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707A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707A
KR20120091707A KR1020110011634A KR20110011634A KR20120091707A KR 20120091707 A KR20120091707 A KR 20120091707A KR 1020110011634 A KR1020110011634 A KR 1020110011634A KR 20110011634 A KR20110011634 A KR 20110011634A KR 20120091707 A KR20120091707 A KR 2012009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larization voltage
charge
power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200B1 (ko
Inventor
최루니
서기호
유사이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00B1/ko
Priority to US13/244,407 priority patent/US8773076B2/en
Publication of KR2012009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샘플링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샘플링된 충전 전류 및 상기 샘플링된 방전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는 충방전량을 산출하는 충방전량 산출부,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분극 전압 산출부, 및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펄스 생성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 전압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고, 배터리의 SOC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Battery management system, method of removing polarization voltage of battery and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 전압을 빠르게 제거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럽 연합에서는 전체 발전원 중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2020년까지 20%, 2050년까지 50%로 늘려가는 계획을 확정하였다. 미국도 신재생 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가 전체 발전원의 5%도 되지 않는 현재 상황에서 향후 30~40%까지 증가하는 상황에서 전력 시스템은 새로운 변화를 준비하여야 한다.
신재생 에너지는 발전량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량은 태양광, 풍력, 파력 등의 자연 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의 변동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의 전력 품질 저하, 생산과 소비 시점의 불일치 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력 품질은 전압과 주파수로 평가되는데, 신재생 에너지의 수급량이 실시간으로 일치하지 않게 되면 전압과 주파수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체 전력 시스템의 전력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의 변동성을 관리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전력 저장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전력 저장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량이 많을 때 전기를 충전하고, 소비량이 많을 때 전기를 방전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력 저장 기술에는 양수 발전, CAES(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플라이휠(Flywheel), 초전도 전력 저장(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SMES), 2차 전지 등이 있다. 양수 발전은 댐을 만들어 전기가 남을 때 물을 퍼 올리고, 전기가 모자라면 물을 방류하여 터빈을 돌림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CAES는 지하나 바다 속에 공기를 압축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공기를 방출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플라이휠은 전기가 남을 때 팽이를 회전시키고, 전기가 모자라면 돌고 있는 팽이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초전도 전력 저장은 저항이 0인 초전도 코일에 전류를 저장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2차 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정전시 임시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의 보조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력 저장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전력을 다수의 2차 전지가 연결된 대용량 2차 전지에 저장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상용 계통과 연계하여 상용 계통의 전력을 대용량 2차 전지(이하, 배터리라 함)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용 계통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저장 시스템에서 배터리는 전력의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면서 전력 저장 시스템의 주요 특성인 생산과 소비 시점의 불일치를 극복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는 배터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이하 SOC)가 정확하게 추정되어야 한다. 배터리의 SOC는 전압 측정에 의해 추정될 수 있으나,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극 전압에 의해 배터리의 전압이 정확히 측정되지 않는다. 배터리의 SOC는 전류 측정에 의해 추정될 수도 있으나, 전류 측정을 이용한 SOC 추정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초기 SOC를 알고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 전압을 빠르게 제거하여 배터리의 SOC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 전압을 빠르게 제거하여 배터리의 SOC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샘플링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샘플링된 충전 전류 및 상기 샘플링된 방전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는 충방전량을 산출하는 충방전량 산출부,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분극 전압 산출부, 및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펄스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방전량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상기 충방전량을 산출하고, 펄스 생성부는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 이후의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이후에 상기 배터리의 개방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개방전압 및 온도에 따른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SOC(state of charge)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분극 전압 산출부 및 상기 SOC 추정부에 전달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와 외부 장치를 연결시키고, 상기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와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 및 방전 전력을 소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은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는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배터리에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은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의 종료 시점에 산출될 수되는 배있다.
