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954A -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 Google Patents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954A
KR20140120954A KR1020130028776A KR20130028776A KR20140120954A KR 20140120954 A KR20140120954 A KR 20140120954A KR 1020130028776 A KR1020130028776 A KR 1020130028776A KR 20130028776 A KR20130028776 A KR 20130028776A KR 20140120954 A KR20140120954 A KR 2014012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underground
natural
facilitie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호
Original Assignee
구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호 filed Critical 구자호
Priority to KR102013002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954A/ko
Publication of KR2014012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 Y02A40/966Powered by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에 관한 것으로,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속 자연을 활용한 자연형상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 지하로 건축물을 설치하여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으로는 각종 태양에너지 생산시설이 설치되고 지면 위로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 유해균이 멸균된 순수공기를 유입하는 멸균 외기유입 실이 실내공간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실내공간 위로는 실내 오염원을 대류의 원리로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배출관(매립형 굴뚝)이 설치되어 대류 차 원리로 실내 오염원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자연과 자연 순환의 원리를 활용 생활용수 생산, 멸균된 식용 수 생산, 복사열 생산, 각종 농수산물 저장실, 빙고를 활용한 저온저장고 등을 설치하여 생산 저장 및 활용하고 외부 산비탈 면과 평 지면을 활용 과수, 식용식물, 각종 동물을 키우면서 생활을 자립할 수 있는 즉 자연을 보전하면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조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A building in natural environment using underground of flatland connected to a mountain slope.}
본 발명은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 빛 유입이 용이한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 4 철 변함없이 적정지온이 유지되는 지하 지온과 함께 지하 건축물로 내외기를 자연 대류순환시켜 외부보다 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면서 자연을 활용한 각종 생활 에너지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편리하게 생활을 할 수 있고 또한 자연에너지와 생활 편의시설을 활용 인체 건강시설이 설치되어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또한 주변 산과 평지 지면으로 각종 과일 목과 식물 및 동물을 사육하여 생활을 자립하면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순수 자연을 활용한 자립형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의 산속 생활은 에너지를 모두 외부에서 조달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주변 나무를 이용하게 되면서 인력이 소요되어 육체적 노동이 요구되면서 따라서 산림을 해칠 수 있고 생활편의시설은 상기 에너지 문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인체건강시설은 주변 자연환경만이 유일한 인체건강시설이 되면서 주변 모기 등의 유해 충에 대한 방비 대책 없이 어렵게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경제전쟁이 치열한 도시생활에서 질병을 얻게 되어 치유의 목적으로 산속에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심신의 안정과 치유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택공급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속 자연을 활용한 자연형상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 지하로 건축물을 설치하여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으로는 각각 태양의 복사열생산과 태양전지판과 온수생산시설 및 태양의 자외선이 차단된 원적외선을 활용한 에너지생산과 인체건강시설로 활용할 수 있고,
지면 위로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 유해균이 멸균된 순수공기를 유입하는 멸균 외기유입 실이 설치되어 실내공간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실내공간 위로는 실내 오염원을 대류의 원리로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배출관(매립형 굴뚝)이 설치되어 대류 차 원리로 실내 오염원을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공간으로는 오염원이 존재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지면위로 태양의 자외선을 활용한 생활용수 생산과 멸균된 식용 수를 생산하는 수로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하로 각 저장실이 설치되어 배관으로 저장 및 활용하고,
또한 지하실과 측면 벽 지반 층 내부로 토굴저장실을 적정다수로 각각 설치하여 농수산물과 과일 고구마 감자 생강 등을 제철에 재배 장기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산비탈 면과 평 지면을 활용 과수, 식용식물, 각종 동물을 키우면서 생활을 자립할 수 있는 즉 자연을 보전하면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조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방법으로 상기문제점이 모두 해결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속 자연을 활용한 자연형상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 지하로 건축물을 설치하여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으로는 각각 태양의 복사열생산과 태양전지판과 온수생산시설 및 태양의 자외선이 차단된 원적외선을 활용한 에너지생산과 인체건강시설로 활용할 수 있고,
지면 위로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 유해균이 멸균된 순수공기를 아래 실내공간으로 유입하는 멸균 외기유입 실이 설치되어 배관으로 실내공간과 연결되고 실내공간 위로는 실내 오염원을 대류의 원리로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배출관(매립형 굴뚝)이 설치되어 상기 멸균 외기유입 실 외기유입구와 내기배출관 위 배출구 설치 위치 높이 차에 의한 대류 차 원리로 실내 오염원을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공간으로는 오염원이 존재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어 외부보다 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또한 지면위로 태양의 자외선을 활용한 생활용수 생산과 멸균된 식용 수를 생산하는 수로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하로 각 저장실이 설치되어 배관으로 저장 및 활용하고,
또한 상기 산비탈 경사면으로 설치된 복사열생산과 태양전지판과 온수생산시설에서 각각 생산된 복사열은 대류의 원리로 지하실로 저장되어 겨울철 난방용으로 사용되고,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로 취사, 야간전등, 산속 계곡물 등의 이송용 펌프 동력으로 사용되고, 온수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온열 수는 지하 온수저장실로 저장되어 족 열 실, 싸우나, 찜질방, 건조실 등으로 활용되고.
