, 오목부에 의해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면에 함몰을 형성하는 깊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슬릿의 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폭이 매우 좁아도 슬릿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방사선 차단 부재)
제 15 발명에 의하면, 측정기가 슬릿을 통과하는 방사선을 검출하는 영역에, 선원의 산란 방사선이나 외부의 방사선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현장과 같이 장치의 주위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약제나 기기류가 있어도, 슬릿을 통과하는 방사선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는, 유지 수단 (30) 의 단체 개략 설명도로서, (A) 는 평면도이며, (B)는 (A) 의 B-B 선 단면도이며, (C) 는 C-C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유지 수단 (30) 에, 봉지 (B) 에 봉입된 카트리지 (C) 를 장착한 상태의 개략 설명도로서, (A) 는 평면도이며, (B) 는 (A) 의 B-B 선 단면도이며, (C) 는 선단 유지 영역 (25) 근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 은, 유지 수단 (130) 주변의 개략 확대 설명도로서, (A) 는 평면도이며, (B) 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A) 는 도 6 의 ⅣA-ⅣA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B) 는 도 6 의 ⅣB-ⅣB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 은, 유지 수단 (130) 의 단체 개략 설명도이다.
도 11 은, 유지 수단 (130) 의 단체 개략 설명도로서, (A) 는 측면도이며, (B) 는 (A) 의 B-B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C) 는 선단 유지 영역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2 는, 이동벽 (150a) 을 이동시켜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키는 상황의 설명도이다.
도 13 은, 슬릿 (115h) 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슬릿 플레이트 (115) 의 개략 설명도로서, (A) 는 슬릿 (115h) 의 길이를 20 ㎜ 로 조정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A) 는 슬릿 (115h) 의 길이를 10 ㎜ 로 조정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형성하는 판상 부재의 단체 설명도이다.
도 15 는, (A) 는 카트리지 (C) 의 개략 설명도이며, (B), (C) 특허문헌 1 의 측정기에 카트리지 (C) 를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슬릿 (h) 부분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6 은, 카트리지 (C) 를 수용한 플라스틱 케이스 (PK) 의 개략 설명도로, (A) 는 측면도이며, (B) 는 평면도이며, (C) 는 (A) 의 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 은, 유지 수단 (230) 의 단체 개략 설명도로서, (A) 는 평면도이며, (B) 는 (A) 의 B-B 선 단면도이며, (C) 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 은, (A) 는 유지 수단 (230)의 유지 베이스 (231) 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며, (B) 는 유지 수단 (230) 의 상부 커버 (232) 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다.
도 19 는, 유지 수단 (230) 을 장착한 제 3 실시형태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00) 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 은, (A) 는 유지 수단 (230) 의 다른 유지 베이스 (231A) 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며, (B) 는 유지 수단 (230) 의 다른 유지 베이스 (231B) 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다.
도 21 은, (A) 는 유지 수단 (230) 의 다른 유지 베이스 (231C) 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며, (B) 는 유지 수단 (230) 의 다른 유지 베이스 (231D) 의 개략 단체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전립선암에 대한 밀봉 소선원 치료에 사용되는 선원에 밀봉되어 있는 방사성 물질의 방사능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카트리지에 충전된 상태인 채 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원 및 카트리지의 설명)
먼저, 본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량 측정 장치 (이하, 간단히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라고 함) 를 설명하기 전에, 선원 및 이 선원이 충전되는 카트리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선원 (S) 은,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 125]를 티탄제의 캡슐에 밀봉한 것으로, 그 선 직경에 대해 축방향의 길이가 긴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원 (S) 은, 그 선 직경이 0.80 ~ 0.95 ㎜, 축길이가 4.50 ~ 4.55 ㎜ 인 것으로, 선 직경 및 축길이에는 약간의 편차가 있다.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C) 는, 일반적으로 전립선암에 대한 밀봉 소선원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대략 원통 형상의 매거진 (M) 과 이 매거진 (M) 의 일방의 축단에 설치된 복수의 선원 (S) 이 충전되는 시드 카트리지 (SC) 와 매거진 (M) 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봉상의 푸셔 (P) 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푸셔 (P) 의 선단은 시드 카트리지 (SC) 에 있어서 선원 (S) 이 충전되는 공간까지 도달하고 있고, 시드 카트리지 (SC) 내에 충전된 복수의 선원 (S) 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시드 카트리지 (SC) 는, 매거진 (M) 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시드 카트리지 (SC) 는, 그 선단면이 매거진 (M) 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평탄면에 형성되고, 또한, 그 표면이 매거진 (M) 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 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부재 (두께가 3.1 ㎜ 정도) 이다. 이 시드 카트리지 (SC)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선원 (S) 이 충전되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공간은, 그 단면의 높이가 선원 (S) 의 선 직경과 거의 동일하고, 또한, 그 단면의 폭이 선원 (S) 의 길이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푸셔 (P) 에 의해 복수의 선원 (S) 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면 및 표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드 카트리지 (SC) 의 공간에 충전되는 선원 (S)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개 또는 15 개가 일반적이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매거진 (M) 이 대략 원통 형상임」이라고 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대략 원통 형상에는, 육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일반적인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에 채용되고 있는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상기 카트리지 (C) 는, 멸균 상태로 봉지 (B) 에 밀봉된 상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 봉지 (B) 는, 그 두께가 0.18 ㎜ 정도의 종이제의 시트 (대지) 와, 그 두께가 0.05 ㎜ 정도의 합성 수지제의 시트 (커버 시트) 로 구성되어 있고, 양자사이에 카트리지 (C) 를 끼운 상태로 주연부 (周緣部) 를 첩합 (貼合) 하여 밀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의 설명)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에서는, 복수의 선원이 충전된 카트리지 (C) 를 멸균 상태로 봉지 (B) 에 밀봉된 상태인 채로도 선원 (S) 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11 은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의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베이스 부재 (11) 는 그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복수의 벽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 (11) 의 일단에는, 기준벽 (12)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기준벽 (12) 은,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직교하는, 평탄면에 형성된 기준 내면 (12a) 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구동 수단 유지벽 (13)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수단 유지벽 (13) 은, 기준 내면 (12a) 과 평행한 내면 (13a) 을 가지고 있다.
또, 기준벽 (12) 과 구동 수단 유지벽 (13)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은, 기준벽 (12) 근방에,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3 참조).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의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에는, 슬릿 플레이트 (15)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 플레이트 (15) 는, 그 하면이 평탄면에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그 거의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슬릿 (15h)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15h) 은, 그 축방향이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평행, 바꿔 말하면,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의 법선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슬릿 (15h) 은, 그 폭이 선원 (S) 의 선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후술한다.
또한, 슬릿 플레이트 (15) 는, 선원 (S) 의 방사선이 슬릿 (15h) 이외의 부분을 투과하지 않거나, 또는, 투과해도 없는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소재나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슬릿 (15h) 의 축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란 방사선을 제거하고, 또한 선원 (S) 으로부터의 직접 방사선을 최대한으로 취득하는 치수를 고려하면, 2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플레이트 (15) 의 상면에는, 중공인 원통 형상의 방사선 차단 부재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선 차단 부재 (18) 는, 놋쇠나 구리, 텅스텐 등을 소재로 하여 형성된 부재로, 그 내부의 중공 부분에 슬릿 (15h) 이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선 차단 부재 (18) 의 중공 부분은 측정기 수용부 (18h) 로, 그 내부에 선원 (S) 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 (19) 를 배치하는 부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 수단 유지벽 (13) 에는, 스텝핑 모터 등의 모터 (21) 가 장착되어 있다. 모터 (21) 는, 그 주축이 내면 (13a) 과 직교하도록, 바꿔 말하면, 그 주축이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의 법선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 (21) 의 주축은, 커플링 (21a) 을 통하여, 볼 나사축 등의 나사축 (22) 의 기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 나사축 (22) 도 그 중심축이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의 법선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나사축 (22) 은, 그 중심축이 슬릿 (15h) 과 직교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축 (22) 의 선단은, 전술한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방, 요컨대,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및 슬릿 플레이트 (15) 에 둘러싸인 공간 내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나사축 (22) 에는 너트 부재 (23) 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너트 부재 (23) 에는, 나사축 (22) 보다 상방에 배열 설치된 유지 수단 (30) 이 연결되어 있다. 이 유지 수단 (30) 은, 카트리지 (C) 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수단 (30) 은,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인데,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에는, 나사축 (22) 과 평행한 한 쌍의 레일 (24, 24)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레일 (24) 에는, 레일 (24) 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예를 들어 베어링 대차 등의 슬라이딩 부재 (25) 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는, 모두 유지 수단 (30) 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모터 (21) 를 작동시키면, 나사축 (22) 의 회전에 의해, 너트 부재 (23) 와 함께 유지 수단 (30) 을 나사축 (22) 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유지 수단 (30) 을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유지 수단 (30) 은,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를 통하여, 한 쌍의 레일 (24, 24) 에 안내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지 수단 (30) 을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유지 수단 (30) 은,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으로부터 그 상단까지의 거리가,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의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면, 나사축 (22) 의 선단이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방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수단 (30) 을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방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에 의한 방사선 강도 측정)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는,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슬릿 플레이트 (15)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방사선 차단 부재 (18) 의 측정기 수용부 (18h) 에 측정기 (19) 를 배치한다. 그리고, 유지 수단 (30) 에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카트리지 (C) 를 장착하면 측정 준비가 완료된다.
측정 준비가 완료되면, 모터 (21) 를 작동시켜, 유지 수단 (30) 을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방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유지 수단 (30) 에 유지되어 있는 선원 (S) 이 슬릿 (15h) 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지 수단 (30) 을 이동시키면, 슬릿 (15h) 을 통과하는 방사선 강도를 측정기 (19)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 수단 (30) 은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되어 있으므로, 유지 수단 (30) 이 나사축 (22) 을 따라 이동하면, 복수의 선원 (S) 은, 그 축방향을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유지한 채 순차적으로 슬릿 (15h) 의 위치를 통과한다. 슬릿 (15h) 의 폭이 선원 (S) 의 선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선원 (S) 의 이동에 맞추어, 측정기 (19) 가 검출하는 방사선 강도가 변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15h) 의 폭이 선원 (S) 의 선 직경보다 좁으므로, 선원 (S) 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은 그 일부밖에 슬릿 (15h) 을 통과하지 않고, 슬릿 (15h) 을 통과한 방사선만이 측정기 (19) 에 의해 검출된다. 그러면, 선원 (S) 으로부터의 방출되는 방사선은, 선원 (S) 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방출되므로, 측정기 (19) 가 검출하는 방사선 강도는, 슬릿 (15h) 의 중심축과 선원 (S) 의 중심축이 일치했을 때에 가장 강해지고, 양자의 어긋남이 커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그 이동 중에 있어서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으면, 측정기 (19) 가 검출하는 방사선 강도는, 복수의 선원 (S) 의 이동에 맞추어, 각 선원 (S) 의 중심축이 슬릿 (15h) 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타이밍에서 방사선 강도의 피크가 되고, 인접하는 선원 (S) 의 중심축 사이에서는 골짜기가 되는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면, 측정된 방사선 강도의 변동, 구체적으로는, 방사선 강도의 피크의 수나, 그 피크치, 또, 피크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개개의 선원 (S) 의 방사능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에 의하면, 복수의 선원 (S) 이 장전된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에 유지시키고, 모든 선원 (S) 이 슬릿 (15h) 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이동시키면, 1 회의 측정으로, 복수의 선원 (S) (요컨대, 모든 선원 (S)) 을 카트리지 (C) 에 충전한 채,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방사능 측정을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중, 일부의 선원 (S) 만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든 선원 (S) 이 슬릿 (15h) 의 위치를 통과시킬 필요는 없고, 측정하고자 하는 선원 (S) 이 슬릿 (15h) 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지 수단 (30) 을 이동시키면 된다.
