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877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877A
KR20120099877A KR1020110018377A KR20110018377A KR20120099877A KR 20120099877 A KR20120099877 A KR 20120099877A KR 1020110018377 A KR1020110018377 A KR 1020110018377A KR 20110018377 A KR20110018377 A KR 20110018377A KR 20120099877 A KR20120099877 A KR 2012009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ideo
data
video data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576B1 (ko
Inventor
염선희
정진국
박미화
박수홍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576B1/ko
Priority to PCT/KR2012/001386 priority patent/WO2012118298A2/en
Priority to US13/411,458 priority patent/US8929713B2/en
Publication of KR2012009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05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은,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VIDEO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세그먼팅 기술은, 동영상 내 특정 재생위치로 바로 점프하여 재생하기 위해 동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기술이다.
종래 동영상 세그먼팅 기술로서, 동영상 분석 방법은, 예를 들어 음성 분석을 통해 화자를 구분하여 뉴스 서비스를 구분하거나 화상 간 차이를 구분하여 화상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동영상 분석 방법은 완벽한 세그먼팅 기술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DVD(Digital Video Disk) 등에서의 챕터링(chaptering) 서비스와 같이, 콘텐츠 제작단계에서 저작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임의로 세그먼팅이 완료되어 배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하여,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그멘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 센서별, 이전 주기 대비 변경된 현재 주기의 센서 데이터 값과,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동영상 파일 내 메타데이터 저장 공간에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은,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는, 동영상 촬영을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동영상 촬영 시,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는 동영상 세그먼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하여,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그멘팅함으로써,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위치값, 온도값, 방향값, 소음값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좀 더 풍부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그먼팅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파일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면서(또는 외부에 설치된 센서와 연결), 동영상 촬영/재생이 가능한 모든 기기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제어부(100), 카메라부(102), 영상처리부(104), 표시부(106), 입력부(108), 동영상 세그먼팅부(110), 센서부(112), 메모리(114), 오디오 처리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카메라부(102)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로,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상기 카메라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영상코덱(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코덱(도시하지 않음)은 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코딩하거나, 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8)는 숫자 키버튼들과 다수의 기능 키버튼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버튼에 대응하는 키버튼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동영상 세그먼팅부(110)는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상기 메모리(114)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그멘팅한다.
상기 센서부(11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위치센서(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온도센서, 방향센서, 소음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4)는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14)는 동영상 파일(116)을 저장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18)는 오디오 코덱(107)을 구비하여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 처리부(118)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촬영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촬영이 요청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203단계에서 동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팅에 이용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선택받기 위해 센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리스트에는 위치센서(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온도센서, 방향센서, 소음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5단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현재 동영상의 촬영위치를 파악하여 동영상 촬영의 이동 경로를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위치센서를 선택하여 동영상 데이터 세그먼팅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207단계에서 카메라 및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구동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9단계에서 상기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구동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통해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데이터에는 위치값, 온도값, 방향값, 소음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21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각 센서별로, 현재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와 이전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센서 데이터 값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현재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이 이전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과 비교하였을 때 변경되었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현재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가 상기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트가 요구되는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라고 판단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한 후, 215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단말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각 센서별로, 이전 주기 대비 변경된 현재 주기의 센서 데이터 값을,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함으로써,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트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각 센서별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그먼팅된 동영상 데이터가 다수 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센서별, 이전 주기 대비 변경된 현재 주기의 센서 데이터 값과,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은, 일실시 예로, 도 5와 같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502)로 구성되는 동영상 파일(500) 내 메타데이터(504) 저장 공간에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동영상 파일 내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별개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해당 동영상 데이터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211단계에서, 현재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이 이전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과 비교하였을 때 변경되지 않았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215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215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촬영 중지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촬영 중지가 요청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217단계에서 상기 구동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통해 주기적으로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와 같이 세그먼팅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반면, 상기 215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촬영 중지가 요청되지 않았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209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그먼팅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영상 재생이 요청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동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팅에 이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선택받기 위해 센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리스트에는 위치센서(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온도센서, 방향센서, 소음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07단계에서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선택된 센서별로 해당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기 저장된 센서 데이터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데이터에는 위치값, 온도값, 방향값, 소음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센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의 센서 데이터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9단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센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의 센서 데이터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11단계에서 해당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선택된 센서 데이터와 함께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3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기반으로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를 결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5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로 랜덤 억세스하여 해당 동영상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 시, 위치센서를 통해 동영상의 촬영위치를 파악하여 동영상 촬영의 이동 경로를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 경우, 또는 이와 같이 촬영된 각각의 동영상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저장한 경우, 동영상 촬영이 끝난 후 동영상 감상 시, 특정 지역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바로 찾아 재생하고 싶다면,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위치센서 기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동영상으로 바로 점프하여 해당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하여,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그멘팅함으로써,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좀 더 풍부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통해 센서 데이터 단위의 동영상 검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랑스, 독일, 스웨덴을 여행하며 촬영된, "프랑스"라는 제목의 동영상에 대하여, 종래에는 검색어가 '프랑스'인 경우에만 해당 동영상이 검색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검색어가 '독일', '스웨덴'인 경우에도, 동영상 파일 내 해당 지역과 관련된 동영상 데이터가 검색 및 재생 가능하다. 이로써, 검색의 정확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어부 100, 카메라부 102, 영상처리부 104, 표시부 106, 입력부 108, 동영상 세그먼팅부 110, 센서부 112, 메모리 114, 오디오 처리부 118

