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847A - 웨이퍼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웨이퍼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847A
KR20120092847A KR1020110012726A KR20110012726A KR20120092847A KR 20120092847 A KR20120092847 A KR 20120092847A KR 1020110012726 A KR1020110012726 A KR 1020110012726A KR 20110012726 A KR20110012726 A KR 20110012726A KR 20120092847 A KR20120092847 A KR 20120092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oisf
heat treatment
minutes
oxyge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이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to KR102011001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2847A/ko
Publication of KR2012009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01L21/0223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 H01L21/0223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group IV semiconductor
    • H01L21/0223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group IV semiconductor silicon in uncombined form, i.e. pure silic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는 웨이퍼에 수소와 산소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며, 기설정된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A) 단계; 및 상기 웨이퍼에, 상기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산소와 수소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여 열처리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이퍼의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 wafer}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의 기판으로 사용되는 웨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퍼의 열처리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단결정은 결함 특성에 따라 v-rich, OiSF, v-pure, I-pure, I-rich 영역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은 결정 성장시 점 결함 및 냉각 이력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V-rich 영역은 진공(vacancy)의 집합체인 보이드(void) 결함이 나타나며, OISF(Oxidation Induced Stacking Fault) 영역은 산화분위기 열처리 후에 stacking fault가 형성되고, v-pure, I-pure 영역은 진공, interstitial 실리콘(si)에 의하나 결정 결함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다. 그리고, I-rich 영역은 Interstitial 실리콘에 의한 점결함이며 실리콘 클러스터링(clustering) 에 의해 큰 전위(dislocation) 피트(pit)가 나타나는 영역이다.
이 중, OiSF는 실리콘 웨이퍼의 단결정 성장 중에 열 이력을 거치면서 발생하거나, 성장 중의 속도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기타 금속 불순물 오염, 유기물 오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OiSF 가 웨이퍼 표면에 존재하게 되면, 반도체 디바이스의 열화를 가져 온다.
통상적으로 웨이퍼를 950 ℃ ~1100 ℃ 의 온도로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해주면, 산화막 형성과정 중에 OiSF 핵이 존재할 경우에 표면에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디바이스 공정 중에 산화막 형성을 위한 열처리를 실시하면, OiSF가 발생될 가능성이 많다.
결정 기인성 OiSF는 웨이퍼 표면에 원형의 띠 형태인 센터 디스크(center disk)형, 도넛(Donut) 형, 에지 링(Edge ring) 형태로 관찰이 된다.
일반적으로 수소와 산소 혼합 가스를 유입시켜 산화성 분위기에서 1000~ 1150 ℃에서 1 ~ 4 시간 사이의 열처리를 하고, 선택 에칭 후에 웨이퍼 표면에 나타난 Stacking fault를 광학 현미경으로 평가하여 웨이퍼 표면의 OiSF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웨이퍼의 OiSF 영역을 검출할 때, 웨이퍼의 초기 산소 농도에 따라 OiSF의 검출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웨이퍼의 초기 산소 농도에 따라 웨이퍼 표면에 OiSF가 충분히 형성될 수 있는 핵 생성 열처리 과정과 핵 성장 열처리 과정이 없을 수 있으므로, OiSF 영역이 축소되거나 검출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실리콘 웨이퍼의 OiSF 영역을 검출할 때, 웨이퍼의 초기 산소 농도를 달리하여도 웨이퍼 표면에 OiSF가 충분히 형성되도록 핵이 생성되고 성장되어, OiSF 영역을 충분히 검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는 웨이퍼에 수소와 산소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며, 기설정된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A) 단계; 및 상기 웨이퍼에, 상기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산소와 수소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여 열처리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온도는 900~10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의 열처리 온도는 115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열처리 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10.5 ppm 이하일때, 상기 (A) 단계는 180분 이상 실행되고 상기 (B)단계는 60~100분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10.5~12.0 ppm 일때, 상기 (A) 단계는 120분 이상 실행되고 상기 (B)단계는 60~100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12.0 ppm 이하일때, 상기 (A) 단계는 60분 이하 실행되고 상기 (B)단계는 60~100분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처리 방법은 초기 산소 농도에 맞추어 최적화된 OiSF의 정확한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1단계의 핵 생성과 2단계의 핵 성장을 통하여, OiSF 영역과 GOI 결함(fail) 영역과의 매칭을 통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OiSF 영역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잉곳의 성장 공정에서 열 이력에 따른 결함 발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웨이퍼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6b는 웨이퍼의 GOI 결함 맵(map)과 열처리 시간에 따른 OiSF 결과의 일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잉곳의 성장 공정에서 열 이력에 따른 결함 발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잉곳(Ingot)의 성장 공정에서 열 이력에 따라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850 내지 1080 ℃의 온도에서 OiSF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해당 온도에서 핵 생성이 우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웨이퍼 표면 특히 OiSF 영역의 결정 결함이 크기가 작아 관찰할 수 어려우므로, 열처리 후 검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잉곳 성장 공정에서 OiSF 결함을 검출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실리콘 표면에 핵 생성과 핵 성장의 2단계를 통하여 OiSF를 검출할 수 있다.
