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541A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3541A KR20120093541A KR1020110013167A KR20110013167A KR20120093541A KR 20120093541 A KR20120093541 A KR 20120093541A KR 1020110013167 A KR1020110013167 A KR 1020110013167A KR 20110013167 A KR20110013167 A KR 20110013167A KR 20120093541 A KR20120093541 A KR 201200935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in
- gly
- fusion protein
- eye
- superoxide dismut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2—Isomerases (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61K38/446—Superoxide dismutase (1.1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89—Oxidoreductases (1.) acting on superoxide as acceptor (1.15)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5/00—Oxidoreductases acting on superoxide as acceptor (1.15)
- C12Y115/01—Oxidoreductases acting on superoxide as acceptor (1.15)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15.1)
- C12Y115/01001—Superoxide dismutase (1.15.1.1)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건조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구 조직내 투과가 가능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구건조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구 조직내 투과가 가능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과 분야에서는 각막 이식 및 자가면역 질환 환자의 증가로 치료제로서 면역억제제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고, 이러한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약물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안질환에서 면역억제제는 점안 투여 제형으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현재 사용 중인 약물들의 각막 투과율은 낮아서 과량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증대되고 있다. 각막은 투과시키려는 약제가 친수성과 지방성의 양 성질을 가진 경우 잘 투과하게 되어 있다.
각막 이식은 각막 질병으로 인해 시력을 잃은 환자의 혼탁해진 각막을 기증받은 깨끗한 각막으로 교환하여 줌으로써 시력을 회복시켜 주는 수술법이다. 각막이식술은 각막 보존방법, 수술 기법과 기구의 발전, 거부반응 치료 등의 발달에 힘입어 성공률이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이식술이고, 안구는 심폐가 정지된 후에도 각막 이식을 할 수 있고, 다른 장기에 비해 높은 성공률로 뇌사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유일하게 활성화된 장기이식술이다. 우리나라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해마다 각막 이식은 증가되고 있고 2007년 각막 이식 건수는 405건이었고, 미국의 경우 1990년부터 2007년까지 40,000건이 훨씬 넘어 서고 있다.
이렇게 각막 이식이 증가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각막 이식 거부반응은 각막 이식 실패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각막 이식에서 거부 반응을 줄이기 위해서 스테로이드제를 주로 사용해 왔으나,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안압상승, 창상치유 지연, 백내장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고위험군일 경우 고용량을 사용해도 거부반응을 막지 못한다. 최근에는 스테로이드제보다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거부반응을 줄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데, 고위험 각막이식 군에서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e A)를 처리한 군이 스테로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군보다 거부 반응이 적었음이 보고되었다. 실험적 동물모델에서는 이종 각막이식 후 FK506(Tacrolimus)을 사용한 군에서 사용하지 않은 군보다 수술 후 염증세포의 침윤이 덜하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장기 이식환자에서 FK506(Tacrolimus)이나 사이클로스포린 A 사용시 면역 억제효과는 뛰어나지만, 신독성, 고혈압, 대사장애, 당뇨병 발생의 위험성 등 약제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어서 사용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은 신체의 방어 기작, 즉 면역시스템이 자신의 신체 조직에 대항하게 되어 손상을 입히기 시작할 때 일어나는 질환이며, 환자는 현재도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자가면역질환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해 신체의 사이토카인(신체의 방어 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 환경이 변화되면서 부적절한 면역반응이 유도되어 자가면역반응이 과도하거나 부적절하게 제어되면서 병이 생기는 것이라고 보지만, 정확한 발병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소, 면역학적 요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알려진 자가면역질환은 80여종에 이르고, 그중 미국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은 210만 명에 달하며, 섬유근통(fibromyalgia)은 370만 명, 건선(psoriasis)은 400-450만 명인데 이중 10-30%는 또한 관절염 환자이기도 하며 또한 400만 명의 백반증 환자가 있으며,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환자는 200-300만 명에 달하고 있다. 또한 이미 알려진 자가면역 안질환으로는 포도막염, 베체트병, 각결막염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안구건조증이 면역반응 이상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으로 여겨지면서 건조증 또한 자가면역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대부분의 자가면역 질환에서는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거나 최근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자가면역 안과질환 중 하나가 포도막염(uveitis)이다. 포도막은 홍체, 섬모체, 맥락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포도막에는 혈관이 풍부하고 결합조직이 많아서 염증이 생기기 쉽다. 이 포도막에 생긴 염증을 포도막염이라 하는데 현재까지 그 병의 원인이 불분명한 편인데, 그나마 원인으로 여겨지는 경우는 매독과 결핵 정도이다. 현재 포도막염의 원인으로 면역체계의 이상을 보고 있는데, 포도막에서의 염증이 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기도 하지만 면역학적 반응의 염증이 많아서 자가 면역질환으로 분류하게 된다. 포도막염의 치료는 국소 또는 전신성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치료해 왔다. 그러나 점안제와 같은 국소 치료나 전신성 스테로이드의 치료는 약물이 포도막 조직에 충분히 도달하지 않을 경우, 고용량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럴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또는 전신 스테로이드의 심각한 부작용을 견디지 못하는 환자들에게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데, 이 역시 골수 억제, 출혈방광염, 신장 손상 등의 부작용으로 결국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런 환자들은 실명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구 침투가 잘 되고 부작용이 적은 안질환용 점안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생성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너무 과도하게 증발하여 눈물막이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물감이나 따가움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안구건조증은 눈물분비가 저하되거나 눈알과 눈 부속기관의 질환, 즉 눈꺼풀의 이상이나 염증, 피부질환과 동반된 경우{스티븐슨-존슨증후군, 유사물집증(pemphigoid)}, 전신 질환과 동반된 경우(비타민 A 결핍증, 쇼그렌 증후군)에 나타난다(안과학 제7판, 일조각, 윤동호.이상욱.최억 저, 2005). 중앙대병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75%가 안구건조증을 앓고 있고, 3명 중 1명은 각막에 염증까지 생긴 중증 환자라고 발표하였다.
안구건조증에 대한 치료는 인공눈물 점안액을 보충해주거나 눈물길을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막아 주는 등의 보존적인 방법으로 일정량 이상의 눈물을 유지시켜주는데 초점을 두었지만 최근 들어 안구건조증이 염증성 질환으로 새로이 인식되면서 안구건조증에 대한 항염증 치료가 활발히 시도되었고, 심한 건성안 환자의 증상 호전에 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안구건조증에서 T-임파구가 증가되어 있고 사이토카인을 비롯한 여러 가지 염증매개물질이 높은 농도로 검출되는 등 안구표면의 염증변화 소견이 증명되면서, 안구표면의 염증억제가 안구건조증 치료의 관심사가 되었고, 그러한 약물 중 하나가 사이클로스포린 A 0.05% 점안액(레스타시스)이다. 그러나 안구건조증 환자들에게서 부작용이 발생되며,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은 눈의 작열감(의약품 등이 피부나 혀에 닿았을 때 그 자극으로 인해 탈 것 같은 감각)이고, 1-5%의 환자에게서는 결막충혈, 분비물, 유루증, 눈의 동통, 이물감, 소양감, 자통, 시력 장애(종종 시야혼탁) 등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염증 및 면역억제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안과 질환에서 점차 면역억제제의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심해서 사용에 제한이 있다. 면역억제제란 숙주가 항체를 만드는 능력(체액성 면역)이나 세포성 면역반응 능력을 저하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들을 말하며, 주로 자가면역질환, 태아적아구증과 같은 선택적인 면역억제 및 장기이식 후 거부반응 방지를 위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면역 억제제는 면역억제기능 외에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탈모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다. 세포독성이 적은 대용제제들이 세균과 진균의 2차 대사산물로부터 개발되어, 현재 장기 이식환자들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이클로스포린 A와 FK506(Tacrolimus)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나 부작용이 완전히 줄어들지는 않고 있다.
