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491A -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 Google Patents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491A
KR20120092491A KR1020110130011A KR20110130011A KR20120092491A KR 20120092491 A KR20120092491 A KR 20120092491A KR 1020110130011 A KR1020110130011 A KR 1020110130011A KR 20110130011 A KR20110130011 A KR 20110130011A KR 20120092491 A KR20120092491 A KR 2012009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heat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선
Original Assignee
구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선 filed Critical 구자선
Publication of KR2012009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54Water heaters for bathtubs or pools; Water heaters for reheating the water in bathtubs or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정화시켜 복층집광판에서 온열 수를 생산하고 사용 후 배출되는 폐 온열 수 열을 회수 후 정수과정을 거처 재사용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폐수 열을 회수하여 사용하는 등 인체 건강과 편의시설이 설치된 대중탕에 관한 것으로,
사용토지 지하로 지하수이용 시설과 빗물을 저장하는 대수층 및 정화하는 시설과 온열 기와 냉기를 저장하는 축열재 층과 축 냉 재 층이 설치되고 지면으로 복층집광판이 설치되어 온열 기와 온열 수를 생산하고 또한 지상건물이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건물 지붕 위로 내기배출관과 지면위로 외기유입관이 설치되어 건물 내 내외기 순환과 함께 냉난방이 되고 지면과 벽체가 복층집광판으로 구성되어 온열 수 와 온열 기를 생산하는 시설이 설치되는 등 자연에너지생산과 재생에너지 활용과 생활 편의시설이 설치된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설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Public baths operated by natural energy and renewed energy.}
본 발명은 빗물을 정화시켜 복층집광판에서 온열 수를 생산하여 사용 후 배출되는 폐 온열 수 열을 회수 후 정수과정을 거처 재사용하는 등 인체 건강과 편의시설이 설치된 대중탕에 관한 것으로
사용토지 지하로 지하수이용 시설과 빗물을 저장하는 대수층 및 정화하는 시설과 온열 기와 냉기를 저장하는 축열재 층과 축 냉 재 층과 위 지면으로 복층집광판이 설치되어 온열 수를 생산하고 또한 지상건물이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건물 지붕 위로 내기배출관과 지면위로 외기유입관이 설치되어 건물 내 내외기를 순환시키면서 지하로 설치된 축열재 층과 축 냉 재 층으로 각각 계절별로 냉기와 열기를 축열 축 냉 시켜 사용하고 지면과 벽체가 복층집광판으로 구성되어 온열 수 와 온열 기를 생산하여 각 생산된 온열 수는 사용 후 재활용 실로 순환되면서 새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의해 온열 기가 회수된 폐수는 다시 정화과정을 거처 재활용되고 또한 원적외선과 자외선을 이용한 일광욕과 자외선으로 멸균된 식용 수를 생산 사용하고 기 수련 실을 이용 인체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자연 건조실을 설치하여 음식물 쓰래기등을 건조시켜 난방용으로 사용하면서 수건, 빨래를 건조하고 빙고실과 빙고실 아래로 농수산물과 실내식품을 저장하는 시설이 설치되는 등 에너지생산과 재생에너지 활용과 생활 편의시설이 설치된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대중탕을 살펴보면 대중탕의 특성상 많은 사람이 온열 수를 사용하는 관계로 에너지 소비율이 매우 높고 또한 사용 후 폐 온열 수를 흘러보내고 있어 에너지 낭비율이 높은 것으로 이에 폐 온열 수 열을 재활용하는 기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나 기기 자체 설치비용과 또한 기기가 설치되는 공간문제로 쉽게 접근하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는 실정으로 이에 대처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시점에 와있다고 본다.
이에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가 집약된 대중탕에서 자연을 이용 온열 수 등의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배출되는 온열수열을 회수하여 온열 기를 재활용하고 또한 빗물과 함께 폐수를 정화하여 재사용하고 또한 건물을 밀폐형으로 설치하여 외부 기류유입 차단과 함께 내부 온열 기의 외부유출이 차단되어 에너지 낭비를 막고 지하로 계절별 열기와 냉기를 저장 후 사용되는 시설설치와 함께 편의시설과 인체 건강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본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토지 지하를 자연 담수 층과 자연 정수시설을 설치하고 순간적으로 내리는 빗물을 지하로 담수 시켜 배관과 별도 동력 펌프로 침전 실로 유입시켜 침전 후 지상이나 실내로 순환시켜 태양의 자외선 등과 함께 자연 정화시켜 사용하고 지면과 건물 지붕과 벽체 태양 빛이 조사되는 곳으로 복층집광판을 복층이나 복 복층으로 설치하여 복층내부로 물이나 공기를 순환시켜 온열 기와 온열 수를 생산하여 사용하고 또한 사용 후 배출되는 폐 온열 수를 지하로 설치된 재활용 실 다수 저류 조로 순환시켜 사용처로 유입되는 유입수 수로관으로 폐 온열 수 열을 회수하여 사용하고 폐수는 다시 정화과정을 거처 재사용되거나 외부로 흘려 보내지며 또한 건물을 밀폐형으로 설치하여 외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여 에너지의 외부배출을 막고 또한 건물 지붕 위로 내기를 배출하는 내기배출관과 지면위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관을 설치하여 지면 위 복사열을 실내로 순환시켜 난방용으로 사용하거나 음지로 설치된 외기유입관에서 냉기를 유입하여 실내 냉방을 하고 또한 복층집광판에서 생산되는 온열 기와 겨울철 냉기를 지하 축열재 층과 축 냉 재 층으로 저장하여 냉 난방용으로 사용하고 실내로 건조실을 설치하여 복사열로 음식쓰래기 등을 건조시켜 건조된 쓰래 기를 소각로를 이용 난방을 하고 건조실 내부로 빨래나 수건을 건조하는 등 이외 원적외선 일광욕과 자외선을 이용한 식용 수 생산과 건강을 도모하는 기 수련 실이 설치되는 방법 등으로 구성된다.
기존 부존자원 절약과 환경을 복원하고 편의 시설 설치로 편리하고 인체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실시 예 평면도.
도 2는 경사 지면과 건물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과 지하 빙고 및 관련 편의시설 설치 예 입단면도.
도 3은 도 1 A의 단면인 빗물 재활용시스템 관련시설과 축열 실, 폐수 온열회수 실 및 관련 시설 설치 예 입단면도.
도 4는 외기유입관과 지면 위 복층 집열 실과 복층 집열실 위로 설치되어 자외선이 내부 물 층으로 투과되는 복층 물 집광판 설치 예 입단면도,
도 5는 대중탕 건물 전면으로 설치된 복층 집열 실과 복층 집열실 내부로 설치된 축열재와 복층 물 집광판 및 관련시설 설치 예 입면도.
도 6은 지하로 설치된 폐수 온열회수 실과 폐수 온열회수 실로 설치되어 온열기를 회수하는 복층 물 집광판 설치 예 상면도,
도 7은 도 6 B 단면인 최종 폐수 온열회수 실로 설치된 침전 실과 각 폐수 온열회수 실로 설치된 S관 및 복층 물 집광판 설치 예 입단면도,
도 8은 폐수 내 온열 기를 회수하는 복층 물 집광판과 복층 물 집광판이 연결된 배관 설치 예 상면도,
도 9는 지면으로 설치된 외기유입관과 복층 집열실 설치 예 입단면도,
도 10은 빙고 냉기를 이용한 농수산물 저장고 설치 예 입면도.
도 11은 빙고와 축열 실 각 냉기 및 열기를 이용한 각 냉방 및 열방 설치 예 입 단면도.
도 12는 건물 내 외벽과 담장으로 설치되는 복층블록 설치 예 투시도.
도 13은 지하로 설치되어 지반 층 내 온기 및 수분을 내부 통로로 유입하는 지온 흡수관 설치 예 투시도.
본 발명은 일반 대중탕에서 필요로 하는 물, 온열 수, 건물 냉난방 및 관련 편이 시설 등을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에 관한 것으로
대중탕에서 필요로 하는 물은 빗물을 저장 및 정화하여 사용하고 온열 수는 태양의 복사열로 물을 가열시켜 사용하면서 또한 버려지는 폐수를 정화하여 재활용하고 또한 순환시켜 폐수 내 온열 기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면서 자연에너지로 건물 내 냉 난방 등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하면서 인체 건강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중탕 건물 4 면 중 2면이 남동과 남서로 태양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된 건물 주위로 건물에서 남향으로 지면이 경사로 설치된 남향 외곽으로는 태양 빛이 투과되는 투명 담장이 낮은 높이 ㄷ 자로 설치되고 북향 후면으로는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복층 담장이 역 ㄷ 자로 투명 담장과 연결 설치된다
또한 남향 경사 지면과 건물 투명 층이 설치된 양면으로는 태양의 복사열을 생산하는 복층 집열실(100) 이 적정 다수로 연결 설치되어 복층 집열실 내부로 설치된 축열재로 전면 투명 층(30)을 통해 태양 빛이 유입되어 유입된 빛이 축열재에서 열로 변하면서 계속 유입되는 빛에 의한 열이 축열재로 축열 되면서 축열재가 가열되어 가열된 축열재 고열이 주변 공기를 가열시켜 가열된 공기가 축열재 사이 공간 또는 위층 공간을 통해 경사 지면과 건물 양면 내부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 내부로 순환되면서 내부로 설치된 각 복층 물 집열판(90) 외부 면으로 설치된 열이 전도되는 금속재질 외부 면을 통해 내부로 순환되는 물로 열기가 전도되면서 복층 물 집광판에서 온열 수가 생산된다.
또한 생산된 온열 수는 배관으로 온열 수 저장실(180)로 유입되어 대류에 의해 고온 수는 위층으로 저온 수는 아래층 순으로 저장되어 아래층 저온 수가 다시 지면으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 내부 복층 물 집열판(90)으로 배관으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이 온열 수가 순환되면서 생산된 온열 수가 온열 수 저장실로 저장되는 방법으로 생산된 온열 수가 온열 수 저장실로 유입되면서 온열 수 저장실 아래 저 온수가 복층 물 집열판(90)으로 유입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온열 수가 생산되어 온열 수 저장실로 저장된다.
