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781A -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781A
KR20120094781A KR1020110014254A KR20110014254A KR20120094781A KR 20120094781 A KR20120094781 A KR 20120094781A KR 1020110014254 A KR1020110014254 A KR 1020110014254A KR 20110014254 A KR20110014254 A KR 20110014254A KR 20120094781 A KR20120094781 A KR 2012009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nector
automatic transmission
connector
electrical wi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606B1 (ko
Inventor
이준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1001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6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99Fasteners with means for avoiding incorrect assembly or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는: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연결부와, 출력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안착된 출력커넥터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커넥터와 와이어하네스에 의해 연결되는 출력커넥터가 별도의 고정물에 일체화되어 자동변속기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을 변환시켜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정차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후진을 가능케 한다.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자동변속기에는 토크컨버터를 개재하여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는 입력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입력축에는 복수조의 유성기어세트를 비롯하여 유성기어세트의 요소들을 작동시켜 동력 전달경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구성된 마찰계합요소가 장치되어 있다.
이들 마찰계합요소는 차량의 운전조건과 엔진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계합됨으로써 엔진의 토크가 변화된다.
변화된 토크는 출력축을 통해 구동바퀴로 전달된다.
유압제어장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변속지점을 결정하고 다판 클러치나 다판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클러치 및 변속레버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 없으며, 기관의 출력에 알맞는 변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의 일단에는 플라이휠(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플라이휠(2)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은 클러치(4)를 통해 구동축으로 전달된다.
클러치(4)는 다이어프램(6)을 개재하여 구동축(10)에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무단변속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축(10)에는 각종 마찰계합요소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8)가 구동된다.
그리고, 클러치(4)를 통해 구동축(10)으로 입력된 엔진의 구동력은 캐리어(32)를 통해 유성기어세트(30)로 전달된다.
유성기어세트(30)는 변속기 입력축(40)과 연결되어 있는 선기어(34)와, 이 선기어(34)와 외접하는 더블피니언(36,36') 및 이 더블피니언(36,36')과 내접하는 링기어(38)로 이루어져 있다.
캐리어(32)는 전진 클러치(42)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링기어(38)는 후진클러치(44)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진시에는 개합되어 유성기어세트(30)의 캐리어(32)를 통해 전달된 엔진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전진 클러치(42)의 한쪽은 커넥터부재(46)를 개재하여 변속기 입력축(4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후진시에 계합되어 후진을 가능케 하는 후진 클러치(44)의 한쪽은 변속기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선기어(34)가 고정되어 있는 입력축(40)의 타단에는 구동풀리(50)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구동풀리(50)는 유성기어세트(30)와 입력축(40)을 통해 캐리어(32)로부터 입력된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종동풀리(52)로 전달한다.
종동풀리(52)로 전달된 동력은 종동축(58)과 중간 피니언(60) 및 아이들러 기어(62)를 통해 아이들러 샤프트(64)로 전달되며, 아이들러 샤프트(64)로 전달된 구동력은 종감속 피니언(36,36')과 종감속 기어(68)를 거쳐 자동기어(70)로 전달된 다음, 좌우측 구동바퀴로 보내짐으로써, 차량의 발진을 가능케 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재(46)은 변속기 하우징(20)에 접속되며, 외부전원을 인가받도록 형성된 외부전원커넥터(82)와, 외부전원커넥터에서 여러 가닥의 전선으로 연장 형성된 와이어하네스(84)와 , 여러 가닥의 전선 중 일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다섯 개의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 도시하지 않음)와 각각 접속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연결된 압력조절부 커넥터(86)와, 일부 전선의 끝단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arious Force Solenoid valve, VFS, 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는 가변제어 커넥터(88)와, 나머지 전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변속기 하우징(20)내부 작동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유온센서(Oil Temperature, OTS, 8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은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그 형상이 일정치 않은 구조물 위로 각 커넥터들을 개별적으로 체결하고 있어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며 작업시간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는 다수 가닥의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전선은 상술한 커넥터들과 접점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점작업이 번거로우며,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흔들리게 되어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입력커넥터와 와이어하네스에 의해 연결되는 출력커넥터가 안착부와 고정커버에 일체화 되어 자동변속기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 개선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는: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연결부와, 출력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안착된 출력커넥터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커넥터는 회로연결부와 연결되는 결속부 및 고정커버의 노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커넥터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커넥터의 절곡부위에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부는 자동변속기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커버는 출력커넥터가 각각 구획되어 수용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출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출력커넥터는 위치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고정부는 출력커넥터에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 및 로킹돌기에 대응되도록 노출구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커버의 전면에는 자동변속기와 결합 시 출력커넥터의 접점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는 입력커넥터와 와이어하네스에 의해 연결되는 출력커넥터가 안착부와 고정커버에 일체화 되어 자동변속기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더욱이, 고정커버에는 출력커넥터를 각각 구획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출력커넥터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므로,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소음과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를 배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 개선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변속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와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배선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100)는 회로연결부(120), 안착부(140) 및 고정커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로연결부(120)는 복수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지며, 입력커넥터(110)와 출력커넥터(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출력커넥터(130)는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와 가변제어 솔레노이드밸브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서,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에 의해 일체화 되어 자동변속기에 장착된다.