안과 질환 치료제는 기존 약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전신성에서 점안으로의 사용법 변화와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과 FK506은 전신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두 가지 약물 모두 신장과 신경계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어서 의학적으로 널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어서 기존 약품의 부작용을 줄이며 효과를 증진하는 방향인 점안 제형으로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각막 이식 후 거부반응 억제를 위하여 점안으로 FK506을 투여하였을 때 거부반응을 지연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논문이 게재된바 있으며, 안구건조증 환자에게서도 점안으로 FK506을 투여하였을 때 일반 건조증 약제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가톨릭대학교 안과학 교실에서도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한 점안액을 3개월간 안구건조증환자에게 투여시 눈물 분비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전신질환과 동반된 안구건조증에서 더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임상기간이 너무 짧아 한계가 존재한다. 펜실베니아 의과대 연구팀은 '미의학협회저널'을 통해 노년층에서 15~34%에서 발병하는 안구건조증 환자 중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중등도 이상의 안구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한 점안액 투여시 건조증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점안 제형이 전신 투여보다 더 효과적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물의 안구내 침투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고분자인 단백질 제제는 화학약물에 비해 더욱 침투가 용이하지 않다. 약물의 각막 내 투과는 각막의 상피와 실질과의 화학적 성분의 상위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많은 방해 요인이 존재한다. 각막의 상피는 실질부분에 비해 지질분자량이 많으면 비해리형 약물이 잘 투과하나, 실질층은 해리형만을 투과시킨다. 또한 내피는 리포이드(lipoid)를 함유하고 있어서 지용성 물질만 통과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각막은 지용성과 친수성의 양쪽성 성질을 갖춘 약물이 잘 투과하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막을 잘 투과하지 못하는 약물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원래 투여해야 할 양보다 과량을 사용하게 되어 그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특허 제472938호는 세포 침투 효율을 향상시킨 수송 도메인-목표 단백질-수송 도메인 융합 단백질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HIV-1 Tat 펩타이드, 올리고라이신, 올리고아르기닌과 같은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목표 단백질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공유결합되어 세포 침투성을 향상시킨 융합 단백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제490362호는 단백질 수송 도메인으로서 올리고라이신이 단백질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공유결합되어 세포 침투성을 향상시킨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을 비롯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논문을 통해 HIV-a Tat 펩타이드, 올리고라이신, 올리고아르기닌, 올리고(라이신, 아르기닌) 및 PEP-1 펩타이드 등이 단백질의 세포 침투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공개특허 제2002-10445호는 Tat-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개시하고 있으며, 사구체신염, 맥관염 등의 치료제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이 안구건조증 등의 안과 질환 치료제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안구건조증 치료 약물인 단백질제제와 안구 침투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하였고, 결국 점안용 단백질 약물의 안구건조증 치료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안용 안구건조증 단백질 치료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면역반응 억제 약물인 단백질제를 안구 침투 능력을 높이는 제형으로 개발하고자 연구하였고, 점안용 단백질 제제의 안과 질환 치료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자연상태의 단백질을 세포 내로 운반하는 단백질 수송 도메인, 바람직하게는 PEP-1 펩타이드, 이의 유도체, HIV-1 Tat 펩타이드, 이의 유도체, 올리고라이신, 올리고아르기닌, 올리고(라이신+아르기닌) 중 1종 이상을 외부 단백질인 사람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이하 "SOD"와 혼용함)의 N- 및/또는 C- 말단에 융합시켰고, 이 융합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과대발현시켰으며, 금속 킬레이팅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 쉽고 편리하게 정제하였다. 또한, 정제된 융합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안구건조증을 비롯한 안과 질환을 개선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이 안과 질환에 대한 단백질 치료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N-말단 및 C-말단 중 한 군데 이상에 PEP-1, Tat과 같은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공유결합되어 있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이하 "SOD 융합 단백질"과 혼용함)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며, 안구건조증등 안과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안과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며, 대표적으로 안구건조증 치료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과 질환"은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 안구건조 증후군, 외상, 안구 수술에 의한 안구 외상(안구 수술은 안구를 절개하는 모든 수술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백내장 수술, 녹내장 수술, 망막 수술, 라식 수술, 라섹 수술 등을 말한다), 감염성/비감염성 포도막염, 각막 이식수술 후 면역거부반응 또는 하드 콘택즈 렌즈 착용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 장해를 말한다. 상기 안과 질환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안구건조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구건조증”은 눈물 생성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의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눈물막이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물감이나 따가움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의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구건조증"이란 눈물 분비가 저하되거나 눈알과 눈 부속기관의 질환, 즉 눈꺼풀의 이상이나 염증, 피부질환과 동반된 경우로서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혹은 유사물집증 (pemphigoid), 또한 전신 질환과 동반된 경우인 비타민 A 결핍증 및 쇼그렌증후군을 의미하며, 노출된 눈꺼풀 틈새 내의 눈알 표면이 손상되고 눈에 불쾌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증상을 일으키며, 각막손상이 심해질 경우 안구표면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병변이 진행되면 충혈이 보일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처음에는 약한 시력장애가 있을 수 있고, 그 후에 각막궤양, 각막천공, 이차적인 세균감염도 올 수 있으며, 각막흉터와 혈관신생 등이 생기면 시력장애가 심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단백질의 유전자 재조합,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면역분석 (immunoassay) 방법 (예컨대, 방사능 면역분석 방법, 방사능 면역-침전 방법, 효소-결합 면역흡착 방법(ELISA), 도트 블롯 분석, 웨스턴 블롯, 억제 또는 경쟁 분석 및 샌스위치 분석) (참조: Enzyme Immunoassay, E. T. Maggio, ed.,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80; 및 Gaastra, W.,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1, Walker, J.M. ed., Humana Press, NJ, 1984), PCR 등을 이용한 분자검사법 등에 따라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이 나타내는 안과 질환에 대한 효능 검증은 많은 관련 논문과 공지된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들은 단기 안구건조증모델로서 건조송풍 유발 렛트 안구건조 모델을 이용하였다. 외과용 칼을 이용하여 각막 정중부에 0.4㎟의 외과적 상피 손상을 가한 다음, 습도 25~30%, 2.4m/sec의 건조송풍에 노출시켜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켰으며, 스커머(Schirmer) 방법으로 눈물 분비량을 측정하였으며, 형광염료를 이용하여 각막 손상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결막이 부착된 안구와 안검결막을 각각 적출하여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하였으며, PARP{poly(ADP-ribose)polymerase}를 이용하여 각막 상피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효력은 검증되어 있는 0.1%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참고: Johnson et al. 2006, 2008) 점안군과 비교하였다.