상기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상기 분극 전압이 양의 분극 전압일 때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되고, 상기 분극 전압이 음의 분극 전압일 때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개의 펄스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폭, 복수의 펄스 크기 및 복수의 펄스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은 배터리에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충방전량을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 이후의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이후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의 개방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상기 분극 전압이 양의 분극 전압일 때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되고, 상기 분극 전압이 음의 분극 전압일 때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개의 펄스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폭, 복수의 펄스 크기 및 복수의 펄스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 전압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고, 배터리의 SOC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된 경우에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방전이 수행된 경우에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수행된 경우에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100)은 전력 관리 시스템(110) 및 전력 저장장치(120)를 포함한다.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100)은 발전 시스템(130), 상용 계통(140) 및 부하(150)와 연결된다.
발전 시스템(130)은 태양광, 풍력, 파력, 조력, 지열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상용 계통(140)은 화력, 수력, 원자력 발전 등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보내기 위해 전압이나 전류의 성질을 바꾸는 변전소나 송전소 등을 포함한다.
부하(150)는 전력을 소비하는 각종 전기 구동 장치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정의 가전기기나 공장의 생산설비 등을 의미한다.
전력 관리 시스템(110)은 발전 시스템(130)의 전력, 상용 계통(140)의 전력, 전력 저장장치(120)의 전력 등의 전력 계통을 연계하는 시스템이다. 전력 관리 시스템(110)은 전력 저장장치(120)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의 생산 및 소비의 시간적 불일치를 관리할 수 있다.
전력 저장장치(12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한다. 2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nickel-cadmium battery),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nickel metal hydride battery), 리튬-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등이 있다. 전력 저장장치(120)는 복수의 2차 전지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팩(pack)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다수의 2차 전지가 연결된 대용량 2차 전지를 배터리라 한다.
한편,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전력 저장장치(120) 또는 전력 관리 시스템(110)에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팩에 포함된 각 셀의 전압, 전류, 온도를 검출하고 각 셀의 충전 상태(SOC) 및 수명(State of Health, 이하 SOH)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셀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과열 등으로부터 셀을 보호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에 따라 배터리에 생성되는 분극 전압을 제거하고 배터리의 SOC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방전량을 산출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산출된 충방전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산출하고,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배터리에 인가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분극 전압 리셋 펄스에 의해 배터리의 분극 전압이 제거된 후 배터리의 개방전압을 산출하고, 산출된 개방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SOC를 추정한다.
전력 관리 시스템(110)은 제1 전력 변환부(111), 제2 전력 변환부(112), 제3 전력 변환부(113), 제1 스위치(116), 제2 스위치(117), DC 링크부(118) 및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제1 전력 변환부(111)는 발전 시스템(130)에 연결되며,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되는 제1 전력을 제2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노드(N1)에 전달한다.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되는 제1 전력은 직류 전력 또는 교류 전력일 수 있고, 제1 노드(N1)의 제2 전력은 직류 전력이다. 즉, 제1 전력 변환부(111)는 직류의 제1 전력을 다른 크기의 직류의 제2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교류의 제1 전력을 직류의 제2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력 변환부(111)는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대 전력점 추종(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이하 MPPT)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1 전력 변환부(111)는 최대 전력점 추종 기능을 갖는 MPPT 컨버터일 수 있다.
DC 링크부(118)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며, 제1 노드(N1)의 전압 레벨을 일정한 DC 링크 전압 레벨로 유지시킨다. DC 링크부(118)는 발전 시스템(130)의 출력 전압의 변동, 상용 계통(140)의 순간적 전압 강하, 부하(150)의 최대 부하 발생 등으로 인하여 제1 노드(N1)의 전압 레벨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 전력 변환부(112) 및 제3 전력 변환부(113)가 정상 동작하도록 한다. DC 링크부(118)는 제1 노드(N1)와 제2 전력 변환부(11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DC 링크용 커패시터일 수 있다. DC 링크용 커패시터로는 알루미늄 전해 커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 고압용 필름 커패시터(Polymer Capacitor), 고압 대전류용 적층 칩 커패시터(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력 변환부(112)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되며, 제2 노드(N2)에는 상용 계통(140) 및 부하(150)가 연결된다. 제2 전력 변환부(112)는 제1 노드(N1)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2 노드(N2)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2 전력 변환부(112)는 제2 노드(N2)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노드(N1)로 전달한다. 즉, 제2 전력 변환부(112)는 제1 노드(N1)의 직류 전력과 제2 노드(N2)의 교류 전력 간의 전력을 양방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인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노드(N2)에는 상용 계통(140) 및 부하(150)로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력 또는 상용 계통(14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이 형성된다.
