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033A -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 Google Patents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033A
KR20220030033A KR1020200111727A KR20200111727A KR20220030033A KR 20220030033 A KR20220030033 A KR 20220030033A KR 1020200111727 A KR1020200111727 A KR 1020200111727A KR 20200111727 A KR20200111727 A KR 20200111727A KR 20220030033 A KR20220030033 A KR 20220030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row
le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503B1 (ko
Inventor
여정희
이명보
Original Assignee
여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정희 filed Critical 여정희
Priority to KR102020011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5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90/35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2090/309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using white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 F21W2131/202Lighting for medical use for dentistry

Abstra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각각 상기 렌즈부를 구속하는 렌즈패널부 및 상기 렌즈패널부와 결합하되 상기 렌즈패널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에 1:1로 대응하는 다수의 엘이디(LED)부가 실장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을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조명유닛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적은 수의 엘이디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고휘도의 광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열을 낮춰 수술 시 광원으로 비추는 부분이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Light unit and non-shadowing surgical lamp}
본 발명은 수술용 무영등에 관한 것이다.
무영등은 수술시 광원을 집중시켜 시술 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전등 장치 중 하나로, 시술자의 시야 확보를 도와 치료의 정확성과 예후를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장비이다. 과거에는 주로 외과적 수술을 요하는 곳에서 사용되었으나 임플란트가 대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의원급 개인치과에서도 많이 구비하고 있다.
기존 무영등은 다수의 할로겐 전구로 수술 부위에 조명을 비춰, 그림자가 생기는 부위 없이 골고루 광원이 도달하도록 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최근에는, LED를 사용하여 할로겐 전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보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무영등이 사용되고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를 이용한 PN 접합이라고 불리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발광은 PN 접합에서 전자가 가지는 에너지가 직접 빛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열이나 운동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극으로부터 반도체에 주입된 전자와 양공은 다른 에너지띠 (전도띠나 원자가띠)를 흘러 PN 접합부 부근에서 띠틈을 넘어 재결합한다. 재결합할 때 거의 띠틈에 상당한 에너지가 광자, 즉 빛으로 방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2886호는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 봉형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노출되게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되 발광다이오드의 광출사축이 외주면과 수직한 방사 방향이 되게 어레이 된 광원 모듈과, 중앙의 결합구를 통해 광원 모듈이 결합되며 발광다이오드의 광출사축을 따라 입사된 광을 봉형 심체의 연장방향인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분할된 다수의 띠 형태의 섹터 반사면이 계단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리플렉터 및 광원모듈을 리플렉터에 대해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무영등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함과 아울러 상호 다른 색상의 발광다이오드 칩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연색성, 조도 및 색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8156호는 치과 진료용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 치과 진료 및 치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구강 내의 치료 부위에 대하여 조명을 하는 치과용 진료등으로써, 내측으로 구성 요소 배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으로 배치되고 반사면이 타원면인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제1초점 상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 상기 반사경의 제2초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중앙으로 통과하는 조리개 및 상기 조리개를 통과한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용 무영등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2886호(20080410) 한국등록특허 제10-1608156호(2016032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은 수의 엘이디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고휘도의 광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열을 낮춰 수술 시 광원으로 비추는 부분이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각각 상기 렌즈부를 구속하는 렌즈패널부 및 상기 렌즈패널부와 결합하되 상기 렌즈패널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에 1:1로 대응하는 다수의 엘이디(LED)부가 실장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패널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렌즈와,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정 오각형으로 배치되는 제1열 렌즈와,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열 렌즈의 둘레에 정 오각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열 렌즈와는 역으로 배치되는 제2열 렌즈 및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열 렌즈의 둘레에 상기 제2열 렌즈의 배열보다 큰 정 오각형으로 배치되는 제3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엘이디부는,