또한 생산된 온열 수는 사용처로 이동되어 사용되고 사용 후 계속 배출되는 폐 온열수는 필터로 정화되어 지하실로 다수로 설치된 폐수 온열회수 실(200) 내부위로 설치된 복층 물 집열판(90) 외부 면을 통해 복층 물 집열판 내부로 순환되는 냉수로 폐수 내 온열 기가 전도되면서 폐수 내 온열 기가 복층 물 집열판에서 회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필터로 정화된 폐수가 지하로 설치된 다수 폐수 온열회수 실(200) 중 메인 폐수 온열회수 실로 유입되어 아래 저 온수가 S관을 통해 타 측 폐수 온열회수 실로 순환되는 방법으로 계속 폐수 온열회수 실 아래 저 온수가 다음 폐수 온열회수 실로 이송되면서 처음 폐수가 유입되는 메인 폐수 온열회수 실은 고 온수가 존재하고 마지막 폐수 온열회수 실은 온기가 미미한 저 온수가 존재하게 되는 마지막 폐수 온열회수 실(200) 내부 위로 설치된 복층 물 집열판(90)으로 배관을 통해 냉수가 유입되어 각 저온 폐수 온열회수 실에서 고온 폐수 온열회수 실 순으로 순환되면서 점차 고 온수로 변하여 메인 폐수 온열회수 실에서는 온도가 가장 높은 폐수 내 고온 열기가 복층 물 집열판(90)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유입 냉수로 폐수 내 온 열기가 상기 방법으로 온전히 회수가 이루어 지게 되는 것으로 즉 폐수가 흐르는 반대방향으로 유입 냉수가 순환되면서 폐수 내 온 열기의 회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S관은 도 7과같이 각 폐수 온열회수 실 벽 사이 위 관통구멍으로 설치되어 폐수가 이송되는 폐수 온열회수 실 쪽은 배관 유입구가 아래로 설치되고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 온열회수 실은 배관 입구가 위로 설치되어 S관 위로 넘치는 물만큼 아래 저온 수가 타 측 폐수 온열회수 실로 이송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S관 설치위치에 맞게 위로 복층 물 집광판(90)이 설치되어 복층 물 집광판 아래 면이 아래 폐수와 접촉되어 대류에 의해 고온 수는 위로 상승하여 복층 물 집광판 아래 외부 면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열기를 전도시키고 열기를 전도시켜 저온수로 변한 폐수는 아래로 내려가는 폐수 내 저온과 고온의 상하 대류가 계속 반복되면서 폐수 내 온 열을 회수하게 된다.
또한 복층 물 집열판(90)은 열이 전도되는 금속 재질로 폐수 온열회수 실 위 전체로 설치되며 복층 물 집열판(90)과 복층 물 집열판 측면 사이로 연결되는 배관도 상기 S관과 같이 각 폐수 온열회수 실 사이 벽이 관통되어 복층 물 집열판이 서로 연결 설치된다.
또한 폐수 온열회수 실 마지막 실에서 폐수 내 불순물이 아래로 침전되는 정화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정화된 위층 맑은 물은 다시 물 재활용시스템으로 이송되어 정화과정을 거처 재사용되거나 또는 일반 용수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100)에서 생산된 복사열은 복층 집열 실 위로 설치된 건조실 내부로 순환되면서 빨래 등 수분이 함유된 물품이 건조되고 또한 복층 집열 실(100)에서 생산된 복사열을 지하로 설치된 축열 실로 순환시켜 축열 실 내부로 내장된 축열재를 축열 시켜 축열 된 열기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중탕 건물은 밀폐구조로 구성되고 출입문은 이중 복층으로 설치되어 출입하면서 각 문을 닫는 구조로 구성되어 내 외기의 건물 내부 출입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된 건물 지붕 위로는 실내와 연통 된 내기 배출구(14)가 설치된 내기배출관(88)이 설치되고 또한 경사지면 남향과 북향으로는 외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0)가 설치된 다수 외기유입관(20)이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구와 내기 배출구 설치 높이 차 즉 온도차로 건물 내부로 존재하는 내부 상승기류를 상기 내기배출구로 배출하면서 남향과 북향으로 설치된 각 외기유입구로 각각 복사열과 냉기를 각각 실내 내부로 각각 유입하면서 실내는 난방 또는 냉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각 유입된 복사열과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지않고 각각 실내 내부로 순환시켜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이 향상되는 등의 방법으로 구성된다.
또한 건물 지하로는 4 철 큰 변화없는 지반 층 지온을 이용한 냉 열기를 저장하는 각 저장고가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로 설치되는 저장고는 얼음을 저장하는 빙고와 냉기를 저장하는 축 냉 실 및 열기를 저장하는 축열 실이 설치되어 각 계절별로 얼음과 냉기 및 열기를 비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빙고로 설치되는 얼음은 겨울철 영하 이하 냉기를 이용 자연얼음을 생산하여 습기부착을 방지하는 기름종이와 단열재로 포장되거나 또는 얼음 자체로 보관 후 기름종이와 단열재로 최종 마감 저장하여 비수기에 사용되거나 또는 빙고 냉기를 이용 대중탕에서 활용되는 냉방을 설치하여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축 냉 실은 내부 축 냉 재로 냉기를 순환 시켜 내부 축 냉 재로 냉기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음지 냉기를 축 냉 재로 유입시켜 냉기를 저장 후 더운 날씨 낮에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냉기를 저장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축열 실은 상기 복층 집열 실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층 집열 실에서 생산된 열기를 내부 축열재로 축열 시켜 축열 된 열기를 실내로 순환시켜 난방을 하는 등 열기가 필요한 곳으로 순환시켜 저장된 열기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상기 각 저장 에너지는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 설치 상하 높이 온도차에 의한 대류순환 또는 별도 동력을 이용 각 냉기 및 온열 기가 각 저장실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 물 재활용 시스템, 기류순환 시스템, 태양에너지 시스템 및 저장에너지를 활용한 각종 편이 시설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건물 지붕 내부로는 기 수련 실(80)이 설치되어 인체로 기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붕 내부로 지붕 투명 층을 통해 유입되는 태양 빛을 이용 자외선이 차단된 원 적외선 일광욕(39)을 할 수 있고 또한 실내 복층벽체(99) 사이로 식품저장고(54)를 설치하여 빙고 냉기 또는 지하 지온흡수관(17)을 통해 지온 및 수분을 별도 동력으로 식품저장고 내부로 순환시켜 식품저장고를 운영하고 또한 빙고 냉기가 전도되는 측면 또는 아래로 농수산물 저장고(55) 또는 냉방을 설치하여 빙고 냉기로 농수산물 저장고(55) 또는 냉방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축열 실 열기가 전도되는 축열 실 열기를 이용 열 방을 운영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에서 생산되는 열기 순환으로 건조실이 운영되어 빨래 및 수분 쓰래기 등을 건조시켜 재활용되고 또한 실내 복층벽체 사이로 공기샤워 실(69)을 설치하여 순환되는 기류로 집기류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온열 수를 사용하는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를 수증기제거 실(38)로 순환시켜 수증기를 제거하고 또한 복층 집열실(100) 위 투명 층 위로 설치된 전면 자외선 투과 층으로 구성된 복층 물 집광판(90) 내부로 식용 수를 순환시켜 물속 유해균이 유입되는 자외선에 의해 멸균되어 멸균된 식용 수를 음용 할 수 있는 방법 등으로 구성되는 자연 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이 설치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면서 또한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대중탕 시설이 이루어 지게 된다.
다음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실시 예 평면도이고,
도 2는 경사 지면과 건물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과 지하 빙고 및 관련 편의시설 설치 예 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A의 단면인 빗물 재활용시스템 관련시설과 축열 실, 폐수 온열회수 실 및 관련 시설 설치 예 입단면도이고,
도 4는 외기유입관과 지면 위 복층 집열실과 복층 집열실 위로 설치되어 자외선이 내부 물 층으로 투과되는 복층 물 집광판 설치 예 입단면도이고,
도 5는 대중탕 건물과 건물 전면으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과 복층 집열실 내부로 설치된 경사 축열재와 복층 물 집광판 및 관련시설 설치 예 입면도이고,
도 6은 지하로 설치된 폐수 온열회수 실과 폐수 온열회수 실로 설치되어 온열기를 회수하는 복층 물 집광판 설치 예 상면도 이고,
도 7은 도 6 B 단면인 최종 폐수 온열회수 실로 설치된 침전 실과 각 폐수 온열회수 실로 설치된 S관 및 복층 물 집광판 설치 예 입단면도이고,
도 8은 폐수 내 온열 기를 회수하는 복층 물 집광판과 복층 물 집광판이 연결된 배관 설치 예 상면도 이고,
도 9는 지면으로 설치된 외기유입관과 복층 집열실 설치 예 입단면도이고,
도 10은 빙고 냉기를 이용한 농수산물 저장고 설치 예 입면도이고,
도 11은 빙고와 축열 실 각 냉기 및 열기를 이용한 각 냉방 및 열방 설치 예 입 단면도이고,
도 12는 건물 내 외벽 복층블록 벽체를 구성하는 복층블록 설치 예 투시도이고,
도 13은 지하로 설치되어 지반 층 내 온기 및 수분을 내부 통로로 유입하는 지온 흡수관 설치 예 투시도이다.