게다가, 카트리지 (C) 에 유지된 복수의 선원 (S) 을 이동시켜, 방사선 강도의 변동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선원 (S) 의 장전 간격에 다소의 차이가 존재해도,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의 피크치나 피크치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C) 에 유지되어 있는 선원 (S) 의 위치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해도, 각 선원 (S) 의 정확한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수단 (30) 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개의 선원 (S) 의 방사능을 산출할 수 있는 방사선 강도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속도이면 된다.
그리고,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절대치를 파악하는 경우이면, 측정 대상이 되는 카트리지 (C) 의 측정을 실시하기 전에, 기준이 되는 방사선 강도를 갖는 기준 선원이 충전된 카트리지 (C) 에 대해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을 측정하면 된다. 그러면, 기준 선원의 피크치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 대상이 되는 카트리지 (C) 의 측정치 (피크치) 로부터 측정 대상이 되는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절대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절대치가 필요없으면,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에 있어서의 각 선원 (S) 의 피크치를 상대 비교하면, 각 선원 (S) 의 양호와 불량을 파악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가 방사선 차단 부재 (18) 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반드시 방사선 차단 부재 (18) 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방사선 차단 부재 (18) 를 설치해 두면, 측정기 (19) 가 슬릿 (15h) 을 통과하는 방사선을 검출하는 영역에, 측정 대상인 선원 (S) 의 산란 방사선이나, 외부의 방사선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의료 현장과 같이,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의 주위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약제나 기기류가 있는 장소에서도, 슬릿 (15h) 을 통과하는 방사선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어, 각 선원 (S) 의 양호와 불량을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및 슬릿 플레이트 (15) 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이 수용부의 본체부에 상당한다. 또,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및 슬릿 플레이트 (15) 에 둘러싸인 공간이 수용 공간 (10h) 이다.
또, 상기 서술한 모터 (21), 나사축 (22), 너트 부재 (23), 한 쌍의 레일 (24, 24) 및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이동 수단에 상당하고, 한 쌍의 레일 (24, 24) 및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가이드부에 상당한다. 이하에서는, 모터 (21), 나사축 (22), 너트 부재 (23), 한 쌍의 레일 (24, 24) 및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를 모두 포함하여 이동 수단 (20) 이라고 한다.
또한, 이동 수단 및 가이드부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에는, 실린더나 아암 등도 사용 가능하고, 가이드부에는 와이어 등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사축 (22) 과 한 쌍의 레일 (24, 24), 요컨대, 3 개의 직선 형상의 부재를 따라 유지 수단 (30) 을 이동시키면, 유지 수단 (30) 의 이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유지 수단 (30) 의 설명)
다음에, 유지 수단 (30) 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지 수단 (30) 은, 카트리지 (C) 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것인데,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의 유지 수단 (30) 은, 카트리지 (C) 가 봉지 (B) 에 봉입된 상태인 채로도 소정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부호 31 은 판상의 유지 베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지 베이스 (31) 는, 그 하면에 상기 서술한 너트 부재 (23) 나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에 지지되어, 그 상면이 상기 서술한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유지 베이스 (31) 의 폭은, 상기 서술한 카트리지 (C) 를 수용하는 봉지 (B) 의 폭보다 넓어지고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지 베이스 (31) 의 상방에는, 판상의 상부 커버 (32) 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 (32) 는, 그 하면이 유지 베이스 (31) 의 상면과 평행이 되고, 게다가, 이 하면과 유지 베이스 (31) 의 상면 사이에, 유지 수단 (30) 이 이동하는 방향을 관통하는 간극 (30h) 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부 커버 (32) 는, 후술하는 유지 구멍 (33)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간극 (30h) 의 간격이 카트리지 (C) 에 있어서의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와 동등보다 좁아지고, 간극 (30h) 의 폭이 상기 서술한 카트리지 (C) 를 수용하는 봉지 (B) 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간극 (30h) 은, 슬릿 플레이트 (15) 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개구 (도 4 및 도 5 에서는 우단의 개구, 이하 삽입 개구라고 함) 로부터 슬릿 플레이트 (15) 를 향해 신장된, 카트리지 (C) 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인 유지 구멍 (33) 을 가지고 있다. 이 유지 구멍 (33) 은, 그 축방향이 나사축 (22) 의 중심축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유지 구멍 (33) 은, 그 축방향이 슬릿 (15h) 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게다가, 유지 구멍 (33) 은, 그 축방향을 포함하고 또한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직교하는 평면이, 슬릿 (15h) 을 2 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유지 구멍 (33) 은, 이동 수단 (20) 에 의해 유지 수단 (30) 을 수용 공간 (10h) 내의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방까지 이동시키면, 슬릿 (15h) 의 하방을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구멍 (33) 은, 매거진 (M) 이 배치되는 매거진 유지 영역 (34) 과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선단 유지 영역 (35) 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매거진 유지 영역 (34) 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간극을 형성하는 양면 (요컨대, 유지 베이스 (31) 의 상면과 상부 커버 (32) 의 하면) 을 함몰시켜, 양 오목면간에 매거진 (M) 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매거진 유지 영역 (34) 의 오목면은, 그 곡률 반경이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반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매거진 유지 영역 (34) 보다 슬릿 플레이트 (15) 측에는, 매거진 유지 영역 (34) 과 연속하는 선단 유지 영역 (3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 유지 영역 (35) 은, 유지 베이스 (31) 의 상면을 하방으로 함몰시킨 고정홈 (36) 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홈 (36) 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 (36a) 이 유지 베이스 (31) 의 상면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고정홈 (36)의 저면 (36a) 은, 상부 커버 (32) 의 하면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홈 (36) 의 단면 (36b) (요컨대, 슬릿 플레이트 (15) 측에 위치하는 면) 은, 유지 구멍 (33) 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고정홈 (36) 의 단면 (36b) 은,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단 유지 영역 (35) 의 고정홈 (36) 은, 그 저면 (36a) 으로부터 상부 커버 (32) 의 하면까지의 거리 (H) 가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와 봉지 (B) 의 두께 (종이제 대지의 두께와 커버 시트의 두께를 합한 두께) 를 합한 두께 D1 보다 약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거리 (H) 로 하면, 거리 (H) 가 두께 D1 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카트리지 (C) 를 봉지 (B) 에 밀봉한 채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35) 에 밀어넣을 수 있고, 시드 카트리지 (SC) 를 선단 유지 영역 (35) 에 고정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거리 (H) 가 두께 D1 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봉지 (B) 의 소재가 약간 압축되기 때문이다.
또, 고정홈 (36) 의 저면 (36a) 및 상부 커버 (32) 의 하면이 서로 평행하기 때문에,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35) 에 밀어넣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상부 커버 (32) 의 하면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면 (요컨대,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 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드 카트리지 (SC) 를 그 선단면이 고정홈 (36) 의 단면 (36b) 에 닿을 때까지 밀어넣으면, 고정홈 (36)의 단면 (36b) 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면을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하면, 유지 수단 (30) 에 카트리지 (C) 를 고정시킬 수 있다.
먼저, 봉지 (B) 에 들어간 카트리지 (C) 를, 그 시드 카트리지 (SC) 가 있는 위치와 반대측을 유지하여, 그 시드 카트리지 (SC) 로부터 유지 수단 (30) 의 유지 구멍 (33) 에 삽입 개구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봉지 (B)의 유지 구멍 (33) 에 위치하지 않는 부분은 간극 (30h) 에 들어가도록 한다.
이 상태로부터, 카트리지 (C) 를 유지 구멍 (33) 에 밀어넣어 가면, 매거진 (M) 이 매거진 유지 영역 (34) 에 배치된다.
또한, 카트리지 (C) 를 유지 구멍 (33) 에 밀어넣어 가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부가 선단 유지 영역 (35) 으로 밀어넣어져 고정된다.
그러면, 봉지 (B) 에 밀봉된 상태의 카트리지 (C) 를, 소정의 자세, 요컨대,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한 상태가 되도록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킬 때에는, 카트리지 (C) 를 유지 구멍 (33) 에 삽입하여 밀어넣는 것만으로 되므로, 피폭 방지용의 방호 장갑을 낀 채로도, 정확한 위치 자세가 되도록, 봉지 (B) 에 밀봉된 상태의 카트리지 (C) 를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가 3.1 ㎜, 봉지 (B) 의 두께가 0.23 ㎜ (종이제 대지 0.18 ㎜, 합성 수지제 시트 0.05 ㎜) 이면, 거리 (H) 가 3.1 ㎜ 가 되도록 형성하면, 피폭 방지용의 방호 장갑을 낀 채로도,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의 유지 구멍 (33) 에 삽입하여 밀어넣어, 카트리지 (C) 가 정확한 위치 자세가 되도록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봉지 (B) 에 들어간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봉지 (B) 에 있어서, 유지 구멍 (33) 에 배치되지 않는 부분을 어떻게 처치할지가 문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유지 수단 (30) 은, 유지 베이스 (31) 의 상면과 상부 커버 (32) 의 하면 사이에,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부의 두께와 동등보다 좁은 간격의 간극 (30h) 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이 간극 (30h) 은, 유지 수단 (30) 을 그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또한, 그 폭이 봉지 (B) 의 폭보다 넓다. 그러면, 봉지 (B) 에 있어서 유지 구멍 (33) 에 배치되지 않는 부분을 간극 (30h) 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이 카트리지 (C) 의 고정이나 위치 결정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에서는, 간극 (30h) 이, 유지 수단 (30) 을 그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고정홈 (36) 보다 전방에, 시드 카트리지 (SC)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봉지 (B) 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면, 간극 (30h) 은 반드시 유지 수단 (30) 을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봉지 (B) 에 들어간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유지 베이스 (31) 의 길이 (도 4 에서는 좌우 방향의 길이) 를 상부 커버 (32) 의 길이 (도 4 에서는 좌우 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지 구멍 (33) 의 삽입 개구의 바로 앞에, 테이블상의 부분 (테이블 영역) 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카트리지 (C) 를 유지 구멍 (33) 에 삽입할 때에, 봉지 (B) 에 있어서 유지 구멍 (33) 에 배치되지 않는 부분을, 테이블 영역에 접촉시킨 상태로 카트리지 (C) 를 유지 구멍 (33) 에 삽입하면, 이 부분을 간단하게 간극 (30h) 에 미끄러져 들어가게 할 수 있어 봉지 (B) 에 들어간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상기 서술한 유지 수단 (30) 은, 반드시 봉지 (B) 에 들어간 카트리지 (C) 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봉지 (B) 로부터 꺼낸 카트리지 (C) 의 유지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봉지 (B) 를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의 고정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에 압축성을 갖는 완충재를 장착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35) 에 밀어넣어,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3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성을 갖는 폴리에틸렌제 멸균 척 봉지를 완충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척 봉지에 넣으면 카트리지 (C) 가 봉지 (B) 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시드 카트리지 (SC) 를 선단 유지 영역 (35) 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거리 (H) 가,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보다 약간 긴 (예를 들어 200 ㎛ 정도) 경우에는, 완충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 (C) 의 시드 카트리지 (SC) 를 선단 유지 영역 (35) 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는 없지만, 유지 수단 (30) 이 이동했을 때에, 카트리지 (C) 가 이동하여, 시드 카트리지 (SC) 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연결 영역 (37))
또, 유지 구멍 (33) 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매거진 유지 영역 (34) 과 선단 유지 영역 (35) 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도 되지만, 양자간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영역 (37) 을 형성해도 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영역 (37) 은, 매거진 유지 영역 (34) 과 선단 유지 영역 (3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영역 (37) 은, 매거진 유지 영역 (34) 의 오목면 (34a) 과 연속되는 곡면과, 이 곡면을 절단하도록 형성된 경사면 (37a) 을 가지고 있다. 이 경사면 (37a) 은, 이 고정홈 (36) 의 저면 (36a) 과 연속되어, 저면 (36a) 이 하방으로 구부러진 듯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 구멍 (33) 에 카트리지 (C) 를 삽입했을 때에, 고정홈 (36) 의 저면 (36a) 에 대해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기울어져 있으면, 카트리지 (C) 를 유지 구멍 (33) 에 밀어넣었을 때에,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 부분은 연결 영역 (37) 의 경사면 (37a) 에 접촉한다.