상기 중앙렌즈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앙엘이디와, 상기 제1열 렌즈에 배치되는 제1열 엘이디와, 상기 제2열 렌즈에 배치되는 제2열 엘이디 및 상기 제3열 렌즈에 배치되는 제3열 엘이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2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2열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제2동심원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3열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제3동심원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제2동심원으로부터 직각인 제1거리가 1mm ~ 1.8mm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제3동심원으로부터 직각인 제2거리가 1.2mm ~ 1.9mm 떨어진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렌즈패널부는,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상기 렌즈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렌즈패널부는,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상기 렌즈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렌즈부는,
상기 엘이디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이 통과하는 렌즈몸체 및 상기 렌즈몸체의 둘레에 상기 렌즈몸체의 초점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는 안착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상기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을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조명유닛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열 엘이디 및 제3열 엘이디를 제2열 렌즈 및 제3열 렌즈의 동심원으로부터 바깥쪽에 배치함으로써 렌즈 및 엘이디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지 않고도 광원의 초점을 중앙으로 모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고휘도의 광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렌즈부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1개의 렌즈에 1개의 엘이디를 배치함으로써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렌즈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렌즈의 초점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둘레에 안착편을 마련함으로써 렌즈의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광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욱 고휘도의 광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무영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무영등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무영등에서 조명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무영등에서 조명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무영등에서 엘이디부와 렌즈부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무영등(100)은, 본체(1), 조명유닛(2) 및 광원조절부(3)를 포함한다.
본체(1)는, 조명유닛(2) 및 광원조절부(3)를 수용하는 것으로, 몸체(11), 커버(미도시) 및 조명결합수단(12)을 포함한다.
몸체(11)는, 대략 원판형으로, 저면에 조명유닛(2)이 삽입되는 5개의 관통공(111)이 등각 및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둘레는 상향절곡되며, 관통공(111)의 둘레 상면에는 조명유닛(2)이 회전 결합하도록 원통형의 지지편(112)이 돌출 형성된다.
커버는, 몸체(11)의 상단을 개폐하는 것으로, 몸체(11)의 둘레에 대응하고, 몸체(11)와 결합한다.
조명결합수단(12)은, 지지편(112)에 후술할 조명유닛(2)이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렌즈패널부(22)의 회전브래킷(222)에 각각 볼트를 끼우고 지지편(112)에 관통시킨 후 관통된 볼트에 너트를 결합한다. 따라서, 조명결합수단(12)을 중심으로 조명유닛(2)이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조명유닛(2)은, 다수의 엘이디부(232) 광원을 모아서 고휘도의 광원을 형성하는 것으로, 렌즈부(21), 렌즈패널부(22), 조명부(23) 및 냉각패널(24)을 포함한다.
렌즈부(21)는, 엘이디부(232)의 광원을 모아서 고휘도의 광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가 마련되고, 렌즈몸체(211) 및 안착편(212)을 포함한다.
렌즈몸체(211)는, 엘이디부(232)의 광원을 모으는 것으로, 렌즈패널부(22)의 구멍에 대응하고, 볼록렌즈로 형성된다.
안착편(212)은, 렌즈몸체(211)를 렌즈패널부(22)의 안착부(225)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략 단면이 사각인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렌즈몸체(211)의 둘레에 배치되되 렌즈몸체(2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렌즈몸체(211)를 통과하는 광원의 손실을 줄이고 렌즈몸체(211)가 삐뚤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원의 정확한 초점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21)는 렌즈패널부(22)의 렌즈구멍(221a)의 배열에 따라 나눠지되, 렌즈패널부(22)의 중앙구멍(H)에 배치되는 중앙렌즈(L), 제1구멍(H1)에 배치되는 제1열 렌즈(L1), 제2구멍(H2)에 배치되는 제2열 렌즈(L2) 및 제3구멍(H3)에 배치되는 제3열 렌즈(L3)로 나눠진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렌즈패널부(22)는, 렌즈부(21)가 수용되는 것으로, 구속패널(221), 회전브래킷(222), 결합부(223), 구속부(224) 및 안착부(225)를 포함한다.
