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974B1 -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974B1
KR101482974B1 KR1020130143483A KR20130143483A KR101482974B1 KR 101482974 B1 KR101482974 B1 KR 101482974B1 KR 1020130143483 A KR1020130143483 A KR 1020130143483A KR 20130143483 A KR20130143483 A KR 20130143483A KR 101482974 B1 KR101482974 B1 KR 10148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space
indo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사분
Original Assignee
(주)자연에너지 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에너지 연구소 filed Critical (주)자연에너지 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14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자연을 활용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건축물 냉난방과 인체 건강 시설을 모두 외부 자연에서 저비용으로 해결하는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건축물을 보면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냉난방 에너지를 거의 부존자원 에너지에 의존하게 되면서 부존자원 에너지 과다 사용에 따른 일산화탄소 과다 배출로 이어져 지구촌 곳곳으로 발생 되는 이상기후에 의한 환경재앙 발생과 환경변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 진행 등의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또한 냉난방 에너지를 외부 자연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개인 생활경제 향상과 기존건축물의 문제점인 인체 질병 발생 문제점 또한 자연의 원리로 해결할 수 있게 되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면서 건축물 설치비용 또한 기존 건축물로 설치되는 환기시설과 냉난방 설치비용 및 인체 건강시설 비용으로 본 자연환경 건축물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 건축물 설치비용과 거의 동일한 건축물 설치비용으로 외부 자연을 활용 냉난방 에너지 문제 해결과 질병예방 및 환경 문제까지 모두 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즉 건축물이 자연과 결합 되면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까지 모두 외부 자연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지구 환경까지 복원할 수 있게 되는 미래 우리 인류가 살아가야 할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A device and method to construct inexpensive airtight buildings with natural interior environment capable of providing heating and cooling and promoting health in nature.}
본 발명은 외부 자연을 활용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건물 냉난방과 인체 건강 시설을 모두 외부 자연에서 저비용으로 해결하는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건축물을 보면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냉난방 에너지를 거의 부존자원 에너지에 의존하게 되면서 부존자원 에너지 과다 사용에 따른 일산화탄소 과다 배출로 이어져 지구촌 곳곳으로 발생 되는 이상기후에 의한 환경재앙 발생과 환경변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등의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또한 냉난방 에너지를 외부 자연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개인 생활경제 향상과 기존건축물의 문제점인 인체 질병 발생 문제점 또한 자연의 원리로 해결할 수 있게 되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면서 건축물 설치비용 또한 기존 건축물로 설치되는 환기시설과 냉난방 설치비용 및 인체 건강시설 비용으로 본 자연환경 건축물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 건축물 설치비용과 거의 동일한 건축물 설치비용으로 외부 자연을 활용 냉난방 에너지 문제 해결과 인체 질병예방 및 환경 문제까지 모두 저 비용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설치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즉 건축물이 자연과 결합 되면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까지 모두 외부 자연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지구 환경까지 복원할 수 있게 되는 미래 우리 인류가 살아가야 할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건축물에서의 냉난방 에너지는 부존자원 에너지인 가스, 석유, 전기 및 우라늄을 활용한 원자력 발전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면서 부존자원 에너지 특유의 일산화탄소 배출로 이어져 외부 환경을 저해하고 있으며 비교적 청정 에너지로 곽광 받고 있는 우라늄을 활용한 원자력 발전 또한 사용 후 배출되는 폐기물 처리문제와 관리문제로 발생 되는 방사능피해를 초래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지구촌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을 활용한 대체에너지 개발이 속속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 개발된 자연관련 에너지는 그의 모두 기존 부존자원을 사서 사용하는 비용대비 그 설치비용이 높게 형성되면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높은 비용 부담으로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이 없으면 비용 문제로 상용화에 발목이 잡혀 정부 지원만큼의 시설에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저비용 자연에너지 활용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기존 건축물의 문제점인 인체 