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584A -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584A
KR20120094584A KR1020110013934A KR20110013934A KR20120094584A KR 20120094584 A KR20120094584 A KR 20120094584A KR 1020110013934 A KR1020110013934 A KR 1020110013934A KR 20110013934 A KR20110013934 A KR 20110013934A KR 20120094584 A KR20120094584 A KR 20120094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edical
distance
rotating shaft
ste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531B1 (ko
Inventor
김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Priority to KR102011001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5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 F21W2131/205Lighting for medical use for operating thea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대의 환자 상부에 위치한 조명기구에 거리감지수단이 설치되어 환자나 피실험체의 특정부위와 조명등과의 거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복수개의 조명등이 환자나 피실험체의 환부를 자동으로 향해 자동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거리감지수단에 의해 센싱되어 획득된 데이터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되는 만큼 거리감지수단의 센싱부 방향으로 전체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제어부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명기구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집광이 가능한 시술과 사용이 편리성을 향상시킨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Medical illuminator with an auto-focus system}
본 발명은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실 등에서 환자의 상부에 위치한 조명기구에 거리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조명등이 환자의 환부를 향해 자동으로 집중 조사되도록 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명기구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의료용조명기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명등이 일체로 결합되어 각 조명등에서 발광하는 빛이 환자의 환부를 향하도록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조명기구는 수술대 위에 위치한 환자의 수술부위를 조사하도록 통상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가 천정이나 다른 장치에 설치된 상기 조명기구를 손으로 잡아 환자의 해당 부위 상부로 위치시켜 놓고 의료행위를 하게 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조명등이 발하는 빛이 필요한 곳으로 집중되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가 여러번에 걸쳐서 조명기구를 잡고 조광높이와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를 시술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었음은 물론이고 조명기구의 조작에 따라 환자에게 2차 감염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였었다.
이러한 수동조작의 어려움과 불편함 등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명기구상에 수동의 조작핸들을 설치하여 수동조작핸들의 조작에 따라 적정위치로 이동된 조명기구에서 각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조절하여 필요한 곳으로 빛이 집광될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의 수동식 구조의 의료용 조명기구의 일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선된 종래의 반자동식 조명기구의 실시예에서도 각 조명등의 조사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가 조명기구상에 설치된 수동핸들을 돌려 각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환자의 환부를 향해 조절하여야 하므로, 조명기구를 조작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고, 조명기구의 조작시 이물질 등이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의 접촉으로 인해 환자가 2차 감염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수동식 또는 반자동식 의료용 조명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가 조명등의 조사각도 조절을 직접 수행함이 없이 환자의 환부에 복수의 조명등이 집광되도록 하여 의료행위시 시술의 편리성 향상과 환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의료용 조명기구에 사용 및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잡한 장치구성을 추가하고 이로 인해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장치의 구성과 이용이 가능한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는 환자의 환부를 조명하기 위해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명등이 결합되어 수술대 또는 수술실에 설치되는 의료용 조명기구에 환자의 환부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하는 거리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어 획득한 데이터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되는 만큼 거리감지센서의 센싱부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명등 조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신호 송수신을 통한 거리측정이 가능한 음파, 광파, 전자파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획득된 데이터 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상호 대비하여 그 차이에 따라 거리감지센서의 센싱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그 회전방향과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각 조명등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텝모터는 상기 조명기구의 중심부에 설치되면서 그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텝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 나사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 동작되도록 회전축의 길이방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하 고정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하 고정부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각 조명등의 