구속패널(221)은,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렌즈구멍(2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렌즈구멍(221a)은 배열에 따라 나눠지되, 구속패널(221)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구멍(H)과, 중앙구멍(H)을 중심으로 주변에 5개의 제1구멍(H1)이 배치되고, 제1구멍(H1)의 외 주변에 5개의 제2구멍(H2) 및 5개의 제3구멍(H3)이 배치된다. 이때, 제1구멍(H1) 및 제3구멍(H3)은 중앙구멍(H)을 중심으로 정오각형으로 배치되고, 제2구멍(H2)은 정오각형으로 배치되되 역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2구멍(H2)은 제3구멍(H3)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중앙렌즈(L)를 중심으로 제1열 렌즈(L1)의 중심을 지나는 제1동심원(C1)이 제일 작고 제3열 렌즈(L3)의 중심을 지나는 제3동심원(C3)이 제일 크며, 제2열 렌즈(L2)의 중심을 지나는 제2동심원(C2)이 제1동심원(C1)과 제3동심원(C3)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회전브래킷(222)은, 렌즈패널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두 개가 마련되되 구속패널(221)의 상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조명결합수단(12)에 대응하는 축공(222a)이 관통형성 되며, 조명결합수단(12)에 의해서 지지편(112)에 구속된다. 즉, 볼트가 회전브래킷(222)의 축공(222a)을 및 지지편(112)을 관통하고, 지지편(112)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를 결합함으로써 구속패널(221)이 지지편(112)에 구속된다. 이에 따라, 조명결합수단(12)을 중심으로 구속패널(221)은 회전할 수 있다.
결합부(223)는, 렌즈패널부(22)와 조명부(23)를 결합시키면서 렌즈부(21)와 조명부(23)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5개가 마련되되 구속패널(221)의 둘레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나사를 통해 후술할 냉각부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렌즈부(21)와 조명부(23)의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조명부(23)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렌즈패널부(22)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광원이 비추는 부분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부(224)는, 렌즈부(21)를 안착부(225)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대략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고, 3개가 마련되며, 안착부(225)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225)에 렌즈부(21)가 끼워지면 렌즈부(21)가 구속부(224)에 걸려서 안착부(225)로부터 렌즈부(2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착부(225)의 상부에서 렌즈부(21)를 안착부(225)로 삽입하면 구속부(224)가 벌어지면서 렌즈부(21)가 안착부(225)에 삽입되고, 렌즈부(21)가 안착부(225)에 삽입되면 구속부(224)가 복원되어 렌즈부(2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렌즈부(21) 손상 시 렌즈부(21)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안착부(225)는, 렌즈부(21)를 안착시키는 것으로, 장착부(225a) 및 유동방지편(225b)을 포함한다.
장착부(225a)는, 렌즈부(21)를 안착시키는 것으로,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되 렌즈구멍(221a)에 대응하고, 렌즈구멍(221a)의 상부에 배치되되 구속패널(221)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이때, 장착부(225a)는 렌즈몸체(211)에 대응하도록 상단 내경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렌즈부(21)가 모서리에 긁혀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방지편(225b)은, 렌즈부(21)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장착부(225a)의 상단 둘레가 상향 돌출되되 내경은 렌즈부(21)의 안착편(212)의 외경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렌즈부(21)가 안착부(225)에 안착되면, 렌즈부(21)의 안착편(212)이 유동방지편(225b)에 삽입되되 안착편(212)의 저면은 장착부(225a)의 상면에 밀착되고, 유동방지편(225b)이 안착편(212)의 측 방향으로 구속함으로써 렌즈부(21)가 견고하게 안착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렌즈부(21)가 유동하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1)의 초점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원을 정확하게 모을 수 있어서 고휘도의 광원을 얻을 수 있다.
조명부(23)는, 빛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기판(231) 및 엘이디부(232)를 포함한다.