질병발생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또한 자연에너지를 활용할 수 없는 기존 건축물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여 외부 자연을 활용 냉난방 에너지를 외부 자연에서 생산 활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구조변환을 통해 기존 건축물에서 부존자원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냉난방 시설비용과 환기시설 비용 및 인체 건강시설 설치 비용으로 냉난방과 자연환기 및 인체 건강을 모두 외부 자연에서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연환경 건축공법을 활용한 저비용 자연환경 건축물을 설치하여 반 연구적으로 평생 냉난방과 인체건강을 모두 외부 자연에서 해결하는 방법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을 자연 순환의 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건축물의 구조변환과 건축물을 외부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태양 에너지와 지온 및 음지 냉기를 활용 냉난방을 외부 자연에서 해결하면서 내 외기 자연 순환으로 유해균의 증식을 차단하여 인체 질병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자연의 원리로 상기 문제점을 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 내부를 자연 순환의 원리를 활용하기 위해 지면 위로는 건축물 내부 통로와 연결된 지면 위 외기유입 실이 설치되고 건축물 외벽과 건축물 상단 부 내기배출관을 활용한 내기배출구가 각각 설치되어 지면 외기유입 실과 건축물로 설치된 내기배출 구 설치 처 상하 높이 차 즉 온도차에 의해 대류 차 원리로 건축물 내부로 내 외기를 대류 순환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건축물은 외장재를 복층 구조로 밀폐시켜 내외부 공기의 출입을 차 단 시키면서 외장재 전면을 통해 복층 공간으로 전도되는 외기, 냉 열기를 각각 복층공간에서 대류 차 원리로 계절별로 최종 내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복층공간을 단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공간은 외기유입과 전도가 외장재 복층 공간을 통해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실내 공간은 외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냉난방 효율이 향상된 밀폐된 실내 공간으로 지면 축열 통로와 건축물 외장재 복층공간으로 설치된 축 열판과 햇빛 가리 게에서 각각 생산된 태양의 복사열을 지하 축열 실로 저장시켜 사용하고, 지면 외기유입 실과 연결된 지온생산 통로에서 생산되는 지온과 건축물 음지 냉기를 계절별로 각각 실내 공간으로 대류 순환시켜 냉난방과 내외기 대류순환으로 자연환기가 이루어져 유해균이 살 수 없는 실내 환경 조성으로 인체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기존 건축물로 설치되는 냉난방시설과 환기시설 및 인체건강시설 대신 그 비용으로 지면 위 이동식 축열 통로와 지하 축열 실 및 건축물 내부 각종 내외기 순환통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지하 축열 실과 지온생산통로로 활용되는 재질이 모두 자연재질인 자연석과 황토 흙이 사용되어 설치비용이 높지 않게 되면서 아무런 기능이 없는 기존 건축물과 그의 비슷한 비용으로 냉난방과 인체 건강시설을 설치하여 한번 본 시설이 설치되면 건축물 수명과 함께 평생 무료로 상기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문제점이 자연과 자연의 원리를 활용 저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건축물 자연 냉난방에 따른 부존자원 고갈 방지 효과.
내 외기 실내 자연 대류순환으로 유해균이 살 수 없는 실내 환경 조성으로 인체 질병예방과 건축물 내장재의 유해균에 의한 부식 차단으로 내장재 수명 연장 효과.
외장재 또한 태양 빛이 닫는 그곳에서 복사열을 생산하는 투명 재 사용으로 투명 유리 특유의 긴 수명으로 외장재 수명연장 효과 및 내외장재 각 수명연장으로 전체 건축물 수명연장 효과.
냉난방 에너지 절감과 인체 질병차단에 따른 보건비용 절감으로 인류 생활경제 향상 효과,
외부 외기의 영향을 받지않고, 유해균과 유해 충 실내공간 출입 차단으로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력과 안전한 방역공간 형성효과,
건축물에서의 일산화탄소배출 감소로 지구환경재앙 차단 및 지구 온난화 진행차단 효과,
인체 질병차단에 따른 인체건강 향상으로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무한 인류 삶의질 개선 등의 효과가 발생함.
도 1은 본 발명 자연환경 건축물의 자연 관련시설 내부구조 설치 예 입단면도.
본 발명은 외부 자연을 활용 그 건축물에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건축물 냉난방과 인체 건강시설을 외부 자연에서 저비용으로 해결하는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은 도면과 같이 밀폐 외장재 내부 각 상하층으로 각종 실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각층 다수 상하 수직 벽이 설치된 각층 상하 수직 벽을 활용 각층 실내공간으로 내외기를 대류 차 원리로 순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각층 상하 수직 벽 일부분으로 상하 수직통로가 각층 상하 수직 벽으로 연결설치되고 또한 각층 상하 통로와 연결된 건축물 상단부로 내기배출구가 설치된 내기배출관이 적정 높이로 건축물 상단부로 설치되어 각층 실내 내기를 각층 상하 수직 통로와 수직통로와 연결된 내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각층 실내공간과 연결된 각층 외벽 상하 수직통로 위 내기배출구가 각층 외장재로 설치되어 각층 실내공간 내기를 각층 외장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건축물 내부 실내공간으로 외부 외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하는 외기유입구가 실내공간과 연결되어 각층 외장재로 설치되고 또한 건축물 내부 상하 수직 통로와 연결된 지면 위로 외기유입 실이 설치되어 외기유입 실 외장재로 설치된 외기유입구를 통해 지면 쪽 외부 외기와 각층 외장재를 통해 각층 외장재 쪽 외부 외기를 각각 실내 공간에서 유입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물 내부로 내외기를 순환시키는 상기 대류 차 원리를 설명하면, 외부 외기를 최종 실내 공간으로 유입하는 외기유입구와 실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배출구가 각각 대류 차 내외기 순환을 활용하기 위해 외기유입구는 상기 내기배출구보다 적정 아래 위치로 설치되고 또한 내기 배출구는 상기 외기유입구보다 일정 간격 적정높이 위로 각각 설치되어 각 외기유입구와 내기배출구 설치 상하 높이 차에 의한 상하 각 온도차에 의한 전체 대류 차 원리를 활용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실내 내기가 내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함께 외부 외기가 외기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즉 각 외기유입구 설치 처 외부 외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대류 차 내외기 순환 방법과,