기울기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 고정부 사이에는 전체 조명등의 하우징 후단부에 연장설치된 각도조절지지부가 각각 끼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는 간단한 센서의 설치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환자의 상부에 위치한 조명기구의 전체 조명등 조사각도가 자동조절되어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가 의료행위중에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을 위해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도록 하여 환자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중에 조명기구의 조작에 의한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간단한 장치 추가로 조명기구의 사용편의성을 높이면서 많은 경제적 비용부담을 들이지 않고 설치와 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향상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의 저면사시도(또는 저면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에서 조명등과 회전축과의 일부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의 주요 구성의 동작순서를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속하는 의료용 조명기구의 종래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는 환자의 환부를 조명하기 위해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명등이 결합되어 수술대 또는 수술실에 설치되는 의료용 조명기구에 환자의 환부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전송된 신호에서 획득한 데이터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거리감지센서에의해 센싱된 방향으로 전체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음파, 전자파, 광파 중 어느 하나 센싱수단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획득된 데이터 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상호 대비하여 그 차이에 따라 거리감지센서의 감지방향으로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그 회전방향과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획득된 데이터에 따라 전체 조명등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텝모터는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명기구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 나사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 동작되도록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상?하 고정부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고정부 사이에는 상?하고정부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전체 조명등의 기울기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전체 조명등의 하우징 후단부에 형성된 각도조절지지부가 각각 끼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기구에서 일부 조명등과 구동제어부의 결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통상 공지된 구성 및 동작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과 기능 위주로 설명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100a)는 외관상으로 복수개의 조명등(10)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는 종래의 의료용 조명기구와 큰 차이는 없으나, 도 2의 저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명등(10)이 결합된 조명기구(100a)의 중심부에 수술대에 눕혀진 환자, 특히 수술이 필요한 환부와의 거리를 파악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30)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100a)의 후면이나 하우징 내부 또는 상기 조명기구(100a)를 고정하는 고정대(F)의 일단에는 상기 거리감지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조명조립체(20)에 각각 끼움 결합된 전체 조명등(10)의 조사각도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제어부(C)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기구(100a)를 구성하는 각 조명등(10)은 필요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수개의 Led조명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조명등(10)의 하우징 후면에는 Led조명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판(17)이 결합되고, 복수개의 led조명은 고정커버(19)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구동제어부(C)와 전체 조명등(1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에는 편의상 두 개의 조명등(10)만을 도시하여 조명조립체(20)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지만 나머지 조명등도 동일한 구조로 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감지센서(30)는 수술대 등에 위치한 환자와의 거리를 센싱하여 조명기구(100a)의 후방이나 내측, 또는 조명기구의 고정대에 설치된 컨트롤러(40)에 송신하게 되고, 컨트롤러(40)에 수신된 신호는 측정된 거리의 데이터와 기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른 값에 따라 거리감지센서(30)가 측정한 방향으로 스텝모터(50)를 일정한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텝모터(50)와 연결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30)는 음파, 광파, 전자파 등 다양한 수단중에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지만, 여러 수단중 쉽게 채용이 가능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컨트롤러(40)에는 거리감지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컨트롤러에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및 연산하는 전기전자적 회로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컨트롤러(40)에 설정된 기준값은 통상 수술대의 높이와 조명기구의 설치위치 등 조명기구(100a)가 설치되는 수술환경에 적합하게 셋팅되어 제작 및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텝모터(50)는 상기 컨트롤러(40)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그 회전방향이 바뀌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스텝모터(50)는 조명조립체(20) 내부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축(60)과 연결되어 스텝모터(5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60)도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60)은 그 외주연에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부(62)가 형성되어 조명조립체(20)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나사부(62)에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상?