다른 안구건조증 모델로서 BTX-A(botulinum toxin-A) 유발 마우스 안구건조 모델을 이용하였다. 20 mU의 BTX-A를 눈물샘에 경결막(transconjunctival) 루트로 주사하여 눈물샘 안와엽(lacrimal gland orbital lobe)의 눈물 분비 부위(tear-secreting portion)에 BTX-A가 주입되게 되며,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켰다. 안구건조증 효능검사를 위해 형광염료를 이용한 각막손상율을 측정하고, 결막이 부착된 안구와 안검결막을 각각 적출하여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규한 안구건조증 치료물질로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렛트 단회 정맥투여독성 실험을 위해서 유효용량인 0.1% 용액 총 6번 점안에 해당하는 0.01mg/kg으로 계산한 후 500배에 해당하는 5mg/kg을 고용량군으로 설정하고, 2.5mg/kg을 저용량군으로 설정하여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안구건조 동물모델에서 눈물 분비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염증으로 인하여 얇아진 결막 상피 두께를 증가시켰고, 점액 생산세포 수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안구 손상시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며, 각막 손상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N-말단 및 C-말단 중 한 군데 이상에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공유결합된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a) 15?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5개 이상의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비친수성 도메인(hydrophobic domain), 라이신을 4개 이상 다수 포함하는 친수성 도메인(hydrophilic domain) 및 상기 두 도메인을 분리시켜 주는 스페이서(spacer)로 구성된 단백질 수송 도메인,
b) 6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며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 잔기를 3/4 이상 포함하는 단백질 수송 도메인,
c) 6 내지 12개의 라이신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 단백질 수송 도메인,
d) 6 내지 12개의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아르기닌 단백질 수송 도메인 및
e) 6 내지 12개의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아르기닌) 단백질 수송 도메인 및 a) 내지 e)의 유도체(derivatives) 들 중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단백질이 서열번호 4, 서열번호 6, 서열번호 8,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14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과 질환은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 안구건조 증후군, 외상 또는 하드 콘택즈 렌즈 착용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 장해임을 특징으로 한다.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점안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점안제 조성물은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고, 언급한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보조제(예: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또는 완충제)를 함유한다. 또한, 이들은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통상 점안제 조성물에는 히알루론산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나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점안액에서 보습작용과 윤활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들 성분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는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 pH 조절제 및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는 점안제의 등장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대표적으로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완충제는 점안제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점안제 제조에 사용되는 완충제는 아미노카프론산, 인산일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안정제는 점안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상 안정제로서 에데트산 나트륨 및/또는 과붕산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점안제 조성물의 pH를 조절하며, 예컨대 염산 및/또는 수산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용제로는 멸균 정제수 또는 주사용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는 액제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안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보존제, 방부제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조성물의 권장량 및 사용 횟수는 1회 1~3적, 1일 5~6회 점안하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투여시간, 투여횟수,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단백질 분자의 세포 내 전달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에 15?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5개 이상의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비친수성 도메인(hydrophobic domain), 라이신을 4개 이상 다수 포함하는 친수성 도메인(hydrophilic domain) 및 상기 두 도메인을 분리시켜 주는 스페이서(spacer)로 구성된 수송 도메인이 공유결합된, Pep-1을 비롯한 세포투과성 수송도메인 또는 HIV Tat 세포투과성 도메인이 목표 단백질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N-말단 및/또는 C-말단과 공유결합된 형태의 융합 단백질을 구성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기 수송도메인의 일례로는 2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서열번호 1과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PEP-1 펩타이드, 서열번호 2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HIV Tat 49~57 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서열번호 1의 PEP-1 펩타이드, 서열번호 2의 HIV Tat 49~57 잔기 펩타이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EP-1 또는 HIV Tat의 아미노산 서열 일부 치환이나 부가, 결여로 PEP-1 펩타이드 또는 HIV Tat 펩타이드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펩타이드를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므로, 15?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5개 이상의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비친수성 도메인(hydrophobic domain), 라이신을 4개 이상 다수 포함하는 친수성 도메인(hydrophilic domain) 및 상기 두 도메인을 분리시켜 주는 스페이서(spacer)로 구성된 단백질 수송 도메인과 이로부터 아미노산 일부 치환으로 동일?유사한 단백질 수송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 수송 도메인, 또는 6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며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 잔기를 3/4 이상 포함하는 수송도메인, 6 내지 12개의 라이신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 수송 도메인, 6 내지 12개의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아르기닌 수송 도메인 또는 6 내지 12개의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아르기닌) 수송 도메인도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백질 수송 도메인과 공유결합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안과 질환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이란 단백질 수송 도메인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를 포함하며, 단백질 수송 도메인과 화물 분자(cargo molecule, 즉 본 발명에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를 의미함)의 유전적 융합이나 화학 결합으로 형성된 공유결합 복합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SOD 융합 단백질"과 혼용하였고,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Tat-SOD"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 중 SOD의 N-말단에 Tat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결합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유전적 융합"이란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 서열의 유전적 발현을 통해서 형성된 선형,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을 의미한다.
또한, "표적 세포"란 수송 도메인에 의해 화물 분자가 전달되는 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표적 세포는 체내 세포, 다시 말하여 살아있는 동물 또는 인간의 장기 또는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 또는 살아있는 동물 또는 인간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표적 세포는 체외 세포, 즉 배양된 동물 세포, 인체 세포 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표적 세포는 안구 세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단백질 수송 도메인"은 화물 분자(목표 단백질)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이루어 별도의 수용체나 운반체,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펩타이드나 단백질을 세포 내로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면 PEP-1 펩타이드(서열번호 1)를 말한다.
본 명세서의 "목표 단백질"은 PEP-1 단백질 수송 도메인과 공유결합을 이루어 세포 내로 도입되어 활성을 나타내는 분자를 의미한다. "화물 분자"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세포 내로 "도입"시키는 것에 대하여 "형질도입", "운반", "침투", "수송", "전달", "투과", "통과"한다는 표현들과 혼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단백질 수송 도메인으로는 15?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5개 이상의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비친수성 도메인, 라이신을 다수 포함하는 친수성 도메인 및 상기 두 도메인을 분리시켜 주는 스페이서로 구성된 단백질 수송 도메인, 6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며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 잔기를 3/4 이상 포함하는 수송도메인, 6 내지 12개의 라이신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 수송 도메인, 6 내지 12개의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아르기닌 수송 도메인 또는 6 내지 12개의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아르기닌) 수송 도메인을 들 수 있다. 또한, 목표 단백질(화물 분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이다. 상기 단백질 수송 도메인 및 목표 단백질은 silent change에 따라 서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기능적으로 동등하게 작용하는 유사한 극성의 다른 아미노산(들)로 치환될 수 있다. 서열 내 아미노산 치환은 그 아미노산이 속하는 클래스의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소수성 아미노산 분류는 알라닌, 발린, 류이신, 이소류이신, 페닐알라닌, 발린, 트립토판, 프롤린 및 메티오닌을 포함한다. 극성 중성 아미노산은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을 포함한다. 양성 염기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라이신 및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음성전하를 띤 산성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융합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간의 일정 범위의 상동성 예컨대 85-100% 범위 내에서 동일?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절편 또는 이들의 유도체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도입성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이 서열번호 4, 서열번호 6, 서열번호 8,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백질 수송도메인(protein transducing domain; "PTD")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카복시 말단과 아미노 말단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공유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도입성(cell-transducing)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도입성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안구건조 동물모델에서 눈물 분비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염증으로 인하여 얇아진 결막 상피 두께를 증가시켰고, 점액 생산세포 수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안구 손상시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며, 각막 손상을 감소시켰고, 생체에 대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안과 질환에 대한 단백질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1X15mm의 코발트 클로라이드 페이퍼를 사용하여 스커머 시험을 수행하고 건조 송풍 전후 눈물 분비량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B는 건조 송풍 전을 나타내며, A는 건조 송풍 후를 나타낸 것이다. 2개의 대조군은 정상대조군(intact) 즉, 건조 송풍을 수행하지 않은 군과 안구건조를 유발하고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Dry Eye Control)이다. 약물대조군은 히알루론산(Hyaluronate)을 가한 대조군이며 시험군은 본 발명의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처리한 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 씩 투여하였다.
도 2는 PAS 염색을 이용하여 건조 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 약물이 결막 상피두께, 점액생산세포의 수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에서 A는 정상대조군, B는 건조 송풍 유발 음성대조군, C는 히알루론산을 투여한 약물대조군, D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씩 투여하였다. 도 2A 내 ThE는 상피 두께측정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PARP{Poly(ADP-ribose)polymerase}를 이용하여 건조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각막의 세포사멸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A는 정상 대조군, B는 건조 송풍 유발 음성대조군, C는 약물대조군, D는 본 발명의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씩 투여하였다. 도면 내 스케일 바(scale bar)는 80㎛이다.
도 4는 BTX-A 유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1% 형광물질(fluorescein)을 1㎕ 점안 후 형광 광원을 비추고 슬릿 램프(slit-lamp)로 촬영한 사진이다. "Control"은 정상 대조군, "Saline"은 식염수를 가한 대조군, "BTX"는 BTX-A를 가한 대조군, "SOD"는 융합 단백질이 아닌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고, "Tat-SOD"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씩 투여하였다.