또한 상기 온도차에 의한 상하 대류 차 원리를 활용 밀폐된 건축물 내부에서 태양 빛과 인체체온 및 가전제품 등에 의해 발생 되는 열기에 의한 높은 온도 상승기류가 넓은 실내 공간에서 점차 좁은 통로 내부로 모이면서 발생 되는 병목 현상에 의한 통로 내 상승기류 상승 풍력이 통로 내부에서 최고조에 달하면서 통로 내부에서 발생 되는 상승기류 상승배출풍력과 함께 밀폐된 건축물 내부로 외부 냉온 열기가 각각 실내 공간으로 빨려들어가는 현상 즉 강제대류 현상에 의해 각 외기유입구 설치 처 외부외기를 각각 실내공간으로 유입 활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외부 냉기 실내 유입은 상기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보다 상기 상승기류에 의한 강제대류순환을 활용한 외부 냉기 실내 유입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유리하며 또한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을 활용 냉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건축물에서의 내 외기 순환방법은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 방법과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을 활용한 상승기류 상승배출 풍력에 의한 강제대류순환의 2가지 방법을 각각 활용하게 되면서 외부 외기유입구를 배관 통로를 활용 원거리로 설치하여 외기유입구 설치 처 숲 속이나 물가 등 원하는 곳 외부 외기를 선택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외부 외기 선택활용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자연환경 건축물은 외장재가 복층 단열 공간 구조로 밀폐되어 내 외부 공기의 출입을 복층 단열공간에서 차 단 시키면서 외장재 전면을 통해 복층 공간으로 전도되어 형성되는 복층 공간 외기, 냉 열기를 각각 복층 단열공간 공기층을 활용 차 단 시키거나 대류 차 원리로 복층공간 내 냉 열기를 각각 최종 내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면서 실내 공간은 외기유입과 전도가 밀폐 외장재 복층 공간을 활용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실내 공간은 외부 외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어 냉 난방 효율이 향상된 밀폐된 실내 공간으로 지면 축열 통로와 건축물 외장재 복층공간 내부로 설치된 각 축 열판 및 햇빛 가리 게로 태양 빛에 의해 축열 생산된 태양의 복사열을 유입하거나 또는 지하 축열 실로 저장시켜 활용하면서 지면 외기유입 실과 연결된 지하 지온생산 통로에서 생산되는 지온과 건축물 북향 음지 냉기를 계절별로 각각 실내 공간으로 대류 차 원리로 순환시켜 냉난방과 내외기 대류순환을 활용한 자연환기가 이루어져 유해균이 살 수 없는 실내 환경 조성으로 인체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비용 또한 기존 건축물로 설치되는 냉난방시설과 환기시설 및 인체건강시설 비용으로 본 자연환경 건축물은 지면 위 이동식 축 열 통로와 지하 축열 실 및 건축물 내부 각종 내외기 순환통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축열실과 지온생산통로로 활용되는 재질이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 재질인 자연석과 황토 흙이 소재가 되면서 재질 구입비용이 높지 않게 되면서 기존주택과 그의 동등한 비용으로 냉난방과 인체 건강시설을 모두 본 자연환경 건축물로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한번 본 시설이 설치되면 건축물 수명과 함께 평생 무료로 상기시설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자연과 자연의 원리를 활용 저비용으로 냉 난방과 인체 건강 시설을 설치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에 있어서,
건축물 내부로 외부 공기와 유해 충 출입 차단 및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 전체 외부로 설치된 밀폐 외장재(30)와,
또한 상기 밀폐 외장재 내부 전체 공간으로 단층 또는 상하 다수 층 각층으로 설치된 상하 수직벽체(51)와, 상기 수직벽체를 활용한 각층 각종 실내 공간(90)과,
또한 상기 각층 상하 수직벽체 일부분으로 각층 상하 벽이 통로로 연결 설치된 각층 수직벽체를 활용한 각층 상하통로(50)와
또한 상기 건축물 실내 공간으로 내 외기와 유해 충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밀폐 단열 문이 문과 문 사이로 일정간격 공간이 형성된 이중 밀폐 출입문과,
또한 상기 밀폐 외장재 내부 각층 각종 실내공간과 연결된 각 통로와 연결되어 내 외기를 실내 공간으로 대류 차 원리 또는 실내 상승기류 배출 풍력을 활용 순환시키는 각 외기유입 구(10)와, 각 내기배출 구(20)와,
또한 상기 각 외기유입구와 상기 각 내기 배출구 각 사이 통로로 연결되어 실내공간으로 순환되는 내 외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시설과,
또한 상기 각층 각 통로와 연결되어 태양 빛을 활용 생산된 복사열을 각층 실내공간으로 대류 공급하는 지면 또는 상기 외장재로 각각 설치된 다수 축 열 통로(60)와,
또한 상기 다수 축 열 통로와 배출통로 사이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 축 열 통로에서 생산된 복사열을 내부 축 열 재로 대류 차 원리로 전도 축 열 및 저장하는 축열 실(70)과,
또한 상기 각 내외기가 순환되는 곳 또는 각 통로로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 사용할 수 있는 개폐조절기(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 외장재(30)는,