자연에너지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장치는,
자연에너지를 생산하는 건물 또는 사용토지;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로 설치되어 빗물 또는 폐수를 침전과 순환 및 정화시켜 재활용하는 물 재활용 시스템과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 내 외부로 기류가 순환되면서 각 생산된 에너지 또는 저장된 에너지를 활용하는 기류순환 시스템과
상기 기류순환시스템을 이용 태양 빛에 의해 생산되는 열기 또는 상기 열기로 온열 수가 생산되는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과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된 온열 수를 사용 후 순환시켜 폐수 내 온 열기를 회수하는 폐수 재활용시스템과
상기 태양 에너지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된 열기와 온열 수 및 냉기와 겨울철에 생산된 얼음을 저장 후 사용하는 저장에너지와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 물 재활용 시스템, 기류순환 시스템,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 및 저장에너지를 활용한 편의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는, 건물 입 측면 남동과 남서 양방향 2면으로 투명 층(30)이 설치되어 태양 빛이 유입되고 또한 상기 건물 아래 지면에서 남향으로 사용토지가 경사로 설치된 경사 지면(310)이 설치되어 경사 지면(310)으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에서 생산되는 온 열기순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건물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일정거리 이격 되어 상기 남향경사 지면과 건물 동서방향 양쪽 코너 선까지 ㄷ 자형 투명담장(11)이 설치되어 투명담장에 의해경사 지면으로 태양 빛이 유입되며 또한 상기 ㄷ 자형 투명담장 양쪽 단 부와 직선으로 역 ㄷ 자형 복층블록 담장(99a)이 북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복층블록 담장 내부로 재배 토가 내장되어 재배 토가 내장된 위로 식물이 식재된다.
또한 상기 건물이 남동과 남서방향으로 설치된 것은 태양이 떠서 질 때까지 온 열기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사용토지가 적정 경사로 설치된 것은 태양 빛을 지면위로 유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과 함께 생산된 온열 기의 대류순환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남향으로 ㄷ 자형 투명담장을 설치한 것은 불투명 담장에 의해 태양 빛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투명담장 측면을 통해 태양 빛을 지면위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리 투명 P V C 판 등이 사용되고 또한 후면으로 복층 담장을 설치하여 내부로 재배 토가 내장된 위로 식물이 식재된 것은 남향으로 태양에너지 생산시설이 설치된 삭막한 환경을 해소하면서 음지 후면으로 태양 빛이 닫지않으면서 형성되는 냉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내부 냉기를 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투명담장(11)은, 좌우 지주 측면과 투명담장(11) 좌우 측면으로 회전축(101)이 설치되어 상기 투명담장(1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투명담장(11) 상단부로 태양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감겨 진 반사판내장 관(102) 설치되어 내부로 감겨 진 반사판을 상기 투명담장 후면으로 내려 설치하여 투명담장(11) 내부 면으로 유입되는 태양 빛을 후면 반사판으로 지면과 건물로 설치된 복층 집열실(100)로 반사시켜 복층 집열실(100)에서 생산되는 열기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내장 관(102)은 원통으로 아래 일부분이 일자로 관통되어 관통된 일자 구멍을 통해 내부로 감겨 진 P V C 재질 반사판이 상하로 샷 다 문 처름 상하로 이동 설치되며 반사판 재질은 일반 은박지, 불투명 백색 유 광판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건물은, 지붕이 남동 남서 양방향으로 경사로 설치된 경사지붕(93)으로 복층 투명 층(30)이 설치되어 태양 빛이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로 일광욕실 또는 기 수련실이나 실내에서 사용되는 온열 수 저장실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복층 창으로 설치되어 내부 단열공간에 의해 내부 단열이 되고 또한 건물 벽이 복층블록(99)으로 조립 설치되어 복층블록 내부 상하와 측면으로 설치된 관통구멍(51)을 통해 내 외기가 상하와 측면으로 순환되는 복층블록 벽체(99B)로 구성되어 복층블록 벽체를 이용 지정 처로 기류를 순환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순환 방법은 각 기류가 순환되는 곳 순환 처로 설치된 상하 순환 통로 또는 관통구멍을 이용하고 순환을 차단하는 곳 상하 순환 통로 또는 관통구멍은 막거나 또는 생산시 관통구멍이 있게 하거나 또는 없게 제작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설치된 복층블록(33)을 생산하여 사용하게 되며 또한 복층 내부 공간 층을 이용 건물 내 단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명 지붕이 남동 남서 방향 양쪽으로 경사로 설치되어 상기 건물 측면 남동 남서 양면과 같이 태양 빛이 이동되는 방향 양쪽으로 태양 빛이 유입되어 내부로 설치되는 시설이 장시간 태양 빛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 재활용 시스템은, 빗물을 저장하는 담수 실(300)과,
또한 상기 담수 실로 저장된 물이 배관을 통해 별도 동력으로 이동되어 침전되는 침전 실(70)과,
또한 상기 침전 실 측면 메인배관 아래로 연결된 경량 주름배관과 경량주름배관 타 측 단 부로 연결되어 부력으로 위층 맑은 물이 단 부 관통 구로 유입되도록 설치된 부력 기(31)와,
또한 상기 부력 기에 의해 상기 메인배관 위 단 부가 실내로 연결되어 별도 동력으로 침전 실 위 맑은 물이 이동되어 낙하 또는 공중으로 분출되면서 공기 내 산소가 물로 유입되는 폭포(28) 또는 분수(29)와,
또한 상기 폭포 또는 분수 물이 흐르는 실내에서 외부 지면으로 연결된 수로(72)와,
또한 상기 외부 수로로 흐르는 물 층으로 유입되는 태양의 자외선 및 수로로 식재되어 물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생식물(36)과,
또한 상기 수로 외곽 단 부 배수구로 설치되어 물이 유입되어 정화되는 정수시설(70)과,
또한 상기 정수 된 물이 경사 수로(53)를 통해 침전 실로 유입되고 또한 아래 침전물이 별도 동력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배관(61) 및
상기 침전 실 위 맑은 물이 상기 부력 기에 의해 별도 배관 및 동력으로 이동되어 정수 및 저장되는 정수 실(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담수 실로 저장된 빗물을 배관을 통해 별도 동력으로 침전 실로 이송시켜 침전 실 측면 메인배관 아래로 경량 주름배관이 연결되어 연결된 주름배관 타 측 단 부로 부력 기가 연결되어 부력 기가 수위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부력기 아래로 설치된 주름배관 단 부 관통 구로 위층 맑은 물이 유입되어 상기 메인배관을 통해 실내로 설치된 폭포(28)로 이송되어 아래로 낙하하고 또한 분수(29)를 통해 공중으로 물이 분출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공기 내 산소가 물로 유입되면서 물속으로 산소량이 증가 되어 물속 유익 미생물이 활성화되면서 수질이 개선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 설치된 수로를 따라 흐르면서 물속으로 태양의 자외선이 투과되면서 자외선에 의해 물속 유해균이 멸균되고 수로로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물속 불순물이 수생식물 생육 영양분으로 흡수되어 수로 끝 웅덩이 외곽 단 부로 설치된 정수시설로 물이 유입되어 정화되어 경사 수로(53)를 통해 침전 실로 유입된다.
또한 침전 실 침전물은 별도 동력으로 아래 배출배관(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부력 기에 의해 침전 실 위 맑은 물이 별도 배관 및 동력으로 정수 실 위로 유입되어 아래 정수 재질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정화된 물은 정수 실 아래 저장실로 저장되어 사용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내부 정수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연석 모래 등의 자연재질로 본 내용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내용이 아니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빗물 외 다음에 설명되는 사용 후 배출되는 폐수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정화되어 재사용된다.
또한 상기 담수 실(300)은, 지하 측면 외곽 4면과 측면 외곽 4면과 아래 내부 바닥으로 연결 설치된 막(12)이 설치되어 상기 바닥 막으로 관통구멍(51)이 다수로 설치되어 아래 지반 층 내 수분과 지온이 상하로 순환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관통구멍(51)이 설치된 바닥 상하 층으로 각각 물과 혼합된 미세분말 층(95)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멍(51)을 통해 물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면서 또한 수분과 아래 지반층내 지온이 바닥 관통구멍을 통해 상하로 기존 지반 층과 같이 순환되며 또한 빗물이 저장되는 내부로 자연석(33) 층 또는 모래층이 설치되어 기존 지층과 같이 수질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어 장기간 빗물을 보관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막은 P V C재질과 금속 등 적정 재질이 사용되면 경질이 아닌 연질재질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물로 내 외기를 순환시키는 기류순환 시스템은, 남향과 북향 지면으로 다수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관통구멍(51) 중 위 관통구멍 외기유입구(10)로 외부 외기가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다수 외기 유입관(20)이 설치되어 복사열과 음지 냉기를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외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주위로 자연석 층이 설치된 내부로 설치되어 내 외부로 설치된 다수 관통구멍을 통해 지반 층 내 지온과 수분이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지온흡수관(17)이 설치되어 주변 지반 층 내 지온과 수분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건물 지붕 상단부로 설치되어 위 배출구(14)로 건물 상승기류가 배출되는 내기배출관(88)이 설치되어 실내 상승기류를 배출하면서 상기 외기 유입관 외기유입구로 북향 음지 냉기를 실내로 유입하면 실내는 냉방이 되고 남향 복사열을 유입하면 실내 난방이 된다.
또한 상기 내기배출관 위로 풍력 발전기(81)가 설치되어 외기에 의한 발전이 되면서 또한 날게 사이 공간으로 건물 내 상승기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기배출관 내부로 내기 발전기(92)가 설치되어 상기 남향 외기 유입관 외기유입구로 유입되는 복사열 상승기류 순환 풍력으로 발전을 하게 되고
또한 상기 외기 유입관과 내기배출관 사이 통로 사이로 저장된 냉 온열 기 또는 실내 내기를 대류 및 별도 동력으로 실내 내부로 반복 순환시키는 내부 기류순환을 이용 냉 난방 및 관련 시설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류가 순환되는 곳으로 설치된 공기정화 시설 또는 기류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가 포함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적절히 조절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기 유입관은 도 1과 도 4 또는 9와 같이 배관이 지면 위로 일부 돌출된 아래 지면으로 매립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관통구멍 중 위쪽 관통구멍으로 외부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로 사용되며 아래 관통구멍으로는 위 관통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지하로 배수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지면 경사와 같이 경사로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 내부로 이송되지않게 설치되고 또한 전체 대류순환 또는 별도 동력으로 외기가 외기유입구로 유입되어 지정 처로 순환된다.