먼저, 웨이퍼 표면을 950~1000 ℃ 의 사이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함을 검출한다(S100, A단계). 이어서, OiSF 핵 성장 온도인 1150 ℃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한다(S110, B단계). 상술한 열처리는 수소와 산소 혼합 가스를 유입시켜 산화성 분위기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질산을 이용한 스트립 공정 후(S120), 웨이퍼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S130).
그리고, 웨이퍼 표면의 적층 결함(Stacking fault)을 집광등으로 관찰하거나(S140),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S150). 즉, 상술한 열처리 공정 후에 웨이퍼 표면의 결함은 집광등 하에서 원형의 띠를 가지는 패턴 형태로 관찰될 수 있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크기가 작아 직접적으로 분석이 어려운 웨이퍼 표면의 OiSF 영역의 결정 결함을, 열처리와 선택적 에칭을 통해서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산소농도 수준에 따라 OiSF 길이가 달라질 수 있는데, 도 3a 이하의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즉, 초기 산소 농도 조건에 따라 OiSF 핵 생성 열처리 시간을 다르게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평가를 위한 최적 조건을 맞춰준다.
먼저, 초기 산소 농도가 10.5 ppma (5.247E+17 atoms/cm3) 이하의 웨이퍼는 초기 핵 생성 시간, 즉 A 단계를 180 분 이상으로 하여 핵 생성이 충분히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B 단계 즉 1150 ℃ 이상의 온도에서 60~100분 동안 열처리한다.
도 3a와 3b에는 초기 산소 농도가 10.32 ppma인 웨이퍼의 GOI 결함 맵과 OiSF 밀도가 도시되어 있다. GOI 평가한 결과 에지 링 패턴으로 결함이 발생하였고, 열처리 후에 웨이퍼 반경 방향으로 발생한 OiSF 결함을 10mm 간격으로 count 를 실시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SF 발생은 센터로부터 80~100 밀리미터의 영역 즉 에지에서 발생하여 도 3a의 GOI의 에지 결함 영역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 4a에는 초기 산소 농도 11.04 ppma(5.516E+17atoms/cm3)를 가지는 웨이퍼의 GOI 결함 맵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디스크 형태와 일부에서 에지 ㅇ여영역에 결함이 발생하고 있다.
본 웨이퍼를 A단계 즉, 950 ~ 1000 ℃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핵을 생성하고, B단계 즉 1150 ℃ 이상의 온도에서 60~100 분 동안 핵 성장을 위한 열처리를 하였다.
도 4b에는 A단계에서 열처리 시간에 따른 OiSF의 덴시티(density)가 도시되어 있다. 60분 동안 열처리를 하면 핵 생성이 되기에 부족하여 전면에 OiSF 가 발생하지 않으며, 180분 동안 열처리를 하면 전면에 고밀도로 OiSF 발생하여 정확한 OiSF 영역을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GOI의 결함 형태와 일치하며, 정확도가 높은 조건으로 OiSF 의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120 분으로 열처리를 해야 한다.
도 5a에는 초기 산소 농도 12 .5 ppma(6.246E+17atoms/cm3) 이며, 에지 영역을 제외하고 전면에 GOI 결함이 발생한 웨이퍼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웨이퍼를 A단계 즉 초기 핵 생성 온도인 950~1000 ℃에서 60분 이내의 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이어서 B단계 즉 핵 성장 온도인 1150 ℃에서 60~100분 동안 열처리를 한다.
도 5b에는 A단계의 열처리 시간에 따른 OiSF 평가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초기 산소 농도가 12 ppma 이상의 웨이퍼에 대해서는, OiSF 열처리시 1단계 열처리에서 60분을 유지시켰을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1단계 열처리 시간이 60분 미만일 때 GOI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에지 영역에서 OiSF 가 발생하지 않았다. 만일, 60분 이상 열처리를 하면, 전면에 높은 밀도로 OiSF 가 발생하여 정확한 OiSF 영역을 판단할 수 없다.