투명과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단층 또는 내부로 공간 층이 형성된 복층 및 복 복층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복층 내부 공간으로는 다수 지지대를 활용 설치된 다수 내외기 순환통로(50) 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장재로 설치된 밀폐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장재 투명재질은 유리, P V C, 재질 등 태양 빛을 유입시킬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고, 불투명재질은 각종 벽돌, 자연석, P V C, 흙 벽 등으로 재질사용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전후면 재 사이로 공간 층이 형성된 복층으로 설치되어 복층 공간으로는 전 후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설치된 다수 상하 통로 형태로 설치되어 자체 공간 대류에 의해 높은 온도 내기는 상승기류가 되어 최종 내기배출 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전면 재를 통해 외부 냉기가 복층 공간으로 전도되어 내부 복층공간으로 형성되는 냉기는 자연 대류순환으로 배출이 되지 않고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외기유입구와 내기배출 구 설치 상하 높이 차 온도차에 의한 전체 대류 차 원리 또는 상승기류 배출풍력을 활용한 강제대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내외기 순환 통로로 설치된 개폐조절기에 의해 내외기 순환이 차단되면 자연대류에 의한 상하 통로 내 상승기류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장재 전면을 통해 외부 냉 열기가 복층 공간으로 전도되면서 복층 공간으로 형성되는 냉 열기는 각각 상기 전체대류와 내부 상승기류에 의한 강제대류를 활용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면서 실내 공간으로의 외부 외기 직접전도는 복층 단열공간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복층 공간 내외기 순환통로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지 않고 개폐조절기를 활용 정지시키면 내외기 순환통로 내부 공간은 공기 특유의 냉 열기의 전도가 잘 되지 않는 이점을 활용 단열 단 냉 공간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재 복층 공간 즉 내외기 순환통로를 2중으로 복 복층으로 설치하면 실내 공간 단열 단 냉 효율이 더욱 증가 되면서 외부 외기의 실내공간 전도가 차단 된 즉 실내 공간은 외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장재 복층 단열공간 층을 3중 4중 및 그 이상으로 설치하면 할수록 실내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발생 되며,
또한 복층 공간 층을 2중~ 3중~ 4중으로 설치 시 복층 공간 단열 단 냉 효율은 초기 복층 단열효율에 비해 삼각형 형태의 미미한 효과가 발생 되며 따라서 설치비용을 감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제비용을 감안 가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재로 설치되는 재질을 전면은 투명 유리를 사용하고 이후 추가되는 단열 공간 후면으로 설치되는 후면 재는 P V C 재질 박 층으로 설치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설치비용에 부담을 덜 수 있어 저비용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층 공간 내외기 순환은 각 통로로 설치된 개폐조절기에 의해 개폐 및 조절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개폐조절기 또한 P V C 재질 박 층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설치비용에 부담을 덜 수 있어 저비용 설치가 가능하게 되면서,
또한 각 통로로 설치되는 개폐조절기를 일정 공간을 두고 이중 복층으로 설치하면 복층 공간을 활용 단열 단 냉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공간 단열 단 냉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로 환기용으로 설치되는 다수 이동식 문 설치 대신 외장재를 복층으로 밀폐시켜 상기와 같이 밀폐된 복층공간을 단열공간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복층공간으로 전도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복층공간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전도되는 계절별 냉온 열기를 복층공간에서 계절별로 각각 차 단 또는 실내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어 실내공간은 외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 실내 공간 냉난방 효율 향상과 비용문제 해결 및 내외기 순환통로를 활용한 실내공간 전체 공기 정화시설(물, 소독 수, 필터 활용 정화)로 유해 충과 유해균 차단 및 황사, 미세먼지 차단과 외부로 유행성 질병 만연시 실내 공간은 방역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밀폐 외장재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외장재를 통해 비상문 또는 물품 수납용 문을 설치할 때는 전체 밀폐 외장재와 같이 문이 닫혀 지면 공기가 새지 않는 밀폐 복층 문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또한 내외기 순환통로를 자연 건조실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활용방법은, 음식 쓰래 기를 탈수 후 망 자루 내부로 내장 한 채 내 외기 순환통로 내 통풍 선반 위로 올리면 음식 쓰래 기 사이로 내외기 대류 순환과 함께 온 열기 상승기류가 음식물 쓰래 기 사이 공간으로 순환되면서 수분 쓰래 기 가열 및 수분 쓰래 기로 함유된 수분 최종 외부 배출로 단시간에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자연건조를 할 수 있으며 기타 농수산물 등의 수분이 함유된 물질도 모두 자연건조시켜 장기저장 및 사용할 수 있는 자연 건조실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층 상하통로는(50),
건축물 내부 각층 상하통로 상하 측면으로 각각 설치된 내외기 순환 구(55)와,
