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205B1 -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 Google Patents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205B1
KR101378205B1 KR1020120106951A KR20120106951A KR101378205B1 KR 101378205 B1 KR101378205 B1 KR 101378205B1 KR 1020120106951 A KR1020120106951 A KR 1020120106951A KR 20120106951 A KR20120106951 A KR 20120106951A KR 101378205 B1 KR101378205 B1 KR 10137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warm
pump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에버그린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에버그린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에버그린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0Floors, roofs, or bottoms; False bot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발전소 터빈을 냉각시킨 온배수를 바다로 흘려보내는 온배수 관로의 온배수를 온배수 취수관을 통해 온배수탱크로 공급하는 취수펌프와,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와 1차 열매체와의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수단과, 상기 열교환수단에서 온배수와의 열교환 된 1차 열매체와 열교환을 통해 2차 열매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2차 열매체가 순환하며 농수산물이 놓여지는 건조대에 구비되는 온열파이프와,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가 순환가능하며 지하에 지열을 흡수하기 위한 열교환 루프와,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를 열교환 루프를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냉각에 사용되어 배출되는 온배수의 폐열 및 지열을 열교환을 통해 농수산물 건조용으로 사용하여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 drying facility using thermal effluent and terrestrial heat}
본 발명은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 설비의 구조를 개선하고 발전소의 냉각용으로 사용하고 배출되는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해 농수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상태에서 유통 및 판매되는 고추, 약초, 약재와 같은 농산물 또는 건어물, 미역과 같은 수산물은 자연풍과 태양에 의해 자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건조 방법은 넓은 건조공간이 필요하고,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건조할 수 없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온풍을 강제로 순환시키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대량으로 농수산물을 건조하고 방식이 최근에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많은 전기에너지가 사용되어 건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의 경우에는 발전기 터빈을 냉각시켜주기 위해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된 후 배출하는데 이와 같은 온배수는 고온의 물로서, 주위의 수온과 보통 7 ~ 10 ℃의 온도차가 생긴다.
특히 온배수의 영향으로 발전소 주변의 환경조건이 변화해 해조류, 어란에 피해를 주는 등 생태계 파괴 염려가 있어 온배수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냉각용으로 사용한 온배수의 폐열 및 지열을 이용해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설비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농수산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고 양질의 건조 농수산물을 얻을 수 있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전소 터빈을 냉각시킨 온배수를 바다로 흘려보내는 온배수 관로의 온배수를 온배수 취수관을 통해 온배수탱크로 공급하는 취수펌프와,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와 1차 열매체와의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수단과, 상기 열교환수단에서 온배수와의 열교환 된 1차 열매체와 열교환을 통해 2차 열매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2차 열매체가 순환하며 농수산물이 놓여지는 건조대에 구비되는 온열파이프와,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가 순환가능하며 지하에 지열을 흡수하기 위한 열교환 루프와,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를 열교환 루프를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 설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조대는 지면의 바닥 상부에 구비되어 지면 하부로의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온열파이프 고정대를 안착시킨 후 온열파이프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착하고, 상기 온열파이프의 상부에는 와이어 매쉬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대 바닥 상부에는 덮개 구조물이 구비되되 상기 덮개 구조물은, 벽체와 지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 구조물의 일측면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구조물의 타측 상부에는 덮개 구조물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배수 관로의 온배수는 취수펌프의 구동에 의해 온배수 취수관을 통해 온배수탱크로 공급하고, 상기 온배수탱크의 온배수는 배수펌프의 구동에 의해 온배수 배수관을 통해 온배수 관로로 배출되며, 상기 온배수 취수관 또는 배수관에는 각각 누수 검지기와 유량계를 장착하여 누수 검지기 또는 유량계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제어판넬은 취수펌프 및 배수펌프의 구동을 정지하고, 취수관 밸브를 잠그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배수 취수관의 입구측에는 제1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온배수탱크에는 제2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배수의 온도보다 낮으면 취수펌프 및 배수펌프를 구동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배수의 온도가 온배수탱크의 제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보다 낮으면 취수펌프 및 배수펌프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냉각에 사용되어 배출되는 온배수의 폐열 및 지열을 열교환을 통해 농수산물 건조용으로 사용하여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온배수의 폐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서 온배수를 배출하는 온배수 관로 및 발전소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생태계 주변의 환경 개선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설비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굴뚝효과를 이용해 농수산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양질의 건조 농수산물을 단기간에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설비 바닥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의 덮개 구조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덮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설비의 또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는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터빈(1)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 취수로(10)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면 이를 이용해 발전소 터빈(1)을 냉각시킨 온배수를 온배수 관로(20)를 통해 바다로 흘려보낸다.