또한 상기 지온흡수관(17)은 열기가 전도되는 금속 배관으로 상기와 같이 자연석 층이 설치된 내부로 설치되어 내 외부로 설치된 다수 관통구멍을 통해 지반 층 내 지온과 수분이 자연석 층 사이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내부 통로로 유입되어 전체 내 외기순환 또는 별도 동력으로 내부 통로로 유입된 지온과 수분이 지정 처로 이송되어 사용되고 또한 외부 냉기 및 열기를 지온흡수관(17) 내부 통로로 순환시켜 지온흡수관 다수 관통구멍을 통해 지반 층 내부로 이송 저장되어 저장된 냉기 및 열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외부 냉기를 지온흡수관으로 순환시키면 대류에 의해 지온흡수관 아래 관통구멍으로 외부 냉기가 하강하여 주위 자연석 사이 공간 아래로 순환되면서 자연석주위로 냉기를 전도시켜 자연석이 냉각되고 또한 냉기 하강으로 자연석 층 내 온기는 반대로 위로 상승하여 위 지온흡수관 아래 관통구멍을 통해 지온흡수관 내부 통로로 유입되어 지온흡수관 내부 기류순환방향을 따라 최종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와 같이 지온흡수관 주위 자연석 층으로 냉기가 저장되고 또한 외부 복사열을 상기와 같이 순환시키면 냉기와 반대로 지온흡수관 위 자연석 층으로 저장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냉 열기는 각각 2개 통로로 나누어져 각각 별도로 저장되어 필요 시 실내등 사용처로 순환시켜 각 저장된 냉 열기를 각각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기배출관 위로 설치된 풍력 발전기는 외기에 의한 날개가 회전되면서 발생 되는 동력으로 발전기를 돌려 발전을 하게 되고 또한 내기배출관 내부 통로와 날게 사이가 연통 되어 건물 내 기류가 배출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기 발전기는 상기와 같이 내기배출관 내부로 설치되어 상기 남향 외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복사열 상승기류 상승풍력을 이용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와 같이 내기배출관 내부로 설치된 가이드 부재(63) 설치 방향으로 상기 복사열 상승기류가 순환되면서 일 측 날개를 밀고 배출되면서 날개가 회전되는 동력으로 상기 풍력 발전기와 같이 발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기류순환은 상기와 같이 외기 유입관과 내기배출관 사이로 저장된 냉 온열 기 또는 실내 내기를 대류 및 별도 동력으로 내부로 반복 순환시켜 냉 난방 및 관련 시설을 운영하게 되고
또한 상기 기류가 순환되는 곳 적정 처로 공기정화시설을 설치하여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기류가 순환되는 곳으로 개폐조절기(22)를 설치하여 순환되는 기류 량을 개폐 및 조절 사용되며 개폐 조절기는 닫혀 지면 공기가 새지않고 밀폐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개폐 조절기는 2개의 판으로 관통구멍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2개의 판이 회전되거나 또는 양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각 양쪽으로 설치된 구멍이 서로 일치하면 공기가 순환되고 반대로 관통된 구멍이 일치하지않고 막히면 공기순환이 차단되며 또한 적절히 관통구매크기를 조절하여 공기순환을 조절 및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은, 경사 지면(310)과 건물 남향 외벽 2 면으로 복층 집열 실(100)이 다수로 지면과 건물로 연결 설치되어 태양 빛이 내부 축열재를 축열 시키면서 온열 기가 생산되고 또한 상기 경사지면 으로 설치된 복층 집열 실 외곽과 상기 건물 복층 집열 실 후면으로 설치된 복층 블록벽체 아래와 내 외기이송관(18)이 연결 설치되어 내 외기이송관 위 관통구멍(51) 외기유입구(10)와 함께 복층 집열실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거나 또는 복층 집열 실과 내 외기이송관(18)으로 내기가 대류 또는 별도 동력에 의해 왕복 순환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로 복층 물 집열판(90)이 설치되어 복층 집열실 내부에서 생산된 온 열기와 태양의 복사열이 직접 복층 물 집열판(90) 외부 면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온열 수를 생산하게 되고 또한 복층 물 집열판(90)은 배관(19)으로 연결되어 유입수와 생산된 온열 기가 순환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로는 순환되는 온 열기를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 설치되어 순환되는 온 열기를 개폐 및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며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로 외부 태양 빛을 반사시켜 복층 집열 실 내 온열 기 생산을 증가시키는 반사판(220)이 포함 구성되어 기존 유입되는 태양 빛에 추가 반사 빛이 유입되어 온열 기 생산이 증가 된다.
또한 상기 내 외기이송관(18)은 상하와 측면으로 설치된 관통구멍 중 위 관통구멍 외기유입구(10)로 외기가 유입되어 내 외기이송관 측면과 복층 집열실 측면으로 각각 설치된 관통구멍을 통해 복층 집열실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건물 복층 집열실 내부를거처 최종 지붕 위로 설치된 내기배출관 위 배출구로 배출된다.
또한 내 외기이송관 위로 설치된 외기유입구 관통구멍을 별도 마개로 막으면 경사지면 복층 집열 실에서 건물 복층 집열실 내부 위로 순환된 온열 기가 건물 복층 집열실 측면 또는 후면으로 설치된 복층블록 벽체(99B) 위로 유입되어 아래 복층블록 벽체와 연결된 내 외기이송관을 통해 경사 지면으로 설치된 각 복층 집열실 외곽 단 부 측면 관통구멍으로 온열 기가 재유입되어 내부 온열 기가 계속 순환되는 것으로 순환 방법은 대류순환 또는 별도 동력으로 순환되며 또한 외부 외기를 유입하여 최종 지붕 위로 설치된 내기배출관 위 배출구로 배출하는 것보다 내부 온 열기를 내부로 반복 순환시키면서 복층 집열 실에서 생산되는 온열 기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겨울철에 실시하면 효과가 증폭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로 설치되는 복층 물 집열판(90)은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에서 생산된 온 열기와 태양의 복사열이 직접 외부 면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복층 물 집열판에서 온열 수가 생산되고 또한 상기 복층 물 집열판은 배관(19)으로 연결되어 지정 처 또는 상기 서두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온열 수 저장 실(180)과 복층 물 집열판으로 왕복 순환되면서 온열 수가 생산 및 저장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 위로 개폐조절기(22)가 설치되어 순환되는 온 열기를 개폐 및 조절하면서 온열 기 생산과 온열 수 생산을 가감할 수 있는 것으로 개폐조절기는 닫혀 지면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복층 집열 실 전면 투명 층을 통해 유입된 빛이 내부 축열재에서 열로 변하여 축열재가 가열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고열이 생산되고 또한 반대로 빠른 속도로 내부로 생산된 복사열을 순환시키면 복사열 축열시간이 짧게 되면서 내부 복층 물 집열판으로 온열 기를 전도하는 시간이 짧게 되면서 각 온열 수와 온열 기 생산이 저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복사열 순환을 개폐조절기로 개폐 및 조절하면서 온열 기와 온열 수 생산을 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로 외부 태양 빛을 반사시켜 복층 집열 실 내 온열 기 생산을 증가시키는 반사판(220)은, 도 1과 같이 동서 양쪽 방향으로 설치된 담장으로 적정 크기와 다수로 설치되어 외부 빛을 받아 지면 위 또는 건물로 설치된 복층 집열 실로 반사시켜 복층 집열 실에서 생산되는 온열 기 생산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또한 태양이 낮게 떠 고 지면서 지면 복층 집열 실로 태양 빛이 닫지않을 때 반사판으로 태양 빛을 복층 집열 실로 반사시켜 온열 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또한 반사판은 회전이 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반사판 후면으로 태양 빛이 비칠때는 반사판이 태양 빛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태양 빛 유입에 방해가 되지않게 설치되고 또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여 여름과 같이 온열 기의 과잉생산시는 사용을 하지않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반사판 사용 재질은 기존 사용되는 재질로 금속 또는 P V C판 등이 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100) 구조는, 건물 남동 남서면으로 설치된 투명 층(30)이 좌우 적정넓이 상하 수직으로 다수로 분할되어 다수로 분할된 건물 쪽 각 투명 층 아래와 경사지면(310) 외곽으로 길게 방사형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 투명 층(30)이 경사지면으로 설치되며 또한 경사 지면으로 설치 투명 층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건물과 경사 지면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 전면 투명 층 4 측면 주위 후면으로 측면(85)이 설치되어 측면 내부 후면으로 후면 층(23)이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내부로 축열재를 내장할 수 있게 설치된 경사 지면과 건물 위 각 단 부 측면(85)으로 기류가 순환되는 관통구멍(51)이 설치되어 상기 내 외기이송관(18)과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외기 또는 내부 내기가 복층 집열 실 내부로 순환된다. 또한 복층 집열 실 위 투명 층과 아래 후면 층 사이 공간으로 축열재 층(27)이 설치되어 상기 투명 층으로 유입되는 빛에 의해 복사열이 축열재 층(27)으로 축열 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층 집열 실(100) 전면 투명 층(30)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설치되는 것은 단층으로 설치시 복층 집열 실 내부 복사열이 단층 단면을 통해 외기로 열기가 전도되면서 내부로 축열 된 열기의 손실이 불가피하게 되고 또한 복층으로 설치시 복층 내 단열공간이 형성되어 단열공간에 의해 내부로 저장된 복사열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설치비용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장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100) 후면 층과 측면 외부로 단열공간(24) 및 단열 층(25)이 설치되어 단열공간(24) 및 단열 층(25)에 의해 복층 집열 실 내부 열기의 측면이나 후면으로의 전도가 차단되는 것으로 상기 복층 집열 실은 도 2, 도 5, 도 9와 같이 상기 경사지면 아래와 건물 외벽 2 면 내부로 다수로 연결 설치되어 태양 빛이 내부 축열재를 축열 시키면서 상기 서두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온열 기를 생산하게 되며 또한 복층 집열 실(100) 바닥과 측면으로 설치된 단열공간(24)에 의해 1차 공기층으로 단열이 되면서 복층 집열 실에서 공기층으로 전도되어 공기층으로 형성되는 온기는 외부 단열 층(25)으로 최종 단열이 되어 내부 온열 기의 외부 전도가 차단되면서 또한 외부 외기 및 지온의 내부전도가 차단되어 생산된 온열 기가 온전히 보존되게 되며 또한 상기 단열공간으로는 지지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물 쪽 복층 집열 실(100)은, 복층 집열 실 측면(85) 양쪽으로 지지대가 전후 각 2개씩 경사로 좌우와 우 좌로 각각 경사로 지그재그로 다수로 설치된 다수 지지대 위로 판이 설치되어 판 위로 축열재 층(27)이 위 지지대와 적정공간을두고 지지대와 윗면이 나란히 삼각 형태로 설치된 위 지지대와 아래 축열재 층 사이로 복층 물 집열판(90)이 상하면으로 공간을 두고 높이가 낮은 면이 복층 집열 실 측면과 밀착되고 높은 면이 복층 집열 실 타 측 측면(85)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방법으로 지지대와 아래 축열재 층 사이로 계속 지그재그식으로 복층 물 집열판이 경사로 설치되며 또한 경사로 설치된 각 복층 물 집열판은 배관으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복층 물 집열판으로 물이 순환되면서 복층 집열 실 축열재 층으로 축열 된 열기가 복층 물 집열판 외부면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온열 수가 생산되는 것으로 아래 경사 지면으로 설치된 복층 집열 실에서 생산된 온열 기가 건물 복층 집열실 내부 지그재그로 설치된 복층 물 집열판 전후면 사이로 지그재그로 순환되면서 온열 기가 생산되며 또한 상기 건물로 설치된 복층 집열 실 내부 축열재는 축열재와 축열재가 닫는 면을 접착 재로 접착시켜 각 축열재의 유동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적정높이 경사로 접착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층 집열 실(100)은, 상기 지면 위 투명 층 위로 공간 층과 공간 층 위로 자외선투과 층(30)이 설치된 상기 투명 층과 자외선투과 층 사이 공간 층으로 지지대(62)가 설치된 내부 공간으로 물이 순환되는 투명재 복층 물 집열판(90)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외선 투과 층을 통해 태양의 자외선이 물로 투과 유입되어 물속 유해균이 자외선 살균력에 의해 멸균되어 멸균된 식용 수를 생산하여 음용 할 수 있게 되어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방법으로 구성되며 자외선투과 층 재질은 석영유리로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이 이에 포함 사용된다.