도 2는 PAS 염색을 이용하여 건조 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 약물이 결막 상피두께, 점액생산세포의 수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에서 A는 정상대조군, B는 건조 송풍 유발 음성대조군, C는 히알루론산을 투여한 약물대조군, D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씩 투여하였다. 도 2A 내 ThE는 상피 두께측정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PARP{Poly(ADP-ribose)polymerase}를 이용하여 건조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각막의 세포사멸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A는 정상 대조군, B는 건조 송풍 유발 음성대조군, C는 약물대조군, D는 본 발명의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씩 투여하였다. 도면 내 스케일 바(scale bar)는 80㎛이다.
도 4는 BTX-A 유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1% 형광물질(fluorescein)을 1㎕ 점안 후 형광 광원을 비추고 슬릿 램프(slit-lamp)로 촬영한 사진이다. "Control"은 정상 대조군, "Saline"은 식염수를 가한 대조군, "BTX"는 BTX-A를 가한 대조군, "SOD"는 융합 단백질이 아닌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고, "Tat-SOD"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투여한 시험군이다. 각 약물은 5시간 동안 1시간에 한 번씩 안구당 5㎕씩 투여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기재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특히, 각 실험예의 결과로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조한 여러 가지 융합 단백질 중 Tat-SOD 융합 단백질을 시료로 한 데이터를 주로 기재하였으나, 그 외의 융합 단백질들 또한 Tat-SOD 융합 단백질을 시료로 한 결과와 유사한 정도(70~110%)의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밝힌다.
<재료>
제한 효소와 T4 DNA 리가아제(ligase)는 Promega(USA)에서 구입하였고, Pfu 폴리머라아제는 stratagene(USA)에서 구입하였다. Tat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Gibco BRL custom primer(USA)에서 합성하였다. IPTG는 Duchefa(Netherland)에서 구입하였다. pET-15b와 BL21(DE3) 플라스미드는 Novagen(USA)에서 구입하였고, Ni-니트릴로-트리아세틱 애시드 세파로즈 슈퍼플로우는 Qiagen(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인간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본 명세서에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SOD" 와 같은 의미로서 혼용함) cDNA는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으로 인간 태반 cDNA 라이브러리에서 분리하였다[Kang, J.H., Choi, B.J. and Kim, S.M.(1997) J. Biochem. Mol. Biol. 30, 60-65]. 이외 모든 시약은 특급 제품을 이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간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를 사용하여 융합단백질을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인간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를 이용한 융합단백질 등에만 미치는 것은 아니며, 효모 유래, 박테리아 유래 효소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실시예 1: PEP-1-SOD 융합 단백질의 발현벡터 제조 및 형질변환>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세포 내로 침투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세포 내로 목표 단백질을 전달할 수 있는 융합 단백질 발현벡터를 제조하였고, PEP-1 펩타이드가 단백질을 세포 내로 전달하는 능력을 용이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사람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를 선택하였다.
먼저, PEP-1-SOD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PEP-1 펩타이드(KETWWE TWWTEW SQP KKKRKV)(서열번호 1)가 포함된 pET-PEP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PEP-1 펩타이드에 해당하는 두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윗 사슬, 5'-TATGAAAGAAACCTGGTGGGAAACCTGGTGGACCGAATGGTCTCAGCCGAAAAAAAAACGTAAAGTGC-3'(서열번호 15); 아랫 사슬, 5'-TCGAGCACTTTACGTTTTTTTTTCGGCTGACACCATTCGGTCCACCAGGTTTCCCACCAGGTTTCTTTCC-3' (서열번호 16))를 NdeⅠ-XhoⅠ 제한효소로 자른 pET-15b에 연결(ligation)하여 삽입하였다. 이어, 인간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cDNA 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두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는 5'-CTCGAGGCGACGAAGGCCGTGTGCGTG-3'(서열번호 17)로 XhoⅠ 제한 부위를 지니고 있으며 역방향 프라이머는 5'-GGATCCTTATTGGGCGATCCCAATTAC-3'(서열번호 18)로 BamHⅠ 제한 부위를 갖고 있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은 온열 순환반응기(Perkin-Elmer, model 9600)에서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50㎕ 실리콘 튜브에 넣고 94℃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수행 후, 아가로즈 젤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여 반응물을 분리하고 이것을 TA 클로닝 벡터(Invitrogen, Sandiego, USA)에 연결(ligation)한 다음, 클로닝이 용이한 컴피턴트 세포(competent cell)에 형질변환시키고 형질변환된 박테리아로부터 플라스미드를 알칼리 용균법(alkaline lysis method)으로 분리하였다. 인간 SOD cDNA가 포함된 TA 벡터를 XhoⅠ과 BamHⅠ로 절단한 다음 PEP 발현 벡터에 삽입하였다. PEP-1-SOD로 형질변환된 E. coli BL21(DE3)를 선택한 다음, 콜로니를 100ml LB 배지에 접종하고 IPTG(0.5mM)를 배지 내에 첨가하여 재조합된 PEP-1-SOD 융합 단백질의 과다발현을 유도하였다. 과다발현된 PEP-1-SOD 융합 단백질은 SDS-PAGE와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을 변형하여 SOD-PEP-1 융합 단백질 및 PEP-1-SOD-PEP-1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EP-1-SOD 융합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인간 SOD cDNA가 PEP-1-SOD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E. coli BL21(DE3)세포를 암피실린이 포함된 LB 배지에 넣고 37℃에서 200rpm으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액 내의 박테리아 농도가 O.D600 = 0.5?1.0을 나타낼 때 IPTG를 배지 내에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0.5와 1mM 되게 한 다음 30℃에서 12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모은 뒤 5ml 결합완충액(5mM 이미다졸, 0.5M NaCl, 20mM Tris-HCl, pH 7.9)를 넣고 초음파 분쇄기로 분쇄(sonication)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즉시 Ni2+-니트릴로 트리아세틱 애시드 세파로즈 슈퍼 플로우(Ni2+-nitrilotriacetic acid sepharose super flow) 컬럼에 부하하고 10배 부피의 결합 완충액과 6배 부피의 세척 완충액(60mM 이미다졸, 0.5M NaCl, 20mM Tris-HCl, pH 7.9)으로 세척한 다음 용출 완충액(1M 이미다졸, 0.5M NaCl, 20mM Tris-HCl, pH 7.9)로 융합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이어, 융합 단백질이 포함된 분획들을 모아 PD-1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획 중에 포함된 염분을 제거하였다.
정제된 단백질 농도는 우혈청 알부민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SOD-PEP-1 융합 단백질 및 PEP-1-SOD-PEP-1 융합 단백질을 과대발현 및 정제하였다.
<실시예 3: Tat-SOD 융합 단백질 발현벡터의 제조 및 형질변환>
Tat-SOD 융합 단백질을 과다 발현시키기 위하여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HIV-1 Tat의 형질 도입부위(Tat49-57) 및 6개의 히스티딘에 대한 cDNA가 연속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pET-Tat-SOD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 먼저, HIV-1 Tat의 기본 도메인(basic domain, 즉 아미노산 49-57)이 포함된 pET-Tat 발현벡터를 만들었다. Tat 기본 도메인에 해당하는 두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상위 쇄(top strand), 5'-TAGGAAGAAGCGGAGACAGCGACGAAGAC-3'(서열번호 19); 하위 쇄(bottom strand), 5'-TCGAGTCTTCGTCGCTGTCTCCGCTTCTTCC-3'(서열번호 20))를 NdeI-XhoI 제한효소로 자른 pET15b에 결찰(ligation)하여 삽입하였다. 이어 인간 SOD의 cDNA의 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2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는 위 실시예 1의 서열번호 17로 Xho I 제한부위를 지니고 있으며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는 위 실시예 1의 서열번호 18로 BamH I제한부위를 갖고 있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은 thermal cycler(Perkin-Elmer, model 9600)에서 수행하였으며, 반응 혼합액을 50 ㎕ 실리콘 튜브(siliconized reaction tube)에 넣고 94℃에서 5 분간 가열하였다. PCR 반응은 94℃에서 40초간 30회의 연장(extension), 54℃에서 1분간 변성(denaturation), 70℃에서 3분간 어닐링(annealing), 그리고 72℃에서 10분, 20℃에서 5분간 최종 연장(final extension)을 유도하였다. PCR 수행후 아가로즈 젤 전기이동(agarose gel electrophoresis)으로 분리하여 반응물을 분리하고 이것을 TA 클로닝 벡터(Invitrogen, Sandiego, USA)에 결찰하였다. 이어 이 벡터를 형질변환용 세포(competent cell)에 형질변환(transformation)시키고 형질변환된 박테리아로부터 플라스미드를 알칼리 용균 방법(alkaline lysis method)으로 분리하였다[Sambrook, J., Fritsch, F.E. and Maniatis, T(1989)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인간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cDNA가 포함된 TA 벡터를Xho I과BamH I로 절단한 다음 pET-15b 및 pET-15b-Tat 발현 벡터에 삽입하였다. 벡터의 발현은 T7 프로모터와 lacO-오퍼레이터의 조절 하에 있다.