또한 상기 내외기 순환 구로 설치된 개폐조절기(11)가 더 포함 설치되어 실내공간 내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층 상하통로 측면 위 내외기 순환 구를 활용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 대류에 의해 실내 공간 위층으로 형성되는 복사열 상승기류를 최종 내기배출 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면서 상승기류 배출 풍력으로 음지 냉기 및 지면 외기유입 실과 연결된 지온생산통로(50)에서 각각 생산된 지온을 각각 최종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면서 실내 공간은 내부 복사열 배출과 외부 각 냉기 실내 공간 유입으로 자연냉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층 실내공간 상하통로 측면 아래로 설치된 내외기 순환 구는 겨울철과 같이 추운 날 대류에 의해 실내 공간 아래층으로 형성되는 냉기를 전체 대류 차 원리를 활용 외부로 강제 배출하면서 지면 태양 빛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복사열과 지면 축 열 통로에서 태양 빛에 의해 생산된 복사열 또는 지면 축 열 통로에서 생산된 복사열을 저장하는 축열 실에서 각각 별도통로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면 실내공간은 내부 냉기 배출과 외부 온 열기 실내공간 유입으로 난방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자연환경 건축물은 대류 차 원리 및 강제대류 순환을 활용하지 않고 별도 동력 팬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 실내 공간으로 내 외기와 유해 충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밀폐 단열 문이 문과 문 사이로 일정간격 공간이 형성된 이중 밀폐 출입문이 설치되어 출입문을 통해 외부 외기 실내공간 출입 차단 및 실내 내기 외부배출을 각각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공간은 외부 외기의 영향을 받지않게 되어 냉난방 효율이 향상되면서 또한 유해 충 출입 또한 차단할 수 있어 방역공간으로 실내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출입문 구조는, 문이 단열용으로 문이 닫혀 지면 내 외부 공기출입이 차단되는 냉장고 문과 같은 밀폐 단열구조로 설치되어 문과 문 사이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일정간격 공간이 설치되어 1차 문을 열고 출입 후 1차 문을 닫은 후 2차 문을 열고 최종 실내공간으로 진입하는 구조와 방법으로 출입을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밀폐문을 3중 이상으로 사용자 임의로 설치 사용하여 외부로 유행설 질병만연시 실내공간은 유해 충과 유해균으로부터 안전한 방역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 구(10)는,
건축물 실내공간과 연결되어 외장재로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건축물 내부 통로와 연결된 외장재(30)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건축물 내부 통로가 지하로 연장 매설되어 지하로 연장 매설된 통로와 연결되어 지면위로 별도 외기유입 실(15)이 설치된 외기유입 실 내부 필터층이 설치된 필터층 외부 주위 외장재 관통구멍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 실과 연결되어 지하로 매설된 지하통로는, 내 외부로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관통구멍이 설치된 통로 주위로 설치된 자연석 층과 자연석 층 위로 황토 고체 층(71)이 더 포함 설치되어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으로 외기유입구를 통해 지면 위 음지 냉기와 태양 빛에 의해 남향 지면에서 생산되는 복사열을 각각 통로 외부 주위로 설치된 자연석 층으로 각각 전도 축열 저장시켜 실내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복사열은 자연석 층 위로 음지 냉기는 대류에 의해 아래 자연석 층으로 각각 전도 축열 축 냉 시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외기유입 실은 필요 수량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연석 층 위로 설치되는 황토 고체층은 통로 위로 설치된 자연석 층 위로 설치되어 위 자연석 사이 공간으로 떨어지는 흙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대류에 의해 위 자연석 층 사이 공간을 통해 상승 된 복사열을 최종 황토 고체층으로 저장 후 황토 고체층으로 저장된 복사열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며 황토 고체층은 황토벽과 같이 미세 분말 흙으로 물과 혼합되어 상기 자연석 층 위와 좌우로 반원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통로 주위로 설치된 관통구멍과 자연석 층 사이 공간을 통해 주위 지반 층 지온과 수분이 통로 내부로 유입되면서 수분이 함유된 지온을 활용 실내공간 냉난방 보조와 수분을 활용 겨울철 부족한 실내공간 수분 활용으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유리 구설 등으로 구성된 수분 제거 실을 설치하여 실내 수분 순환 량을 각각 조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재로 설치되는 외기유입구는 각층 별로 남향 또는 북향으로 실내공간과 직접 연결 설치되거나 내부 각 통로와 연결되어 외기유입구 설치 처 주위 외부 외기를 실내공간에서 각각 활용할 수 있게 되며 활용 방법은 각층으로 설치된 상하 수직 벽 통로 측면 위로 설치된 내외기 순환 구(55)로 설치된 개폐조절기를 열면 실내 상승기류가 내외기 순환 구와 상하 수직통로 위를 통해 최종 외부로 상승 배출되는 상승기류 상승풍력으로 외벽 외기유입구를 통해 외기유입구 설치 처 주위 외부 외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면서 남향 외기유입 구로 외부 외기를 유입하면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 유해균이 멸균된 순수 공기와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지면과 건축물 외벽에서 각각 생산된 태양의 복사열을 실내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북향 외기유입 구로 외부 외기를 유입하면 태양 빛이 닫지 않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음지 냉기를 실내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지온생산 통로(50)에서 외기를 유입하면 지하 지온과 수분을 각각 실내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재로 설치되는 외기유입구 주위로는 비바람 막이 설치되어 외부 비와 바람을 각각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기배출구(20)는,
