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069A -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069A
KR20120100069A KR1020110018706A KR20110018706A KR20120100069A KR 20120100069 A KR20120100069 A KR 20120100069A KR 1020110018706 A KR1020110018706 A KR 1020110018706A KR 20110018706 A KR20110018706 A KR 20110018706A KR 20120100069 A KR20120100069 A KR 2012010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inged
vertical bars
safet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Priority to KR102011001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069A/ko
Publication of KR2012010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의 다양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은, 저장탱크의 상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과,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에 일단에서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바와, 복수개의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수평레일과, 복수개의 세로바 중 어느 하나의 세로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세로바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에 로킹가능한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벌크차량의 안전난간{SAFETY RAILINGS FOR BULK VEHICLE}
본 발명은 벌크차량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하물을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운반하기 위해, 대량의 곡물이나 사료를 저장하여 운반하는 벌크차량이 당해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벌크차량은 곡물이나 사료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를 구비한다. 저장탱크의 상부는 대체로 편평하며 이 상부에 곡물이나 사료를 저장탱크 내부로 주입하거나 반출시키기 위한 해치가 마련되어 있다. 하물의 주입 또는 반출 작업시,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저장탱크의 상부에 서서 주입 또는 반출 작업을 행한다. 저장탱크의 상부 또는 벌크차량의 상부에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구비되지 않고 있으므로, 주입 또는 반출 작업시 작업자가 부주의로 저장탱크의 상부로부터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벌크차량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벌크차량용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의 다양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은, 저장탱크의 상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과,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에 일단에서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바와, 복수개의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수평레일과, 복수개의 세로바 중 어느 하나의 세로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세로바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에 로킹가능한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로바는 베이스브라켓의 일측부와 접촉하여 세로바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은 복수개의 세로바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와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는 가로바 또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연결부재는 쇠사슬 또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은 복수개의 세로바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2 수평레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은 수평레일의 일단과 복수개의 세로바 중 최외측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접이식 링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접이식 링크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제1 링크는 수평레일의 일단과 제2 링크에 힌지결합되고, 제2 링크는 제1 링크와 최외측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장치는 봉형부재와, 어느 하나의 세로바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봉형부재의 하단을 수용하는 고정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에 의하면, 작업자가 벌크차량의 저장탱크의 상부에서 작업을 할 때 저장탱크의 상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은 세로바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 상호간의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저장탱크 상부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안전난간을 접을 수 있다. 그 결과, 벌크차량이 터널이나 가설물 등의 높이가 낮은 구조물을 통과 할 때에도 안전난간이 이러한 구조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이 접이식 링크를 구비함으로써, 안전난간이 접혀진 상태에서 안전난간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난간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후방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난간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벌크차량의 안전난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은 벌크차량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이 설치될 수 있는 벌크차량(9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벌크차량(90)은 저장탱크(91)를 구비한다. 저장탱크(91)에는 발판(92)과 해치(93)가 구비되어 있다. 저장탱크(91)는 곡물, 사료, 시멘트, 비료 등과 같은 하물을 대량으로 저장하는 부재이다. 발판(92)은 저장탱크(91)의 상단에 설치된다. 발판(92)은 작업자가 저장탱크(91)에 전술한 하물을 저장하거나 저장탱크(91)의 상단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발을 딛는 부분이다. 해치(93)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은 저장탱크가 차체에 일체로 형성된 벌크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별도의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트레일러 타입의 벌크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기체를 운반하기 위한 탱크로리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은 벌크차량의 전진방향(도 1에서 우측방향)을 나타내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측을 나타내며, "하방"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상방"은 하방의 반대측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단"은 부재의 전방측 단부를 나타내고 "후단"은 부재의 후방측 단부를 나타내며, "하단"은 부재의 하방측 단부를 나타내고 "상단"은 상방측 단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은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과, 복수개의 세로바와, 수평레일(130)과,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와,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와, 로킹장치(170)를 포함한다. 