pET-Tat-SOD로 형질변환된 E. coli BL21(DE3)를 선택한 다음, 콜로니(colony)를 100ml LB 배지에 접종하고 IPTG (0.5 mM)를 배지 내에 첨가하여 과다 발현을 유도하였다. IPTG로 융합단백질의 과다 발현을 유도한 대장균 세포를 4℃에서 초음파처리(sonication)로 파쇄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의 단백질을 15%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이동방법으로 분리하였다. 과다 발현된 SOD와 Tat-SOD는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이동과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을 변형하여 SOD-Tat 융합 단백질 및 Tat-SOD-Tat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Tat-SOD 융합 단백질 과다 발현 및 정제>
형질전환된 E. coli BL21을 앰피실린이 포함된 LB 배지에 넣고 37℃에서 200rpm으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액 내의 박테리아 농도가 O.D 600 = 0.5?1.0를 나타낼 때 IPTG를 배지 내에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0.5mM가 되게 한 다음 3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모은 뒤 5ml 결합 완충용액(binding buffer; 5 mM 이미다졸, 0.5 M NaCl, 20 mM Tris-HCl, pH 7.9)을 넣고 초음파처리(sonication)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즉시 2.5 ml Ni 2+ -니트릴로트리아세틱 애시드 세파로즈 컬럼(nitrilotriacetic acid sepharose column)에 부하하고 10배 부피의 결합 완충용액과 6배 부피의 세척 완충액(washing buffer; 60mM 이미다졸, 0.5M NaCl, 20mM Tris-HCl, pH 7.9)으로 세척한 다음 용출 완충액(elution buffer; 1M 이미다졸, 0.5M NaCl, 20mM Tris-HCl, pH 7.9)로 융합단백질을 용출하였다. 이어 융합단백질이 포함된 분획들을 모아 세파덱스 G-15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획 중에 포함된 염분을 제거하였다. 융합단백질은 N-말단에 6개의 히스티딘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금속-킬레이트 친화 크로마토그래피(immobilized metal-chelate affinity chromatography) 단일 단계로 융합단백질을 거의 순수하게(순도 > 90%) 정제하였다. 분획의 단백질 농도는 우혈청 알부민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으로 측정하였다[Bradford, M.A. (1976) Anal. Biochem. 72, 248-254].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SOD-Tat 융합 단백질 및 Tat-SOD-Tat 융합 단백질을 과대발현 및 정제하였다.
<실시예 5: 시료 제조>
상기 실시예 2 및 4에서 정제된 각종 SOD 융합 단백질을 생리식염수에 5㎍/5㎕로 용해하여 이후 실험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건조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스커머(Schirmer) 방법을 통한 눈물 분비량의 변화
1-1. 건조송풍 안구건조증 유발 동물 모델
실험동물 렛트에 외과용 칼로 각막 정중부에 0.4㎟의 외과적 상피 손상을 가한 다음 습도 25~30%, 2.4m/sec의 건조송풍에 노출시켜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켰다.
1-2. 눈물 분비량의 변화
눈물 분비량 변화 검사는 스커머(Schirmer) 방법 (cobalt chloride paper; Toyo Roshi Kaisha, Japan)에 따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페놀 레드 쓰레드(phenol red thread)를 이용한 스커머 시험법(Schirmer test)은 눈물 분비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막 건조증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실험법으로 사용되고 있다(참조:Fujihara et al. 2001,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1;42:96-100, Nakamura et al., Cornea 2004;23:390-7). 본 실시예에서는 1X15㎜의 코발트 클로라이드 페이퍼(cobalt chloride paper)를 사용하여, 건조 송풍 전후의 눈물 분비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안구건조증 유발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눈물 분비량의 감소가 일어났으며, 대조 약물인 히알루론산(Hyaluronate; Samil Pharm. Co., Seoul, Korea)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가한 시험군에서 눈물 분비량의 감소가 억제되었다. 그 결과는 도 1 및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눈물 분비량(mm) | ||||
시험 전 | 시험 후 | 변화량 | ||
대조군 | 정상 | 8.86± 0.97 | 10.19± 0.70 | 1.33± 1.15 |
안구건조유발 | 9.02± 1.50 | 7.65± 0.72 | -1.36± 1.43 | |
약물대조군 | 히알루론산 (Hyaluronate) |
8.95± 0.84 | 9.43± 1.52 | 0.48± 1.16 |
실험군 | Tat-SOD | 9.05± 1.24 | 9.67± 1.30 | 0.62± 1.02 |
실험예 2: 건조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안구결막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건조 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을 이용하여 약물을 투여하고 결막이 부착된 안구를 적출하여 PAS(Periodic acid-Schiff) 염색을 통하여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수행하였다.
안구건조증은 각막 및 결막 손상이 초래되며, 이러한 변화는 조직병리학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참고; Nakamura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44:4682-8, Higuchi et al., Curr Eye Res 2007;32:83-8). 정상군에 비해 안구건조증 유발 대조군에서는 결막 상피의 국소적인 탈락과 점액 생산세포의 감소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손상이 나타났으며, 결막 상피두께, 점액 생산세포의 수 및 비율의 유의성 있는 감소와 결막 상피 손상부위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안구결막 손상은 안구건조증 유발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 결과는 표 2와 도 2에 정리되어 있다.
각막 상피 두께 (㎛) |
점액 생산세포 | |||
수(cells/mm epithelium) | 범위(%of mm epithelium) | |||
대조군 | 정상 | 113.21± 12.06 | 17.25± 3.15 | 40.03± 9.56 |
안구건조유발 | 38.13± 10.26 | 4.00± 1.93 | 10.02± 5.35 | |
약물대조군 | 히알루론산 (Hyaluronate) |
63.22± 10.53 | 8.63± 2.26 | 22.19± 7.02 |
시험군 | Tat-SOD | 88.17± 14.83 | 10.88± 2.36 | 25.37± 7.33 |
실험예 3: 건조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안구 각막의 세포사멸(apoptosis) 변화
건조 송풍 유발 안구건조 모델을 이용하여 약물을 투여하고 안구를 적출하여 PARP{poly(ADP-ribose)polymerase}를 이용하여 각막 상피 세포사멸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평가하였다.
PARP는 대표적인 세포사멸 마커로서(참고; Barrett et al., J Histochem Cytochem 2001;49:821-32) 각막 상피에서 PARP의 증가는 세포사멸에 의한 각막 상피의 손상 증가를 의미하고, 안구 건조증에 의한 안구손상 역시 세포사멸이 어느 정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고; Yeh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44:124-9).
안구건조증 유발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세포사멸 마커인 PARP 면역반응성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조 약물인 히알루론산(Hyaluronate)과 시험군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 투여군은 비슷하게 안구 건조증 유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세포사멸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는 도 3에 정리되어 있다.
실험예 4: BTX-A 유발 안구건조 모델에서 안구 각막 손상정도
4-1. BTX-A 안구건조증 유발 동물 모델
BTX-A(botulinum toxin-A) 유발 마우스 안구건조 모델은 20mU의 BTX-A를 눈물샘에 경결막(transconjunctival) 루트로 주사하여 눈물샘 안와엽(lacrimal gland orbital lobe)의 눈물 분비부분(tear-secreting portion)에 BTX-A가 주입되게 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켰다.