제3 전력 변환부(113)는 제1 노드(N1)와 전력 저장장치(120) 사이에 연결된다. 제3 전력 변환부(113)는 제1 노드(N1)의 직류의 제2 전력을 전력 저장장치(120)에 저장하기 위한 직류의 제3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저장장치(1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3 전력 변환부(113)는 전력 저장장치(120)의 직류의 제3 전력을 직류의 제2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노드(N1)에 전달한다. 즉, 제3 전력 변환부(113)는 제1 노드(N1)의 직류 전력과 전력 저장장치(120)의 직류 전력을 양방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컨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16)는 제2 전력 변환부(112)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되며, 제2 전력 변환부(112)와 제2 노드(N2) 사이의 전력 흐름을 차단한다. 제2 스위치(117)는 제2 노드(N2)와 상용 계통(140) 사이에 연결되며, 제2 노드(N2)와 상용 계통(140) 사이의 전력 흐름을 차단한다. 제1 스위치(116) 및 제2 스위치(117)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2 스위치(117)는 상용 계통(140)의 이상 상황 발생시, 상용 계통(140)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100)의 단독 운전을 구현한다. 제2 스위치(117)가 오프되면,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100)은 상용 계통(140)과 분리되어 발전 시스템(130) 및 전력 저장장치(120)의 전력으로 단독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100)에서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상용 계통(140)이 비정상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19)는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9)는 제1 전력 변환부(111)로부터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되는 전력 정보(전압, 전류, 온도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전력 저장장치(120)(또는 BMS)로부터 SOC, SOH 등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용 계통(140)으로부터 계통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포함하는 계통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119)는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되는 전력 정보, 전력 저장장치(120)의 전력 저장 정보, 상용 계통(140)의 계통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를 제어한다. 제어부(119)는 제1 전력 변환부(111), 제2 전력 변환부(112) 및 제3 전력 변환부(113)로부터 전압, 전류, 온도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각 전력 변환부(111, 112, 113)의 전력 변환 효율을 제어한다. 제어부(119)는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제1 스위치(116) 및 제2 스위치(117)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는 전력 저장장치(120), 발전 시스템(130), 상용 계통(140) 및 부하(150) 중에서 2 이상 간의 전력 공급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는 (1) 발전 시스템(130)에서 전력 저장장치(120)로의 전력 공급, (2) 발전 시스템(130)에서 상용 계통(140)으로의 전력 공급, (3) 발전 시스템(130)에서 부하(150)로의 전력 공급, (4) 전력 저장장치(120)에서 상용 계통(140)으로의 전력 공급, (5) 전력 저장장치(120)에서 부하(150)로의 전력 공급, (6) 상용 계통(140)에서 전력 저장장치(120)로의 전력 공급, (7) 상용 계통(140)에서 부하(150)로의 전력 공급을 포함한다.
(1) 발전 시스템(130)에서 전력 저장장치(120)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로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제1 노드(N1)에서 제2 노드(N2)로의 전력 흐름을 차단한다.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된 제1 전력은 제1 전력 변환부(111)에서 직류의 제2 전력으로 변환되고, 제2 전력의 전압은 DC 링크부(118)에 의해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다.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 제2 전력은 제3 전력 변환부(113)에서 직류의 제3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력 저장장치(120)에 공급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력 저장장치(120)는 배터리가 충전된 후 분극 전압 펄스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제거하고 배터리의 정확한 SOC를 추정할 수 있다.