또한 상기 건물 쪽 복층 집열 실(100)은, 복층 집열 실 위 공간으로 빨래건조실(68)이 설치되어 아래에서 위로 순환되는 온 열기 순환으로 빨래를 건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빨래건조실 위층 또는 상기 빨래건조실(68)과 같이 복층 집열 실 위 공간 내부로 통풍선반과 망이 설치된 쓰래기 건조실(65)이 더 포함 설치되어 복층 집열 실 내부로 순환되는 온열 기가 상기 빨래가 설치된 건조실 또는 통풍선반 위로 설치된 쓰래기 사이로 순환되면서 수분이 함유된 빨래와 탈수 쓰래 기가 온 열기로 가열되면서 발생 되는 증기 및 수분이 이동되면서 빨래와 탈수 쓰래 기가 건조된다.
또한 상기 증기 및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후면 복층블록 벽체 내부로 설치된 수증기제거 실(38)로 순환시켜 수분을 회수 후 내부 온열 기는 다시 복층블록 벽체 아래로 순환되어 복층 집열 실 아래에서 위로 대류에 의해 반복 순환되어 온열 기를 외부로 배출하지않고 재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폐수 재활용시스템은, 건물 내부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폐 온열 수를 정화하는 정화과정과,
또한 상기 정화과정을 거처 폐 온열 수가 모여 다수 저류 조로 각각 순서별로 흐르는 다수 폐수 온열회수 실(200)과,
또한 상기 폐수 온열회수 실 최종 실로 설치되어 폐수 내 불순물이 침전되는 침전 실(77)과,
또한 상기 침전 실 아래로 설치되어 내부 침전물을 이송시키는 배출배관(61)과,
또한 상기 각 폐수 온열회수 실 사이 측면(85)으로 설치되어 아래층 저 온수를 다음 폐수 온열회수 실로 흐르게 하는 S관(16)과,
또한 상기 각 폐수 온열회수 실 내부 윗 층으로 설치되어 폐수 윗 층 온열 기가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온열 기가 회수되는 복층 물 집열판(90)과,
또한 상기 각 복층 물 집열판을 서로 연결하여 냉수 유입과 회수된 온열 수를 이송시키는 배관(19)이 포함 구성되어 상기와 같이 사용 후 배출되는 폐수를 1차 필터로 정화 후 배관으로 상기 다수 폐수 온열회수 실 중 메인 폐수 온열회수 실로 유입시켜 S관을 통해 폐수 내 아래 저 온수가 각 폐수 온열회수 실로 순서별로 순환되어 최종 폐수 온열회수 실 아래로 연장 설치된 침전 실(77)에서 폐수 내 불순 침전물이 침전되고 침전된 불순물은 배출배관(61)을 통해 별도 동력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다수 폐수 온열회수 실(200) 내부위로 설치되어 폐수 내 온열 기를 회수하는 복층 물 집열판(90)은 배관이 각 폐수 온열회수 실 측면을 관통하여 각 복층 물 집열판으로 연결설치되어 유입수 또는 회수된 온열 기를 이송하며 상기 폐수가 순환되는 것과는 반대로 순환되는 것으로 즉 상기 최종 폐수 온열회수 실 복층 물 집열판으로 설치된 배관으로 냉수가 유입되어 다수 폐수 온열회수 실 위로 설치된 복층 물 집열판 내부로 순환되면서 대류에 의해 폐수 내 고온 수가 위로 상승하여 복층 물 집열판 외부 면으로 온열 기를 전도시키고 온열 기를 전도시킨 폐수는 저온수로 변하여 아래로 하향하고 대신 폐수 내 고온 수가 위로 상승하는 고온과 저온의 상하 순환이 반복되면서 복층 물 집열판 외부 면으로 전도된 온열 기가 복층 물 집열판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폐수 내 온열 기가 온전히 회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폐수 내 수온 온도가 가장 높은 메인 폐수 온열회수 실 위로 설치된 복층 물 집열판에서 폐수 내 고온이 회수되어 복층 물 집열판으로 연결된 온열 수 이송 배관(37)을 통해 사용처로 이송되는 순서로 폐수 내 온열 기 회수가 이루어지고 또한 온열 기가 회수된 폐수는 상기 물 재활용시스템으로 이송되어 재정화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일반 생활용수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폐수 온열회수 실(200)은, 위로 단열 덮 게(13)가 설치되어 내부 온열 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는 단열 덮 게(13)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폐수 온열회수 실 전체 바닥과 외부 4면 측면으로 설치되어 폐수 내 온열 기의 외부 전도를 차단하는 단열공간(24) 및 단열 층(2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와 같이 단열 덮게로 폐수 내 위 온열 기의 외부 유출이 차단되면서 4면 외부 측면과 바닥으로 단열공간(24) 또는 단열 층(25)이 설치되어 폐수 내 온열 기의 외부 전도가 차단되면서 폐수 내 온열 기를 온전히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에너지는,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온 열기를 지하로 저장 후 사용되는 온열 수 저장실(180)과,
건물 후면 북향 지하로 설치되어 영하 냉기로 생산된 얼음을 저장하는 빙고(500)와,
지하로 설치되어 내부 축열재 층(27)으로 외부 열기를 순환시켜 축열재 층으로 열기를 저장하는 축열 실(120)과,
상기 건물 후면 지하로 설치되어 내부 축 냉 재 층(27)으로 외부 냉기를 순환 및 저장하여 저장된 냉기를 활용하는 축 냉 실(150)이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온열 수 저장실(180)은, 도 3과 같이 건물 지하로 설치되어 상기 복층 물 집광판(90)에서 생산된 온열 수가 대류에 의해 위층으로 저장되고 아래 저 온수가 다시 복층 물 집광판으로 순환되어 재가열된 온열 수가 상기 온열 수 저장실 위층으로 저장되는 방법으로 온열 수가 저장되고 또한 온열 수 저장실 아래 부분이 경사로 설치된 단 부로 배관(19)이 설치되어 아래로 가라 않은 침전물이 외부로 별도 동력으로 배출되고 또한 내부 재질은 황토벽돌과 같은 친환경 재질이 설치된 외부로 단열공간(24)과 단열층(25)이 설치되어 단열공간에 의해 고온 열기가 차단되면서 공간 층으로 형성되는 열기가 외부 단열층에 의해 최종 단열이 되면서 내부 열기의 외부 전도를 차단하게 되어 내부로 저장되는 온열 수 열기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빙고(500)는, 내부 얼음이 저장되는 주위 내장재 전체로 설치되어 내부로 순환되는 냉기로 냉기가 축 냉 되는 축 냉 재 층(27)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축 냉 재 층 외부 주위로 설치되는 단열공간(24) 또는 단열 층(25)이 설치된 상기 빙고 내부 위 층과 건물 후면 외부 지면으로 경사통로(57)가 설치되어 얼음이 이송되며 또한 상기 경사통로 지면 입구로 단열 밀폐문(21)이 설치되고 또한 경사통로 내부로 개폐조절기(22)가 설치되어 빙고 내 온기배출과 외부 냉기 유입을 개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빙고로 저장되는 얼음을 생산하면서 일측 면이 경사로 설치되어 얼음이 이송되는 경사 작업대(56)가 포함 구성되어 영하날씨 상기 경사 작업대에서 별도 규격용기로 적정 크기 얼음을 얼려 생산된 얼음은 수분 부착을 차단하는 기름종이로 포장되어 경사 작업대 일측 경사면과 경사통로를 통해 상기 빙고 내부로 이송 저장되고 또한 상기 지면 위 문과 경사통로로 설치된 개폐조절기를 열어 얼음이 저장된 빙고 내부로 저 냉기를 내부로 순환시켜 내부 축열재로 구성된 내장재와 내부 얼음을 재냉각시켜 얼음을 장기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빙고 내장재 외부 주위로 단열공간 또는 단열층이 설치되어 지반 층으로의 빙고 내부 냉기의 외부유출이 차단되어 온전히 내부로 저장된 얼음을 장기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일반 단열재와 자연 단열재가 각각 사용되거나 또는 혼합 설치되며 자연 단열재는 나무 볏짚 왕겨 톱밥 등 단열이 되는 자재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단열공간 또는 단열층을 2중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빙고(500)는, 빙고 냉기를 활용하기 위해 빙고 측면으로 농수산물 저장고(55)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빙고 내부와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사이로 냉기전도 벽(34)이 설치되어 빙고 냉기가 농수산물 저장고로 전도되며 또한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로 통풍선반(66)이 설치된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상하 내부로 배관(19)이 설치되어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 온기 배출과 내부로 내 외기를 순환시키고 또한 상기 배관으로 개폐조절기가 설치되어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로 순환되는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빙고와 농수산물 저장고 사이로 냉기전도 벽이 설치되어 빙고 냉기가 냉기전도 벽으로 전도되어 냉기전도 벽으로 전도된 냉기가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로 전도되면서 농수산물 저장고로 저장된 농수산물로 빙고 냉기가 전도되면서 농수산물이 냉기로 저장되면서 또한 냉기유입으로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로 존재하는 온기는 대류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상하로 설치된 배관 내부로 설치된 개폐조절기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내부로 온기는 배출되고 냉기만 상존하게 되면서 빙고 냉기로 저장된 농수산물을 장기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수산물 저장고(55) 내부로 기류순환 시스템을 이용 지하 지온흡수 실에서 생산되는 지온 및 수분을 순환시켜 4 철 큰 변화없는 적정 지온과 수분 및 내 외기순환으로 저장품의 건조를 지연시키면서 적정 지온과 환기로 유해균 