그러면, 연결 영역 (37) 의 경사면 (37a) 은 상기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카트리지 (C) 를 밀어넣어 가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 부분의 하단 가장자리가 연결 영역 (37) 의 경사면 (37a) 에 선 접촉하도록 카트리지 (C) 가 회전된다.
따라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 부분이 선단 유지 영역 (35) 의 입구까지 도달할 때에는,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 부분의 표면과 고정홈 (36) 의 저면 (36a) 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와 같은 연결 영역 (37) 을 형성하면, 카트리지 (C) 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선원 (S) 의 축방향과 슬릿 (15h) 의 축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시드 카트리지 (SC) 의 자세를 매회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슬릿 플레이트 (15))
상기 서술한 슬릿 플레이트 (15) 는, 1 매의 판상의 부재에 슬릿 (15h) 을 형성하여 제조해도 되는 것이지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매의 판상 부재 (16, 17) 를 그 단면끼리 면접촉하도록 맞추어 형성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부재 (16) 는, 그 한 단면이, 상기 서술한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면접촉하도록,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의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판상 부재 (16) 는,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면접촉하는 단면 (기준 단면 (16a)) 및 이 단면과 대향하는 단면 (대향 단면 (16b)) 이 서로 평행이고, 또한, 양 단면이 평탄면이며 또한 그 양 표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판상 부재 (16) 는, 기준 단면 (16a) 을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면접촉시키면, 대향 단면 (16b) 이 기준 내면 (12a) 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판상 부재 (17) 는, 하나의 단면이 판상 부재 (16) 의 대향 단면 (16b) 과 면접촉하도록,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의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판상 부재 (17) 는, 판상 부재 (16) 의 대향 단면 (16b) 과 면접촉하는 단면 (대향 단면 (17a)) 이, 평탄면이며 또한 양 표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상 부재 (16) 의 대향 단면 (16b) 에는, 그 단면으로부터 함몰된 오목부 (16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16c) 는, 판상 부재 (16) 의 양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2 매의 판상 부재 (16, 17) 의 대향 단면 (16b, 17a) 끼리를 맞추고, 판상 부재 (16) 의 기준 단면 (16a) 이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면접촉하도록,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상에 배치하면, 슬릿 플레이트 (15) 를 관통하는 슬릿 (15h)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슬릿 플레이트 (15) 를 형성한 경우, 판상 부재 (16) 의 대향 단면 (16b) 에 형성하는 오목부 (16c) 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슬릿 (15h) 의 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폭이 매우 좁은 슬릿 (15h) 이어도 정확하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슬릿 (15h) 은 그 축방향을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정확히 평행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슬릿 플레이트 (15) 를 형성한 경우에는, 판상 부재 (16) 의 양 단면 (16a, 16b) 을 평행하게 형성하고, 또한, 이 양 단면 (16a, 16b) 과 오목부 (16c) 의 저면을 평행하게 유지하면, 슬릿 (15h) 은 그 축방향과 기준벽 (12) 의 기준 내면 (12a) 과 정확히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1 매의 판에 관통 구멍으로서 슬릿 (15h) 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슬릿 (15h) 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2 매의 판상 부재 (16, 17) 의 대향 단면 (16b, 17a) 끼리를 맞추어 슬릿 플레이트 (15) 를 형성한 경우, 슬릿 (15h) 의 폭이 0.1 ~ 0.01 ㎜ 인 것이어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 매의 판상 부재 (16, 17) 의 대향 단면 (16b, 17a) 끼리를 확실하게 면접촉시키는데 있어서는, 2 매의 판상 부재 (16, 17) 끼리를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 매의 판상 부재 (16, 17) 중, 대향 단면에 함몰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부재 (상기 예에서는, 판상 부재 (16)) 는,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의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에 장착했을 때에, 그 함몰이 항상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의 한 쌍의 유지면 (14a, 14a) 및 판상 부재 (16) 에는,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설치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 위치 결정 기구는, 공지된 여러 가지 위치 결정 기구를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정 위치표 등을 설정하여, 이 고정 위치표에 각 판상 부재 (16, 17) 의 위치를 맞추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판상 부재 (16) 의 대향 단면에 함몰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판상 부재 (16) 의 대향 단면 (16b) 에 함몰을 형성하지 않고, 판상 부재 (17) 의 대향 단면 (17a) 에 함몰을 형성하여 슬릿 (15h) 을 형성해도 되고, 양쪽의 판상 부재 (16, 17) 의 대향 단면 (16b, 17a) 에 각각 함몰을 형성하여 슬릿 (15h) 을 형성해도 된다.
(수용부에 대해)
또한, 상기 서술한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각각 따로 따로 가공 된,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및 슬릿 플레이트 (15) 를 조립하여 형성해도 되고, 이들 모두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및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는 일체로 형성하고, 슬릿 플레이트 (15) 만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가공의 용이성이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 (11), 기준벽 (12), 좌우 한 쌍의 측벽 (14, 14) 및 슬릿 플레이트 (15) 를 모두 판상의 부재로 따로 따로 형성하여,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에서는,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 측정을 실시할 때에, 작업자가 카트리지 (C) 가 충전된 봉지 (B) 를 취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도록 한 것, 바꿔 말하면, 피폭될 가능성 (시간) 을 적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110) 의 설명)
도 6 및 도 7 에 있어서, 부호 110 은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의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케이스 (110) 는, 그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부재 (111)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 부재 (111) 는, 그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벽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 (111) 의 측방에는,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은, 그 하단 가장자리를 베이스 부재 (111) 의 측단 가장자리와 연결하면, 그 내면이 베이스 부재 (111) 의 상면과 직교하는 평탄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 내면을 기준 내면 (114a) 이라고 함).
또, 베이스 부재 (111) 의 전후단 (도 6 에서는 좌우단) 에는, 한 쌍의 벽부재 (112, 11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벽부재 (112, 112) 는, 그 측단 가장자리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의 전후단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그 하단 가장자리가 베이스 부재 (111) 의 전후단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요컨대, 케이스 (110) 는, 베이스 부재 (111) 를 바닥으로 하고,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및 한 쌍의 벽부재 (112, 112) 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의 공간 (110h) 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벽부재 (112, 112)는, 상부에 타방의 벽부재 (112) 를 향하여 굴곡된 덮개부 (112a) 를 구비하고 있다. 각 덮개부 (112a) 는, 양자간에 상기 공간 (110h) 과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개구 (110a) 가 형성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단 가장자리는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 (110a) 는, 카트리지 (C) 를 수용한 봉지 (B) (이하, 간단히 봉지 (B) 라고 함) 를, 후술하는 공급 수단 (150) 에 대해 공급하는 공급구가 되는 것인데,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설명)
이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덮개부 (112a)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베이스 부재 (111) 의 상면과 평행 (바꿔 말하면, 기준 내면 (114a) 과 직교) 하고 또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유지면 (114b, 114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유지면 (114b, 114b) 에는, 슬릿 플레이트 (115)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 플레이트 (115) 는, 그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그 거의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슬릿 (115h)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115h) 은, 그 축방향이 기준 내면 (114a) 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슬릿 (115h) 은, 그 폭이 선원 (S) 의 선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후술한다.
또한, 슬릿 플레이트 (115) 는, 그 소재나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선원 (S) 의 방사선이 슬릿 (115h) 이외의 부분을 투과하지 않거나, 또는, 투과해도 없는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이면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플레이트 (115) 의 상면에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방사선 차단 부재 (1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선 차단 부재 (118) 는, 놋쇠나 구리, 텅스텐 등을 소재로 하여 형성된 부재로, 그 내부의 중공 부분에 슬릿 (115h) 이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선 차단 부재 (118) 의 중공 부분은 측정기 수용부 (118h) 로, 선원 (S) 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 (119) 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베이스 부재 (111), 일방의 벽부재 (112) (도 6 에서는 좌방의 벽 부재 (112)),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및 슬릿 플레이트 (115) 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에 상당하고, 이들에 둘러싸인 공간이,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의 수용 공간에 상당한다.
또, 상기 서술한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각각 따로 따로 가공된, 베이스 부재 (111), 벽부재 (112), 측벽 (114) 및 슬릿 플레이트 (115) 를 조립하여 형성해도 되고, 이들 모두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 베이스 부재 (111), 벽 부재 (112) 및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은 일체로 형성하여, 슬릿 플레이트 (115) 만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가공의 용이성이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 (111), 벽 부재 (112),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및 슬릿 플레이트 (115) 를 모두 판상의 부재로 따로 따로 형성하여,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수단 (130) 의 설명)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사이에는, 기준 플레이트 (113)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준 플레이트 (113) 는, 그 상면이 상기 베이스 부재 (111) 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0) 의 공간 (110h) 내에 있어서의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방의 공간에는, 유지 수단 (130)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 수단 (130) 은, 후술하는 이동 수단 (120) 의 나사축 (122) 과 슬릿 플레이트 (115) 사이의 공간 (요컨대, 수용부의 수용 공간) 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수단 (130) 은, 카트리지 (C) 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수단 (130) 은,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유지 수단 (130)은, 카트리지 (C) 를,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유지 수단 (130) 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공급 수단 (150) 의 설명)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0) 의 공간 (110h) 내에 있어서의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방의 공간에는, 공급 수단 (150) 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 수단 (150) 은, 상기 개구 (110a) 의 위치에 설치된, 봉지 (B) 가 공급되는 봉지 유지 기구 (151) 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급 수단 (150) 은,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의해 유지된 봉지 (B) 내의 카트리지 (C) 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유지 수단 (130) 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 또한 상기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 결정하여 유지 수단 (130) 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동 수단 (120) 의 설명)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에는, 이동 수단 (120) 의 나사축 (122) (예를 들어, 볼 나사축 등) 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축 (122) 은, 그 일단 (도 6 에서는 좌단) 이 슬릿 플레이트 (115) 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 타단 (도 6 에서는 우단) 이 상기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나사축 (122) 은, 그 중심축이,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 또한 상기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축 (122) 에는, 너트 부재 (123) 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너트 부재 (123) 에는, 나사축 (122) 보다 상방에 배열 설치된 유지 수단 (130) 이 연결되어 있다.
또, 나사축 (122) 의 일단에는, 커플링 (21a) 을 통하여, 스텝핑 모터 등의 모터 (121) 의 주축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므로, 모터 (121) 를 작동시켜 나사축 (122) 을 회전시키면, 너트 부재 (123) 와 함께 유지 수단 (130) 을, 나사축 (122) 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유지 수단 (130) 을, 이동 수단 (120) 에 의해,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하고, 또한,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 (베이스 부재 (111) 의 상면과 평행) 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유지 수단 (130) 은, 나사축 (122) 과 슬릿 플레이트 (115) 사이의 공간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축 (122) 은 그 일단이 슬릿 플레이트 (115)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타단이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수단 (120) 을 작동시키면, 유지 수단 (130) 에, 슬릿 플레이트 (115) 의 하방의 위치와 봉지 유지 기구 (151) 근방의 위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유지 수단 (130) 은, 카트리지 (C) 를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 또한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므로, 유지 수단 (130) 에 유지된 상태의 카트리지 (C) 는,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나사축 (122)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된다.