또한 지하실이 실내 아래 공간으로 설치되어 대류에 원리와 지반 층 지온 및 수분을 활용 각종 농수산물을 장기저장 활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면서 측면 벽 지반 층 내부로 토굴저장실을 적정다수로 각각 설치하여 과일 고구마 감자 생강 등을 제철에 재배 장기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산비탈 면과 평 지면을 활용 과수, 식용식물, 각종 동물을 키우면서 생활을 자립할 수 있는,
산속 자연형상을 그대로 보전하면서 자연에너지와 생활편의시설 및 인체건강시설을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질병치유와 문화생활을 하면서 생활을 자립할 수 있는 즉 자연을 보전하면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조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방법으로 상기문제점이 모두 해결이 된다.
자연에너지 생산활용이 용이한 이점을 활용 자연에너지와 생활편의시설 및 인체 건강시설을 각각 설치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인체 질병치유와 생활을 자립할 수 있게 되면서 환경을 자연 그대로 보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 예 입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 빛 유입이 용이한 남향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 4 철 변함없이 적정지온이 유지되는 지하 지온과 함께 지하 건축물로 내외기를 자연 대류순환시켜 외부보다 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면서 자연을 활용한 각종 생활 에너지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편리하게 생활을 할 수 있고 또한 자연에너지와 생활 편의시설을 활용 인체 건강시설이 설치되어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또한 주변 산과 평지 지면으로 각종 과일 목과 식물 및 동물을 사육하여 생활을 자립하면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순수 자연을 활용한 자립형 자연환경 건축물 설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자연에너지 활용이 용이한 산속 자연을 활용한 자연형상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 지하로 건축물을 설치하여 산비탈 경사면과 아래 평 지면으로는 각각 태양의 복사열생산과 태양전지판과 온수생산시설 및 태양의 자외선이 차단된 원적외선을 활용한 에너지생산과 인체건강시설로 활용할 수 있고,
지면 위로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 유해균이 멸균된 순수공기를 아래 실내공간으로 유입하는 멸균 외기유입 실이 설치되어 배관으로 실내공간과 연결되고 실내공간 위로는 실내 오염원을 대류의 원리로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배출관(매립형 굴뚝)이 설치되어 상기 멸균 외기유입 실 외기유입구와 내기배출관 위 배출구 설치 위치 높이 차에 의한 대류 차 원리로 실내 오염원을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공간으로는 오염원이 존재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어 외부보다 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또한 지면위로 태양의 자외선을 활용한 생활용수 생산과 멸균된 식용 수를 생산하는 수로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하로 각 저장실이 설치되어 배관으로 저장 및 활용하고,
또한 상기 산비탈 경사면으로 설치된 복사열생산과 태양전지판과 온수생산시설에서 각각 생산된 에너지 중 복사열은 대류의 원리로 지하실로 저장되어 겨울철 난방용으로 사용되고,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로 취사, 야간전등, 산속 계곡물 등의 이송용 펌프 동력으로 사용되고, 온수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온열 수는 지하 온수저장실로 저장되어 족 열 실, 싸우나, 찜질방, 건조실 등으로 활용되고.