증식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내부 농수산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빙고는, 빙고 냉기를 활용하기 위해 빙고 측면으로 냉방(89)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빙고와 냉방 사이로 냉기전도 벽(34)이 설치되어 빙고냉기가 냉방으로 전도되고 또한 상기 냉방 천정으로 상기 냉기전도 벽과 측면으로 일정공간을 두고 냉기 차단막(67)이 설치되어 상하로 샷 다 문과 같이 이동되면서 빙고 냉기를 차단하게 되며 또한 상기 냉방 내부 상하로 배관(19)설치되어 냉방 내부 온기 배출과 냉방 내부로 내 외기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배관으로는 개폐조절기가 설치되어 냉방 내부로 순환되는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빙고냉기를 활용하기 위해 빙고 측면으로 냉방이 설치되어 빙고 냉기가 냉기전도 벽을 통해 냉방 내부로 전도되어 전도되는 냉기로 냉방이 운영되는 것으로 냉기전도 벽은 금속 재질로 동, 알루미늄, 철, 황토벽돌, 자연석 등 냉기가 전도되는 재질이 사용되며 또한 냉방으로 빙고 냉기유입을 조절하는 차단막이 위로 설치되어 냉방으로 전도되는 냉기를 차단막으로 조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차단막이 냉기전도 벽과 일정간격 공간을 두고 단 냉 재 P V C 판이나 비닐로 설치되어 샷 다문 처 름 위 천정에서 말리고 풀리면서 상하로 이동시켜 냉기 전도량을 조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 외기 순환으로 냉방 내에서 인체 온기에 의해 형성되는 온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냉방 효율을 증가시키고 또한 내 외기를 순환시켜 내부로 인체에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냉방 상하로 설치된 배관중 위로설치된 배관 내 개폐 조절기를 열면 내부 온기가 대류에 의해 외부로 최종 배출되고 또한 아래 배관을 통해 외부 외기유입관 외기유입구로 외부 음지 냉기를 유입하면서 상기와 같이 내부 온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대류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축열 실(120)은, 상기 축열재 층(27) 외부 주위로 설치되는 막(12)과,
또한 상기 막 외부 주위로 설치되는 단열공간(24) 및 단열층(25);
또한 상기 축열재 층과 연통 되어 막 상하로 연결 설치되는 배관(19) 및
상기 배관으로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 복층 집열 실에서 생산된 온열 기가 배관으로 위 축열재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면 대류에 의해 유입되는 열기보다 낮은 내부 온기가 아래 공간으로 하강하여 축열재 사이 공간과 아래 배관을 통해 최종 내기배출관 위 배출구로 배출되는 열기 유입과 내부 온기 배출이 반복되면서 축열재 층 위에서부터 아래 축열재 층으로 점차 열기가 축열 되면서 내부 낮은 온기는 외부로 배출되면서 축열재 층 전체로 열기가 저장되어 저장된 열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막은 P V C판이나 열이 전도되는 금속판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축열재 층 내부로 저장되는 열기는 외기유입구와 내기배출구 설치 상하높이 차에 의한 온도 차에 의해 전체 대류순환으로 내 외기가 순환되면서 냉기 및 열기가 전체 대류에 의해 강제로 축열 실 내부로 유입되면 축열 실 내부에서는 대류에 의해 유입되는 열기보다 낯은 내부 온기가 아래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축열재 층 내부로 열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축열 실(120)은, 상기 축열 실 열기를 활용하기 위해 축열 실 측면으로 열 방(89)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축열 실 내부와 상기 열 방 사이로 열기전도 벽(34)이 설치되어 축열 실 열기가 열 방으로 전도된다.
또한 상기 열 방 천정에서 측면으로 열기전도 벽과 일정공간 층을 두고 열기 차단막(67)이 설치되어 열기 차단막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축열 실 열기를 차단하거나 열기를 유입하는 것으로 상기 냉방과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이번에는 차단막을 이용 축열 실 열기를 상하로 개폐 및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또한 상기 냉방과 같이 열 방 내부로 내 외기를 순환시켜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물 또는 복층벽체(99)는, 온수를 사용하는 실내 천정이 위층 바닥과 공간을 두고 경사로 설치된 천정으로 공기순환 관통구멍(51)이 위로 돌기 형태로 돌출된 다수로 설치된 경사 천 정(91)이 설치된 상기 경사 천정 공간 층과 측면 복층블록 벽체 측면 관통구멍을 통해 복층벽체 내부 통로와 연통 된 복층벽체 일부분으로 수증기회수 실(38)이 설치되고 수증기회수 실 내부로는 공기 내 수분을 부착시켜 제거하는 유리구슬이 설치되어 수분이 제거되고 또한 상기 수증기회수 실이 연결된 복층벽체 내부 아래 측면 실내로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수증기에 의한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건물 내에서 사용되는 온열 수에 의해 발생 되는 증기를 천 정 관통 구멍과 복층벽체 측면 관통구멍으로 유입시켜 유입된 수증기가 모이는 곳으로 설치된 수증기회수 실 내 유리구슬 표면에서 고온 증기가 차가운 유리구슬과 만나면서 수증기가 물로 변하여 변환된 물은 아래 복층벽체 측면 관통구멍을 통해 바닥 수로로 유입되어 지정 처로 순환되고 또한 수증기와 함께 순환된 온기는 상기 바닥 수로를 통해 실내로 재유입되면서 상기와 같이 수증기가 제거되는 것으로 상기 순환은 대류 또는 별도 동력으로 순환된다.
또한 상기 복층벽체(99)는, 복층벽체 상하 사이로 식품저장고(54)가 설치되어 식품저장고 상하로 관통구멍(51)이 설치되고 관통구멍으로는 공기정화시설이 설치되어 식품저장고 내부로 정화된 내 외기가 순환되며 또한 식품저장고 내부로 통풍선반이 설치되어 내부로 저장되는 물품 사이로 내 외기가 순환된다 또한 상기 식품저장고와 연결된 복층벽체 상하와 지하 지온을 생산하는 지온흡수관(17) 또는 얼음을 저장하는 빙고(50) 사이로 각각 배관(19)이 연결 설치되어 배관 내부로 별도 동력 팬이 내장되어 상하 복층벽체와 배관을 통해 각 지온흡수관 지온과 수분 또는 빙고 냉기가 식품저장고 내부로 각각 별도 동력으로 순환되면서 지온과 수분 및 냉기로 각각 식품저장고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층벽체(99)는, 복층벽체 상하 사이로 공기 샤워실(69)이 설치되어 공기 샤워실(69) 상하로 관통구멍(51)이 설치된 관통구멍으로 공기정화시설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공기 샤워실과 연결된 복층벽체 아래로 배관이 연결되어 배관 타 측 단 부로 외부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관(2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기 샤워실 위로 연결된 복층벽체가 최종 내기배출관(88)과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지면 위 외기유입관(20)으로 설치된 외기유입구로 외기가 배관을 통해 복층벽체와 공기 샤워실 아래로 유입되어 공기 샤워실 아래에서 위로 순환되어 상기 복층벽체로 위로 설치된 공기정화시설을 거처 최종 상기 내기배출관 위 배출구로 배출되는 외기 유입구와 내기배출구 설치 높이 차 온도차에 의해 공기 샤워실 내부로 내 외기가 대류 순환되어 내부에서 의복의 먼지 및 집기류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시설에 의해 외부로 먼지를 배출하지않게 되어 주위 환경을 청결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저장고(54)와, 공기 샤워실(69)은 양쪽 실내로 출입문을 각각 설치하여 양쪽 실내에서 공동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지붕은, 상기 경사지붕 복층 투명 층 내부로 실존 피라미드 각도로 기 수련 실(80)이 설치되고 또한 경사지붕 내부로 위 복층 투명 층(3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자외선이 차단된 원적외선 일광욕실(39)이 포함 설치되어 기 수련과 원적외선 일광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경사로 설치된 지붕재가 투명 층(30)으로 설치된 내부로 실존 피라미드형 각도로 피라미드 기 수련 실을 설치하여 4면 경사각도 중 1면 또는 2면으로 투명창을 설치하면 태양 빛이 기 수련 실 내부로 유입되어 태양의 양기를 받으면서 피라미드 구조 자체에서 형성되는 신비한 기를 통해 인체로 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내부로 기류순환 시스템을 이용 기류를 순환시키면서 지하 지반 층으로 설치된 지온흡수관을 통해 지온흡수관에서 생산되는 지기와 온기 및 수분을 피라미드 기 수련 실 내부로 순환시켜 지하 지기를 더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지붕으로 설치되는 투명 층(30)을 이용한 원적외선 일광욕과 또한 석영유리를 경사지붕으로 설치한 자외선 일광욕실(39)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 유리는 자외선이 투과되지않게 되면서 자연히 자외선이 차단된 원적외선만 유입되는 지붕 내부에서 원적외선 일광욕실(39)을 할 수 있고 또한 지붕 일부 및 전체로 자외선이 투과되는 자외선 투과 층(창)을 설치하여 자외선을 이용한 일광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밀폐방식이 아닌 일반 건축물에도 적용이 가능 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도 자명한 것이다.