(2) 발전 시스템(130)에서 상용 계통(140)으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3 전력 변환부(113)로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제1 노드(N1)에서 전력 저장장치(120)로의 전력 흐름을 차단한다.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 및 제2 스위치(117)에는 온 신호를 전송한다.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된 제1 전력은 제1 전력 변환부(111)에서 직류의 제2 전력으로 변환되고, 제2 전력의 전압은 DC 링크부(118)에 의해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다.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 제2 전력은 제2 전력 변환부(112)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상용 계통(140)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2 전력 변환부(112)는 상용 계통(140)의 전압 및 전류의 전 고조파 왜형율(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역률(power factor) 등의 전력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 교류 전력을 출력한다.
(3) 발전 시스템(130)에서 부하(150)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3 전력 변환부(113) 및 제2 스위치(117)로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제1 노드(N1)에서 전력 저장장치(120) 및 상용 계통(140)으로의 전력 흐름을 차단한다.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에 온 신호를 전송한다. 발전 시스템(130)에서 생산된 제1 전력은 제1 전력 변환부(111)에서 직류의 제2 전력으로 변환되고, 제2 전력의 전압은 DC 링크부(118)에 의해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다. 제1 노드(N1)의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 제2 전력은 제2 전력 변환부(112)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부하(150)로 공급된다. 부하(150)는 상용 계통(140)의 교류 전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전력 변환부(112)는 부하(150)에서 이용하는 상용 계통(140)의 전력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 교류 전력을 출력한다.
(4) 전력 저장장치(120)에서 상용 계통(140)으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 및 제2 스위치(117)에 온 신호를 전달한다. 전력 저장장치(120)의 출력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은 제3 전력 변환부(113)에서 DC 링크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고, DC 링크부(118)에 의해 안정화된다. 제1 노드(N1)의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 전력은 제2 전력 변환부(112)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상용 계통(140)으로 공급된다. 전력 저장장치(120)는 배터리가 방전된 후 분극 전압 펄스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의 방전 과정에서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제거하고 배터리의 정확한 SOC를 추정할 수 있다.
(5) 전력 저장장치(120)에서 부하(150)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에 온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스위치(117)에 오프 신호를 전달한다. 전력 저장장치(120)의 출력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은 제3 전력 변환부(113)에서 DC 링크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고, DC 링크부(118)에 의해 안정화된다. 제1 노드(N1)의 DC 링크 전압 레벨로 안정화된 전력은 제2 전력 변환부(112)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부하(150)로 공급된다. 전력 저장장치(120)는 배터리가 방전된 후 분극 전압 펄스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의 방전 과정에서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제거하고 배터리의 정확한 SOC를 추정할 수 있다.
(6) 상용 계통(140)에서 전력 저장장치(120)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 및 제2 스위치(117)에 온 신호를 전달한다. 상용 계통(140)의 교류 전력은 제2 전력 변환부(112)에서 정류되어 DC 링크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제1 노드(N1)의 DC 링크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은 제3 전력 변환부(113)에서 전력 저장을 위한 전압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력 저장장치(120)로 공급된다. 전력 저장장치(120)는 배터리가 충전된 후 분극 전압 펄스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제거하고 배터리의 정확한 SOC를 추정할 수 있다.
(7) 상용 계통(140)에서 부하(150)로의 전력 공급시, 제어부(119)는 제1 스위치(116)에 오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스위치(117)에 온 신호를 전달한다. 상용 계통(140)의 교류 전력은 부하(150)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가 전력 저장 시스템(120), 발전 시스템(130), 상용 계통(140) 및 부하(150) 간에 전력 공급 방식에 따라 분류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전력 공급 방식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운전 모드는 더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 시스템(130)에서 전력 저장장치(120) 및 부하(15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발전 시스템(130) 및 전력 저장장치(120)에서 부하(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발전 시스템(130) 및 전력 저장장치(120)에서 상용 계통(140) 및 부하(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제,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배터리에 생성되는 분극 전압을 빠르게 제거하고 배터리의 SOC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220)은 배터리(210)에 연결되어 배터리(210)의 충방전 전류 및 전압, 온도를 측정하고 배터리(210)의 SOC를 추정한다.