또한, 출력커넥터(130)는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 각각에 접속되는 압력조절 커넥터와 가변제어 솔레노이드밸브에 접속되는 가변제어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커넥터(130) 중 압력조절 커넥터는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에 의해 일체화되어 접속되고, 가변제어 커넥터는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와 무관하게 별도로 접속된다.
안착부(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출력커넥터(130)가 안착되도록 내면에 복수개의 안착홈(142)이 형성되며, 출력커넥터(130)와 연결되는 회로연결부(120)가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홀(1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140)의 가장자리에는 자동변속기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146)가 형성된다.
고정부(146)는 자동변속기의 고정홀에 연통되는 체결홀을 갖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커버(150)는 안착부(140)에 안착된 출력커넥터(130)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152)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부(140)에 고정된다.
고정커버(150)와 안착부(140)의 결합은 안착부(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속홈(미도시)과 결속홈에 체결되도록 고정커버(15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결속후크(156)에 의해 결합된다.
출력커넥터(130)는 회로연결부(120)와 연결되는 결속부(132) 및 고정커버(150)의 노출구(15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속부(132)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회로연결부(12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결속부(132)에 의해 감싸져 압착되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출력커넥터(13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부위에는 보강부(136)가 형성된다.
이는 출력커넥터(130)가 절곡 형성됨에 따라 출력커넥터(130)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보강부(136)에 의해 'ㄱ'자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커버(150)는 출력커넥터(130)가 각각 구획되어 수용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154)를 포함한다.
수용홈부(154)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커버(150)의 내면에 형성되며, 각각의 출력커넥터(130)를 수용하도록 출력커넥터(130)의 폭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수용홈부(154)는 노출구(152)와 연결되고,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는 노출구(15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결속부(132)는 수용홈부(154)에 수용되는 것이다.
이처럼 출력커넥터(130)가 수용홈부(154)에 의해 구획되어 수용됨에 따라 서로의 간섭 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한 출력커넥터(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구(152)에 삽입되는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는 위치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된다.
위치고정부(160)는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에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162) 및 로킹돌기(162)에 대응되도록 노출구(152)에 형성되는 걸림턱(164)을 포함한다.
로킹돌기(162)는 단자부(134)에서 절개되어 후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노출구(152)를 통해 단자부(134)가 삽입되면, 로킹돌기(162)가 걸림턱(164)에 접하여 진입되다가 걸림턱(164)을 넘어서면 탄동되어 고정됨으로, 단자부(134)의 접점 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정커버(150)의 전면에는 자동변속기와 결합 시 출력커넥터(130)의 접점을 안내하는 안내부(158)가 구비된다.
안내부(158)는 고정커버(150)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로 이루어져, 단자부(134)의 접점 시 접속불량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입력커넥터(110)에 연결되는 회로연결부(120)를 복수개로 분기한 후 각각 안착부(140)의 진입홀(144)을 통해 진입시킨다.
이처럼 진입된 회로연결부(120)는 각각의 출력커넥터(130)에 연결된다.
출력커넥터(130)의 일측에는 결속부(132)가 형성되어 결속부(132)내로 안착된 회로연결부(120)의 각 끝단은 압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연결부(120)가 연결된 출력커넥터(130)는 고정커버(150)의 수용홈부(154)에 삽입된다.
이때, 출력커넥터(13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여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커넥터(130)의 절곡 부위에는 보강부(136)가 형성되어 출력커넥터(130)의 직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홈부(154)와 노출구(152)가 이루는 직각형상에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어 안착이 용이하고, 안착시 유동이 방지된다.