또한 지하실이 실내 아래 공간으로 설치되어 대류에 원리와 지반 층 지온 및 수분을 활용 각종 농수산물을 장기저장 활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면서 측면 벽 지반 층 내부로 토굴저장실을 적정다수로 각각 설치하여 과일 고구마 감자 생강 등을 제철에 재배 장기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산비탈 면과 평 지면을 활용 과수, 식용식물, 각종 동물을 키우면서 생활을 자립할 수 있는,
산속 자연형상을 그대로 보전하면서 자연에너지와 생활편의시설 및 인체건강시설을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질병치유와 문화생활을 하면서 생활을 자립할 수 있는 즉 자연을 보전하면서 살아가는 대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조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방법으로 지하 자연환경 건축물이 된다.
또한 본 지하 자연환경 건축물은 상기 방법을 활용 측면과 계단식으로 산비탈 경사면 전체를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최종 층으로는 고층건물을 설치하여 아래 다수 계단식 자연환경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을 위 고층건물 한곳에서 일괄 외부로 공동배출할 수 있게 되면서 고층건물 상단부로 전망대를 설치하여 이웃이 화합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한적한 산속이 자연환경 건축물 단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전선만 연결되면 살아가는 대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조달 활용하면서 산속에서 문화생활을 할 수 있고 질병을 치유하는 유일한 장소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자립형 자연환경 건축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 또한 자명한 것이다.
10; 개폐조절기 20; 멸균 외기유입 실
30; 토굴 저장고 50; 점검 구
55; 식물재배 및 내외기 순환통로 벽 60; 토압 지지기둥
66; 토사 차단벽 70; 온수생산시설 및 태양 전지판
80; 집 열 통로 및 복층 창 88; 배수시설 및 지하수 활용시설
90; 매립형 굴뚝 99; 단열층 100; 축열 실 200; 온수 저장실 220; 실내 온수저장실 300; 지하실 500; 산비탈 550; 평 지면

Claims (6)

  1. 살아가는 대 필요한 물질을 외부 자연을 활용 자립하는, 지하 자연건축물에 있어서,
    건축물이 태양에너지를 생산하는 일부 외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이 모두 지하로 매립되어 내 외부 벽과 바닥 및 천정 일부 또는 전체가 내외기가 소통되는 공간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서로 연통된 다수 공기순환통로 시설:
    상기 다수 공기순환통로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외부 외기를 실내 각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외기유입실 시설:
    상기 다수 공기 순환 통로와 연결되어 건축물 위 상부에서 위 산비탈 경사지면을 따라 일정 기장 통로가 설치되어 위 일부 통로가 지상위 수직으로 굴곡 설치된 굴뚝 시설:
    상기 건축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 외벽 또는 지면과 산비탈면으로 각각 설치된 태양에너지(복사열, 고온수, 태양전지) 생산시설, 상기 태양에너지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복사열 또는 고온수를 저장하는 지하 축열실과 고온수 저장실, 빗물과 산수 또는 지하 지하수 층을 활용한 생활용수 생산시설, 상기 생산된 생활용수를 활용한 식용수 생산시설과 식용수 저장실, 겨울철 냉기를 활용 생산된 얼음을 저장하는 빙고로 구성되는 자연에너지 생산시설과 각 저장 시설:
    상기 자연에너지 생산시설 및 저장시설과 함께 주변 지반층 지온을 활용한 각종 농수산물 저장시설과 실내 음식물 저장시설, 실내 벽을 활용한 식용식물 재배시설, 내외기 순환통로를 활용한 자연건조 시설, 상기 자연에너지를 활용한 냉방, 열방, 족열시설, 찜질방, 사우나, 원적외선 일광욕 및 온수 사용 후 배출되는 폐온수 재활용시설로 구성되는 각종 생활편의 시설:
    상기 각 시설을 운영하는 자연 순환에너지인 대류 순환동력:
    상기 내류 순환동력을 개폐 및 조절하기 위한 개폐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자연건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 저장시설은,
    건축물로 내부로 설치된 농수산물 저장실과 농수산물 저장실 벽면에서 지반층으로 연장설치된 토굴 저장고 시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자연건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자연건축물은,
    건축물 아래 지반 층으로 침전물 배수시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자연건축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자연건축물은,
    아래 산비탈 지하에서 위 산비탈면 지하 로 건축물이 계속 연결설치되거나 또는 위 최종층은 지면 위 지상 위로 설치되어 각 아래 층 각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내기 상승기를 최종층 건축물 굴뚝 시설을 통해 공동 배출하거나 또는 각 건축물 별로 개별 배출되는 계단식 다수 지하 자연건축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자연건축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다수 지하 자연건축물은,
    지상 위 상층 저온 기류를 공동으로 각 건축물로 유입시키는 최종층 건축물 상단부로 설치된 굴뚝과 굴뚝 측면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층 외기를 건축물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외기유입통로가 추가된 내외기 공동순환통로 시설:
    상기 내외기 공동순환통로 내부로 설치되어 각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상승기류와 하강기류 각 상하순환 동력을 활용 발전을 하는 물레방아식 풍력발전기 시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자연건축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자연건축물은,
    건축물 아래 일부분만 지하로 매립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자연건축물.