베이스브라켓, 세로바, 연결부재의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개수는 벌크차량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은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은 저장탱크(91)의 상부(즉, 발판(92))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은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또는 주물품 또는 단조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은 용접, 볼트-너트 체결, 기타 기계적 체결 등에 의해 발판(9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브라켓(111)에는 제1 세로바(121)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축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2, 113, 114, 115)에도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세로바는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는 금속의 관형이고, 예컨대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의 하단은 제1 힌지축(101)에 의해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축(101)은 너트(101a)에 의해 제1 베이스브라켓(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바(121)의 하단에는 제1 힌지축(101)이 관통하는 제1 축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5 세로바(122, 123, 124, 125)의 하단에도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의 하단부에는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의 일측부와 접촉하여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내지 제5 스토퍼(121f, 122f, 123f, 124f, 125f)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1 내지 제5 스토퍼(121f, 122f, 123f, 124f, 125f)는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1, 112, 113, 114, 115)의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는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의 후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는 제1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고 제1 내지 제2 베이스브라켓(111, 112, 123, 124, 125)과 제1 내지 제5 스토퍼(121f, 122f, 123f, 124f, 125f)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은 규제된다. 스토퍼가 각 베이스브라켓의 후방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세로바는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고 수직벽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는 것은 규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바(121)의 대략 중간지점에는 제1 힌지플레이트(141)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제2 힌지축(102)이 관통하는 제2 축공(121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5 세로바(122, 123, 124, 125)에는 제2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2, 143, 144, 145)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제2 힌지축(102)이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레일(130)은 금속의 관형이고, 예컨대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평레일(130)은 기다란 일직선 형상이다. 수평레일(130)은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의 상단들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130)의 하측에는 제1 브라켓(131)이 형성되고, 제1 브라켓(131)에는 제3 힌지축(103)이 관통하는 축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바(121)의 상단에도 제3 힌지축(103)이 관통하는 제3 축공(121c)이 형성되어 있다. 제3 힌지축(103)은 너트(103a)에 의해 제1 브라켓(1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평레일(130)의 하측에는 제2 내지 제5 세로바(122, 123, 124, 125)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브라켓도 형성되어 있다. 이들 브라켓은 수평레일(13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수평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5 세로바(122, 123, 124, 125)의 상단 에도 수평레일(1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해 제3 힌지축(103)이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1, 142, 143, 144, 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1, 142, 143, 144, 145)는 발판(92)과 수평레일(130) 사이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수평레일(130) 보다 낮은 위치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1, 142, 143, 144, 145)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힌지플레이트(141)가 제2 힌지축(102)에 의해 제1 세로바(121)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플레이트(141)의 중앙부에는 제2 힌지축(102)이 관통하는 축공(14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지 제4 힌지플레이트(142, 143, 144)는 각 힌지플레이트의 대략 중앙부에서 제2 힌지축(102)에 의해 각각 제2 내지 제4 세로바(122, 123, 124)에 힌지결합된다. 제5 힌지플레이트(145)가 제2 힌지축(102)에 의해 제5 세로바(125)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2, 143, 144, 145)에도 제2 힌지축(102)이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된다. 제2 힌지축(102)은 제1 세로바(121)의 제2 축공(121b)에 바로 체결되거나 제2 축공(121b)을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151, 152, 153, 154)는 복수개의 힌지플레이트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151, 152, 153, 154)는, 제1 힌지플레이트(141)와 제2 힌지플레이트(142) 사이, 제2 힌지플레이트(142)와 제3 힌지플레이트(143) 사이, 제3 힌지플레이트(143)와 제4 힌지플레이트(144) 사이, 제4 힌지플레이트(144)와 제5 힌지플레이트(1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제2 연결부재(151, 152, 153, 154)는 용접, 볼트-너트 체결, 기타 기계적 체결 등에 의해 제1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1, 142, 143, 144, 145)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재는 쇠사슬 또는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이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와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가 회동할 때 제1 내지 제5 힌지플레이트(141, 142, 143, 144, 145)의 각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난간(100)이 원활하게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다.