10; 외기유입구 11; 투명담장
12; 막 13; 단열 덮게
14; 내기배출구 15; 기둥
16; S관 17; 지온 흡수관
18; 내 외기이송관 19; 배관~ 주름배관
20; 외기 유입관 21; 단열 밀폐문
22; 개폐조절기 23; 후면 층
24; 단열공간 25; 단열층
26; 열전도 재 27; 축열재 층 ~ 축 냉 재 층
28; 폭포 29; 분수
30; 투명 층~ 자외선 투과 층 31; 부력 기
32; 냉수 유입구 33; 자연석
34; 열기~ 냉기전도 벽 35; 얼음
36; 수생식물 37; 온열 수 이송배관
38; 수증기 제거실 39; 일광욕실
50; 냉방 51; 관통구멍
52; 통로 53; 경사 수로
54; 식품 저장고 55; 농수산물 저장고
56; 경사 작업대 57; 경사 통로
58; 대문 59; 출입문
60; 지온 흡수관 61; 배출배관
62; 지지대 63; 가이드 부재
65; 쓰래기 건조실 66; 통풍선반
67; 냉 열기 차단막 68; 빨래 건조실
69; 공기 샤워실 70; 정수 실
71; 웅덩 72; 수로
73; 정수 구 74; 배수구
75; 점검구 76; 폐 온열 수
77; 침전 실~ 물 저장실 78; 침전물
79; 물 층 80; 기 수련 실
81; 풍력 발전기 82; 날개
83; 측면 칸막이 84; 공간 층
85; 측면 86; 탄력 층
87; 냉수 저장실 88; 내기 배출관
89; 냉방~ 열 방 90; 복층 물 집열판
91; 경사 천 정 92; 내기 발전기
93; 경사지붕 94; 살 수관
95; 미세분말 층 96; 배수관
98; 판 99; 복층블록
99a; 복층블록 담장 99B; 복층블록 벽체
100; 복층 집열실 101; 회전축
102;반사판내장 관 120; 축열 실
130; 건조실 150; 축 냉 실
180; 온열 수 저장실 200; 폐수 온열회수 실
220; 반사판 230; 외벽
300; 담수 실 310; 경사지면
330; 지면 500; 빙고

Claims (24)

  1.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에 있어서,
    자연에너지를 생산하는 건물 또는 사용토지;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로 설치되어 빗물 또는 폐수를 침전과 순환 및 정화시켜 재활용하는 물 재활용 시스템;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 내 외부로 기류가 순환되면서 각 생산된 에너지 또는 저장된 에너지를 활용하는 기류순환 시스템;
    상기 기류순환시스템을 이용 태양 빛에 의해 생산되는 열기 또는 상기 열기로 온열 수가 생산되는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된 온열 수를 사용 후 순환시켜 폐수 내 온 열기를 회수하는 폐수 재활용시스템;
    상기 태양 에너지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된 열기와 온열 수 및 냉기와 겨울철에 생산된 얼음을 저장 후 사용하는 저장에너지;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 물 재활용 시스템, 기류순환 시스템,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 및 저장에너지를 활용한 편의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또는 사용토지는,
    상기 건물 입 측면 남동과 남서 양방향 2면으로 설치되어 태양 빛이 유입되는 투명 층(30);
    상기 건물 아래 지면에서 남향으로 사용토지가 적정 경사로 설치된 경사지면(310);
    상기 건물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일정거리 이격 되어 상기 남향경사 지면과 건물 동서방향 코너 선까지 설치된 ㄷ 자형 투명담장(11);
    상기 ㄷ 자형 투명담장 양쪽 단 부와 직선으로 연결되어 북향으로 연결 설치된 역 ㄷ 자형 복층블록 담장(99a);
    상기 복층블록 담장 내부로 재배 토가 내장되어 재배 토가 내장된 위로 식물이 식재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담장(11)은,
    좌우 지주 측면과 투명담장(11) 좌우 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명담장(1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01);
    상기 투명담장(11) 상단부로 설치되어 내부로 감겨 진 반사판을 상기 투명담장 후면으로 설치하여 투명담장 전면으로 유입되는 태양 빛을 지정 처로 반사하는 반사판내장 관(10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지붕이 남동 남서 양방향으로 경사로 설치된 경사지붕(93)으로 설치되어 태양 빛이 내부로 유입되는 복층 투명 층(30);
    상기 건물 벽이 복층블록(99)으로 조립 설치되어 복층블록 내부 상하와 측면으로 설치된 관통구멍(51)을 통해 내 외기가 상하와 측면으로 순환되는 복층블록 벽체(99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재활용 시스템은,
    빗물을 저장하는 담수 실(300);
    상기 담수 실로 저장된 물이 배관을 통해 별도 동력으로 이동되어 침전되는 침전 실(77);
    상기 침전 실 측면으로 설치된 메인배관 아래로 연결된 경량주름배관과 경량 주름배관 타 측 단 부로 연결되어 부력으로 위층 맑은 물이 경량주름배관 단 부 관통 구로 유입되도록 설치된 부력 기(31);
    상기 부력 기에 의해 상기 메인배관 위 단 부가 실내로 연결되어 별도 동력으로 침전 실 위 맑은 물이 이동되어 낙하 또는 공중으로 분출되면서 공기 내 산소가 물로 유입되는 폭포(28) 또는 분수(29);
    상기 폭포 또는 분수 물이 흐르는 실내에서 외부 지면으로 연결된 수로(72);
    상기 외부 수로로 흐르는 물 층으로 유입되는 태양의 자외선 및 수로로 식재되어 물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생식물(36);
    상기 수로 외곽 단 부 배수구로 설치되어 유입된 물이 정화되는 정수시설(70);
    상기 정수시설에서 정화된 물이 경사 수로(53)를 통해 침전 실로 유입되고 또한 아래 침전물이 별도 동력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배관(61);
    상기 부력 기에 의해 침전 실 위 맑은 물이 별도 배관과 동력으로 이동되어 정화 및 저장되는 정수 실(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 실(300)은,
    지하 측면 외곽 4면과 측면 외곽 4면과 아래 내부 바닥으로 연결 설치된 막(12);
    상기 바닥 막으로 설치되어 아래 지반 층 내 수분과 지온이 상하로 순환되는 관통구멍(51);
    상기 바닥 막 상하 층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멍(51)을 통해 물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는 물과 혼합된 미세분말 층(95);
    상기 막 내부로 내장되어 수질을 개선하는 자연석(33) 층 또는 모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순환 시스템은,
    남향과 북향 지면으로 다수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관통구멍(51) 중 위 관통구멍 외기유입구(10)로 외부 외기가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외기 유입관(20);
    상기 외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주위로 자연석 층이 설치된 자연석 층 내부로 설치되어 내 외부로 설치된 관통구멍을 통해 지반 층 내 지온과 수분이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지온흡수관(17);
    건물 지붕 상단부로 설치되어 위 배출구(14)로 상승기류가 배출되는 내기배출관(88);
    상기 내기배출관 위로 설치되어 외기에 의한 발전과 함께 날게 사이로 건물 내 상승기류가 배출되는 풍력 발전기(81);
    상기 내기배출관 내부로 설치되어 상기 남향 외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복사열 상승기류 순환 풍력으로 발전을 하는 내기 발전기(92);
    실내 내기를 대류 및 별도 동력으로 내부로 반복 순환시켜 냉 난방을 하는 내부기류순환;
    내 외기가 순환되는 곳으로 설치된 공기정화 시설;
    상기 내 외기가 순환되는 곳으로 설치되어 내 외기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은,
    경사 지면(310)과 건물 남향 외벽 2 면으로 다수로 연결 설치되어 태양 빛이 내부 축열재를 축열 시키면서 온열 기를 생산하는 복층 집열 실(100);
    상기 경사지면 복층 집열 실 외곽과 상기 건물 복층 집열 실 위와 최종연결 설치되어 위 외기유입구와 함께 복층 집열실 내부로 내 외기를 순환시키는 내 외기이송관(18);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로 설치되어 복층 집열실 내부에서 생산된 온 열기와 태양의 복사열이 직접 외부 면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온열 수를 생산하는 복층 물 집열판(90);
    상기 복층 물 집열판을 연결시켜 물을 이송시키는 배관(19);
    상기 복층 집열 실 내부로 설치되어 순환되는 온 열기를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 및
    상기 복층 집열 실로 외부 태양 빛을 반사시켜 복층 집열 실 내 온열 기 생산을 증가시키는 반사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집열 실(100)은,
    건물 남동 남서면으로 설치된 투명 층(30)이 좌우 적정넓이 상하 수직으로 다수로 분할되어 다수로 분할된 각 투명 층 아래에서 경사지면(310) 외곽으로 방사형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 단층 또는 복층 투명 층(30);
    상기 건물과 경사 지면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 투명 층 4 측면 주위 후면으로 설치된 측면(85);
    상기 측면 후면 내부로 연결 설치된 후면 층(23);
    상기 경사 지면 단 부와 건물 위 각 단 부 측면(85)으로 설치된 관통구멍(51);
    상기 투명 층과 후면 층 사이 공간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명 층으로 유입되는 빛에 의해 복사열이 축열 되는 축열재 층(27);
    상기 후면 층과 측면 외부로 설치된 단열공간(24) 및 단열 층(2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집열 실(100)은,
    건물로 설치된 복층 집열 실 좌우 측면(85)으로 지지대가 전후 각 2개씩 좌우와 우 좌로 각각 지그재그 경사로 다수로 설치된 각 지지대 위로 판이 설치된 판 위로 접착제로 서로 부착되어 위 지지대와 나란히 경사로 설치된 축열재 층(27);
    상기 축열재 층과 지지대 사이 공간으로 나란히 경사로 설치되어 경사 아래 측면이 건물 측면(85)과 밀착되고 위는 타 측 측면과 일정 공간을 두고 설치된 복층 물 집열판(90);
    상기 각 복층 물 집열판(90)으로 연결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집열 실(100)은,
    경사지면 위로 설치된 투명 층 위로 투명 층과 공간 층을 두고 설치된 자외선투과 층(30);
    상기 투명 층과 자외선투과 층 사이 공간으로 설치된 지지대(62);
    상기 공간 층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배관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투과 층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자외선이 투과되어 물 층 내 유해균이 멸균된 식용 수를 생산하는 복층 물 집열판(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집열 실(100)은,
    건물 복층 집열 실 위 내부 공간으로 설치되어 아래 축열재 열기를 이용한 빨래건조실(68);