배터리(210)는 복수의 2차 전지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복수의 2차 전지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복수의 2차 전지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10)의 양(positive) 단자 및 음(negative) 단자는 스위치부(230)를 통해 전력 변환부(240)에 연결된다.
전력 변환부(2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배터리(210)를 충전하기 위한 소정의 전력으로 변환하고, 배터리(210)에서 방전되는 전력을 외부 장치에서 요구하는 소정의 전력으로 변환한다.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은 교류 전력 또는 직류 전력일 수 있다. 배터리(210)에서 방전되는 전력은 직류 전력이다. 전력 변환부(240)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110)에 포함된 제3 전력 변환부(11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력 변환부(240)는 전력 관리 시스템(110)의 제1 노드(N1)의 직류 전력과 배터리(210)의 직류 전력을 양방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컨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부(230)는 배터리(210)의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닫힌 상태가 되어 배터리(210)와 외부 장치를 연결시킨다. 스위치부(230)는 배터리(210)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되지 않는 비활성화 구간 동안 열린 상태가 되어 배터리(210)와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한다. 배터리(210)의 비활성화 구간에 배터리(210)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구간이 포함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20)은 전류 측정부(221), 전압 측정부(222), 온도 측정부(223), 펄스 생성부(224), 충방전량 산출부(225), 분극 전압 산출부(226) 및 SOC 추정부(227)를 포함한다.
전류 측정부(221)는 전류 센서(211)에서 측정되는 배터리(210)의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샘플링한다. 전류 센서(211)는 배터리(210)의 양 단자 및 음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배터리(210)의 충방전 전류를 측정한다. 전류 측정부(221)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210)에 흐르는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구분하여 샘플링할 수 있고, 샘플링한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충방전량 산출부(225)에 전달한다.
전압 측정부(222)는 전압 센서(212)에서 측정되는 배터리(210)의 단자 전압을 샘플링한다. 전압 센서(212)는 배터리(210)의 양 단자 및 음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210)의 단자 전압을 측정한다. 전압 측정부(222)는 스위치부(230)가 열린 상태일 때 배터리(210)의 단자 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이때의 단자 전압이 배터리(210)의 개방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이다. 전압 측정부(222)는 배터리(210)의 개방전압을 SOC 추정부(227)에 전달한다.
온도 측정부(223)는 배터리(210)에 장착된 온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배터리(210)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측정부(223)는 분극 전압 산출을 위한 배터리(210)의 온도를 분극 전압 산출부(226) 및 SOC 추정부(227)에 전달한다.
펄스 생성부(224)는 배터리(210)의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생성되는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생성하여 배터리(210)에 인가한다. 펄스 생성부(224)는 충방전 구동 구간 이후 스위치부(230)가 열린 상태의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생성한다. 펄스 생성부(224)는 분극 전압 산출부(226)에서 전달되는 분극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양의 펄스 또는 음의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펄스폭, 펄스의 크기, 펄스의 주기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충방전량 산출부(225)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210)의 충방전량을 산출한다. 배터리(210)의 충방전량은 충전 전류와 방전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하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충방전량 산출부(225)는 배터리(210)의 충방전량을 분극 전압 산출부(226)에 전달한다.
분극 전압 산출부(226)는 배터리(210)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따른 분극 전압 특성 곡선을 저장한다. 분극 전압 특성 곡선은 배터리(210)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따라 배터리(210)에 생성되는 분극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분극 전압 산출부(226)는 충방전량 산출부(225)에서 전달되는 충방전량 및 온도 측정부(223)에서 전달되는 배터리(210)의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분극 전압 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분극 전압은 배터리(210)의 충전량에 따라 증가하고, 배터리(210)의 방전량에 따라 감소한다. 분극 전압 산출부(226)는 산출된 배터리(210)의 분극 전압을 펄스 생성부(224)에 전달한다.