KR1020130028776A 2013-03-18 2013-03-18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KR20140120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76A KR20140120954A (ko) 2013-03-18 2013-03-18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76A KR20140120954A (ko) 2013-03-18 2013-03-18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54A true KR20140120954A (ko) 2014-10-15

Family

ID=5199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776A KR20140120954A (ko) 2013-03-18 2013-03-18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95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820A (ko) * 2008-11-01 2010-05-11 구자선 지하를 이용한 건물과 보도 설치방법.
KR20100051180A (ko) * 2008-11-07 2010-05-17 구자선 산을 이용한 웰빙주택 설치방법.
KR20100106040A (ko) * 2009-03-23 2010-10-01 구자선 친환경 조립식 웰빙주택.
KR20110008013U (ko) * 2011-07-23 2011-08-12 김태섭 태양광의 유입을 제어하고 지하수를 이용하여 공조 기능을 하는 친환경 지하 건축물
KR20120092491A (ko) * 2011-02-11 2012-08-21 구자선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KR101182306B1 (ko) * 2008-10-18 2012-09-17 구자선 친환경 자연건강 웰빙주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06B1 (ko) * 2008-10-18 2012-09-17 구자선 친환경 자연건강 웰빙주택
KR20100048820A (ko) * 2008-11-01 2010-05-11 구자선 지하를 이용한 건물과 보도 설치방법.
KR20100051180A (ko) * 2008-11-07 2010-05-17 구자선 산을 이용한 웰빙주택 설치방법.
KR20100106040A (ko) * 2009-03-23 2010-10-01 구자선 친환경 조립식 웰빙주택.
KR20120092491A (ko) * 2011-02-11 2012-08-21 구자선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KR20110008013U (ko) * 2011-07-23 2011-08-12 김태섭 태양광의 유입을 제어하고 지하수를 이용하여 공조 기능을 하는 친환경 지하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6137C1 (en) Green indoor cultivation
Allen How buildings work: the natural order of architecture
US8371073B2 (en)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Widera Bioclimatic architecture
CN1302536A (zh) 多能立体生态工程设施
KR101480303B1 (ko) 1-자연에너지 생산 시설과 생활 편의시설 및 인체건강 시설이 주변과 내부로 설치된 자연환경 조립식 건축물.
CN206611879U (zh) 一种智能温室大棚
KR101182306B1 (ko) 친환경 자연건강 웰빙주택
Samuel et al. A Sustainable Approach for a Climate Responsive House in UAE: Case Study of SDME 2018 BAITYKOOL Project
RU2580583C1 (ru) Агробиокомплекс
KR20140120954A (ko) 산비탈과 이어진 평지 지하를 활용한 자연환경 건축물.
KR101357003B1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CN213881087U (zh) 种养间作的房子
KR20110132259A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Gandzha et al. Development of a concept of an energy-efficient house for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ettlement in the South Ural
KR20100048820A (ko) 지하를 이용한 건물과 보도 설치방법.
Neculai et al. HYPERBOLIC SUSPENDED GREENHOUSES
KR20100054957A (ko) 고층건물을 이용한 웰빙주택 설치방법.
KR20120092491A (ko) 자연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대중탕.
CN203049800U (zh) 新农村规划恒温滤气新型楼房
Arbona et al. Nature's technology: The fab tree hab house
Mohammadi et al. Principle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design in crowded residential complexes with an outlook to resuscitation of nature in architecture
Singh et al. Energy Efficiency in Indian Buildings: The Auroville Experience
KR20100051180A (ko) 산을 이용한 웰빙주택 설치방법.
KR20150040710A (ko) 태양,자연, 자연순환의 원리와 기존 건축물의 구조변환을 활용한 자연에너지 생산과 저비용 자연에너지 생산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