기판(231)은, 엘이디부(232)가 실장 되는 것으로,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회로패턴(미도시)이 형성되고, 크기는 구속패널(221)에 대응하되 둘레가 결합부(223)에 대응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조명부(23)는 중앙 근처에 기판(231)과 연결된 배선(미도시)이 배출되는 제1배선공(231a)이 관통 형성되고, 후술할 냉각패널(24)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엘이디부(232)는, 광원이 출력되는 수단으로, 다수의 엘이디가 기판(231)의 저면에 실장 되되 렌즈부(21)의 수에 대응한다. 또한, 엘이디부(232)는 배열 상태에 따라 구분하되, 중앙렌즈(L)에 대응하는 중앙엘이디(D), 제1열 렌즈(L1)에 대응하는 제1열 엘이디(D1), 제2열 렌즈(L2)에 대응하는 제2열 엘이디(D2) 및 제3열 렌즈(L3)에 대응하는 제3열 엘이디(D3)로 구분된다.
중앙엘이디(D)는, 중심이 중앙렌즈(L)의 중심과 일치한다.
제1열 엘이디(D1)는, 중심이 제1열 렌즈(L1)의 중심과 일치하거나 미세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즉, 제1열 엘이디(D1)의 광원을 중앙렌즈(L)의 중심 선상을 향해 모으기 위해서 제1열 엘이디(D1)의 중심을 제1동심원(C1)으로부터 미세하게 외측으로 벗어나 배치하되 중앙렌즈(L)의 중심에서 제1열 렌즈(L1)의 중심을 지나는 선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열 엘이디(D1)의 광원을 중앙렌즈(L)의 중심 선상을 향해 모을 수 있다.
제2열 엘이디(D2)는, 중심이 방사상으로 제2열 렌즈(L2)의 중심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제2열 엘이디(D2)의 광원을 중앙렌즈(L)의 중심 선상을 향해 모으기 위해서 제2열 엘이디(D2)의 중심을 제2동심원(C2)의 바깥쪽에 배치하되 중앙렌즈(L)의 중심에서 제2열 렌즈(L2)의 중심을 지나는 선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제2동심원(C2)의 원주로부터 1mm ~ 1.8mm 떨어진 제1거리(d1) 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2열 엘이디(D2)의 광원이 중앙렌즈(L)의 중심 선상을 향해 모이되 제1열 엘이디(D1)의 사이사이로 모여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열 엘이디(D1)는 정오각형으로 배열되고, 제2열 엘이디(D2)는 역 오각형으로 배열됨으로써 제2열 엘이디(D2)의 광원이 제1열 엘이디(D1)의 광원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중앙엘이디(D), 제1열 엘이디(D1) 및 제2열 엘이디(D2)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이 모이면서 집중된 고휘도의 광원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열 엘이디(D3)는, 중심이 방사상으로 제3열 렌즈(L3)의 중심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제3열 엘이디(D3)의 광원을 중앙렌즈(L)의 중심 선상을 향해 모으기 위해서 제3열 엘이디(D3)의 중심을 제3동심원(C3)의 바깥쪽에 배치하되 중앙렌즈(L)의 중심에서 제3열 렌즈(L3)의 중심을 지나는 선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제3동심원(C3)의 원주로부터 1.2mm ~ 1.9mm 떨어진 제2거리(d2) 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3열 엘이디(D3)의 광원이 중앙렌즈(L)의 중심 선상을 향해 모이되 제2열 엘이디(D2)의 사이사이로 모여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열 엘이디(D2)는 역오각형으로 배열되고, 제3열 엘이디(D3)는 정오각형으로 배열됨으로써 제3열 엘이디(D3)의 광원이 제2열 엘이디(D2)의 광원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중앙엘이디(D), 제1열 엘이디(D1), 제2열 엘이디(D2) 및 제3열 엘이디(D3)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이 모이면서 집중된 더 높은 고휘도의 광원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열 엘이디(D3)는 제2열 엘이디(D2)에 비해 중앙렌즈(L)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거리에 배치됨으로써 제3동심원(C3)의 원주로부터 더 먼 거리에 배치된다. 즉, 엘이디가 중앙렌즈(L)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해당하는 동심원의 원주로부터 더 먼 거리에 배치된다. 이는, 광원을 모으기 위해 광원의 초점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중앙렌즈(L)의 중심으로부터 엘이디가 멀어질수록 해당하는 동심원의 원주로부터 미세하게 조금씩 더 떨어트려 배치하는 것이다.