4-2. 각막 형광염료 투과율의 변화
BTX-A 유발 안구건조증 모델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의 안구건조증 효능검사를 위해 형광염료(fluorescein sodium salt, Sigma Co., USA)를 이용하여 각막 손상정도를 관찰하였다.
형광염료의 각막침투 정도는 각막의 투과성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투과도의 증가는 각막의 손상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참고; Yokoi & Kinoshita, Cornea 1995;14:485-9, Nakamura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44:4682-8, Nakamura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2379-87, Steinfeld et al., Br. J. Ophthalmol 2004;88:48-53), 각막에 형광염료가 침착되거나 투과되어 침습된 손상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참고; Koh et al., Am J Ophthalmol 2003;136:513-9).
안구건조증 유발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각막 투과율을 나타내는 안구 형광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시험군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단백질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군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단백질군에 비해 유의하게 형광 투과율이 감소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정리되어 있다.
실험예 5: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의 렛트 단회 정맥투여독성 실험
신규한 안구건조증 치료물질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의 렛트 단회 정맥투여독성 실험을 위해서 유효용량인 0.1% 용액 총 6번 점안량에 해당하는 0.01mg/kg으로 계산한 후 500배에 해당하는 5mg/kg을 고용량군으로 설정하고, 2.5mg/kg을 저용량군으로 설정하여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군은 각각 5마리씩 실험하였다.
주 독성 관찰은 사망률, 임상증상, 체중변화, 부검소견, 장기중량, 조직병리학적 변화 등이었으며, 장기관찰은 폐, 심장, 가슴샘, 신장, 부신, 비장, 정소/난소, 간, 췌장, 뇌, 부고환/자궁, 악하 임파절, 방광, 전립샘 및 투여부위인 미정맥등 17부위였다.
실험 결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은 저용량군 및 고용량군 모두에서 사망례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약물 투여에 따른 임상증상, 체중, 장기중량, 육안 및 조직학적 이상소견이 나타나지 않아 점안시 매우 안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형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SOD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점안액 조성물을 표 3과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성분 | 함량(mg) | |
주성분 | Tat-SOD | 5 |
pH조절제 | 염산 | 적량 |
수산화나트륨 | 적량 | |
등장화제 | 염화나트륨 | 700 |
염화칼륨 | 150 | |
완충제 | 아미노카프론산 | 200 |
안정제 | 에테트산나트륨 | 10 |
용제 | 멸균정제수 | 적량 |
총량 | 100ml |
제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SOD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점안액 조성물을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성분 | 함량(mg) | |
주성분 | Tat-SOD | 5 |
pH조절제 | 염산 | 적량 |
수산화나트륨 | 적량 | |
등장화제 | 염화나트륨 | 700 |
염화칼륨 | 150 | |
완충제 | 아미노카프론산 | 200 |
안정제 | 에테트산나트륨 | 10 |
보존제 | 염화벤잘코늄 | 30 |
용제 | 멸균정제수 | 적량 |
총량 | 100ml |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llym University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ye disease containing superoxide
dismutase fusion protein
<130> sychoi-SOD-eyedisease
<160> 2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tein transducing domain called PEP-1
<400> 1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20
<210> 2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400> 2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210> 3
<211> 5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encoding PEP-1-SOD fusion protein
<400> 3
taaaagaaac ctggtgggaa acctggtgga ccgaatggtc tcagccgaaa aaaaaacgta 60
aagtgctcga gatggcgacg aaggccgtgt gcgtgctgaa gggcgacggc ccagtgcagg 120
gcatcatcaa tttcgagcag aaggaaagta atggaccagt gaaggtgtgg ggaagcatta 180
aaggactgac tgaaggcctg catggattcc atgttcatga gtttggagat aatacagcag 240
gctgtaccag tgcaggtcct cactttaatc ctctatccag aaaacacggt gggccaaagg 300
atgaagagag gcatgttgga gacttgggca atgtgactgc tgacaaagat ggtgtggccg 360
atgtgtctat tgaagattct gtgatctcac tctcaggaga ccattgcatc attggccgca 420
cactggtggt ccatgaaaaa gcagatgact tgggcaaagg tggaaatgaa gaaagtacaa 480
agacaggaaa cgctggaagt cgtttggctt gtggtgtaat tgggatcgcc caataa 536
<210> 4
<211> 17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1-SOD fusion protein
<400> 4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Leu Glu Met Ala Thr Lys Ala Val Cys Val Leu
20 25 30
Lys Gly Asp Gly Pro Val Gln Gly Ile Ile Asn Phe Glu Gln Lys Glu
35 40 45
Ser Asn Gly Pro Val Lys Val Trp Gly Ser Ile Lys Gly Leu Thr Glu
50 55 60
Gly Leu His Gly Phe His Val His Glu Phe Gly Asp Asn Thr Ala Gly
65 70 75 80
Cys Thr Ser Ala Gly Pro His Phe Asn Pro Leu Ser Arg Lys His Gly
85 90 95
Gly Pro Lys Asp Glu Glu Arg His Val Gly Asp Leu Gly Asn Val Thr
100 105 110
Ala Asp Lys Asp Gly Val Ala Asp Val Ser Ile Glu Asp Ser Val Ile
115 120 125
Ser Leu Ser Gly Asp His Cys Ile Ile Gly Arg Thr Leu Val Val His
130 135 140
Glu Lys Ala Asp Asp Leu Gly Lys Gly Gly Asn Glu Glu Ser Thr Lys
145 150 155 160
Thr Gly Asn Ala Gly Ser Arg Leu Ala Cys Gly Val Ile Gly Ile Ala
165 170 175
Gln
<210> 5
<211> 5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encoding SOD-PEP-1 fusion protein
<400> 5
atggcgacga aggccgtgtg cgtgctgaag ggcgacggcc cagtgcaggg catcatcaat 60
ttcgagcaga aggaaagtaa tggaccagtg aaggtgtggg gaagcattaa aggactgact 120
gaaggcctgc atggattcca tgttcatgag tttggagata atacagcagg ctgtaccagt 180
gcaggtcctc actttaatcc tctatccaga aaacacggtg ggccaaagga tgaagagagg 240
catgttggag acttgggcaa tgtgactgct gacaaagatg gtgtggccga tgtgtctatt 300
gaagattctg tgatctcact ctcaggagac cattgcatca ttggccgcac actggtggtc 360
catgaaaaag cagatgactt gggcaaaggt ggaaatgaag aaagtacaaa gacaggaaac 420
gctggaagtc gtttggcttg tggtgtaatt gggatcgccc aaggatccta aaagaaacct 480
ggtgggaaac ctggtggacc gaatggtctc agccgaaaaa aaaacgtaaa gtgtag 536
<210> 6
<211> 17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OD-PEP-1 fusion protein
<400> 6
Met Ala Thr Lys Ala Val Cys Val Leu Lys Gly Asp Gly Pro Val Gln
1 5 10 15
Gly Ile Ile Asn Phe Glu Gln Lys Glu Ser Asn Gly Pro Val Lys Val
20 25 30
Trp Gly Ser Ile Lys Gly Leu Thr Glu Gly Leu His Gly Phe His Val
35 40 45
His Glu Phe Gly Asp Asn Thr Ala Gly Cys Thr Ser Ala Gly Pro His
50 55 60
Phe Asn Pro Leu Ser Arg Lys His Gly Gly Pro Lys Asp Glu Glu Arg
65 70 75 80
His Val Gly Asp Leu Gly Asn Val Thr Ala Asp Lys Asp Gly Val Ala
85 90 95
Asp Val Ser Ile Glu Asp Ser Val Ile Ser Leu Ser Gly Asp His Cys
100 105 110
Ile Ile Gly Arg Thr Leu Val Val His Glu Lys Ala Asp Asp Leu Gly
115 120 125
Lys Gly Gly Asn Glu Glu Ser Thr Lys Thr Gly Asn Ala Gly Ser Arg
130 135 140
Leu Ala Cys Gly Val Ile Gly Ile Ala Gln Lys Glu Thr Trp Trp Glu
145 150 155 160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Lys Lys Arg Lys Val
165 170 175
<210> 7
<211> 60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encoding PEP-1-SOD-PEP-1 fusion protein
<400> 7
taaaagaaac ctggtgggaa acctggtgga ccgaatggtc tcagccgaaa aaaaaacgta 60
aagtgctcga gatggcgacg aaggccgtgt gcgtgctgaa gggcgacggc ccagtgcagg 120
gcatcatcaa tttcgagcag aaggaaagta atggaccagt gaaggtgtgg ggaagcatta 180
aaggactgac tgaaggcctg catggattcc atgttcatga gtttggagat aatacagcag 240