상기 외기유입구와 같이 남향과 북향 외장재 외벽 통로와 연결된 외벽 또는 건축물 내부 각층 각 통로와 연결되어 건축물 상단 부 상하 수직으로 설치된 통로형 내기배출 관(80) 위 주위로 설치되며 내기배출구(20) 주위로 비바람 막이 설치되거나 회전용 배 풍기가 설치되며 또한 통로 내부로 개폐 조절기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내기 배출량을 개폐 및 조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기배출관 사용재질은 재질사용에 제한 없이 모든 재질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경량 재질 박 층 금속과 P V C 등을 단층 또는 박 층 복층으로 사용하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외기유입구와 상기 각 내기 배출구 각 사이 통로로 연결되어 실내공간으로 순환되는 내 외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시설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와 실내공간에서 사용 후 배출하는 내기 내 먼지를 각각 정화할 수 있어 내 외부 모두 청결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공기정화 방법은 필터, 물, 소독수 등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모든 정화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 밀폐건축물은 기존의 창문을 이용한 환기방법이 아닌 별도 내 외부 통로를 활용 실내공간으로 순환되는 내외기를 지정된 통로를 통해 내외기를 각각 대류순환시킬 수 있게 되면서 실내공간으로 순환되는 내외기 또한 사용자 임의로 통제할 수 있는 기존 건축물과 차별된 내외기 선택활용권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활용 실내공간으로 순환되는 내외기 순환통로를 활용 상기와 같이 공기 정화시설을 설치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 취향에 따라 필터, 물, 소독수 등을 활용 유입되는 외기 내 불순물과 유해 충 및 유해균의 실내공간 출입을 각각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실내 공간을 방역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물질문명 발달로 인한 유해물질 공해로부터 안전한 독립된 실내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면서 특히 황사, 미세먼지, 유해균 등의 실내공간 유입을 각각 차단할 수 있어 기존 건축물과 차별된 웰빙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열통로(60)는,
전후면(61~62) 투명 재 또는 후면(62)만 불투명으로 구성된 전후면 사이 복층 공간으로 축열 판(63)이 내장된 전체가 경사로 설치되어 전면 투명 재를 통해 유입된 태양 빛이 통로 내 축열 판에 닫으면서 빛이 닫는 축열 판 표면에서 빛이 열로 변하여 복사열이 축열 판 표면을 통해 후면 축열 재로 전도 축열 되면서 생산된 복사열이 주변 공기로 전도되어 생산되는 상승기류가 경사 통로 위로 상승하여 실내공간 또는 지정 처 축열 실로 이송 저장된다.
또한 축열통로 외장재 사용 재질은 P V C, 방부 목, 금속, 합성 목 등 사용재질에 제한 없이 사용되며 특히 단열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 복사열의 외부 전도를 차단하는 단열공간과 단열재로 외부가 구성된다.
또한 축열 판은 금속판이 사용되며 재질사용에 제한 없이 복사열을 축열 할 수 있는 자연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자연석과 금속판 사용시 외부 태양 빛이 닫는 표면은 흑색 무 광택으로 설치하면 검정 색 특유의 축열효율 향상과 무 광택으로 빛의 외부 반사를 차단하여 유입된 태양 빛을 거의 축열재로 축열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열 실(70)은,
지하 또는 실내공간으로 설치되어 윗 층으로 황토 고체층(71)이 설치된 황토 고체층 아래로 다수 축열재(77) 자연석 층이 상하 적정높이와 면적으로 설치된 전체 주위로 단열재(34)와 단열공간 층(35)이 각각 설치되어 내부 열을 보온할 수 있게 되며 자연석 층 위로 설치되는 황토 고체층은 미세 황토분말을 물과 혼합시켜 고체화한 지붕 형태로 설치되며 축열 실 내부 복사열을 실내공간으로 최종 이송시키는 통로가 주위 황토 고체층보다 높게 전체를 경사로 설치하여 내부 복사열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황토 고체층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복사열 통로로는 개폐조절기를 이중 복층으로 설치하여 복사열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축열 실(70)은 지하 지반 층으로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저비용 설치 방법은 건축물 아래 바닥층을 축열 실 지붕으로 사용하고 내부 축열재 자연석 층 4 측면과 지하 지반 층 사이로 단열 판을 2중 복층으로 설치하여 내부 복층 공간으로 각 지지대를 설치하여 단열공간으로 사용하고 단열 판 지반 층 측면으로는 단열재를 설치하면 별도 콩크리트 벽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순수 자연재질로 축열실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저비용으로 축열실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 외장재(30)는,
상기 복층 외장재 후면으로 단열공간(35)과 내장재(22)가 추가되는 방법으로 외장재 내측으로 단열공간을 복층 또는 복 복층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단열 공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실내 단 냉 단열 효율이 향상되어 외부 외기의 영향을 받지않게 되면서 실내 공간 냉난방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경제비용을 감안 건축물 설치위치 환경에 따라 가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방법에 있어서,
지면 다수 축열 통로(60)와 건축물 남향 외장재 내외기 순환 통로(50) 각 전면 투명 재를 통해 내부 축 열판(63) 또는 햇빛가리개(63)로 태양 빛 유입단계:
상기 태양 빛이 유입되어 축열 판 또는 햇빛가리개로 복사열이 축열 되면서 축열 된 복사열이 밀폐 공간 내부 공기층으로 전도되면서 생산되는 복사열 생산단계:
상기 생산된 복사열이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을 활용 축열 실(70) 내부 위 자연석 층(77) 각 축열재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축열 실 내부는 자체 대류에 의해 위 자연석 층과 황토 고체층(71)에서부터 점차 전체 자연석 층으로 복사열을 전도 축 열 시키면서 대신 유입된 복사열 량만큼의 내부 온기가 전체 대류에 의해 자연석 층 사이 공간 아래로 하향하여 아래 통로(50)를 통해 최종 통로 위 내기배출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축열 실 내부로 복사열 축열과 내부 온기 배출이 계속 반복되면서 축열 실 전체로 복사열을 축 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방법.