본 발명은 고추, 약초, 약재와 같은 농산물, 물고기나 미역과 같은 수산물의 건조를 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설비로, 온배수 관로(20)의 온배수를 온배수 취수관(132)을 통해 온배수탱크(152)로 공급하는 취수펌프(150)와,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와 1차 열매체와의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수단(100)과, 상기 열교환수단(100)에서 온배수와의 열교환 된 1차 열매체와 열교환을 통해 2차 열매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히트펌프(120)와, 상기 히트펌프(120)에 의해 가열된 2차 열매체가 순환하며 농수산물 건조대(200)에 구비되는 온열파이프(2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가 순환가능하며, 지하에 지열을 흡수하기 위한 열교환 루프(170)를 지하에 설치하여 겨울철에도 건조를 위한 에너지원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배수는 순환펌프(171)의 구동에 따라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를 열교환 루프(170)를 따라 순환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온배수 관로(20)의 온배수를 취수펌프(150)를 구동하여 온배수 취수관(132)을 통해 온배수탱크(152)로 공급되며, 온배수탱크(152) 내의 온배수는 온배수 배수관(153)을 통해 온배수 관로(20)로 배출시킨다.
상기 열교환수단(100)은 온배수탱크(152)내의 온배수와 1차 열매체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수단(100)은 합성수지재 파이프인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ip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코일 형상으로 말아 온배수와 1차 열매체의 열교환 효율을 높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배수는 발전소 터빈(1)을 냉각한 후 배출시 일 예로 35℃이며, 열교환을 통해 1차 열매체를 35℃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110)의 구동에 의해 열교환수단(100)에서 열교환된 1차 열매체는 순환하며 히트펌프(120)에서 2차 열매체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히트펌프(Heat Pump)(120)에는 인가된 전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메인스위치가 있고, 난방이나 냉방을 위한 전환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메인스위치를 온(on)시키면 압축기(Compressor)와 순환 펌프가 기동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를 난방 위치에 놓으면 난방을 위한 사이클이 구동되고, 냉방 위치에 놓으면 냉방을 위한 사이클이 구동된다. 이와 같은 히트펌프(120)의 냉난방 메커니즘은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09521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公知)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은 히트펌프(Heat Pump)(120)를 거쳐 열교환수단(100)인 코일 형상의 합성수지재 파이프로 회수되며 일 예로 25℃로 하강하게 된다. 물론, 열교환수단(100)으로 회수되는 1차 열매체는 다시 온배수탱크(152) 내의 온배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Heat Pump)(120)를 통해 가열된 2차 열매체는 일 예로 60℃이며, 이는 건조대(200)에 구비되는 온열파이프(210)를 순환하며 건조대(200) 상부에 널어 놓는 고추, 약초, 약재, 물고기, 미역 등의 농수산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온열파이프(210)를 순환한 2차 열매체는 다시 히트펌프(Heat Pump)(120)로 회수되는데 이의 온도는 일 예로 30℃이다.
한편,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는 겨울철 같은 경우에는 건조를 위한 에너지원을 확보하는데 지열을 이용함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온배수는 순환펌프(171)의 구동에 따라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를 열교환 루프(170)를 따라 순환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 루프(170)는 일 예로 지하 300m 이상의 깊이로 수직식 Loops를 설치하거나, 수직식 Loops 설치가 불가능한 지형에는 수평형의 두루마리식 루프(Slinky Loops)를 설치하여 순환수를 지열과 열 교환을 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200)는 지면(200a)의 바닥 상부에 구비되어 지면 하부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층(20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온열파이프 고정대(202)를 안착시킨 후 온열파이프(210)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착하고, 상기 온열파이프(210)의 상부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와이어 매쉬(203)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 매쉬(203)의 구멍크기는 직경 1mm이하로서 참깨씨가 빠지지 않는 구조이며 표층으로부터 15cm이상 이격시켜 통풍이 원활하도록 한다. 그리고 온열 파이프(210)는 온열파이프 고정대(202)에 고정한다. 그리고 지면(200a)의 바닥 상부의 반사층(201)은 복사열의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은박지나 검은색계열로 표면처리 한다.