gctgtaccag tgcaggtcct cactttaatc ctctatccag aaaacacggt gggccaaagg 300
atgaagagag gcatgttgga gacttgggca atgtgactgc tgacaaagat ggtgtggccg 360
atgtgtctat tgaagattct gtgatctcac tctcaggaga ccattgcatc attggccgca 420
cactggtggt ccatgaaaaa gcagatgact tgggcaaagg tggaaatgaa gaaagtacaa 480
agacaggaaa cgctggaagt cgtttggctt gtggtgtaat tgggatcgcc caaggatcct 540
aaaagaaacc tggtgggaaa cctggtggac cgaatggtct cagccgaaaa aaaaacgtaa 600
agtgtag 607
<210> 8
<211> 20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1-SOD-PEP-1 fusion protein
<400> 8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Leu Glu Met Ala Thr Lys Ala Val Cys Val Leu
20 25 30
Lys Gly Asp Gly Pro Val Gln Gly Ile Ile Asn Phe Glu Gln Lys Glu
35 40 45
Ser Asn Gly Pro Val Lys Val Trp Gly Ser Ile Lys Gly Leu Thr Glu
50 55 60
Gly Leu His Gly Phe His Val His Glu Phe Gly Asp Asn Thr Ala Gly
65 70 75 80
Cys Thr Ser Ala Gly Pro His Phe Asn Pro Leu Ser Arg Lys His Gly
85 90 95
Gly Pro Lys Asp Glu Glu Arg His Val Gly Asp Leu Gly Asn Val Thr
100 105 110
Ala Asp Lys Asp Gly Val Ala Asp Val Ser Ile Glu Asp Ser Val Ile
115 120 125
Ser Leu Ser Gly Asp His Cys Ile Ile Gly Arg Thr Leu Val Val His
130 135 140
Glu Lys Ala Asp Asp Leu Gly Lys Gly Gly Asn Glu Glu Ser Thr Lys
145 150 155 160
Thr Gly Asn Ala Gly Ser Arg Leu Ala Cys Gly Val Ile Gly Ile Ala
165 170 175
Gln Gly Ser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180 185 190
Gln Pro Lys Lys Lys Arg Lys Val
195 200
<210> 9
<211> 49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encoding Tat-SOD fusion protein
<400> 9
taggaagaag cggagacagc gacgaagact cgagatggcg acgaaggccg tgtgcgtgct 60
gaagggcgac ggcccagtgc agggcatcat caatttcgag cagaaggaaa gtaatggacc 120
agtgaaggtg tggggaagca ttaaaggact gactgaaggc ctgcatggat tccatgttca 180
tgagtttgga gataatacag caggctgtac cagtgcaggt cctcacttta atcctctatc 240
cagaaaacac ggtgggccaa aggatgaaga gaggcatgtt ggagacttgg gcaatgtgac 300
tgctgacaaa gatggtgtgg ccgatgtgtc tattgaagat tctgtgatct cactctcagg 360
agaccattgc atcattggcc gcacactggt ggtccatgaa aaagcagatg acttgggcaa 420
aggtggaaat gaagaaagta caaagacagg aaacgctgga agtcgtttgg cttgtggtgt 480
aattgggatc gcccaataa 499
<210> 10
<211> 16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t-SOD fusion protein
<400> 10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Leu Glu Met Ala Thr Lys Ala
1 5 10 15
Val Cys Val Leu Lys Gly Asp Gly Pro Val Gln Gly Ile Ile Asn Phe
20 25 30
Glu Gln Lys Glu Ser Asn Gly Pro Val Lys Val Trp Gly Ser Ile Lys
35 40 45
Gly Leu Thr Glu Gly Leu His Gly Phe His Val His Glu Phe Gly Asp
50 55 60
Asn Thr Ala Gly Cys Thr Ser Ala Gly Pro His Phe Asn Pro Leu Ser
65 70 75 80
Arg Lys His Gly Gly Pro Lys Asp Glu Glu Arg His Val Gly Asp Leu
85 90 95
Gly Asn Val Thr Ala Asp Lys Asp Gly Val Ala Asp Val Ser Ile Glu
100 105 110
Asp Ser Val Ile Ser Leu Ser Gly Asp His Cys Ile Ile Gly Arg Thr
115 120 125
Leu Val Val His Glu Lys Ala Asp Asp Leu Gly Lys Gly Gly Asn Glu
130 135 140
Glu Ser Thr Lys Thr Gly Asn Ala Gly Ser Arg Leu Ala Cys Gly Val
145 150 155 160
Ile Gly Ile Ala Gln
165
<210> 11
<211> 49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encoding SOD-Tat fusion protein
<400> 11
atggcgacga aggccgtgtg cgtgctgaag ggcgacggcc cagtgcaggg catcatcaat 60
ttcgagcaga aggaaagtaa tggaccagtg aaggtgtggg gaagcattaa aggactgact 120
gaaggcctgc atggattcca tgttcatgag tttggagata atacagcagg ctgtaccagt 180
gcaggtcctc actttaatcc tctatccaga aaacacggtg ggccaaagga tgaagagagg 240
catgttggag acttgggcaa tgtgactgct gacaaagatg gtgtggccga tgtgtctatt 300
gaagattctg tgatctcact ctcaggagac cattgcatca ttggccgcac actggtggtc 360
catgaaaaag cagatgactt gggcaaaggt ggaaatgaag aaagtacaaa gacaggaaac 420
gctggaagtc gtttggcttg tggtgtaatt gggatcgccc aaggatccta ggaagaagcg 480
gagacagcga cgaagatag 499
<210> 12
<211> 17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OD-Tat fusion protein
<400> 12
Met Ala Thr Lys Ala Val Cys Val Leu Lys Gly Asp Gly Pro Val Gln
1 5 10 15
Gly Ile Ile Asn Phe Glu Gln Lys Glu Ser Asn Gly Pro Val Lys Val
20 25 30
Trp Gly Ser Ile Lys Gly Leu Thr Glu Gly Leu His Gly Phe His Gly
35 40 45
Ser Ile Lys Phe Gly Asp Asn Thr Ala Gly Cys Thr Ser Ala Gly Pro
50 55 60
His Phe Asn Pro Leu Ser Arg Lys His His Gly Phe Pro Lys Asp His
65 70 75 80
Gly Ser Arg His Gly Ser Gly Thr Glu Gly Leu Asn Gly Ser Thr Gly
85 90 95
Leu Thr Lys Asp Gly Val Gly Leu Thr Val Ser Ile Glu Leu Thr Ser
100 105 110
Pro His Phe Ser Leu Ser Gly Thr Glu Ser Asn Gly Pro Val Lys Val
115 120 125
Trp Gly Ser Ile Lys Gly Leu Thr Glu Gly Leu His Gly Phe His Gly
130 135 140
Ser Ile Lys Phe Gly Asp Asn Thr Ala Gly Cys Thr Ser Ala Gly Pro
145 150 155 160
His Phe Asn Pro Leu Ser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65 170 175
<210> 13
<211> 5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encoding Tat-SOD-Tat fusion protein
<400> 13
taggaagaag cggagacagc gacgaagact cgagatggcg acgaaggccg tgtgcgtgct 60
gaagggcgac ggcccagtgc agggcatcat caatttcgag cagaaggaaa gtaatggacc 120
agtgaaggtg tggggaagca ttaaaggact gactgaaggc ctgcatggat tccatgttca 180
tgagtttgga gataatacag caggctgtac cagtgcaggt cctcacttta atcctctatc 240
cagaaaacac ggtgggccaa aggatgaaga gaggcatgtt ggagacttgg gcaatgtgac 300
tgctgacaaa gatggtgtgg ccgatgtgtc tattgaagat tctgtgatct cactctcagg 360
agaccattgc atcattggcc gcacactggt ggtccatgaa aaagcagatg acttgggcaa 420
aggtggaaat gaagaaagta caaagacagg aaacgctgga agtcgtttgg cttgtggtgt 480
aattgggatc gcccaaggat cctaggaaga agcggagaca gcgacgaaga tag 533
<210> 14
<211> 17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t-SOD-Tat fusion protein
<400> 14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Leu Glu Met Ala Thr Lys Ala
1 5 10 15
Val Cys Val Leu Lys Gly Asp Gly Pro Val Gln Gly Ile Ile Asn Phe
20 25 30
Glu Gln Lys Glu Ser Asn Gly Pro Val Lys Val Trp Gly Ser Ile Lys
35 40 45
Gly Leu Thr Glu Gly Leu His Gly Phe His Val His Glu Phe Gly Asp
50 55 60
Asn Thr Ala Gly Cys Thr Ser Ala Gly Pro His Phe Asn Pro Leu Ser
65 70 75 80
Arg Lys His Gly Gly Pro Lys Asp Glu Glu Arg His Val Gly Asp Leu
85 90 95
Gly Asn Val Thr Ala Asp Lys Asp Gly Val Ala Asp Val Ser Ile Glu
100 105 110
Asp Ser Val Ile Ser Leu Ser Gly Asp His Cys Ile Ile Gly Arg Thr
115 120 125
Leu Val Val His Glu Lys Ala Asp Asp Leu Gly Lys Gly Gly Asn Glu
130 135 140
Glu Ser Thr Lys Thr Gly Asn Ala Gly Ser Arg Leu Ala Cys Gly Val
145 150 155 160
Ile Gly Ile Ala Gln Gly Ser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65 170 175
<210> 15
<211> 6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ding sequence for PEP-1
<400> 15
tatgaaagaa acctggtggg aaacctggtg gaccgaatgg tctcagccga aaaaaaaacg 60
taaagtgc 68
<210> 1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coding sequence for PEP-1
<400> 16
tcgagcactt tacgtttttt tttcggctga caccattcgg tccaccaggt ttcccaccag 60
gtttctttcc 70