SOC 추정부(227)는 배터리(210)의 개방전압 및 온도에 따른 SOC 특성 곡선을 저장한다. SOC 추정부(227)는 전압 측정부(222)에서 전달되는 배터리(210)의 개방전압 및 온도 측정부(223)에서 전달되는 배터리(210)의 온도에 대응하는 SOC를 SOC 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2)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210)에 인가되는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이후에 개방전압을 측정하여 SOC 추정부(227)에 전달할 수 있다. 분극 전압 리셋 펄스에 의해 배터리(210)에 생성된 분극 전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배터리(210)의 개방전압이 측정되므로, 전압 측정부(222)로부터 SOC 추정부(227)에 전달되는 개방전압은 분극 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개방전압이다. 따라서, SOC 추정부(227)는 분극 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정확한 배터리(210)의 SOC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위치부(230) 및 전력 변환부(240)가 배터리 관리 시스템(220)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스위치부(230) 및 전력 변환부(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배터리 관리 시스템(220)에서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라 배터리(210)에 생성되는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방법 및 배터리(210)의 SOC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220)은 충방전 구동 구간 및 분극 전압 리셋 구간에 따라 분극 전압 제거, SOC 추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충방전 구동 구간은 스위치부(230)가 닫힌 상태에서 배터리(210)에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활성화 구간이다. 분극 전압 리셋 구간은 충방전 구동 구간 및 스위치부(230)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210)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되지 않는 비활성화 구간이다.
충방전 구동 구간에 전류 측정부(221)는 배터리(2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110). 배터리(210)에 흐르는 전류량은 일정하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감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221)는 배터리(210)에 흐르는 충전 전류를 양의 값으로 샘플링하고 방전 전류를 음의 값으로 샘플링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221)는 샘플링한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충방전량 산출부(225)에 전달한다.
충방전량 산출부(225)는 배터리(210)의 충방전량을 산출한다(S120). 충방전량 산출부(225)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210)에 흐르는 충전 전류와 방전 전류의 차이를 구하여 배터리(210)에 충전 또는 방전된 전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충방전량 산출부(225)는 주기적으로 산출된 충방전량을 분극 전압 산출부(226)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충방전량 산출부(225)는 충방전 구동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즉 분극 전압 리셋 구간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산출된 충방전량을 분극 전압 산출부(226)에 전달할 수 있다.
분극 전압 산출부(226)는 배터리(210)의 분극 전압을 산출한다(S130). 이때, 온도 측정부(223)는 배터리(210)의 온도를 측정하여 분극 전압 산출부(226)에 전달한다. 분극 전압 산출부(226)는 전달받은 배터리(210)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분극 전압 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분극 전압은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의 충전량과 방전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배터리(210)에 생성된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210)가 충전될 때는 분극 전압이 양의 값으로 증가하고, 배터리(210)가 방전될 때는 분극 전압이 음의 값으로 증가한다. 배터리(210)의 충방전에 따라 분극 전압이 변동되다가, 충방전 구동 구간이 종료될 때 분극 전압이 잔존하게 된다.
분극 전압 산출부(226)는 충방전 구동 구간의 종료 시점 또는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시작 시점에 분극 전압을 산출하고, 산출된 분극 전압을 펄스 생성부(224)에 전달한다.
펄스 생성부(224)는 분극 전압 산출부(226)에서 전달되는 분극 전압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생성하여 배터리(210)에 인가한다(S140). 펄스 생성부(224)는 양의 분극 전압에 대해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인가하고 음의 분극 전압에 대해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인가하여 배터리(210)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제거한다. 펄스 생성부(224)는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생성하여 분극 전압을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및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폭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각각은 2 이상의 펄스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 주기로 생성될 수 있다.