그러면, 이동 수단 (120) 에 의해 유지 수단 (130) 이 이동되어도, 유지 수단 (130) 에 유지되어 있는 카트리지 (C) 의 중심축은, 나사축 (122) 의 축방향과 항상 평행하게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유지 수단 (130) 에 유지된 카트리지 (C) 는,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항상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 또한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유지 수단 (130) 의 이동을 지지하는 구성)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에 나사축 (122) 과 평행한 한 쌍의 레일 (124, 124) 을 설치하고, 각 레일 (124) 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 (예를 들어 베어링 대차 등) 에 의해 유지 수단 (130) 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요컨대, 유지 수단 (130) 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해도 되고, 안내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유지 수단 (130) 을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이동 수단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동 수단에는 실린더나 아암 등도 사용 가능하고, 안내부를 와이어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축 (122) 과 한 쌍의 레일 (124, 124), 요컨대, 3 개의 직선 형상의 부재를 따라 유지 수단 (130) 을 이동시킨 경우에는, 유지 수단 (130) 의 이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에 의한 방사선 강도 측정)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는,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슬릿 플레이트 (115)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방사선 차단 부재 (118) 의 측정기 수용부 (118h) 에 측정기 (119) 를 배치한다. 그리고, 유지 수단 (130) 에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카트리지 (C) 를 장착하면 측정 준비가 완료된다.
측정 준비가 완료되면, 먼저 카트리지 (C) 가 수용되어 있는 봉지 (B) 를,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공급한다. 이어서, 모터 (121) 를 작동시켜, 유지 수단 (130) 을 봉지 유지 기구 (151) 근방까지 이동시키면, 봉지 (B) 에 수용된 상태의 카트리지 (C) 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 수단 (130) 에 공급된다.
카트리지 (C) 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로부터 유지 수단 (130) 에 카트리지 (C) 가 공급되면, 이동 수단 (120) 에 의해, 유지 수단 (130) 을 슬릿 플레이트 (115) 의 하방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유지 수단 (130) 에 유지되어 있는 선원 (S) 이 슬릿 (115h) 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지 수단 (130) 을 이동시키면, 슬릿 (115h) 을 통과하는 방사선 강도를 측정기 (119)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 수단 (130) 은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되어 있으므로, 유지 수단 (130) 이 나사축 (122) 을 따라 이동하면, 복수의 선원 (S) 은, 그 축방향을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유지한 채 순차적으로 슬릿 (115h) 의 위치를 통과한다. 그러면, 슬릿 (115h) 의 폭은 선원 (S) 의 선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선원 (S) 의 이동에 맞추어, 측정기 (119) 가 검출하는 방사선 강도가 변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115h) 의 폭이 선원 (S) 의 선 직경보다 좁기 때문에, 선원 (S) 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은 그 일부밖에 슬릿 (115h) 을 통과하지 않고, 슬릿 (115h) 을 통과한 방사선만이 측정기 (119) 에 의해 검출된다. 그러면, 선원 (S) 으로부터의 방출되는 방사선은, 선원 (S) 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방출되므로, 측정기 (119) 가 검출하는 방사선 강도는, 슬릿 (115h) 의 중심축과 선원 (S) 의 중심축이 일치했을 때에 가장 강해지고, 양자의 어긋남이 커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그 이동 중에 있어서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으면, 측정기 (119) 가 검출하는 방사선 강도는, 복수의 선원 (S) 의 이동에 맞추어, 각 선원 (S) 의 중심축이 슬릿 (115h) 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타이밍에서 방사선 강도의 피크가 되고, 인접하는 선원 (S) 의 중심축 사이에서는 골짜기가 되는 변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면, 측정된 방사선 강도의 변동, 구체적으로는 방사선 강도의 피크의 수나, 그 피크치, 또, 피크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개개의 선원 (S) 의 방사능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에 의하면, 복수의 선원 (S) 이 장전된 카트리지 (C) 를 수용한 봉지 (B) 를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공급하면, 유지 수단 (130) 에 카트리지 (C) 를 위치 결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C) 를 유지한 유지 수단 (130) 을, 모든 선원 (S) 이 슬릿 (115h) 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이동시키면, 1 회의 측정으로, 복수의 선원 (S) (요컨대, 모든 선원 (S)) 을 카트리지 (C) 에 충전하고 또한 카트리지 (C) 를 봉지 (B) 에 봉입한 채, 각 선원 (S)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방사능 측정을 단시간에 또한 어느 정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작업자는 카트리지 (C) 를 봉입한 봉지 (B) 를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공급하면, 그 후의 작업에서는, 봉지 (B) 등에 접촉하지 않아도 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요컨대, 작업자가 카트리지 (C) 를 취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 (시간) 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중, 일부의 선원 (S) 만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든 선원 (S) 이 슬릿 (115h) 의 위치를 통과시킬 필요는 없고, 측정하고자 하는 선원 (S) 이 슬릿 (115h) 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유지 수단 (130) 을 이동시키면 된다.
또, 카트리지 (C) 에 유지된 복수의 선원 (S) 을 이동시켜 방사선 강도의 변동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선원 (S) 의 장전 간격에 다소의 차이가 존재해도,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의 피크치나 피크치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C) 에 유지되어 있는 선원 (S) 의 위치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해도, 각 선원 (S) 의 정확한 방사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수단 (130) 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개의 선원 (S) 의 방사능을 산출할 수 있는 방사선 강도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속도이면 된다.
그리고,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절대치를 파악하는 경우이면, 측정 대상이 되는 카트리지 (C) 의 측정을 실시하기 전에, 기준이 되는 방사선 강도를 갖는 기준 선원이 충전된 카트리지 (C) 에 대해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을 측정하면 된다. 그러면, 기준 선원의 피크치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 대상이 되는 카트리지 (C) 의 측정치 (피크치) 로부터 측정 대상이 되는 카트리지 (C) 에 충전되어 있는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절대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각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의 절대치가 필요 없으면, 방사선 강도의 변동 곡선에 있어서의 각 선원 (S) 의 피크치를 상대 비교하면, 각 선원 (S) 의 양호 불량을 파악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가 방사선 차단 부재 (118) 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반드시 방사선 차단 부재 (118) 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방사선 차단 부재 (118) 를 설치해 두면, 측정기 (119) 가 슬릿 (115h) 을 통과하는 방사선을 검출하는 영역에, 측정 대상인 선원 (S) 의 산란 방사선이나, 외부의 방사선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의료 현장과 같이,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의 주위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약제나 기기류가 있는 장소에서도, 슬릿 (115h) 을 통과하는 방사선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어, 각 선원 (S) 의 양호 불량을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유지 수단 (130) 및 공급 수단 (150) 의 상세한 설명)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0) 에서는, 카트리지 (C) 를 수용한 봉지 (B) 를 공급 수단 (150) 의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공급하면, 유지 수단 (130) 에 카트리지 (C) 를 위치 결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카트리지 (C) 가 충전된 봉지 (B) 를 취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 (시간) 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 중요한 유지 수단 (130) 및 공급 수단 (150) 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지 수단 (130) 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 유지 수단 (130) 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지 수단 (130) 은, 카트리지 (C) 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것으로, 카트리지 (C) 가 봉지 (B) 에 봉입된 상태인 채로도 소정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수단 (130) 은,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 (이하, 간단히 직교면이라고 함) 과 시드 카트리지 (SC) 에 수용되어 있는 선원의 축방향이 직교하도록, 봉지 (B) 에 봉입된 상태의 카트리지 (C) 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유지 수단 (130) 에 의해 카트리지 (C) 가 유지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매거진 (M) 의 중심축과 동축인 축,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슬릿 (115h) 의 축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평행한 축을 기준축이라고 한다.
도 8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수단 (130) 은, 시드 카트리지 (SC) 를 유지하는 하측 유지 부재 (131)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유지 부재 (131) 는, 그 상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형성된 부재로, 판상의 부재를 통하여 상기 서술한 너트 부재 (123) 나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124, 124) 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측 유지 부재 (131) 는, 그 상면이 상기 서술한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하측 유지 부재 (131) 의 상방에는,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상측 유지 부재 (132) 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상측 유지 부재 (132) 는, 그 하면이 하측 유지 부재(131) 의 상면과 평행이 되고, 게다가, 이 하면과 하측 유지 부재 (131) 의 상면의 사이에, 유지 수단 (130) 이 이동하는 방향을 관통하는 간극 (130h) 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유지 부재 (132) 는, 상기 서술한 간극 (130h) 의 간격이 카트리지 (C) 에 있어서의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와 동등보다 좁아지고, 간극 (130h) 의 간격이 상기 서술한 카트리지 (C) 를 수용하는 봉지 (B) 의 두께 (종이제 대지의 두께와 커버 시트의 두께를 합한 두께) 를 합한 두께 D1 (이하, 간단히 봉지 (B) 의 두께 D1 이라고 함) 보다 넓어지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설명)
또, 하측 유지 부재 (131)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사이에는, 공급 수단 (150) 측의 단부 (도 9 및 도 10 에서는 우단의 단부, 이하 삽입단이라고 함) 로부터, 공급 수단 (150) 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 (이하, 반삽입단이라고 함) 를 향하여 신장된, 카트리지 (C) 에 있어서의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인 선단 유지 영역 (13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은, 그 축방향이 기준축과 평행하고, 게다가, 그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직교하는 평면 (35s) 이, 슬릿 (115h) 을 2 등분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은, 하측 유지 부재 (131) 의 상면 및 상측 유지 부재 (132) 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함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먼저, 하측 유지 부재 (131) 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 (이하, 고정홈 (136) 이라고 함) 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 (136a) 이 하측 유지 부재 (131) 의 상면과 평행한 평탄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홈 (136) 의 단면 (136b) (요컨대, 반삽입단측에 위치하는 면) 은,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고정홈 (136) 의 단면 (136b) 은,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측 유지 부재 (132) 의 하면에 형성된 함몰 (이하, 고정홈 (137) 이라고 함) 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 (137a) 이 하측 유지 부재 (131) 의 상면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고정홈 (137) 의 저면 (137a) 은, 고정홈 (136) 의 저면 (136a) 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홈 (137) 의 단면 (137b) (요컨대, 반삽입단측에 위치하는 면) 은,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고정홈 (137) 의 단면 (137b) 은, 고정홈 (136) 의 단면 (136b) 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단 유지 영역 (135) 은, 고정홈 (136) 의 저면 (136a) 으로부터 고정홈 (137) 의 저면 (137a) 까지의 거리 (H) 가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와 봉지 (B) 의 두께 D1 보다 약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가 3.1 ㎜, 봉지 (B) 의 두께가 0.23 ㎜ (종이제 대지 0.18 ㎜, 합성 수지제 시트 0.05 ㎜) 이면, 거리 (H) 가 3.1 ㎜ 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거리 (H) 로 하면, 거리 (H) 가 두께 D1 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카트리지 (C) 를 봉지 (B) 에 밀봉한 채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수용할 수 있어, 시드 카트리지 (SC) 를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고정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봉지 (B) 는 약간 압축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거리 (H) 가 두께 D1 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봉지 (B) 의 소재가 약간 압축된 상태로, 시드 카트리지 (SC) 가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 고정홈 (136) 의 저면 (136a) 과 고정홈 (137) 의 저면 (137a) 이 서로 평행하기 때문에,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수용되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상측 유지 부재 (132) 의 하면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슬릿 플레이트 (115) 의 하면 (요컨대, 기준 플레이트 (113) 의 상면) 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드 카트리지 (SC) 를 그 선단면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단면, 요컨대, 고정홈 (136) 의 단면 (136b) 및 고정홈 (137) 의 단면 (137b) 에 닿도록 배치한다. 그러면, 고정홈 (136) 의 단면 (136b) 및 고정홈 (137) 의 단면 (137b) 이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면을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극 (130h) 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으로부터 삽입단을 향하여 그 간극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수용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간극 (130h) 은, 유지 수단 (130) 이 이동하는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봉지 (B) 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으므로, 봉지 (B) 가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수용하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간극 (130h) 은 반드시 유지 수단 (130) 을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고정홈 (136) 보다 전방에, 시드 카트리지 (SC)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봉지 (B) 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공급 수단 (150) 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 공급 수단 (150) 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0) 의 중공의 공간 (50h) 내에는,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벽 (150a) 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벽 (150a) 을 이동시키는 기구에는, 직교면과 직교하도록 배열 설치된 레일에 대해 이동벽 (150a) 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장착하여, 모터 등에 의해 나사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 볼 나사 기구에 의해 이동벽 (150a) 을 이동하도록 한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벽 (150a) 을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동벽 (150a) 을 직교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벽 (150a) 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봉지 유지 기구 (151) 의 상세한 설명)
이동벽 (150a) 에는, 케이스 (110) 의 개구 (110a) 를 통해 봉지 (B) 가 공급되는 봉지 유지 기구 (151) 의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는, 상기 직교면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고, 봉지 (B) 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사이에 두고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는,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자간의 거리가, 봉지 (B) 의 폭보다 조금 짧고, 그리고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의해 봉지 (B) 의 양단을 유지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봉지 (B) 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 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가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는, 이동벽 (150a) 에 고정된 유지대 (152a) 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대 (152a) 는, 그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있어서의 유지대 (152a) 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 유지대 (152a) 의 상면은,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고 또한 기준축을 포함하는 면 (이하, 중심면이라고 함)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대 (152a) 의 측방에는, 요동축 (152c) 이 설치되어 있다. 각 요동축 (152c) 은, 그 중심축이 기준축과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동벽 (150a) 에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또, 각 요동축 (152c) 의 기단에는, 요동축 (152c) 을 회전시키는, 예를 들어, 모터 등의 구동원을 갖는 회전 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각 요동축 (152c) 의 선단에는, 누름 부재 (152b) 의 기단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누름 부재 (152b) 의 선단에는, 요동축 (152c) 을 회전시키면, 유지대 (152a) 의 상면에 대해 그 상방으로부터 접근 이간되는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협지부에는, 유지대 (152a) 의 상면에 접근하면, 유지대 (152a) 의 상면과 면접촉하는 협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 (152b) 의 협지부를, 유지대 (152a) 의 상면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사이에 카트리지 (C) 가 위치하도록 봉지 (B) 의 양단을 유지대 (152a) 의 상면에 얹는다. 이 상태에서, 요동축 (152c) 을 회전시켜, 누름 부재 (152b) 의 협지부를 유지대 (152a) 의 상면에 접근시키면, 카트리지 (C) 를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사이에 배치한 상태로, 봉지 (B) 의 양단을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의해 사이에 두어 유지시킬 수 있다.