하고정부(64) (66)가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60)의 회전방향에 따라 두개의 상?하고정부(64)(66)가 동일한 방향으로 승?하강 동작되도록 상?하고정부(64)(66)는 회전축(6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대(67)에 동시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복수개로 이루어진 전체 조명등(10)이 동시에 끼움 결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지지하는 조명조립체(20)는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의 외측으로 조립되는 조명등의 갯수와 대응되는 일정높이의 경계벽을 갖으며, 상기 경계벽에는 일정크기의 관통공(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에는 조명하우징(14)의 후단에 일정길이 연장 형성된 각도조절지지부(15)가 관통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조립체(20)의 형상이 다각형 공간박스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조명등의 설치형태에 따라 원형이나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0)에 결합된 상?하고정부(64)(66) 사이에는 상기 조명조립체 (20)의 관통공(22)을 통과하여 일단이 각각 끼움 결합된 복수개의 각도조절지지부(15)의 선단부가 위치되어 상부고정부(64)와 하부고정부(66) 사이의 공간부 내에서 그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른 상?하고정부(64)(66)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지지부(15)의 선단부가 승?하강 동작되고, 조명조립체(20)의 관통공(22)에 걸쳐진 상기 각도조절지지부(15)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각 조명등(10)을 상?하향 조절하여 엘이디조명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모터(50)의 회전은 회전축(60)의 회전을 일으키고, 회전축(60)의 회전은 나사부(62)에 결합된 상?하고정부(64)(66)의 승?하강 동작을 유도하고, 상?하고정부(64)(66)의 승하강 동작은 조명조립체(20)의 관통공(22)을 통해 걸쳐진 전체 조명등(10)의 각도조절지지부(15)의 승?하강 동작을 유도하여 전체 조명등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30)는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일정범위 이내에서 거리측정이 가능한 수단이면 초음파 센서 이외에도 광(光)을 이용하는 광센서 및 기타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거리감지센서(30)의 온/오프를 위한 별도의 조작스위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전체 조명등의 전원스위치와 일체화되어 조명등 온오프동작과 동시에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술한 각 부의 주요구성들의 동작상태를 블럭도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각 주요구성의 동작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40)에는 거리감지수단(30)에서 계측된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연산수단과, 데이터화된 계측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상호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을 구비한 CPU나 마이컴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러의 회로구성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텝모터(50)를 포함한 각부는 조명기구(100a)에 공급되는 메인전원으로부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텝모터(50)는 상기 컨트롤러(40)에서 인가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그 회전방향이나 회전각이 결정되어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스텝모터(50)와 동시에 회전축(60) 또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스텝모터(50)의 사양은 조명등조립체(20)에 결합되는 전체 조명등(10)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적당한 용량의 모터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정밀한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것이면 무난하다.
일례로, 상기 회전축(60)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축(60)의 나사부(62)에 결합된 원판형상의 상?하고정부(64)(66)가 회전축(60)의 나사부(62)를 따라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60)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60)의 나사부(62)에 결합된 상?하고정부(64)(66)가 회전축(60)의 나사부(62)를 따라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하고정부(64)(66) 사이의 공간부에 끼워진 각 조명등(10)의 각도조절지지부(15)가 상?하고정부(64)(66)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조명조립체(20)의 각 관통공(22)을 통해 걸쳐진 상태에서 관통공(22)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됨으로써 조명조립체(20)의 외측에 위치한 조명등 렌즈(12)가 지렛대원리에 의해 조명기구(100a) 중심축상에서 벌어지거나 모이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렌즈(12) 내측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도시생략)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a)는 설치된 거리감지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개의 조명등(10)에서 발광하는 엘이디조명이 환자의 환부를 향해 집중되거나 확산되는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 조명등의 조사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시술자나 시술보조자가 시술준비중 또는 시술중에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없이 조명기구가 고정된 위치에서 거리감지센서(30)의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복수개의 조명등 조사각도가 조절되어 조명기구의 사용편리성과 시술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자 또는 시술보조자가 별도로 조명기구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수술시 환자의 2차 감염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또한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는 통상의 병원이나 의원, 실험실 등에서 환자나 피실험체의 환부를 조명하기 위한 의료용 조명수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기술구성으로 종래에 이용되는 의료용 조명기구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된 고가의 다른 의료용 조명기구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100, 100a : 조명기구