물론, 상기 건조대(200)는 일정 두께의 판재 하부에 온열파이프를 일체로 고정한 단순 구조로 구성하거나, 고무판의 내부에 온열파이프를 내장한 구조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200)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구조물(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 구조물(300)은 건조대에 산성비를 비롯한 소나기, 또는 황사 등 미세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고 온실 형태로 수분을 증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덮개 구조물(300)은 벽체(310)와 지붕(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 구조물(300)의 일측면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구조물(300)의 타측 상부에는 덮개 구조물(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32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덮개 구조물(300)은 굴뚝 효과(Stack effect)를 이용하기 위한 구조이다. 굴뚝 효과(Stack effect)란, 고층 건축물이나 굴뚝, 가스관 등에서 부력에 의해 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다. 부력은 온도와 습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 밀도 차에서 발생하며, 이것은 양 또는 음의 방향을 가지는 힘으로 나타난다. 이는 자연 환기를 돕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 예로 건물에서의 굴뚝 효과를 살펴보면, 건물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굴뚝 효과는 건물로의 공기 유입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난방을 하는 동안(일반적으로 겨울) 따듯한 실내 공기는 상승한다. 상승한 따뜻한 공기가 열려 있는 문, 창문, 또는 다른 열려있는 출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나가는 것은 건물 아래층의 기압을 낮추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건물 아래층의 기압이 낮아지면 똑같이 열려 있는 문, 창문 등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되고, 이 차가운 공기는 난방으로 인해 다시 가열됨으로써 이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굴뚝효과를 이용하는 덮개 구조물(300)의 지붕(320)은 굴뚝(322) 쪽은 높고 공기유입구(312) 쪽은 낮게 경사지게 형성하여 공기유입구(312)로 유입되는 외기가 건조대(200) 상부에 놓여진 농수산물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머금고 굴뚝(322)으로 빨리 배출되게 함으로서 농수산물의 수분 증발을 촉진시킨다.
이때, 덮개구조물(300)의 굴뚝(322) 상단에는 환기팬(324)을 구비하고, 덮개 구조물(300)은 건조대 바닥 상부에서 30 ~ 50㎝ 높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 구조물(300)을 이용해 건조대(200) 상부에 놓여지는 농수산물을 건조하고 버려지는 폐 공기열은 굴뚝(322)으로 빠지게 되는데 이때의 열이 여름의 한낮에는 50 ~ 60℃정도에 이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공기 열은 굴뚝(322) 내부의 열교환코일(330)을 통해 순환되는 1차 열매체와 열교환되어 별도의 히트펌프(340)을 통하여 2차 열매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별도의 온배수탱크(152)의 물을 가열한다. 이와 같이 가열된 온수탱크(350)의 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수산물 건조를 위한 히트펌프(120)로 순환하면서 햇볕이 없는 밤이나 비가 올 때 건조대(200)를 가온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온배수 관로(20)의 온배수를 취수펌프(150)를 구동하여 온배수 취수관(132)을 통해 온배수탱크(152)로 공급한다. 그리고 온배수탱크(152) 내의 온배수는 열교환수단(100)과의 열교환을 한다. 즉, 열교환수단(100)은 합성수지재 파이프인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ipe)로서, 온배수탱크(152) 내로 취수된 온배수와 열교환을 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는 온배수 배수관(153)을 통해 온배수 관로(20)로 배출시킨다. 이 경우 상기 온배수 배수관(153)에는 배수펌프(15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하면 온배수의 폐열을 획득하기 위하여 다량의 바닷물을 이송하는 중에 온배수 취수관(132) 또는 배수관(153)이 파손되어 누수가 될 경우 농지 등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누수를 감지하여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온배수 취수관(132) 또는 배수관(153)에는 각각 누수 검지기(156)와 유량계(157)를 장착하여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취수펌프(150) 및 배수펌프(154)의 구동을 정지하고, 취수관 밸브(155)를 잠기도록 제어한다. 즉, 누수 검지기(156)를 통해 온배수 취수관(132) 또는 배수관(153)에서 누수가 감지되거나, 취수펌프(150) 및 배수펌프(154)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유량계(157)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누수로 판단하여 공지의 제어판넬(140)이 취수펌프(150) 및 배수펌프(154)의 구동을 정지하고 취수관 밸브(155)를 잠근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온배수 취수관(132)의 입구측에는 제1온도센서(160)를 구비하고, 온배수탱크(152)에는 제2온도센서(16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어판넬(140)은 온배수 취수관(132)의 입구측 제1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된 온배수의 온도에 비해 온배수탱크(152)의 제2온도센서(164)에서 감지된 온도가 낮으면 취수펌프(150) 및 배수펌프(154)를 구동하여 온배수탱크(152) 내의 온배수의 온도를 높여 1차 열매체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인다.