(위치 결정 기구 (155) 의 상세한 설명)
도 6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수단 (130) 의 하측 유지 부재 (131) 및 상측 유지 부재 (132) 의 삽입단에는, 위치 결정 기구 (155) 의 4 개의 축상 부재 (15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그 기단이 하측 유지 부재(131) 의 삽입단 또는 상측 유지 부재 (132) 의 삽입단에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모두 그 축방향이 기준축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하측 유지 부재 (131) 에 고정된 2 개의 축상 부재 (156)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에 고정된 2 개의 축상 부재 (156) 사이에, 상기 중심면이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4 개의 축상 부재 (156) 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축상 부재 (156) 끼리의 거리가,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직경보다 짧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4 개의 축상 부재 (156) 를 기준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축상 부재 (156) 간의 거리가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직경보다 약간 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기준축으로부터 4 개의 축상 부재 (156) 까지의 거리가 등거리가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4 개의 축상 부재 (156) 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카트리지 (C) 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그 중심축이 기준축과 동축인 공간 (이하,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이라고 함) 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위치 결정 기구 (155) 의 4 개의 축상 부재 (156) 에 의해 형성되는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을 수용하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카트리지 (C) 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C) 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유지된다.
게다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이 기준축과 동축이기 때문에,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을 수용하면,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중심축을 기준축과 거의 동축이 된 상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위치 결정 기구 (155) 의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그 선단부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으로부터 외방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있어서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축상 부재 (156) 의 내면간의 거리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후술한다.
(카트리지 (C) 의 공급 작업)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하면, 공급 수단 (150) 에 의해 카트리지 (C) 를 위치 결정하여 유지 수단 (130) 에 카트리지 (C) 를 공급할 수 있다.
먼저, 카트리지 (C) 를 밀봉하고 있는 봉지 (B) 를,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있어서의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사이에 배치한다. 이 때,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는, 양자간의 거리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거리로 되어 있으므로, 봉지 (B) 의 양단은,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있어서의 유지대 (152a) 의 상면에 각각 얹힌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요동축 (152c) 을 회전시켜 누름 부재 (152b) 의 협지부가 유지대 (152a) 의 상면에 접근하도록 누름 부재 (152b) 를 요동시키면, 유지대 (152a) 의 상면과 협지부의 협지면 사이에 봉지 (B) 의 양단이 끼워진다. 그러면, 봉지 (B) 는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의해 유지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신장된 상태로 유지됨), 봉지 (B) 는 그 높이가 중심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봉지 (B) 가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의해 유지되면, 이동 수단 (120) 의 모터 (121) 를 작동시켜, 나사축 (122) 을 따라 유지 수단 (130) 을 봉지 유지 기구 (151) 를 향해 이동시킨다.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하측 유지 부재 (131) 에 고정된 2 개의 축상 부재 (156) (이하, 하부 축상 부재 (156) 라고 함)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에 고정된 2 개의 축상 부재 (156) (이하, 상부 축상 부재 (156) 라고 함) 사이에 중심면이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지 수단 (130) 이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하면, 봉지 (B) 는 위치 결정 기구 (155) 의 하부 축상 부재 (156) 와 상부 축상 부재 (156) 사이에 수용된다.
(매거진 (M) 의 중심축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이 거의 일치 되어 있는 경우)
이 때,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C) 가,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거의 평행하고 또한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유지 수단 (130) 이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하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카트리지 (C) 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요컨대, 카트리지 (C) 는,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이 위치한 상태로 수용된다.
카트리지 (C) 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수용되고 나서도, 유지 수단 (130) 을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시켜 가면, 카트리지 (C) 의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진입한다.
그리고,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면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단면에 닿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이동 수단 (120) 에 의한 유지 수단 (130) 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카트리지 (C) 는,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15h) 과 평행 (요컨대,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면과 직교) 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 수단 (130) 에 유지된다.
동시에, 요동축 (152c) 이 회전하여, 누름 부재 (152b) 의 협지부가 유지대 (152a) 의 상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누름 부재 (152b) 가 요동되고,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로부터 봉지 (B) 가 해방된다.
봉지 (B) 가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로부터 해방되면, 이동 수단 (120) 에 의해 카트리지 (C) 를 유지한 유지 수단 (130) 이 슬릿 플레이트 (115) 의 하방까지 이동된다. 그러면, 유지 수단 (130) 에 유지되어 있는 선원 (S) 이, 그 축방향이 슬릿 (1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유지되어 슬릿 (115h) 의 위치를 통과하므로, 슬릿 (115h) 을 통과하는 선원 (S) 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기 (119)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이동 수단 (120) 이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공급 수단의 카트리지 공급 기구에 상당하지만, 카트리지 공급 기구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 수단 (130) 대신에, 봉지 유지 기구 (151) 를 유지 수단 (130) 에 접근시키는 기구를 채용하면, 이 기구가 카트리지 공급 기구에 상당하는 것이 된다.
또,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130) 을 향하여 누르는 장치, 예를 들어, 실린더 기구 등을 카트리지 공급 기구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 수단 (120) 을 카트리지 공급 기구로서 기능시키면,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면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단면에 닿았는지의 여부, 요컨대, 카트리지 (C) 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 수단 (130) 에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C) 가 금속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금속 부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유지 수단 (130) 에 설치해 두고, 이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상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하방에 금속 탐지기 (SE) 를 설치하여,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면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단면에 닿았을 때에, 금속 탐지기가 카트리지 (C) 의 금속 부분과 반응하도록 배열 설치해 둔다. 그러면, 카트리지 (C) 가 유지 수단 (130) 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 수단 (130) 에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금속 탐지기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이동 수단 (120) 에 의한 유지 수단 (130) 의 이동의 정지 및 봉지 유지 기구 (151) 로부터의 봉지 (B) 의 해방이, 금속 탐지기가 카트리지 (C) 의 금속 부분의 검출과 동시에 행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매거진 (M) 의 중심축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이 어긋나 있는 경우)
또,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에 대해 조금 기울어져 있거나 (예를 들어, 42.75 도 정도 (카트리지의 길이가 65 ㎜, 폭이 8 ㎜ 또한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사이의 거리 50 ㎜ 로 한 경우)),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으로부터 조금 어긋난 위치 (예를 들어, 40 ㎜ 정도 어긋난 위치 (카트리지의 외경이 10 ㎜ 또한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사이의 거리 50 ㎜ 로 한 경우)) 에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C) 가 배치되어 있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서도, 4 개의 축상 부재 (156) 가 외방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봉지 (B) 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C) 의 선단이 4 개의 축상 부재 (156) 의 선단에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면, 봉지 (B) 내에서 카트리지 (C) 를 그 매거진 (M) 의 축방향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수단 (130) 이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함으로써,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외면이 봉지 (B) 를 통하여 4 개의 축상 부재 (156) 중 어느 선단 내면에 접촉한다. 이 축상 부재 (156) 의 선단 내면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그러면, 유지 수단 (130) 이 더욱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해 가면, 그 접근에 수반하여 카트리지 (C) 는, 그 매거진 (M) 은 선단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그 매거진 (M) 의 축방향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일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유지 수단 (130) 을 더욱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시키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있어서, 4 개의 축상 부재 (156) 에서의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이 들어간다. 따라서, 카트리지 (C) 를, 그 매거진 (M) 의 축방향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일치한 상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벽 (150a) 을 이동시키는 경우)
특히, 유지 수단 (130) 을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시키면서, 이동벽 (150a) 을 중심면과 평행하게 왕복 이동시키면, 카트리지 (C) 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수단 (130) 을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시키면서,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C) 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그러면, 축상 부재 (156) 에 의해 카트리지 (C) 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린다. 그러면, 카트리지 (C) 를, 그 매거진 (M) 의 중심축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일치된 상태로 확실하게 단시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C) 의 회전 경우)
또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과 선단 유지 영역 (135) 을 형성하는 고정홈 (136) 의 저면 (136a) 및 고정홈 (137) 의 저면 (137a) 이 평행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하, 이 상태를 시드 카트리지 (SC) 의 소정의 자세라고 함).