10 : 조명등 12 : 렌즈
14 : 조명하우징 15 : 각도조절지지부
17 : 방열판 19 : 고정커버
20 : 조명조립체 30 : 거리감지센서
40 : 컨트롤러 50 : 스텝모터
60 : 회전축 62 : 나사부
64 : 상부고정부 66 : 하부고정부
C : 구동제어부

Claims (5)

  1.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명등이 조명조립체에 결합되어 수술대나 수술실 또는 실험실 등에 설치되는 의료용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조명기구에는 환자 또는 피실험체의 특정부위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파악하기 위한 거리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거리감지수단에 의해 센싱되어 획득한 데이터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되는 만큼 상기 거리감지수단의 센싱부 방향으로 전체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동제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수단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음파, 전자파 또는 광파를 이용한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획득된 데이터 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상호 대비하여 그 차이만큼 거리감지수단의 센싱부 방향으로 회전방향과 회전각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회전방향과 회전각이 제어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는 전체 조명등이 방사상으로 조립되는 상기 조명조립체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지지대에 의해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하고정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하고정부 사이에는 상?하고정부의 승?하강 동작시 전체 조명등의 기울기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전체 조명하우징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각도조절지지부의 선단부가 인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조립체는 내측이 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경계벽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상?하고정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각도조절지지부가 관통 설치되어 상?하고정부의 상하 이동시 상기 각도조절지지부가 지렛대원리로 전체 조명등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KR1020110013934A 2011-02-17 2011-02-17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KR10120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934A KR101206531B1 (ko) 2011-02-17 2011-02-17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934A KR101206531B1 (ko) 2011-02-17 2011-02-17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584A true KR20120094584A (ko) 2012-08-27
KR101206531B1 KR101206531B1 (ko) 2012-12-04

Family

ID=4688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934A KR101206531B1 (ko) 2011-02-17 2011-02-17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920A (ko)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덴티스 전기장 제어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조명장치
CN106813152A (zh) * 2015-12-02 2017-06-09 安钛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手术灯聚焦光度补强装置
KR20220030033A (ko) * 2020-09-02 2022-03-10 여정희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08B1 (ko) 2013-11-29 2016-01-21 주식회사 덴티스 의료용 led 조명등 광원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led 조명등
KR101675403B1 (ko) * 2014-09-03 2016-11-1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조명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920A (ko)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덴티스 전기장 제어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조명장치
CN106813152A (zh) * 2015-12-02 2017-06-09 安钛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手术灯聚焦光度补强装置
KR20220030033A (ko) * 2020-09-02 2022-03-10 여정희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531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953B2 (en) Surgical lamp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K2673557T3 (en) Operation lamp and method for illumination of an operation site
KR101206531B1 (ko)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JP5055276B2 (ja) 病院手術室照明器具および手術室ライトの使用方法
JP4758660B2 (ja) 手術用照明器具
US9860991B2 (en) Lighting apparatus
US10393356B2 (en) Surgical lamp with brightness regulation
JP5911862B2 (ja) ランプ
US7401944B2 (en) Operating room light fixture having two light sources and a control unit
FI126595B (fi) Leikkaussalin valaisinjärjestely
CN101015463A (zh) 对检查对象的至少一个部分进行图像拍摄的x射线装置
CN205014176U (zh) 一种手术灯
JP2006049283A (ja) 発光体
US10893841B2 (en) Radiography apparatus
JP2006045817A (ja) 照明手段付き手摺及び手摺ブラケット
TWI542821B (zh) Surgical lamp lighting control device
JP5843360B2 (ja) 歯科用照明器具
US20170016596A1 (en) Multi-synchronizing focusing apparatus for reflector shadowless lamp
JP2014053110A (ja) 照明装置
CN216136579U (zh) 外科手术康复治疗器
WO2021019957A1 (ja) 天井設置型照明装置
KR101940290B1 (ko) 레이저 포인트를 포함하는 무영등
RU197449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ветильник
KR102283436B1 (ko) 이중리플렉터가 구비된 수술등
CN109140293B (zh) 一种内腔辅助探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