상기 태양 빛 유입단계에 있어서,
태양 빛이 유입되어 투명 외장재(30)를 투과하여 실내공간 바닥과 벽 등의 축열 물체로 닫으면서 바닥과 벽 등으로 복사열이 축열 되면서 축 열 된 복사열이 주위 공기로 복사열을 전도시키면서 생산되는 복사열 상승기류 생산단계:
상기 상승기류가 대류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위 좁은 내기배출 관(80) 또는 내부 각 통로를 통해 최종 위 내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 되는 상승기류 상승풍력 발생으로 외기유입 선택 활용단계:
상기 외기유입 선택 활용으로 각각 유입되는 외기를 남향과 북향으로 각각 설치된 외기유입구를 통해 태양의 자외선에 의한 멸균된 공기와 태양의 복사열과 북향 음지 냉기와 지하 지온생산 통로에서 각각 생산된 지온 및 지면 축열 통로와 지하 축열 실로 각 생산 및 저장된 복사열을 각각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켜 실내는 내외기 순환으로 자연환기와 인체 건강 및 계절별 냉 난방을 각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방법.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자연환경 건축물은 지금과 같은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개인 생활경제 향상과 인류 질병예방 및 지구 환경을 총체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미래 우리 인류가 살아가야 할 건축물이 될 것이며,
또한 본 발명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응용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 또한 자명한 것이다.
10; 외기유입구 11; 개폐조절기
12; 비바람 막 15; 외기유입 실
16; 필터층 20;내기배출 구
22; 내장재 30; 밀폐 외장재
34; 단열재 35; 단열 공간
50; 통로~ 지온생산 통로 51; 수직벽체
55; 내외기 순환 구 60; 축열 통로
61; 전면 재 62; 후면 재
63; 축 열판~ 햇빛가리개 70; 축열 실
71; 황토고체층 77; 축열재~ 자연석 층
80; 내기배출관 90; 실내 공간
100; 베란다 110; 다용도실 200; 지면

Claims (10)

  1.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에 있어서,
    내외부 공기와 유해 충 출입 차단 및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 전체 외부로 설치된 밀폐 외장재(30):
    상기 밀폐 외장재 내부 전체 공간으로 단층 또는 상하 다수 층 각층으로 설치된 상하 수직벽체(51)와, 수직벽체를 활용한 각층 각종 실내 공간(90):
    상기 각층 상하 수직벽체 적정 처 일부분으로 각층 상하 벽이 통로로 연결 설치된 각층 상하통로(50):
    상기 실내 공간으로 내 외기와 유해 충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밀폐문이 문과 문 사이로 일정간격 공간 층이 형성된 이중 밀폐출입문:
    상기 밀폐 외장재 내부 각층 각종 실내공간과 연결된 각 통로와 연결되어 내 외기를 실내 공간으로 대류 차 원리 또는 실내 상승기류 배출 풍력을 활용 순환시키는 외기유입구(10)와 내기배출구(20):
    상기 외기유입구와 내기 배출구 사이 통로로 연결되어 실내공간으로 순환되는 내 외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시설:
    상기 각층 각 통로와 연결되어 태양 빛을 활용 생산된 복사열을 각층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지면 또는 상기 외장재 복층 공간으로 설치된 다수 축열통로(60):
    상기 다수 축열통로와 배출통로 사이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 축열통로에서 생산된 복사열을 내부 축열재로 대류 차 원리로 저장하는 축열 실(70):
    상기 각 내외기가 순환되는 곳 또는 각 통로로 설치되어 내 외기 순환을 개폐 및 조절 사용할 수 있는 개폐조절기(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장재(30)는,
    투명과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단층 또는 내부로 공간 층이 형성된 복층 및 복 복층:
    상기 복층 내부 공간으로 다수 지지대를 활용 설치된 다수 내외기 순환통로(50):
    상기 외장재로 설치된 밀폐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층 상하통로는(50),
    각층 상하통로 상하 측면으로 각각 설치된 내외기 순환 구(55):
    상기 내외기 순환 구로 설치된 개폐조절기(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 구(10)는,
    외장재로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통로와 연결된 외장재(30)로:
    상기 건축물 내부 통로가 지하로 연장 매설되어 지하로 연장 매설된 통로와 연결되어 지면위로 설치된 외기유입 실(15):
    상기 지하로 매설된 통로가 내 외부로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관통구멍이 설치된 주위로 설치된 자연석 층 또는 자연석 층 위로 설치된 황토 고체층(7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배출구(20)는,
    외장재로 직접 설치되거나 내부통로와 연결된 외장재 또는 건축물 내부 각층 각종 실내공간과 연결된 각 통로와 연결되어 건축물 상단부 상하 수직으로 설치된 통로 형 내기배출 관(80) 위 주위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통로(60)는,
    전후면(61~62) 모두 투명 재 또는 후면(62)만 불투명으로 구성된 전후면 사이 복층 공간으로 축 열판(63)이 내장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 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실(70)은,
    지하 또는 실내공간으로 설치되어 윗 층으로 황토고체층(71)이 설치된 황토고체 층 아래로 다수 축 열 재 층(77)이 상하 적정높이와 면적으로 설치된 전체 주위로 단열재(34)와 단열 공간 층(35)이 각각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장재(30)는,
    외장재 내측으로 단열 공간(35)과 내장재(22)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외장재 내측으로 단열공간이 복층 또는 복 복층 이상으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9.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방법에 있어서,
    지면 다수 축열 통로(60)와 건축물 남향 외장재 내외기 순환 통로(50) 각 전면 투명 재를 통해 내부 축 열판(63) 또는 햇빛가리개(63)로 태양 빛 유입단계:
    상기 태양 빛이 유입되어 축열 판 또는 햇빛가리개로 복사열이 축열 되면서 축열 된 복사열이 밀폐 공간 내부 공기층으로 전도되면서 생산되는 복사열 생산단계:
    상기 생산된 복사열이 전체 대류 차 내외기 순환을 활용 축열 실(70) 내부 위 자연석 층(77) 각 축열재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축열 실 내부는 자체 대류에 의해 위 자연석 층과 황토 고체층(71)으로 복사열을 전도 축 열 시키면서 대신 유입된 복사열 량만큼의 내부 온기가 전체 대류에 의해 자연석 층 사이 공간 아래로 하향하여 아래 통로(50)를 통해 최종 통로 위 내기배출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축열 실 내부로 복사열 축열과 내부 온기 배출이 계속 반복되면서 축열 실로 복사열을 축 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빛 유입단계에 있어서,
    태양 빛이 유입되어 투명 외장재(30)를 투과하여 실내공간 바닥과 벽 등의 축열 물체로 닫으면서 바닥과 벽 등으로 복사열이 축열 되면서 축 열 된 복사열이 주위 공기로 복사열을 전도시키면서 생산되는 복사열 상승기류 생산단계:
    상기 상승기류가 대류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위 좁은 내기배출 관(80) 또는 내부 각 통로를 통해 최종 위 내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 되는 상승기류 상승풍력 발생으로 외기유입 선택 활용단계:
    상기 외기유입 선택 활용으로 각각 유입되는 외기를 남향과 북향으로 각각 설치된 외기유입구를 통해 태양의 자외선에 의한 멸균된 공기와 태양의 복사열과 북향 음지 냉기와 지하 지온생산 통로에서 각각 생산된 지온 및 지면 축열 통로와 지하 축열 실로 각 생산 및 저장된 복사열을 각각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켜 내외기 순환으로 자연환기와 인체 건강 및 계절별 냉 난방을 각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방법.

KR1020130143483A 2013-11-25 2013-11-25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48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483A KR101482974B1 (ko) 2013-11-25 2013-11-25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483A KR101482974B1 (ko) 2013-11-25 2013-11-25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974B1 true KR101482974B1 (ko) 2015-01-23

Family

ID=5259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483A KR101482974B1 (ko) 2013-11-25 2013-11-25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9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259A (ko) * 2010-05-29 2011-12-07 구자선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20120092491A (ko) * 2011-02-11 2012-08-21 구자선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259A (ko) * 2010-05-29 2011-12-07 구자선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20120092491A (ko) * 2011-02-11 2012-08-21 구자선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Review of passive heating/cooling systems of buildings
Moosavi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atria: An overview of natural ventilation effective designs
JP2009264721A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一層式)
JP2009127921A (ja) 採冷システム
Lekhal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a residential house equipped with a combined system: A direct solar floor and an earth–air heat exchanger
JP2014062727A (ja) 建築物の冷暖房システム
KR20140104073A (ko) 친환경 다기능 폐열회수형 공조시스템
Al-Shamkhee et al. Passive cooling techniques for ventilation: an updated review
KR101480303B1 (ko) 1-자연에너지 생산 시설과 생활 편의시설 및 인체건강 시설이 주변과 내부로 설치된 자연환경 조립식 건축물.
US8776467B2 (en) Climate positive building envelope for housing
Raof Developing vernacular passive cooling strategies in (Kurdistan-Iraq)
Nikolic et al. Basic principles of passive solar heating
KR101482974B1 (ko) 냉난방과 인체 건강을 자연에서 해결하는 저비용 밀폐식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장치 및 방법.
Buonomano et al. NZEBs in Mediterranean climates: energy design and optimization for a non-residential building
JP5410112B2 (ja) 建物の換気構造
KR20110132259A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JP2014015711A (ja) 壁体内通気層を利用した建物の輻射熱冷暖房システム
KR20100100516A (ko) 저탄소 친환경 주거공간 시스템
KR101357003B1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101482995B1 (ko) 건축물 지하실과 지하 지온순환 통로 및 내외기 순환을 활용한 농산물저장실과 실내 냉난방 장치.
Magaji et al. Analysing the performance of passive cooling system in Buildings: designing natural solution to summer cooling loads and Architectural Interventions
RU76946U1 (ru) Здание "экодом-2"
Al-Sallal Passive and low energy cooling
KR101490285B1 (ko) 복층 내 공간의 태양에너지 활용장치 및 방법.
CN204043124U (zh) 一种升温式太阳能无动力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