봉지 (B) 가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고정홈 (136) 의 저면 (136a) 등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도, 그 기울기가 작으면, 선단 유지 영역 (135) 으로부터 삽입단을 향하여 그 간극 (130h) 이 넓어지도록 (바꿔 말하면, 선단 유지 영역 (135) 을 향하여 그 간극 (130h) 이 좁아지도록) 경사면 (38) 이 형성되어 있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를 소정의 자세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경사면과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시드 카트리지 (SC) 와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거리가 접근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은 경사면을 따라 선단 유지 영역 (135) 을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은 선단 유지 영역 (135) 을 향하여 그 간극 (130h) 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수용된 카트리지 (C) 는 매거진 (M) 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 때문에, 시드 카트리지 (SC) 와 선단 유지 영역 (135) 의 거리가 접근함에 따라, 상하 방향의 높이가 작아지도록 카트리지 (C) 는 회전한다. 그리고,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도달할 때에는, 카트리지 (C) 는 그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 부분의 단가장자리가 경사면과 선 접촉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요컨대, 상기와 같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카트리지 (C) 는 시드 카트리지 (SC) 와 선단 유지 영역 (135) 과 거리가 가까와짐에 따라, 시드 카트리지 (SC) 가 소정의 자세가 되도록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봉지 (B) 가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드 카트리지 (SC) 가 소정의 자세로부터 기울어져 있어도, 그 기울기가 작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지 (B) 가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고정홈 (136) 의 저면 (136a) 등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있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이 경사면에 접촉해도, 시드 카트리지 (SC) 를 소정의 자세로 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수용된 카트리지 (C) 는 매거진 (M) 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C) 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이동벽 (150a) 을 중심면과 평행하게 왕복 이동시키면, 봉지 (B) 내에서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시드 카트리지 (SC) 가 소정의 자세가 될 때까지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시드 카트리지 (SC) 가 소정의 자세로 될 때까지는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없어도, 어느 정도까지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된다. 그러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과 선단 유지 영역 (135) 이 접근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드 카트리지 (SC) 를 소정의 자세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시드 카트리지 (SC) 의 선단을 선단 유지 영역 (135) 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카트리지 (C) 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이동벽 (150a) 을 중심면과 평행하게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봉지 (B) 내에서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이동벽 (150a) 을 이동시키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벽 (150a) 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도 이동하기 때문에, 이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봉지 (B) 도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C) 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에 수용되면, 카트리지 (C) 는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봉지 (B) 는, 그 내면이 카트리지 (C) 의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봉지 (B) 의 이동에 수반하여, 봉지 (B) 의 내면과 카트리지 (C) 의 표면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한다.
여기서, 봉지 (B) 는, 소재가 상이한 시트 (종이제의 시트 (대지) 와 합성 수지제의 시트 (커버 시트)) 사이에 카트리지 (C) 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주연부를 첩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대지 내면의 마찰 저항과 커버 시트 내면의 마찰 저항은, 그 크기가 상이하므로 대지 내면과 카트리지 (C) 의 표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서 기인하는 힘 F1 과, 커버 시트 내면과 카트리지 (C) 의 표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서 기인하는 힘 F2 는, 그 크기가 상이한 것이 된다.
그러면, 힘 F1 과 힘 F2 의 차이에서 기인하여, 카트리지 (C) 에는, 그 표면 을 따라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하므로, 이동벽 (150a) 을 이동시켜 봉지 (B) 를 이동시키면,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구성이면,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봉지 (B) 내의 카트리지 (C) 가 소정의 자세로부터 회전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사람이 카트리지 (C) 의 자세를 조정하지 않고, 카트리지 (C) 의 자세를 유지 수단 (130) 이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을 실시할 때에, 봉지 (B) 내의 카트리지 (C) 와 작업자가 접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이동벽 (150a) 및 이동벽 (150a) 을 이동시키는 기구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이동 위치 변동부에 상당한다.
또한, 유지 수단 (130) 의 하측 유지 부재 (131)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사이의 간극 (130h) 이, 선단 유지 영역 (135) 으로부터 삽입단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시드 카트리지 (SC) 가 삽입되는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해 두면 된다. 그러면, 유지 수단 (130) 과 봉지 유지 기구 (151) 가 접근했을 때에, 시드 카트리지 (SC) 가 소정의 자세가 되도록 카트리지 (C) 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봉지 유지 기구 (151) 의 다른 예)
또한, 각 유지대 (152a) 사이에, 유지대 (152a) 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지지판을 설치해도 되고, 이러한 지지판을 설치하면, 지지판 상에 봉지 (B) 를 얹어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를 작동시키면,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의해 봉지 (B) 의 양단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의해 봉지 (B) 의 양단이 유지될 때까지 작업자가 봉지 (B) 를 유지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봉지 (B) 에 접하고 있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있어서의 각 유지대 (152a) 의 상면은, 반드시 중심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중심면 근방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 정도 어긋난 위치) 에 배열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각 유지대 (152a) 의 상면이 중심면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요컨대,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는, 유지 수단 (130) 이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접근했을 때에, 봉지 (B) 에 있어서 카트리지 (C) 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유지 수단 (130) 의 하측 유지 부재 (131)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사이의 간극 (130h) 에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봉지 (B) 를 유지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신장된 상태로 유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각 봉지 유지부 (152) 의 구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봉지 (B) 에 있어서 카트리지 (C) 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유지 수단 (130) 의 하측 유지 부재 (131) 와 상측 유지 부재 (132) 사이의 간극 (130h) 에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봉지 (B) 를 유지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신장된 상태로 봉지 (B) 를 유지) 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또한, 각 요동축 (152c) 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의 구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 요동축 (152c) 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수단을 설치해도 되고, 양자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152c) 사이를 벨트 기구 등에 의해 연결하면, 양 요동축 (152c) 을 하나의 회전 수단에 의해 동기 (同期)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장치에 설치하는 회전 수단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양 요동축 (152c) 을 보다 확실하게 동기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봉지 유지부 (152, 152) 에 봉지 (B) 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위치 결정 기구의 다른 예)
상기 예에서는, 4 개의 축상 부재 (156) 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부에 상당하지만, 4 개의 축상 부재 (156) 는, 그 선단부가 외방으로 굴곡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전체가 곧은 봉상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지 수단 (130) 에 카트리지 (C) 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는, 그 선단부가 외방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위치 결정부의 구성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구성 (4 개의 축상 부재 (156)) 에 한정되지 않고, 봉지 유지 기구 (151) 에 유지되어 있는 봉지 (B) 내의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중심축을,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유지 수단 (130) 의 상측 유지 부재 (132) 에 한 쌍의 축상 부재 (156, 156) 를 설치하고, 하측 유지 부재 (132) 에 판상의 지지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지지 부재를, 한 쌍의 축상 부재 (156, 156) 와의 사이에 중심면을 끼우고, 또한, 한 쌍의 축상 부재 (156, 156) 와 지지 부재의 상면의 거리가 카트리지 (C) 에 있어서의 매거진 (M) 의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해 두면, 카트리지 (C) 가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한 쌍의 축상 부재 (156, 156) 의 선단부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상방 및 서로 이간되도록 굴곡되어 있으면, 카트리지 (C) 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배치시키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지지 부재에, 그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을 형성해 두는 편이, 카트리지 (C) 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홈 내면이,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이 매거진 (M) 의 반경보다 약간 긴 원통 형상 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지지 부재의 홈에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이 수용되면, 확실하게 카트리지 (C) 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4 개의 축상 부재 (156) 대신에, 유지 수단 (130) 의 상측 유지 부재 (132) 및 하측 유지 부재 (132) 의 양방에 판상의 지지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양 지지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홈 등을 형성하여, 이 홈 사이에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이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홈으로서 그 내면이 기준축과 동축이 되는 원통 형상 면이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특히, 홈 내 면에 있어서의 삽입측 단 근방의 부분이, 그 삽입측 단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카트리지 (C) 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내에 수용시키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위치 결정부의 다른 예)
또한, 상기 서술한 4 개의 축상 부재 (156) 등의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부는, 반드시 유지 수단 (130) 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유지 수단 (130)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카트리지 (C) 를 위치 결정할 때에, 봉지 유지 기구 (151) 를 이동시키지 않고, 위치 결정부를 매거진 수용 공간 (155h) 의 중심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되고, 봉지 유지 기구 (151) 와 위치 결정부의 양방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슬릿 플레이트 (115) 의 다른 예)
상기 서술한 슬릿 플레이트 (115) 는, 1 매의 판상 부재에 슬릿 (115h) 을 형성하여 제조해도 되는 것이지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매의 판상 부재 (116, 117) 를 그 단면끼리 면접촉하도록 맞추어 형성해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부재 (116) 를,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의 한 쌍의 유지면 (114b, 114b) 상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 판상 부재 (116) 는, 예를 들어, 타각 (打刻) 된 안표 등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 대향 단면 (116b) 이 측벽 (114) 의 기준 내면 (114a) 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판상 부재 (117) 는, 하나의 단면이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 (116b) 과 면접촉하도록, 좌우 한 쌍의 측벽 (114, 114) 의 한 쌍의 유지면 (114b, 114b)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판상 부재 (117) 는,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 (116b) 과 면접촉하는 단면 (대향 단면 (117a)) 이, 평탄면 또한 양 표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 (116b) 에는, 그 단면으로부터 함몰된 오목부 (116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116c) 는, 판상 부재 (116) 의 양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2 매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끼리를 맞추어 판상 부재 (116) 를 위치 결정하여 한 쌍의 유지면 (114b, 114b) 상에 배치하면, 슬릿 플레이트 (115) 를 관통하는 슬릿 (115h)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형성한 경우,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 (116b) 에 형성하는 오목부 (116c) 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슬릿 (115h) 의 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폭이 매우 좁은 슬릿 (115h) 으로도 정확하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슬릿 (115h) 은 그 축방향을 측벽 (114) 의 기준 내면 (114a) 과 정확하게 직교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형성한 경우에는,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 (116b) 과 오목부 (116c) 의 저면을 평행하게 유지하면, 슬릿 (115h) 은 그 축방향을 측벽 (114) 의 기준 내면 (114a) 과 정확하게 직교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1 매의 판에 관통 구멍으로서 슬릿 (115h) 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슬릿 (115h) 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2 매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끼리를 맞추어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형성한 경우, 슬릿 (115h) 의 폭이 0.1~0.01 ㎜ 인 것이어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 매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끼리를 확실하게 면접촉시키는데 있어서는, 2 매의 판상 부재 (116, 117) 끼리를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부재 (116) 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여러 가지 위치 결정 기구를 채용할 수 있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타각된 안표에 의거하여 각 판상 부재 (116, 117) 의 위치를 맞추는 방법이나, 위치 결정핀을 사용하거나 단 형성 가공을 실시하거나 하여 위치 결정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에 함몰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판상 부재 (116) 의 대향 단면 (116b) 에 함몰을 형성하지 않고, 판상 부재 (117) 의 대향 단면 (117a) 에 함몰을 형성하여 슬릿 (115h) 을 형성해도 되고, 양방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에 각각 함몰을 형성하여 슬릿 (115h) 을 형성해도 된다.
또, 슬릿 플레이트 (115) 를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슬릿 (115h) 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 강도 측정을 실시하는 선원에 맞추어 슬릿 (115h) 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하나의 슬릿 플레이트 (115) 로, 예를 들어,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선원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는 선원에 맞추어 슬릿 플레이트 (115) 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장치의 비품을 적게 할 수 있고, 선원을 변경했을 때의 슬릿 조정도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하, 슬릿 (115h) 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슬릿 플레이트 (115)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플레이트 (115) 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는 양자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모두 대향 단면 (116b, 117a) 이 단이 형성된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은 모두 기준면 (a) 과 기준면 (a) 과 평행하고 또한 기준면 (a) 에 대해 슬릿폭의 분량만큼 함몰되어 (오프셋으로 하여) 형성된 슬라이드면 (b) 을 가지고 있다. 또, 슬라이드면 (b) 과 기준면 (a)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면 (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에 있어서의 기준면 (a), 슬라이드면 (b) 및 연결면 (c) 은 모두 판상 부재 (116, 117) 의 양 표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를 그 대향 단면 (116b, 117a) 끼리가 면접촉하도록 접촉시키면,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사이에 슬릿 (115h) 이 형성된다.