분극 전압 리셋 펄스에 의해 배터리(210)의 분극 전압이 제거된 후, 즉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이후에 전압 측정부(222)는 배터리(210)의 개방전압을 측정한다(S150). 분극 전압 리셋 구간에서 스위치부(230)는 열린 상태이므로, 전압 측정부(222)는 배터리(210)의 개방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분극 전압이 제거된 후에 배터리(210)의 개방전압이 측정되므로, 전압 측정부(222)에서 측정되는 개방전압은 분극 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개방전압이다. 전압 측정부(222)는 배터리(210)의 개방전압을 SOC 추정부(227)에 전달한다.
SOC 추정부(227)는 배터리(210)의 SOC를 추정한다(S160). 이때, 온도 측정부(223)는 배터리(210)의 온도를 측정하여 SOC 추정부(227)에 전달한다. SOC 추정부(227)는 전달받은 배터리(210)의 개방전압 및 온도에 대응하는 SOC를 SOC 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SOC 추정부(227)는 분극 전압이 제거된 개방전압을 이용하므로 정확한 SOC를 추정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된 경우에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a 내지 5e를 참조하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와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및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펄스폭, 펄스 크기, 펄스 주기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일정 펄스폭 및 일정 크기를 갖는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및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다양한 펄스폭을 갖는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및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다양한 펄스 크기를 갖는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및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 각각은 2 이상의 펄스 크기로 생성되어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하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인가된 후 다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인가되는 펄스 주기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 방전만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분극 전압은 음의 값으로 증가한다. 분극 전압 리셋 구간에서는 음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된다.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방전이 수행된 경우에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a 내지 7e를 참조하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펄스폭, 펄스 크기, 펄스 주기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일정 펄스폭 및 일정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다양한 펄스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다양한 펄스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2 이상의 펄스 크기로 생성되어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하나의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인가된 후 다음의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인가되는 펄스 주기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 충전만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분극 전압은 양의 값으로 증가한다. 분극 전압 리셋 구간에서는 양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된다.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충전이 수행된 경우에 배터리의 분극 전압을 제거하는 분극 전압 리셋 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a 내지 9e를 참조하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펄스폭, 펄스 크기, 펄스 주기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일정 펄스폭 및 일정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다양한 펄스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다양한 펄스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2 이상의 펄스 크기로 생성되어 배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하나의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인가된 후 다음의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가 인가되는 펄스 주기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 배터리
220 : 배터리 관리 시스템
230 : 스위치부
240 : 전력 변환부
221 : 전류 측정부
222 : 전압 측정부
223 : 온도 측정부
224 : 펄스 생성부
225 : 충방전량 산출부
226 : 분극 전압 산출부
227 : SOC 추정부

Claims (18)

  1. 배터리의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샘플링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샘플링된 충전 전류 및 상기 샘플링된 방전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는 충방전량을 산출하는 충방전량 산출부;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분극 전압 산출부; 및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펄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량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상기 충방전량을 산출하고, 펄스 생성부는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 이후의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생성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이후에 상기 배터리의 개방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개방전압 및 온도에 따른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SOC(state of charge) 추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분극 전압 산출부 및 상기 SOC 추정부에 전달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와 외부 장치를 연결시키고, 상기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와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 및 방전 전력을 소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8.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는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 및 온도에 대응하는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배터리에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측정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량은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의 종료 시점에 산출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상기 분극 전압이 양의 분극 전압일 때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되고, 상기 분극 전압이 음의 분극 전압일 때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개의 펄스로 인가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폭, 복수의 펄스 크기 및 복수의 펄스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생성되는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15. 