Claims (16)

  1.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는 위치값, 온도값, 방향값, 소음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이 요청될 시, 센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될 시, 카메라 및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리스트는 위치센서, 온도센서, 방향센서, 소음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는 과정은,
    현재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와 이전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센서 데이터 값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센서 데이터 값이 변경되었음이 판단될 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동영상 파일 내 메타데이터 저장 공간에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은, 해당 동영상 데이터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팅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요청될 시, 센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센서별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팅에 이용된 센서 데이터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의 센서 데이터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센서 데이터와 함께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기반으로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으로 랜덤 억세스하여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방법.
  9. 동영상 촬영을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동영상 촬영 시,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는 동영상 세그먼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는 위치값, 온도값, 방향값, 소음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이 요청될 시, 센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동영상 세그먼팅부는, 상기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될 시, 카메라 및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리스트는 위치센서, 온도센서, 방향센서, 소음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세그먼팅부는,
    현재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와 이전 주기에 획득된 센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센서 데이터 값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센서 데이터 값이 변경되었음이 판단될 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동영상 파일 내 메타데이터 저장 공간에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센서 데이터 값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은, 해당 동영상 데이터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팅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요청될 시, 센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센서 리스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센서별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팅에 이용된 센서 데이터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동영상 세그먼팅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의 센서 데이터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센서 데이터와 함께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 옵셋값을 기반으로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으로 랜덤 억세스하여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세그먼팅을 위한 장치.
KR1020110018377A 2011-03-02 2011-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4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377A KR101748576B1 (ko) 2011-03-02 2011-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1386 WO2012118298A2 (en) 2011-03-02 2012-02-23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video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3/411,458 US8929713B2 (en) 2011-03-02 2012-03-02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video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377A KR101748576B1 (ko) 2011-03-02 2011-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877A true KR20120099877A (ko) 2012-09-12
KR101748576B1 KR101748576B1 (ko) 2017-06-20

Family

ID=4675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377A KR101748576B1 (ko) 2011-03-02 2011-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29713B2 (ko)
KR (1) KR101748576B1 (ko)
WO (1) WO20121182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99995A1 (en) * 2014-01-10 2015-07-16 ModCon IP LLC Modular content generation, modification, and delivery system
US20160307598A1 (en) * 2015-04-16 2016-10-20 Daniel Laurence Ford JOHNS Automated editing of video recordings in order to produce a summarized video record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997A (en) * 1995-01-06 1998-02-03 Anderson; David P. Virtual reality television system
JP3879170B2 (ja) 1997-03-31 2007-02-0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020097322A1 (en) * 2000-11-29 2002-07-25 Monroe David A. Multiple video display configurations and remote control of multiple video signals transmitted to a monitoring station over a network
US20040143434A1 (en) 2003-01-17 2004-07-22 Ajay Divakaran Audio-Assisted segmentation and browsing of news videos
JP2004342252A (ja)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方法
KR20070002159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팬택 동영상 관리 방법 및 장치
JP4654153B2 (ja) 2006-04-13 2011-03-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加熱素子
KR20080041837A (ko) * 2006-11-08 2008-05-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멀티미디어 데이터 레코더
KR20080041835A (ko) * 2006-11-08 2008-05-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멀티미디어 데이터 레코더
US8310542B2 (en) * 2007-11-28 2012-11-13 Fuji Xerox Co., Ltd. Segmenting time based o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activity in sensor data
JP5191240B2 (ja) 2008-01-09 2013-05-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シーン変化検出装置およびシーン変化検出プログラム
KR20090080720A (ko) * 2008-01-22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839036B2 (en) * 2010-12-30 2014-09-1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oot cause analysis
US20120188376A1 (en) * 2011-01-25 2012-07-26 Flyvie,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camera systems and self broadc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9713B2 (en) 2015-01-06
US20120224833A1 (en) 2012-09-06
WO2012118298A2 (en) 2012-09-07
WO2012118298A3 (en) 2012-12-20
KR101748576B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6818B (zh) 存储视频摘要的方法和显示相应于视频摘要的视频帧的系统
EP2710594B1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feature of interest
US9013604B2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particular person
KR101022343B1 (ko) 정보 생성 장치, 기록 장치, 재생 장치, 정보 생성 방법,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기록 재생 시스템
EP318553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432965B2 (en) Efficient method for assembling key video snippets to form a video summary
US8446490B2 (en) Video capture system producing a video summary
JP4874425B1 (ja) 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20120087636A1 (en) Moving image playback apparatus, moving imag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46619A (ko) 영상 출력 장치
KR201200998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109418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2008294938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及びサムネイル作成方法
US104106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bining related video images with different frame rates
JP2009239322A (ja) 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方法および映像再生プログラム
JP2006325143A (ja) 携帯型画像再生装置及び携帯型画像再生装置の制御方法
JP2011151605A (ja) 画像作成装置、画像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333117A (ja) 動画像記録再生装置
KR20140080093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6101155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2012191503A (ja)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装置、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7251303A (ja) 動画像再生装置
JP2010212821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