냉각패널(24)은, 조명부(23)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여 조명부(23)를 냉각하는 수단으로, 대략 원판모양의 금속패널의 둘레에 링크결합부(243)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 길죽한 다수의 냉각핀(241)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중앙 근처에 제1배선공(231a)에 대응하는 제2배선공(242)이 관통 형성되고, 저면이 기판(231)의 상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명부(23)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패널(24)을 통해 방열함으로써 조명부(23)를 냉각할 수 있고, 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술 시 광원이 비추는 부분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조절부(3)는, 조명부(23)의 조사각도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스크루부(31), 이동부(32) 및 링크부(33)를 포함한다.
스크루부(31)는, 이동부(32)를 스크루부(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몸체(11)의 중심에 끼워져 구속되되 회전 가능하고, 하단은 몸체(11)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이동부(32)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이동부(32)는, 링크부(33)를 작동시켜 조명부(23)의 조사각도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되 내면은 스크루부(31)의 나선에 대응하고, 스크루부(31)의 상단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몸체(11)의 하부로 돌출된 스크루부(31)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32)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링크부(33)는, 조명부(23)와 이동부(32)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대략 단차진 바(bar) 형태로, 이동부(32)를 중심으로 5개가 등 간격으로 배치되되 일단은 이동부(32)의 둘레에 회전가능 하도록 구속되고, 타단은 링크결합부(243)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32)가 상승하면 링크부(33)의 일단을 잡아당겨 링크부(33)의 일단이 상향 이동하고, 링크부(33)의 일단이 상향 이동함으로써 링크부(33)가 기울어지며 기울어진 링크부(33)가 조명결합수단(12)을 기준으로 조명유닛(2)을 회전시킨다. 즉, 이동부(32)가 상승하면 조명유닛(2)이 회전하여 광원이 모이고 이동부(32)가 하강하면 조명유닛(2)이 복원되면서 광원이 분산된다. 따라서, 수술 부위에 따라 더욱 높은 고휘도의 집중 광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동부(32)를 상승시켜 광원을 집중시키고, 고휘도의 넓은 광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동부(32)를 하강시켜 광원을 분산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술용 무영등
1; 본체 11; 몸체
111; 관통공 112; 지지편
12; 조명결합수단 2; 조명유닛
21; 렌즈부 211; 렌즈몸체
212; 안착편 L; 중앙렌즈
L1; 제1열 렌즈 L2; 제2열 렌즈
L3; 제3열 렌즈 22; 렌즈패널부
221; 구속패널 221a; 렌즈구멍
H; 중앙구멍 H1; 제1구멍
H2; 제2구멍 H3; 제3구멍
C1; 제1동심원 C2; 제2동심원
C3; 제3동심원 222; 회전브래킷
222a; 축공 223; 결합부
224; 구속부 225; 안착부
225a; 장착부 225b; 유동방지편
23; 조명부 231; 기판
231a; 제1배선공 232; 엘이디부
D; 중앙엘이디 D1; 제1열 엘이디
D2; 제2열 엘이디 D3; 제3열 엘이디
24; 냉각패널 241; 냉각핀
242; 제2배선공 243; 링크결합부
3; 광원조절부 31; 스크루부
32; 이동부 33; 링크부
d1; 제1거리 d2; 제2거리

Claims (8)

  1. 다수의 렌즈부;
    상기 렌즈부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각각 상기 렌즈부를 구속하는 렌즈패널부; 및
    상기 렌즈패널부와 결합하되 상기 렌즈패널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에 1:1로 대응하는 다수의 엘이디(LED)부가 실장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패널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렌즈;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정 오각형으로 배치되는 제1열 렌즈;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열 렌즈의 둘레에 정 오각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열 렌즈와는 역으로 배치되는 제2열 렌즈; 및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열 렌즈의 둘레에 상기 제2열 렌즈의 배열보다 큰 정 오각형으로 배치되는 제3열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부는,
    상기 중앙렌즈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앙엘이디;
    상기 제1열 렌즈에 배치되는 제1열 엘이디;
    상기 제2열 렌즈에 배치되는 제2열 엘이디; 및
    상기 제3열 렌즈에 배치되는 제3열 엘이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2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2열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제2동심원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중앙렌즈를 중심으로 상기 제3열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제3동심원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제2동심원으로부터 직각인 제1거리가 1mm ~ 1.8mm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열 엘이디는,