출력커넥터(130)가 수용홈부(154)에 안착됨에 따라 각각 구획되어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더욱이, 수용홈부(154)는 출력커넥터(130)의 폭과 유사한 폭을 지니므로 출력커넥터(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는 고정커버(150)의 노출구(15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데, 단자부(134)에는 절개되어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162)가 형성되어 노출구(152) 내면의 걸림턱(164)이 결속됨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안착부(140)에 고정커버(150)를 결합한다.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의 결합은 고정커버(150)의 둘레면에 형성된 결속후크(156)가 안착부(140)의 결속홈(미도시)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처럼,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에 의해 일체화된 출력커넥터(130)는 안착부(140)의 고정부(146)에 의해 자동변속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커버(150)의 전면에는 안내부(158)가 형성되어 출력커넥터(130)와 각 압력조절 솔레노이드 밸브의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커넥터가 안착부와 고정커버로 이루어진 하드한 구조물에 의해 많은 체결커넥터를 한번에 체결 가능함으로써, 작업성 개선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기배선장치 110 : 입력커넥터
120 : 회로연결부 130 : 출력커넥터
132 : 결속부 134 : 단자부
136 : 보강부 140 : 안착부
142 : 안착홈 144 : 진입홀
146 : 고정부 150 : 고정커버
152 : 노출구 154 : 수용홈부
156 : 결속후크 158 : 안내부
160 : 위치고정부 162 : 로킹돌기
164 : 걸림턱

Claims (9)

  1.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연결부;
    상기 출력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출력커넥터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커넥터는 상기 회로연결부와 연결되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커버의 노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커넥터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커넥터의 절곡부위에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자동변속기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출력커넥터가 각각 구획되어 수용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출력커넥터는 위치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출력커넥터에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 및
    상기 로킹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노출구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의 전면에는 자동변속기와 결합 시 상기 출력커넥터의 접점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KR1020110014254A 2011-02-17 2011-02-17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KR10121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254A KR101214606B1 (ko) 2011-02-17 2011-02-17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254A KR101214606B1 (ko) 2011-02-17 2011-02-17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81A true KR20120094781A (ko) 2012-08-27
KR101214606B1 KR101214606B1 (ko) 2012-12-27

Family

ID=4688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254A KR101214606B1 (ko) 2011-02-17 2011-02-17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6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31B1 (ko) *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KR101430132B1 (ko) *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에프피씨타입의 배선장치
KR101964822B1 (ko) 2017-12-28 2019-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KR101964820B1 (ko) 2017-12-26 2019-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KR101964821B1 (ko) 2017-12-26 2019-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KR20190076357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3983A (ja) * 2000-03-28 2001-10-12 Eiryo Ko ケーブル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31B1 (ko) *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KR101430132B1 (ko) *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에프피씨타입의 배선장치
KR20190076357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KR101964820B1 (ko) 2017-12-26 2019-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KR101964821B1 (ko) 2017-12-26 2019-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KR101964822B1 (ko) 2017-12-28 2019-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606B1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606B1 (ko)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JP5055645B2 (ja) 無段調節可能な変速比を有する複数の変速比範囲を備えた出力分岐式の伝動装置
US8616355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997555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US10024421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of vehicle driving device
US8651239B2 (en) Oil passage structure for transmission
JP4289407B2 (ja) 油圧供給装置
US8506454B2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20120114508A1 (en) Electric capstan
US20090057062A1 (en) Arrangement of an electrically operated oil pump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EP3064808B1 (en) Vehicle driving apparatus
JP2014114910A (ja) 油圧制御装置
KR100767823B1 (ko) 분기케이블
KR100967689B1 (ko)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구조
KR100498037B1 (ko)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구조
KR101430131B1 (ko)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KR101430132B1 (ko) 차량의 변속기용 에프피씨타입의 배선장치
KR20150003933A (ko) Isg와 sbw 기능이 구현된 10속 변속기용 유압회로
WO2011105905A2 (en) Transmis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2563728B1 (ko) 유온센싱모듈을 갖는 커넥터
WO2019093118A1 (ja)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装置
KR100510972B1 (ko) 자동변속기의 커넥터 구조
KR200423113Y1 (ko) 분기케이블
US20120112145A1 (en) Electric capstan
JP2018135920A (ja) 自動変速機のコネクタ接続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