<210> 1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7
ctcgagatgg gagtgcaggt ggaaaccatc 30
<210> 1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8
ggatcctcat tccagtttta gaagctccac 30
<210> 1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op strand for Tat peptide
<400> 19
taggaagaag cggagacagc gacgaagac 29
<210> 20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ttom strand for Tat peptide
<400> 20
tcgagtcttc gtcgctgtct ccgcttcttc c 31
Claims (4)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N-말단 및 C-말단 중 한 군데 이상에 단백질 수송 도메인이 공유결합된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수송 도메인은
a) 15?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5개 이상의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비친수성 도메인(hydrophobic domain), 라이신을 4개 이상 다수 포함하는 친수성 도메인(hydrophilic domain) 및 상기 두 도메인을 분리시켜 주는 스페이서(spacer)로 구성된 단백질 수송 도메인,
b) 6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며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 잔기를 3/4 이상 포함하는 단백질 수송 도메인,
c) 6 내지 12개의 라이신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 단백질 수송 도메인,
d) 6 내지 12개의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아르기닌 단백질 수송 도메인 및
e) 6 내지 12개의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올리고(라이신,아르기닌) 단백질 수송 도메인 중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4, 서열번호 6, 서열번호 8,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14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은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 안구건조 증후군, 외상, 안구 수술에 의한 안구 외상, 포도막염(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각막 이식수술 후 면역거부반응 또는 하드 콘택즈 렌즈 착용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 장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3167A KR101214364B1 (ko) | 2011-02-15 | 2011-02-15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PCT/KR2011/002394 WO2012111878A1 (ko) | 2011-02-15 | 2011-04-06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3167A KR101214364B1 (ko) | 2011-02-15 | 2011-02-15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3541A true KR20120093541A (ko) | 2012-08-23 |
KR101214364B1 KR101214364B1 (ko) | 2012-12-21 |
Family
ID=4667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3167A KR101214364B1 (ko) | 2011-02-15 | 2011-02-15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4364B1 (ko) |
WO (1) | WO2012111878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8033B1 (ko) * | 2022-05-16 | 2023-04-05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당뇨망막병증 또는 포도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KR102531246B1 (ko) * | 2021-12-23 | 2023-05-11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건성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KR20230099603A (ko) * | 2021-12-27 | 2023-07-04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건성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WO2023224136A1 (ko) * | 2022-05-16 | 2023-11-23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당뇨망막병증 또는 포도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0445A (ko) * | 2000-07-26 | 2002-02-04 | 최수영 | 세포침투성 티에이티-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스융합단백질 및 그 용도 |
KR100951606B1 (ko) * | 2001-12-14 | 2010-04-09 |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 안과 질환 및 질병의 치료를 위한 과산화물 디스뮤타제모방체 |
KR100495140B1 (ko) * | 2003-02-20 | 2005-06-14 |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 세포투과성 수송도메인 융합단백질과 그 용도 |
AU2004293105B2 (en) * | 2003-11-20 | 2010-09-09 | Othera Holding, Inc. | Amelioration of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ophthalmic diseases |
KR100815278B1 (ko) * | 2006-07-25 | 2008-03-1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눈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2011
- 2011-02-15 KR KR1020110013167A patent/KR1012143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4-06 WO PCT/KR2011/002394 patent/WO201211187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1246B1 (ko) * | 2021-12-23 | 2023-05-11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건성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KR20230099603A (ko) * | 2021-12-27 | 2023-07-04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건성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KR20230148141A (ko) * | 2021-12-27 | 2023-10-24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건성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KR102518033B1 (ko) * | 2022-05-16 | 2023-04-05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당뇨망막병증 또는 포도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WO2023224136A1 (ko) * | 2022-05-16 | 2023-11-23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당뇨망막병증 또는 포도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11878A1 (ko) | 2012-08-23 |
KR101214364B1 (ko) | 2012-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03590B2 (ja) | 遺伝子構築物 | |
US11077163B2 (en) |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 |
KR101214362B1 (ko) | Fk506 결합 단백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 |
US20120315256A1 (en) | Use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 beta 1 (tgf-b1) inhibitor 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corneal fibrosis and/or haze | |
US20240123032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rneal haze and scarring | |
Vigneswara et al. | Eye drop delivery of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34 promotes retinal ganglion cell neuroprotection and axon regeneration | |
EP2274006A2 (en) | Angiostatic compositions comprising truncated tyrosyl-trna synthetase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US10059742B2 (en) | Peptide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for preventing retinal disorders | |
KR101214364B1 (ko)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안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
CN109310731B (zh) | 软骨细胞的细胞外基质来源的肽 | |
KR101906494B1 (ko) | 콜라겐 타입 ι 및 색소 상피성 인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생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
US10532082B2 (en) | SOCS1-derived peptide for use i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 |
JP2023536229A (ja) | Ngfバリアント、産生、組成物、及び治療的使用 | |
JP5851692B2 (ja) | 網膜神経節ニューロン変性を予防又は治療するためのビコイドファミリーのホメオタンパク質の使用 | |
KR102646717B1 (ko) | 세포 침투성 펩타이드와 fkbp12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 |
KR102593195B1 (ko) |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건성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
JP7495230B2 (ja) | 処置方法および新規構築物 | |
WO2008119850A1 (es) | Formulación tópica para el tratamiento de la hipertensión ocular y el glaucoma | |
KR100859822B1 (ko) | 안지오포이에틴 분비 유발 폴리펩타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