반면에 온배수 취수관(132)의 입구측 제1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된 온배수의 온도가 온배수탱크(152)의 제2온도센서(164)에서 감지된 온도에 비해 낮으면 취수펌프(150) 및 배수펌프(154)를 정지하여 온배수탱크(152) 내의 온배수만으로 1차 열매체와의 열교환함으로서 열교환 효율의 급격한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건조 설비는 화력 또는 원자력 발전소의 온배수 폐열 및 지열을 이용가능한 것으로, 여름철에는 각종 농수산물의 건조에 활용하고, 겨울철에는 온실 난방용으로 활용가능한 재생에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건조 설비는 원자력 발전소의 온배수 폐열뿐만 아니라 지열도 건조를 위해 재사용함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발전소 터빈 10: 냉각수 취소로
20: 온배수 관로 100: 열교환수단
110: 순환펌프 120: 히트펌프
132: 온배수 취수관 140: 제어판넬
150: 취수펌프 152: 온배수탱크
153: 온배수 배수관 154: 배수펌프
155: 취수관 밸브 156: 누수 검지기
160,164: 온도센서 200: 건조대
210: 온열파이프 300: 덮개 구조물
322: 굴뚝

Claims (5)

  1. 발전소 터빈(1)을 냉각시킨 온배수를 바다로 흘려보내는 온배수 관로(20)의 온배수를 온배수 취수관(132)을 통해 온배수탱크(152)로 공급하는 취수펌프(150)와,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와 1차 열매체와의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수단(100)과, 상기 열교환수단(100)에서 온배수와의 열교환 된 1차 열매체와 열교환을 통해 2차 열매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히트펌프(120)와, 상기 히트펌프(120)에 의해 가열된 2차 열매체가 순환하며 농수산물이 놓여지는 건조대(200)에 구비되는 온열파이프(210)와,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가 순환가능하며 지하에 지열을 흡수하기 위한 열교환 루프(170)와,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를 열교환 루프(170)를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200)는 지면(200a)의 바닥 상부에 구비되어 지면 하부로의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층(20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온열파이프 고정대(202)를 안착시킨 후 온열파이프(210)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착하고, 상기 온열파이프(210)의 상부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와이어 매쉬(203)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대(200) 바닥 상부에는 덮개 구조물(300)이 구비되되,
    상기 덮개 구조물(300)은, 벽체(310)와 지붕(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 구조물(300)의 일측면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구조물(300)의 타측 상부에는 덮개 구조물(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3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 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322) 내부에는 열교환코일(330)을 설치하여 열교환코일(330)을 순환하는 1차 열매체와 열교환되어 히트펌프(340)을 통하여 2차 열매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온배수탱크(152)의 물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 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배수 관로(20)의 온배수는 취수펌프(150)의 구동에 의해 온배수 취수관(132)을 통해 온배수탱크(152)로 공급하고, 상기 온배수탱크(152)의 온배수는 배수펌프(154)의 구동에 의해 온배수 배수관(153)을 통해 온배수 관로(20)로 배출되며,
    상기 온배수 취수관(132) 또는 배수관(153)에는 각각 누수 검지기(156)와 유량계(157)를 장착하여 누수 검지기(156) 또는 유량계(157)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제어판넬(140)은 취수펌프(150) 및 배수펌프(154)의 구동을 정지하고, 취수관 밸브(155)를 잠그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 설비.