    중심이 상기 제3동심원으로부터 직각인 제2거리가 1.2mm ~ 1.9mm 떨어진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패널부는,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상기 렌즈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패널부는,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상기 렌즈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엘이디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이 통과하는 렌즈몸체; 및
    상기 렌즈몸체의 둘레에 상기 렌즈몸체의 초점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는 안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상기 조명유닛;
    상기 조명유닛을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조명유닛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KR1020200111727A 2020-09-02 2020-09-02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KR10241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727A KR102411503B1 (ko) 2020-09-02 2020-09-02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727A KR102411503B1 (ko) 2020-09-02 2020-09-02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033A true KR20220030033A (ko) 2022-03-10
KR102411503B1 KR102411503B1 (ko) 2022-06-20

Family

ID=8081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727A KR102411503B1 (ko) 2020-09-02 2020-09-02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5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6B1 (ko) 2006-06-19 2008-04-17 (주)에스디엠 무영등
JP2008253744A (ja) * 2007-04-04 2008-10-23 Mediland Enterprise Corp ガウス分布の光照射野を生成できる調整可能な光源を有する手術灯
JP2011124034A (ja) * 2009-12-09 2011-06-23 Minebea Co Ltd 照明装置
KR20120094584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CN202521283U (zh) * 2012-01-18 2012-11-07 深圳市超频三科技有限公司 Led灯具及其透镜组件
KR101608156B1 (ko) 2014-12-04 2016-04-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무영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6B1 (ko) 2006-06-19 2008-04-17 (주)에스디엠 무영등
JP2008253744A (ja) * 2007-04-04 2008-10-23 Mediland Enterprise Corp ガウス分布の光照射野を生成できる調整可能な光源を有する手術灯
JP2011124034A (ja) * 2009-12-09 2011-06-23 Minebea Co Ltd 照明装置
KR20120094584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CN202521283U (zh) * 2012-01-18 2012-11-07 深圳市超频三科技有限公司 Led灯具及其透镜组件
KR101608156B1 (ko) 2014-12-04 2016-04-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무영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503B1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5242B2 (en) Lighting system with light-emitting diodes and securing structure
US9039239B2 (en) Lighting system with lens-retaining structure
JP6857847B2 (ja) レンズ及び照明器具
CN101280907A (zh) Led照明组合件和利用所述组合件的灯
WO2012065285A1 (zh) 防眩光led射灯
US20110140589A1 (en) Led lamp configured to project a substantially homegenous light pattern
KR100949122B1 (ko) 엘이디 투광등
KR200453748Y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101080328B1 (ko) 광 효율이 향상된 조명용 led 램프
KR20170000230A (ko) 분산 방열 무영등
KR102411503B1 (ko)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무영등
KR101109473B1 (ko) 발광다이오드 무영등
CN101498410B (zh) Led手术无影灯
JP5454779B2 (ja) 照明器具
CN103807625A (zh) 一种整体反射led灯头装置及利用该装置的无影灯
KR101180132B1 (ko) 의료용 조명장치
KR20100116017A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0476036Y1 (ko) 조도를 향상시킨 엘이디 방사램프
KR101080331B1 (ko)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06058409A (ja) 顕微鏡用照明装置
CN218510795U (zh) 一种新型舞台灯光菲涅尔透镜
TWM392312U (en) Bulb structure
CN214252860U (zh) 一种照明装置及灯具和一种投影显示装置
CN217843530U (zh) 一种高亮度照明装置
CN205859734U (zh) 射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