요컨대,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를, 일방의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대향 단면에서의 기준면 (a) 과 다른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대향 단면에서의 슬라이드면 (b) 이 면접촉하도록 연결되어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형성한다.
그리고,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에 있어서의 연결면 (c) 끼리가 서로 이간된 상태가 되도록 하면,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슬라이드면 (b) 사이에 슬릿 (115h) 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각 판상 부재 (116, 117) 의 대향 단면 (116b, 117a) 에 있어서, 기준면 (a) 및 슬라이드면 (b) 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를, 일방의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대향 단면에서의 기준면 (a) 과 다른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대향 단면에서의 슬라이드면 (b) 을 면접촉시킨 채,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슬릿 (115h) 의 축방향을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의 슬라이드면 (b) 사이의 거리를 일정 (요컨대, 슬릿 (115h) 의 폭 일정) 하게 유지한 채, 연결면 (c) 끼리를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슬릿 (115h) 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에 의해, 슬릿 플레이트 (115) 를 형성하면, 하나의 슬릿 플레이트 (115) 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선원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면, 측정하는 선원에 맞추어 슬릿 플레이트 (115) 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장치의 비품을 적게 할 수 있고, 선원을 변경했을 때의 슬릿 조정도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슬라이드면 (b) 의 근방에, 슬라이드면 (b) 을 따라 눈금 (예를 들어, 5 ㎜ 간격) 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그러면, 슬릿 (115h) 의 길이는, 그 눈금을 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슬릿 (115h) 의 길이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한 쌍의 판상 부재 (116, 117) 가 특허 청구 범위에서 말하는 한 쌍의 슬릿 형성판에 상당한다.
(제 3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00) 는,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에 있어서, 카트리지 (C) 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상이한 것이다.
제 3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00) 에 있어서, 유지 수단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유지 수단 (230) 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9 에서는, 제 3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00) 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먼저, 제 3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00) 는, 제 1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 와 달리, 플라스틱 케이스 (PK) 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카트리지 (C) 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유지 수단을 설명하기 전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설명한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케이스 (PK) 는, 함몰된 부분 (이하, 오목부 (d) 라고 함) 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수용 케이스 (PC) 와, 이 수용 케이스 (PC) 의 오목부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된 커버 시트 (ST) 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케이스 (PC) 는, 플라스틱 등의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이 수용 케이스 (PC) 는, 카트리지 (C) 를 내부에 수용하는 오목부 (d) 와 오목부 (d) 의 개구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 (f) 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 (d) 는, 그 내부에 카트리지 (C) 를 수용하면, 카트리지 (C) 의 축방향이 오목부 (d) 의 축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또한, 그 내부에서의 카트리지 (C) 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 (d) 의 중앙부에는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을 수용할 수 있는 매거진 수용부 (db)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매거진 수용부 (db) 는, 그 깊이 및 폭이 매거진 (M) 의 직경보다 조금 커지고, 그 길이가 매거진 (M) 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조금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매거진 수용부 (db) 는, 그 내부에 수용된 매거진 (M) 의 축방향이 매거진 수용부 (db) 의 축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매거진 (M) 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매거진 수용부 (db) 의 축방향의 단부에는, 매거진 수용부 (db) 와 연통된 공간인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는,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이 매거진 수용부 (db) 에 수용되면, 시드 카트리지 (SC) 가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는, 그 내부에 시드 카트리지 (SC) 가 수용되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축방향과 시드 카트리지 (SC) 내의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는, 그 함몰된 바닥 (도 16 에서는 상면) 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깊이 (Dp) 가 매거진 (M) 의 반경과 시드 카트리지 (SC) 의 두께를 합한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폭은, 시드 카트리지 (SC) 의 폭보다 조금 넓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드 카트리지 (SC) 의 폭보다 수 ㎜ 정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d) 는, 매거진 수용부 (db) 에 대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와 반대측에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와 실질 동일한 형상의 함몰도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 (f) 는, 오목부 (d) 의 개구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고, 그 표면 (도 18 에서는, 상면 및 하면) 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저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d) 가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 (C) 를 수용 케이스 (PC) 의 오목부 (d) 에 수용하면, 카트리지 (C) 의 축방향이 오목부 (d) 의 축방향과 대략 일치된 상태가 된다. 게다가, 카트리지 (C) 는,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저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오목부 (d) 의 개구를 덮도록 커버 시트 (ST) 를 배치하고, 커버 시트 (ST) 와 플랜지부 (f) 를 기밀하게 접착하면, 플라스틱 케이스 (PK) 내에 카트리지 (C) 를 밀봉할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 (d) 내에 카트리지 (C) 를 수용하면, 카트리지 (C) 는 그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왜냐하면, 카트리지 (C) 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매거진 (M) 의 축방향의 단면이 매거진 수용부 (db) 와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등을 연결하는 벽면에 접촉하여 이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 수용 케이스 (PC) 의 플랜지부 (f) 에 커버 시트 (ST) 를 첩부하면, 카트리지 (C) 는 그 축둘레의 회전도 제한된다. 왜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저면과 면접촉한 상태, 또는, 양자간에 약간의 간극밖에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케이스 (PK) 내에 수용된 상태의 카트리지 (C) 는, 카트리지 (C) 의 축방향이 오목부 (d) 의 축방향과 대략 일치한 상태, 또한,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플랜지부 (f) 의 표면과 평행, 바꿔 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표면이 플라스틱 케이스 (PK) 의 저면 (도 18 에서는 하면) 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유지 수단 (230) 의 설명)
다음에,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케이스 (PK) 내에 수용된 상태의 카트리지 (C) 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230) 을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 에 있어서, 부호 231 은 판상의 유지 베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지 베이스 (231) 는, 그 상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이 유지 베이스 (231) 는, 그 하면에 상기 서술한 너트 부재 (23) 나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25, 25) 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에 지지되어, 그 상면이 상기 서술한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 베이스 (231) 의 상면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홈부 (231h)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231h) 는, 그 내부의 공간 (231s) 과 후술하는 상부 커버 (232) 의 수용 함몰 (232g) 내의 공간 (232s) 에 의해,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230s) 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홈부 (231h) 는, 그 축방향이 나사축 (22) (도 19 참조)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홈부 (231h) 는, 그 축방향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홈부 (231h) 는, 그 내저면이 유지 베이스 (231) 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 (231h) 의 폭 (W2) 은, 플라스틱 케이스 (PK) 의 폭 (W1) (도 16(B) 참조) 과 거의 동일한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지 베이스 (231) 의 상방에는, 판상의 상부 커버 (232) 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 (232) 는, 그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이 상부 커버 (232) 의 하면에는, 이 하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상의 수용 함몰 (232g)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함몰 (232g)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공간 (232s) 과 상기 홈부 (231h) 내부의 공간 (231s) 에 의해,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230s) 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홈상의 수용 함몰 (232g) 은, 슬릿 플레이트 (15) 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개구 (도 17 에서는 우단) 로부터 슬릿 플레이트 (15) 를 향하여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수용 함몰 (232g) 은, 홈부 (231h) 와 동일하게 그 축방향이 나사축 (22) (도 19 참조)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수용 함몰 (232g) 도, 그 축방향이 슬릿 (15h) 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수용 함몰 (232g) 은, 그 내면의 형상이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 (PK) 에 있어서의 수용 케이스 (PC) 의 오목부 (d) 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함몰 (232g) 은, 그 선단 부분 (도 17 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 에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내면을 갖는 함몰을 가지고 있고, 그 기단 부분 (도 17 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 에는 매거진 수용부 (db) 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내면을 갖는 함몰을 가지고 있다 (도 17(B) 참조).
여기서 말하는 거의 동일한 형상이란,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었을 때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의 상면이 수용 함몰 (232g) 의 내면에 접촉하고, 게다가,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약간 압축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는 형상을 의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케이스 (PK) 에 있어서의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위치의 두께가, 수용 함몰 (232g) 의 선단 부분 내면으로부터 홈부 (231h) 의 내저면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짧아지도록, 수용 함몰 (232g) 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수용 함몰 (232g) 은, 그 축방향을 포함하고 또한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직교하는 평면이, 슬릿 (15h) 을 2 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수용 함몰 (232g) 은, 이동 수단 (20) 에 의해 유지 수단 (230) 을 수용 공간 (10h) 내의 슬릿 플레이트 (15) 의 하방까지 이동시키면, 슬릿 (15h) 의 하방을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 (232) 에는, 수용 함몰 (232g) 의 선단 부분, 요컨대,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수용 함몰 (232g) 과 외부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 (232h) 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하면, 유지 수단 (230) 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고정시킬 수 있다.
먼저,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그 저면이 홈부 (231h) 의 내저면과 면접촉하도록 얹는다. 이 때,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가 수용 함몰 (232g)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로부터,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그 저면을 홈부 (231h) 의 내저면에 미끄러지게 하면서 수용 함몰 (232g) 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수용 함몰 (232g) 과 홈부 (231h)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230s) 내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측으로부터 삽입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어 가면, 이윽고, 수용 함몰 (232g) 의 선단 부분 내면과 홈부 (231h) 의 내저면 사이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의 선단부 (요컨대, 플라스틱 케이스 (PK) 에 있어서의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위치) 가 배치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유지 수단 (23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 케이스 (PK) 내의 카트리지 (C) 를, 소정의 자세, 요컨대, 그 축방향이 나사축 (22) (도 19 참조)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카트리지 (C) 를,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을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으므로, 제 3 실시형태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00) 에서는, 복수의 선원 (S) 이 장전된 카트리지 (C) 를 플라스틱 케이스 (PK) 에 수용한 채 유지 수단 (230) 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함몰 (232g) 은, 그 축방향을 포함하고 또한 베이스 부재 (11) 의 상면과 직교하는 평면이, 슬릿 (15h) 을 2 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 커버 (232) 에 수용 함몰 (232g) 과 외부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 (232h)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수단 (230) 을 이동시키면 복수의 선원 (S) 을 슬릿 (15h) 의 하방을 통과시킬 수 있어, 관통 구멍 (232h) 및 슬릿 (15h) 을 투과한 각 선원 (S) 의 방사선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돌기 (231p) 의 설명)
또, 홈부 (231h) 의 내저면에 돌기 (231p) 를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함몰 (232g) 의 선단 부분과 기단 부분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내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 또는, 수용 함몰 (232g) 의 기단 부분에 있어서의 선단 내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홈부 (231h) 의 폭방향 (도 17(A) 에서는 상하 방향) 의 중간에 돌기 (231p) 를 형성해도 된다.
플라스틱 케이스 (PK) 에는 커버 시트 (ST) 가 장착되어 있는데, 오목부 (d) 의 개구를 덮고 있는 부분에서는 커버 시트 (ST) 는 약간 변형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돌기 (231p) 를 상기와 같은 위치에 형성해 두면,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었을 때에, 이 돌기 (231p) 에 의해 커버 시트 (ST) 가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 바꿔 말하면, 커버 시트 (ST) 는 돌기 (231p) 에 의해 오목부 (d) 내에 함몰되도록 밀려 변형되게 된다.
커버 시트 (ST) 가 내방으로 함몰되면, 카트리지 (C) 의 매거진부 (M) 가 상방으로 밀리고, 그 영향으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상면이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내저면에 가압된다. 바꿔 말하면, 시드 카트리지 (SC) 의 상면이, 상부 커버 (232) 의 내면에 가압되게 된다.