  5. 삭제
KR1020120106951A 2012-09-26 2012-09-26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KR10137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51A KR101378205B1 (ko) 2012-09-26 2012-09-26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51A KR101378205B1 (ko) 2012-09-26 2012-09-26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205B1 true KR101378205B1 (ko) 2014-03-24

Family

ID=5064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51A KR101378205B1 (ko) 2012-09-26 2012-09-26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2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01B1 (ko) 2015-10-21 2016-10-07 권영목 이중관을 이용한 발전소용 열교환장치
KR101756099B1 (ko) * 2016-06-23 2017-07-10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지열원 열펌프열풍건조기
KR101897226B1 (ko) 2017-11-08 2018-09-10 주식회사 한라엔지니어링 온배수를 이용한 열 공급 시스템
CN109489403A (zh) * 2018-11-13 2019-03-19 科希曼电器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循环空气源热力烘干机
US11187211B2 (en) 2019-11-07 2021-11-30 Intertech Co., Ltd. Energy suppl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672Y1 (ko) 2006-04-28 2006-07-31 (주)일진기건 히트펌프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양어장용 열회수 가온 장치
KR101095213B1 (ko) 2009-10-01 2011-12-16 박기택 해수를 이용한 지역 냉난방 및 온수 공급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672Y1 (ko) 2006-04-28 2006-07-31 (주)일진기건 히트펌프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양어장용 열회수 가온 장치
KR101095213B1 (ko) 2009-10-01 2011-12-16 박기택 해수를 이용한 지역 냉난방 및 온수 공급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운영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01B1 (ko) 2015-10-21 2016-10-07 권영목 이중관을 이용한 발전소용 열교환장치
KR101756099B1 (ko) * 2016-06-23 2017-07-10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지열원 열펌프열풍건조기
KR101897226B1 (ko) 2017-11-08 2018-09-10 주식회사 한라엔지니어링 온배수를 이용한 열 공급 시스템
CN109489403A (zh) * 2018-11-13 2019-03-19 科希曼电器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循环空气源热力烘干机
US11187211B2 (en) 2019-11-07 2021-11-30 Intertech Co., Ltd. Energy suppl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205B1 (ko) 발전소 온배수 및 지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설비
JP5067730B2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
US20100025008A1 (en) Geothermal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System
JP6820199B2 (ja) 太陽熱制御システム
CN102715040B (zh) 屋架太阳能集热式日光温室
WO2009030110A1 (fr) Type de système de thermorégulation active sans production de mouvement et son procédé
KR102272623B1 (ko) 잔열 발생 최소화 및 자연에너지 활용이 가능한 온실구조
FR2957388A1 (fr) Cheminee solaire de production d'electricite, de recyclage d'eau et de production agricole
CN104652531A (zh) 一种基于珀尔帖效应的沙漠取水灌溉系统
KR101378186B1 (ko)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염전 설비
KR101061305B1 (ko) 우수를 이용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
CN206728740U (zh) 一种利用变频器或逆变器产生的热量进行温室大棚种植的装置
CN206452873U (zh) 一种用于温室大棚夜间保温的储水装置
KR100956063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KR20170033136A (ko) 옥상녹화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5623504U (zh) 一种太阳能暖棚
RU2636018C2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и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помещений
WO20151498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воды из атмосферного воздуха
JP5351210B2 (ja) 蓄熱空調システム
KR20130043303A (ko) 태양열과 연돌 효과를 이용한 풍력발전
CN107986360B (zh) 制造蒸馏水的简易装置
CN104961179B (zh) 间接吸热型太阳能平板一体式淡化装置
CN206651132U (zh) 一种利用变频器或逆变器产生的热量进行温室大棚种植的系统
CN208516137U (zh) 一种具备抗风、防雨、除湿功能的蓄热水池漂浮保温盖
KR20120092491A (ko)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