로킹장치(170)는 봉형부재(171)와, 이 봉형부재(171)가 로킹하는 고정구(172)와, 봉형부재(171)가 고정구(172)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봉형부재(171)의 상측에 결합되는 돌출부재(173)와, 제1 세로바(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부재(17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회전규제부재(17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킹장치(170)의 상기 봉형부재는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 중 어느 하나의 세로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구(172)는 상기 세로바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어, 봉형부재(171)가 회전하여 고정구(172)에 삽입결합하여 로킹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봉형부재(171)는 그 상단에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후크형 또는 U자형으로 만곡된 부분을 가진다. 봉형부재(171)의 하단에는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구(172)에 록킹되는 L자형 절곡부(17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구(172)는 제1 베이스브라켓(111)의 후방에 설치되고, L자형 절곡부(171c)가 수용되는 리세스(172a)를 구비한다. 제1 세로바(121)가 수직으로 위치하면 봉형부재(171)를 회전시켜 L자형 절곡부(171c)가 고정구(172)의 리세스(172a)에 삽입되어 로킹된다. 즉, 로킹장치(170)에 의해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의 회동이 규제되므로, 안전난간(10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173)는 봉형부재(171)에 결합되어 있고, 회동규제부재(174)가 제1 세로바(1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돌출부재(173)가 제1 세로바(121)와 회전규제부재(174)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돌출부재(173)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봉형부재(171)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는, 안전난간(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 봉형부재(171)가 회전하여 L자형 절곡부(171c)가 리세스(172a)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봉형부재(171) 및 회동규제부재(174)는 제2 내지 제5 세로바(122, 123, 124, 125)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고정구(172)는 세로바에 대응하는 제2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112, 113, 114, 115) 중 하나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세로바(121)에는 봉형부재(171)가 끼워져 봉형부재(17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121d, 121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121d, 121e)은 판형 또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봉형부재(171)가 삽입되는 통공을 가진다. 봉형부재(171)에는 제1 및 제2 브라켓(121d, 121e)의 상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지지부재(171a, 171b)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171a, 171b)는 봉형부재(171)가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봉형부재(17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지부재(171a, 171b)는 제1 및 제2 브라켓(121d, 121e)의 통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너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평레일(130)의 후방에는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80)가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180)는 수평레일(130)의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평레일(130)을 직접 파지하여 안전난간(100)를 펼치거나 접을 때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끼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안전난간(100)을 안전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의 설치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난간(100)이 펼쳐져 있을 때, 봉형부재(171)의 L자형 절곡부(171c)는 제1 베이스브라켓(111)의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구(172)에 로킹되어 있다. 로킹장치(170)의 작용에 의해 제1 세로바(121)가 제1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수평레일(130)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2 내지 제5 세로바(122, 123, 124, 125)의 회동도 규제된다. 그 결과, 안전난간(100)은 펼쳐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봉형부재(171)의 돌출부재(173)는 제1 세로바(121)와 회전규제부재(174)의 사이에 위치하여 봉형부재(171) 및 돌출부재(173)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안전난간(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 록킹장치(170)의 록킹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난간(100)을 펼친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규제부재(174)를 회전시킨 다음, 봉형부재(171)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봉형부재(171)를 회전시켜 봉형부재(171)의 L자형 절곡부(171c)를 고정구(172)의 리세스(172a)로부터 분리시켜 로킹을 해제해야 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손잡이(180)를 파지하여 안전난간(100)을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는 각자의 제1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안전난간(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된다.