(돌기 (231p) 의 다른 형상)
또, 유지 베이스 (231) 에 형성되는 돌기 (231p) 는, 상기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20, 도 21 의 각 유지 베이스 (231A ~ D) 에 형성된 돌기 (231p) 는, 상기 유지 베이스 (231) 의 돌기 (231p) 와 비교하여, 그 축방향의 길이가 긴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유지 베이스 (231A ~ D) 에 형성된 돌기 (231p) 는, 그 축방향의 길이가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유지 베이스 (231A ~ D) 에 형성된 돌기 (231p) 는,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었을 때에 매거진 (M) 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그 선단 (도 20, 도 21 에서는 좌단) 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돌기 (231p) 는, 그 상면 (또는 상단) 이 홈부 (231h) 의 내저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돌기 (231p) 는, 그 상면이 유지 베이스 (231) 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돌기 (231p) 가 형성되어 있으면,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었을 때에, 플라스틱 케이스 (PK) 내의 카트리지 (C) 는, 커버 시트 (ST) 를 개재하여 돌기 (231p) 의 상면에 얹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면, 돌기 (231p) 의 상면이 홈부 (231h) 의 내저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C) 를, 그 축방향이 홈부 (231h) 의 내저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카트리지 (C) 는, 돌기 (231p) 의 높이만큼 수용 케이스 (PC) 를 향하여 밀어올려지므로, 시드 카트리지 (SC) 의 상면을 시드 카트리지 수용부 (da) 의 내저면에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된 상태가 되도록, 카트리지를 유지 수단 (23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돌기 (231p) 의 상면에, 그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고, 또한, 홈부 (231h) 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부 (231g) 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부 (231g) 를 형성해 두면,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었을 때에, 홈부 (231g) 내에 의해서, 카트리지 (C) 의 매거진 (M) 의 축방향을 유지 수단 (230) 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시드 카트리지 (SC) 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선원 (S) 의 축방향이 슬릿 (15h) 의 축방향과 평행이 된 상태가 되도록, 카트리지 (C) 를 유지 수단 (230) 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유지 베이스 (231B, D) 에 형성된 돌기 (231p) 와 같이, 그 기단 (도 20, 도 21 에서는 우단) 에 홈부 (231h) 의 내저면으로부터 돌기 (231p) 의 상면을 향하여 상방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돌기 (231p) 에 이러한 경사면을 형성해 두면, 플라스틱 케이스 (PK) 를 수용 공간 (230s) 내에 밀어넣을 때, 카트리지 (C) 를 스무드하게 돌기 (231p) 의 상면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는, 전립선암의 밀봉 소선원 치료에 사용되는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의 측정에 적합하다.
1 :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h : 수용 공간
15 : 슬릿 플레이트 15h : 슬릿
16 : 판상 부재 17 : 판상 부재
18 : 방사선 차단 부재 18h : 측정기 수용부
19 : 측정기 20 : 이동 수단
30 : 유지 수단 30h : 간극
33 : 유지 구멍 34 : 매거진 유지 영역
35 : 선단부 유지 영역 36 : 고정홈
36a : 저면 36b : 단면
37 : 연결 영역 37a : 경사면
100 :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10h : 수용 공간
115 : 슬릿 플레이트 115h : 슬릿
116 : 판상 부재 117 : 판상 부재
118 : 방사선 차단 부재 118h : 측정기 수용부
119 : 측정기 120 : 이동 수단
130 : 유지 수단 130h : 간극
135 : 선단부 유지 영역 150 : 공급 수단
151 : 봉지 유지 기구 152 : 봉지 유지부
156 : 축상 부재 155h : 매거진 수용 공간
C : 카트리지 SC : 시드 카트리지
M : 매거진 B : 봉지

Claims (15)

  1. 카트리지에 충전된 상태의 선원의 방사선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된 상기 카트리지가 반입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설치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릿은, 그 폭이 상기 선원의 선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트리지에 충전되어 있는 상기 선원의 축방향이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카트리지에 충전된 상태의 선원이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매거진의 직경보다 두께가 얇은 판상의 시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드 카트리지는, 그 표면과 상기 선원의 축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그 선원을 그 내부에 충전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유지 수단은, 봉지에 밀봉된 상태의 상기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유지 수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기 시드 카트리지의 두께보다 간격이 좁은 간극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간극에는,
    상기 간극의 일방의 개구와 연속되는 공간인 선단 유지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 유지 영역에는,
    상기 간극을 형성하는 면으로부터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은,
    그 선단면이,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평행한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으로부터 그 간극을 형성하는 타방의 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를 봉입하고 있는 상기 봉지의 두께와 상기 시드 카트리지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상기 선단 유지 영역에 상기 시드 카트리지의 선단 부분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는,
    상기 일방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와 상기 선단 유지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영역에는,
    상기 고정홈의 저면과 상기 일방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원은,
    그 축방향이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에 충전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해, 상기 봉지에 봉입된 상태의 카트리지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봉입되어 있는 상기 봉지를 유지하는 봉지 유지 기구와,
    상기 봉지 유지 기구와 상기 유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중심축과 동축인 기준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봉지 유지 기구와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되는 위치 결정 기구와,
    상기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유지 수단에 공급하는 카트리지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봉지 유지 기구에 상기 봉지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봉지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에 접근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중심축이 상기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상기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유지 기구는,
    상기 슬릿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면을 사이에 둔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봉지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봉지 유지부는,
    상기 봉지를, 상기 기준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는 중심면 근방에 있어서 유지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부는,
    상기 중심면을 사이에 두도록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간에는,
    상기 위치 결정 기구가 상기 봉지 유지 기구에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을 위치 결정한 상태가 되도록 수용하는 매거진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은,
    그 중심축이, 상기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대향면이,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이 수용될 때에, 상기 카트리지의 매거진의 중심축이 상기 기준축과 동축이 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에 있어서,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기준축과 평행한 한 쌍의 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 사이에 상기 중심면을 사이에 두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 설치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를, 상기 기준축의 방향을 따라, 상기 봉지 유지 기구에 대해 접근 이간시키는 축상 부재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간의 거리 및/또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짧아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고,
    각 축상 부재는,
    그 선단부에서는, 상기 기준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7. 제 4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직교면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봉지 유지 기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 변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동부는,
    상기 봉지 유지 기구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9. 제 6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와 평행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축상 부재 사이에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축상부는,
    상기 한 쌍의 축상부간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짧고,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축상 부재와의 거리가,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매거진의 직경보다 약간 길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유지 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그 폭이, 상기 봉지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에는,
    상기 간극의 일방의 개구와 상기 선단 유지 영역 사이에, 상기 간극을 형성하는 양면을 함몰시켜 형성된 상기 선단 유지 영역과 연속되는 공간인, 상기 매거진을 수용하기 위한 대략 원통 형상의 공간인 매거진 유지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는,
    상기 선단 유지 영역과 상기 매거진 유지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영역에는,
    상기 고정홈의 저면과 상기 매거진 유지 영역의 오목면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매거진 수용 공간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슬릿 형성판을 갖는 슬릿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릿 형성판은,
    그 일단면에,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기준면에 대해 그 슬릿폭 만큼 오프셋으로 하여 형성된 슬라이드면과, 상기 슬라이드면과 상기 기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슬릿 형성판을, 하나의 슬릿 형성판에 있어서의 기준면과 다른 슬릿 형성판에 있어서의 슬라이드면이 면접촉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슬릿 플레이트와,
    상기 슬릿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릿 플레이트는,
    2 매의 판상 부재를 그 단면끼리 면접촉하도록 맞추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타방의 판상 부재와 면접촉하는 단면에는, 상기 단면으로부터 함몰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강도 측정 수단은,
    상기 슬릿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방사선 차단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사선 차단 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측정기를 배치하는 측정기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KR1020127017104A 2009-12-01 2010-11-30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KR20120104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3344 2009-12-01
JP2009273344 2009-12-01
JPJP-P-2010-126136 2010-06-01
JP2010126136 2010-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274A true KR20120104274A (ko) 2012-09-20

Family

ID=4411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104A KR20120104274A (ko) 2009-12-01 2010-11-30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76582B2 (ko)
EP (1) EP2508917A4 (ko)
JP (1) JP5083849B2 (ko)
KR (1) KR20120104274A (ko)
CN (1) CN102741708A (ko)
CA (1) CA2785848A1 (ko)
WO (1) WO2011067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1303A (ko) * 2012-10-09 2015-08-10 토쿠시마 대학 암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GB201310924D0 (en) * 2013-06-19 2013-07-31 Johnson Matthey Plc Radiation source container
CN108831580B (zh) * 2018-08-22 2023-10-10 原子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放射性粒子自动组装与焊封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85443A (ko) 1968-07-23 1970-01-23
JPH03132529A (ja) 1989-10-18 1991-06-05 Mitsubishi Materials Corp 浄水器を備えた自動水栓
JP4184701B2 (ja) * 2002-04-19 2008-11-19 エスアイアイ・ナノ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
ATE348647T1 (de) 2003-11-05 2007-01-15 Neovista Inc Prüfvorrichtung zur prüfung der positionierung einer radioaktiven strahlungsquelle und deren verwendungsverfahren
US8663600B2 (en) * 2005-02-17 2014-03-04 Diaprost Ab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JP2006263353A (ja) 2005-03-25 2006-10-05 Univ Of Tokushima 放射線源の品質検査方法及び品質検査装置
JP4127840B2 (ja) * 2005-11-30 2008-07-30 独立行政法人放射線医学総合研究所 放射線測定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3132529U (ja) * 2007-03-19 2007-06-14 明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線量測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83849B2 (ja) 2012-11-28
CA2785848A1 (en) 2011-06-09
EP2508917A4 (en) 2013-05-15
CN102741708A (zh) 2012-10-17
EP2508917A1 (en) 2012-10-10
WO2011067925A1 (ja) 2011-06-09
US8476582B2 (en) 2013-07-02
JPWO2011067925A1 (ja) 2013-04-18
US20120326035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4274A (ko) 암 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US6260999B1 (en) Isocenter localization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JP4619436B2 (ja) 放射線治療システムの位置決めシステムの較正方法
US8657761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needle
JP2019503721A (ja) 骨ネジ長さ決定に適した測定ユニットを含む外科パワードリル
CN1964672A (zh) 体内固定器和用于检测所述固定器上的基准点的系统
KR101497760B1 (ko) 감마 안내식 정위 위치화 시스템
US20170089683A1 (en) Coefficient-Of-Thermal-Expansion Measurement Method Of Dimension Reference Gauge, Measuring Device Fo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Reference Gauge
EP2309922A1 (en) Fiducial marker and method for gamma guided stereotactic localization
KR100647491B1 (ko)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동물실험용정위기구
US5561698A (en) Radiographic calibration device for a machine with a movable radiation source
US20160310164A1 (en) Needle for invasive medical use and needle assembly
KR20150091303A (ko) 암치료용 밀봉 소선원의 방사선 강도 측정 장치
KR101840565B1 (ko) 선량측정장치
JP3132529U (ja) 線量測定器
US8653444B2 (en) Calibration method
KR101459510B1 (ko) 감마나이프 성능평가 장치
KR102293379B1 (ko) 선량계를 수용하는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선량측정방법
US8215837B2 (en) Integrated patient positioning and radi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method
CN117796800A (zh) 检测仪和灭菌系统
US20090090867A1 (en) Nuclear medical diagnosis apparatus
CN117796799A (zh) 检测仪和灭菌系统
KR101141051B1 (ko) 슬릿지그를 이용하여 구조좌표를 측정하기 위한 x?선 유방암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6165B1 (ko) 가느다란 튜브의 레이저가공을 위한 위치보정장치
KR20130078470A (ko)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