    상기 빨래건조실 위층 또는 복층 집열 실 위 내부 공간으로 설치되어 내부로 망 선반이 설치된 쓰래기 건조실(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재활용시스템은,
    건물 내부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폐 온열 수를 1차로 정화하는 정화과정;
    상기 정화과정을 거친 폐 온열 수가 모여 다수 저류 조로 각각 순서별로 흐르는 다수 폐수 온열회수 실(200);
    상기 폐수 온열회수 실 최종 실로 설치되어 폐수 내 불순물이 침전되는 침전 실(77);
    상기 최종 침전 실 아래로 설치되어 내부 침전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배관(61);
    상기 각 폐수 온열회수 실 사이 측면(85)으로 설치되어 아래층 저 온수를 다음 폐수 온열회수 실로 흐르게 하는 S관(16);
    상기 각 폐수 온열회수 실 내부 폐수 층 위로 설치되어 폐수 위층 온열 기가 외부 면을 통해 내부 물 층으로 전도되면서 온열 기가 회수되는 복층 물 집열판(90);
    상기 각 복층 물 집열판을 서로 연결하여 냉수 유입과 회수된 온열 수를 이송시키는 배관(1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온열회수 실(200)은,
    윗면으로 설치되어 내부 폐수 내 온열 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는 단열 덮게(13);
    상기 폐수 온열회수 실 전체 바닥과 외부 4면 측면으로 설치되어 폐수 내 온열 기의 외부 전도를 차단하는 단열공간(24) 및 단열 층(2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에너지는,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온 열기를 지하로 저장 후 사용되는 온열 수 저장실(180);
    건물 후면 북향 지하로 설치되어 영하 냉기로 생산된 얼음을 저장하는 빙고(500); 지하로 설치되어 내부 축열재 층(27)으로 외부 열기를 순환시켜 축열재 층으로 열기를 저장하는 축열 실(120);
    상기 건물 후면 지하로 설치되어 내부 축 냉 재 층(27)으로 외부 냉기를 저장하여 저장된 냉기를 활용하는 축 냉 실(150)이 포함 구성된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빙고(500)는,
    내부로 냉기를 순환시켜 냉기를 축 냉 하는 내장재 전체로 설치된 축 냉 재 층(27);
    상기 축 냉 재 층 외부 주위로 설치된 단열공간(24) 및 단열 층(25);
    상기 빙고 내부 위에서 건물 후면 외부 지면으로 설치되어 얼음이 이송되는 경사통로(57);
    상기 경사통로로 지면입구로 설치된 문(21);
    상기 경사통로 내부로 설치되어 빙고 내 온기배출과 외부 냉기 유입을 개폐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
    상기 빙고로 저장되는 얼음을 생산하면서 일측 면이 경사로 설치되어 얼음이 이송되는 경사 작업대(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빙고(500)는,
    빙고 냉기를 활용하기 위해 빙고 측면으로 설치된 농수산물 저장고(55);
    상기 빙고 내부와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사이로 설치되어 빙고 냉기가 농수산물 저장고로 전도되는 냉기전도 벽(34);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로 설치된 통풍선반(66);
    상기 농수산물 저장고 상하로 설치되어 농수산물 저장고 내부 온기 배출과 내 외기를 순환시키는 배관(19)
    상기 배관으로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빙고는,
    상기 빙고 냉기를 활용하기 위해 빙고 측면으로 설치된 냉방(89);
    상기 빙고와 냉방 사이로 설치되어 빙고 냉기가 냉방으로 전도되는 냉기전도 벽(34);
    상기 냉방 천정으로 설치되어 상기 냉기전도 벽과 측면으로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빙고 냉기를 개폐 조절하는 냉기 차단막(67);
    상기 냉방 내부 상하로 설치되어 냉방 내부 온기 배출과 외부 외기를 냉방 내부로 순환시키는 배관(19);
    상기 배관으로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실(120)은,
    상기 축열재 층(27) 외부 주위로 설치되는 막(12);
    상기 막 외부 주위로 설치되는 단열공간(24) 및 단열층(25);
    상기 축열재 층과 연통 되어 막 상하로 연결 설치된 배관(19);
    상기 배관으로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는 개폐조절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실(120)은,
    상기 축열 실 열기를 활용하기 위해 축열 실 측면으로 설치되는 열 방(89);
    상기 축열 실 내부와 상기 열 방 사이로 설치되어 축열 실 열기가 열 방으로 전도되는 열기전도 벽(34);
    상기 열 방 천정에서 측면으로 열기전도 벽과 일정공간 층을 두고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축열 실 열기를 개폐 및 조절하는 열기 차단막(6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2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또는 복층벽체(99)는;
    온수를 사용하는 실내 천정이 위층 바닥과 공간을 두고 경사로 설치된 천정으로 공기순환 관통구멍(51)이 위로 돌기 형태로 다수로 설치된 경사 천 정(91);
    상기 경사 천정 위 공간 층과 상기 복층벽체 측면 관통구멍을 통해 복층벽체 내부 통로와 연통 된 복층벽체 일부분으로 설치된 수증기회수 실(38);
    상기 수증기회수 실 내부로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 내 수분을 부착시켜 제거하는 유리구슬; 및
    상기 수증기회수 실이 연결된 복층벽체 내부 아래 측면 실내로 설치된 관통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2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벽체(99)는,
    복층벽체 상하 사이로 설치된 식품저장고(54);
    상기 복층벽체와 연결된 식품저장고 상하로 설치된 관통구멍(51);
    상기 관통구멍으로 설치된 공기정화시설;
    상기 식품저장고 내부로 설치된 통풍선반;
    상기 식품저장고와 연결된 복층벽체 상하와 지하 지온흡수관(17) 또는 빙고(500) 사이로 왕복 연결된 배관(19);
    상기 배관으로 설치되어 지온 및 냉기를 순환시키는 별도동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2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벽체(99)는,
    상기 복층벽체 상하 사이로 설치된 공기 샤워실(69);
    상기 복층벽체와 연결된 공기 샤워실 상하로 설치된 관통구멍(51);
    상기 관통구멍으로 설치된 공기정화시설;
    상기 복층벽체 아래로 배관이 연결되어 배관 타 측 단 부로 연결되어 외부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관(20); 및
    상기 공기 샤워실 위로 연결된 복층벽체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샤워실 내부 상승기류가 배출되는 내기배출관(8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2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붕(93)은,
    지붕 복층 투명 층 내부로 실존 피라미드 각도로 설치된 기 수련 실(80);
    상기 경사지붕 내부로 설치되어 위 복층 투명 층(3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자외선이 차단된 원적외선 일광욕실(39)을 포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에너지 생산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KR1020110130011A 2011-02-11 2011-12-07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KR20120092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2435 2011-02-11
KR1020110012435 2011-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91A true KR20120092491A (ko) 2012-08-21

Family

ID=4688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011A KR20120092491A (ko) 2011-02-11 2011-12-07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24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954A (ko) * 2013-03-18 2014-10-15 구자호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KR101482974B1 (ko) * 2013-11-25 2015-01-23 (주)자연에너지 연구소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954A (ko) * 2013-03-18 2014-10-15 구자호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KR101482974B1 (ko) * 2013-11-25 2015-01-23 (주)자연에너지 연구소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8217B (zh) 太阳能空气加热/降温系统
CN101799196B (zh) 新型浅层地能、太阳能、风能一体化建筑空调系统
JP5067730B2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
US20110214364A1 (en)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CN203654489U (zh) 一种太阳能热虹吸通风与储热供暖系统
KR20100006531A (ko) 지열과 대류차 내외기순환을 이용한 자연에너지 활용방법.
CN201747080U (zh) 生态房结构
KR20100106040A (ko) 친환경 조립식 웰빙주택.
KR20140104073A (ko) 친환경 다기능 폐열회수형 공조시스템
KR101182306B1 (ko) 친환경 자연건강 웰빙주택
KR101480303B1 (ko) 1-자연에너지 생산 시설과 생활 편의시설 및 인체건강 시설이 주변과 내부로 설치된 자연환경 조립식 건축물.
CN103898852A (zh) 太阳能除尘排热系统
CN1856646B (zh) 用于与建筑物结合的能量传递系统
CN108265782B (zh) 一种用于建筑楼宇的雨污水处理装置
KR101378205B1 (ko)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CN206654755U (zh) 一种太阳能海水淡化装置
KR20120092491A (ko)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CN110145135B (zh) 一种公共卫生间
CN203050154U (zh) 一种绿色环保节能建筑
CN205955043U (zh) 一种双工况热管被动式太阳房
CN211973813U (zh) 一种节能建筑
CN207934101U (zh) 一种用于建筑楼宇的雨污水处理装置
KR101357003B1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20110132259A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20150040710A (ko) 태양,자연, 자연순환의 원리와 기존 건축물의 구조변환을 활용한 자연에너지 생산과 저비용 자연에너지 생산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