도 6a에는 초기 산소 농도가 12.5 ppma (6.246E+17atoms/cm3)이나, GOI 결함이 전혀 발생되지 않은 웨이퍼, 즉 OiSF 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웨이퍼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열처리의 1단계 유지 시간에 따라서 OiSF 발생이 될 수 있는데, 초기 산소 농도가 높은 웨이퍼의 경우 OiSF 핵이 없더라도 잉여의 Interstitial 산소에 의해 열처리 후 OiSF 가 유발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단계의 열처리를 60분 동안만 수행하면, 웨이퍼의 전면에 OiSF 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퍼 표면에 핵 생성과 핵 성장, 초기 산소 농도 조건에 따라 최적화 열처리 유지 시간을 적용하고, 초기 산소 농도에 따라서 OiSF 핵 생성 단계 시간을 달리하여 평가를 하면 정확한 OiSF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웨이퍼에 수소와 산소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며, 기설정된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A) 단계; 및
    상기 웨이퍼에, 상기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산소와 수소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여 열처리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온도는 900~1000 ℃인 웨이퍼의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열처리 온도는 1150 ℃이상인 웨이퍼의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열처리 시간을 달리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10.5 ppm 이하일때, 상기 (A) 단계는 180분 이상 실행되고 상기 (B)단계는 60~100분 실행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10.5~12.0 ppm 일때, 상기 (A) 단계는 120분 이상 실행되고 상기 (B)단계는 60~100분 실행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12.0 ppm 이하일때, 상기 (A) 단계는 60분 이하 실행되고 상기 (B)단계는 60~100분 실행되는 웨이퍼의 처리 방법.
KR1020110012726A 2011-02-14 2011-02-14 웨이퍼의 처리 방법 KR20120092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26A KR20120092847A (ko) 2011-02-14 2011-02-14 웨이퍼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26A KR20120092847A (ko) 2011-02-14 2011-02-14 웨이퍼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47A true KR20120092847A (ko) 2012-08-22

Family

ID=4688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726A KR20120092847A (ko) 2011-02-14 2011-02-14 웨이퍼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2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59A (ko) * 2020-04-01 2021-10-12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웨이퍼의 결정 결함 평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59A (ko) * 2020-04-01 2021-10-12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웨이퍼의 결정 결함 평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24354A (ja) Soiウェーハの検査方法
KR101759876B1 (ko) 웨이퍼 및 웨이퍼 결함 분석 방법
US10634622B2 (en) Method of identifying defect regions in wafer
JP2001081000A (ja) シリコン単結晶の結晶欠陥評価方法
CN112585734B (zh) 用于评估晶片的有缺陷区域的方法
JP5467923B2 (ja) 金属汚染評価用シリコンウエーハの製造方法
CN111624460B (zh) 一种单晶硅缺陷分布区域的检测方法
JP2009302337A (ja) 汚染検出用モニターウェーハ、汚染検出方法及び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KR20120092847A (ko) 웨이퍼의 처리 방법
KR102661941B1 (ko) 웨이퍼의 결함 영역의 평가 방법
JP5742761B2 (ja) 金属汚染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コン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JP5561245B2 (ja) 半導体基板の評価方法
CN111279461B (zh) 由单晶硅组成的半导体晶片
EP2943974B1 (en) Method of detecting defects in silicon single crystal wafer
JP3896919B2 (ja) シリコンウエーハのNi汚染の評価方法
KR100384680B1 (ko) 반도체 웨이퍼 결함 검출 방법
JP499226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653948B2 (ja) エピタキシャルウエーハ用シリコン単結晶の検査方法及びエピタキシャルウエーハ用シリコンウエーハの製造方法、並びにエピタキシャルウエーハの製造方法
KR100783440B1 (ko) 저산소 실리콘 웨이퍼의 결함 분석 방법
JP2004091221A (ja) シリコン単結晶と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364937B1 (ko) 실리콘 단결정 웨이퍼의 결함 검출 방법
JP2018186195A (ja) シリコン単結晶の欠陥領域特定方法
JP2004031845A (ja) ゲッタリング能力の評価方法
JP2011119528A (ja) 半導体単結晶基板の結晶欠陥評価方法
JP4370571B2 (ja) アニールウエーハの評価方法及び品質保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