안전난간(100)을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손잡이(180)를 파지하여 안전난간(100)을 후방 및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는 각자의 제1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봉형부재(171)를 회전시켜 봉형부재(171)의 L자형 절곡부(171c)를 고정구(172)의 리세스(172a)에 삽입하여 로킹시키면, 안전난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봉형부재(171)의 돌출부재(173)를 제1 세로바(121)와 회전규제부재(174)의 사이에 위치시켜 봉형부재(171) 및 돌출부재(173)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회전규제부재(174)를 조작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200)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200)은 수평레일(230)의 일단과 복수개의 세로바 중 최외측인 제5 세로바(225)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접이식 링크(2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230)의 전단에는 접이식 링크(260)와의 결합을 위해 제4 힌지축(204)이 관통하는 축공(230a)이 형성되고, 제5 세로바(225)의 상단에는 접이식 링크(260)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제6 힌지축(206)이 관통하는 축공(225b)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바가 후방으로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접이식 링크는 수평레일의 후단과 제1 세로바의 상단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200)이 접이식 링크(26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접이식 링크(260)는 제1 링크(261)와 제2 링크(262)를 구비한다. 즉, 수평레일(230)의 전단은 제1 링크(261)의 후단과 힌지결합되고, 제1 링크(261)의 전단은 제2 링크(262)의 후단과 힌지결합되고, 제2 링크(262)의 전단은 제5 세로바(225)의 상단에 힌지결합된다. 이는 안전난간(200)이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레일(230)의 전단이 저장탱크(91)의 전방 또는 후방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전난간(2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예컨대, 수평레일(230)의 전단측 일부와, 제1 링크(261)와, 제2 링크(262)와, 제5 세로바(225)의 상단측 일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다. 따라서, 안전난간(100)이 접혀진 상태에서, 안전난간(100)의 전체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링크(261)는 한 쌍의 기다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수평레일(230)의 전단이 한 쌍의 제1 링크(26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261)의 후단에는 제4 힌지축(204)이 관통하는 제1 축공(261a)이 형성되어 있다. 제4 힌지축(204)은 하나의 제1 링크(261)의 제1 축공(261a)과, 수평레일(230)의 축공(230a) 및 나머지 하나의 제1 링크(261)의 제1 축공(261a)를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204a)에 체결된다. 제1 링크(261)의 전단에는 제5 힌지축(205)이 관통하는 제2 축공(26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링크(261)의 전단 근방에는 접이식 링크(260)가 접힐 때 제2 링크(26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리세스(261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링크(262)는 한 쌍의 기다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링크(261)가 한 쌍의 제2 링크(262)의 사이에 배치되거나(도 4 참조),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링크(262)가 한 쌍의 제1 링크(26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링크(261)가 한 쌍의 제2 링크(262)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제2 링크(262)의 후단 사이에는 축공을 구비한 원통형의 스페이서(262d)(spacer)가 개재된다. 이 경우에, 스페이서(262d)는 제5 세로바(225)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링크(262)의 후단에는 제5 힌지축(205)이 관통하는 제1 축공(262a)이 형성되어 있고, 전단에는 제6 힌지축(206)이 관통하는 제2 축공(262b)이 형성되어 있다. 제5 힌지축(205)은 하나의 제1 링크(261)의 제2 축공(261b)과, 하나의 제2 링크(262)의 제1 축공(262a)과, 스페이서(262d)와, 나머지 하나의 제2 링크(262)의 제1 축공(262a)과, 나머지 하나의 제1 링크(261)의 제2 축공(261b)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205a)에 체결된다.
제2 링크(262)가 한 쌍의 제1 링크(26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제1 링크(261)의 전단 사이에는 스페이서(262d)가 개재된다. 이 경우에, 스페이서(262d)는 수평레일(2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5 힌지축(205)은 하나의 제2 링크(262)의 제1 축공(262a)과, 하나의 제1 링크(261)의 제2 축공(261b)과, 스페이서(262d)와, 나머지 하나의 제1 링크(261)의 제2 축공(261b)과, 나머지 하나의 제2 링크(262)의 제1 축공(262a)을 관통하여 너트(205a)에 체결된다.
제6 힌지축(206)은 하나의 제2 링크(262)의 제2 축공(262b)과, 제5 세로바(225)의 축공(225b) 및 나머지 하나의 제2 링크(262)의 제2 축공(262b)를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206a)에 체결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300)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300)은 복수개의 힌지플레이트 대신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가로바가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가로바는 제1 내지 제5 가로바(341, 342, 343, 344, 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가로바(341, 342, 343, 344, 345)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로바(341)는 후단에서 제2 힌지축(102)에 의해 제1 세로바(121)에 힌지결합되고, 제2 내지 제4 가로바(342, 343, 344)가 각 가로바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제2 힌지축(102)에 의해 각각 제2 내지 제4 세로바(122, 123, 124)에 힌지결합되며, 제5 가로바(345)는 전단에서 제2 힌지축(102)에 의해 제5 세로바(125)에 힌지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351, 352, 353, 354)는, 각각 제1 가로바(341)의 전단과 제2 가로바(342)의 후단 사이, 제2 가로바(342)의 전단과 제3 가로바(343)의 후단 사이, 제3 가로바(343)의 전단과 제4 가로바(344)의 후단 사이, 제4 가로바(344)의 전단 제5 가로바(345)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300)이 복수개의 가로바를 가지고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의 길이가 짧아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400)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400)은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 및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 대신에 하나의 제2 수평레일(440)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2 수평레일(440)이 제1 내지 제5 세로바(121, 122, 123, 124, 125)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이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4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90: 벌크차량
100, 200, 300, 400: 안전난간
111, 112, 113, 114, 115, 125: 제1 내지 제5 베이스브라켓
121, 122, 123, 124, 125: 제1 내지 제5 세로바
130: 수평레일
141, 142, 143, 144, 145: 제1 연결부재
151, 152, 153, 154: 제2 연결부재
160: 접이식 링크
161, 162: 제1 및 제2 링크
170: 로킹장치
180: 손잡이

Claims (9)

  1. 벌크차량의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이며,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브라켓에 일단에서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바와,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수평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 중 어느 하나의 세로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세로바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에 로킹가능한 로킹장치
    를 포함하는 안전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일측부와 접촉하여 상기 세로바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안전난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제1 연결부재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가로바 또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전난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쇠사슬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안전난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2 수평레일을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의 일단과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 중 최외측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접이식 링크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링크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수평레일의 일단과 상기 제2 링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최외측 세로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안전난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봉형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세로바가 힌지결합되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봉형부재의 하단을 수용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안전난간.
KR1020110018706A 2011-03-03 2011-03-03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KR20120100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706A KR20120100069A (ko) 2011-03-03 2011-03-03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706A KR20120100069A (ko) 2011-03-03 2011-03-03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69A true KR20120100069A (ko) 2012-09-12

Family

ID=4710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706A KR20120100069A (ko) 2011-03-03 2011-03-03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0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2779A (zh) * 2013-08-30 2014-02-05 东莞市永强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罐顶活动护栏的防失效装置
KR20160080836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에코프랜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CN106218486A (zh) * 2016-07-25 2016-12-14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罐顶护栏
CN113479138A (zh) * 2021-07-05 2021-10-08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粉罐车车顶护栏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2779A (zh) * 2013-08-30 2014-02-05 东莞市永强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罐顶活动护栏的防失效装置
KR20160080836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에코프랜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CN106218486A (zh) * 2016-07-25 2016-12-14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罐顶护栏
CN113479138A (zh) * 2021-07-05 2021-10-08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粉罐车车顶护栏
CN113479138B (zh) * 2021-07-05 2023-09-12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粉罐车车顶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880B2 (en) Cargo box extension assembly for vehicle
EP0738626B1 (de) Vorrichtung zum variablen Unterteilen eines Kraftfahrzeug-Kofferraums und Festhalten des Ladegutes
US8061572B2 (en) Portable hitch mounted cargo carrier
DE102007002372B3 (de) Sicherheitssitz ohne Seiteneinbauten
US8328266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20120139281A1 (en) Modular ramp assembly for vehicle
DE102006017555A1 (de) Klapprampensystem
KR20120100069A (ko) 벌크차량의 안전난간
US7484594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long objects such as a ladder
WO2008086967A1 (de) Mit einem schultergurtzeug versehener sicherheitssitz ohne seiteneinbauten
CA2940034C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ickup truck cargo beds
EP3115254B1 (de) Zurreinrichtung
CN107953819A (zh) 后挡板斜坡装置
DE102013006764B4 (de) Ladebühne für Fahrzeuge
DE102006021941A1 (de) Motorradtransportschiene für ein Fahrzeug
DE19909603B4 (de)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Fahrrades
DE102008019162B4 (de) Fahrzeugaufbau
WO2006070002A2 (de) Sattelwagen
DE102007024971B4 (de) Kraftfahrzueg mit einer Heckklappe
DE102012014232A1 (de) Anordnung zur Ladungssicherung
DE2911453A1 (de)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sicherheitsgurtes
KR20160015469A (ko) 트럭용 사이드게이트의 잠금장치
DE102007039319B4 (de) Ladungssicherungsvorrichtung
GB2354501A (en) Roof rack for vans
DE102015217150A1 (de) Lastenträ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