배터리에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충방전 구동 구간 동안 배터리의 충방전량을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에 생성된 분극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구동 구간 이후의 분극 전압 리셋 구간 동안 상기 분극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분극 전압 리셋 펄스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극 전압 리셋 구간 이후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의 개방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상기 분극 전압이 양의 분극 전압일 때 음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되고, 상기 분극 전압이 음의 분극 전압일 때 양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로 인가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개의 펄스로 인가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극 전압 리셋 펄스는 복수의 펄스폭, 복수의 펄스 크기 및 복수의 펄스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생성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KR1020110011634A 2011-02-09 2011-02-09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KR10121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34A KR101212200B1 (ko) 2011-02-09 2011-02-09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US13/244,407 US8773076B2 (en) 2011-02-09 2011-09-24 Battery management system, method of removing polarization voltage of battery, and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34A KR101212200B1 (ko) 2011-02-09 2011-02-09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07A true KR20120091707A (ko) 2012-08-20
KR101212200B1 KR101212200B1 (ko) 2012-12-13

Family

ID=4660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34A KR101212200B1 (ko) 2011-02-09 2011-02-09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73076B2 (ko)
KR (1) KR1012122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123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US10110004B2 (en) 2015-03-11 2018-10-23 Lsis Co., Ltd. Power management system
KR20230052358A (ko) * 2021-10-12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76B1 (ko) * 2012-03-08 2017-08-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주파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TWI460453B (zh) * 2012-09-28 2014-11-11 Metal Ind Res & Dev Ct 以兩個相互垂直的分量相加合成的電池殘電量估測系統及其估測方法
CN103135064A (zh) * 2013-01-25 2013-06-05 文创太阳能(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磷酸铁锂电池电量在线检测方法
KR102108063B1 (ko) * 2013-08-13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4561A (ko) * 2013-08-27 2015-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80579B1 (ko) 2013-12-19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회로,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및 무선전력 수신기
US9337685B2 (en) * 2013-12-23 2016-05-10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mized filter for battery energy storage on alternate energy systems
JP2015155859A (ja) * 2014-02-21 2015-08-27 ソニー株式会社 電池残量推定装置、電池パック、蓄電装置、電動車両および電池残量推定方法
JP6520017B2 (ja) * 2014-08-20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率算出装置
US9533598B2 (en) * 2014-08-29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battery state of charge estimation
JP6350174B2 (ja) * 2014-09-26 2018-07-04 日立化成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用制御装置および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183336B2 (ja) * 2014-11-19 2017-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率算出装置
KR101602848B1 (ko) 2014-12-23 2016-03-1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수명 예측 방법
US11031799B2 (en) * 2015-12-01 2021-06-08 Sony Corporation Power supply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CN105790379A (zh) * 2016-04-28 2016-07-20 四川省创凯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逐电芯监测多回路分级控制电池管理系统
CN105871021B (zh) * 2016-05-16 2018-07-17 北京小飞快充网络科技有限公司 用于电动自行车电池组快速充电的电池管理系统及方法
KR102145651B1 (ko) * 2016-08-26 202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7020824B2 (ja) * 2017-09-01 2022-02-16 株式会社Rej バッテリー用コンバータ及び三相蓄電システム
WO2019145997A1 (ja) * 2018-01-23 2019-08-01 Tdk株式会社 直流給電システム
US11916383B2 (en) 2020-05-04 2024-02-27 8Me Nova, Llc Implementing power delivery transaction for potential electrical output of integrated renewable energy source and energy storage system facility
US11031781B1 (en) 2020-05-04 2021-06-08 8Me Nova, Llc Method for implementing power delivery transaction for potential electrical output of integrated renewable energy source and energy storage system facility
US11888342B2 (en) * 2020-05-12 2024-01-30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Bi-directional battery charging circuit with voltage regulation control
CN111614139B (zh) * 2020-05-25 2021-11-16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采用双极性脉冲充放电的锂电池均衡方法及其实施系统
JP7475201B2 (ja) * 2020-06-03 2024-04-26 株式会社安川電機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ニング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1791503B2 (en) 2021-07-20 2023-10-17 Flowserve Pte. Ltd. Method of characterizing and monitoring energy usage of battery powered wirelessly linked devices
US11811231B1 (en) * 2023-07-18 2023-11-07 8Me Nov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ate-of-charge dependent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7182B2 (ja) 2001-12-27 2008-06-11 パナソニックEv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分極電圧推定方法、二次電池の残存容量推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電池パックシステム
JP3694793B2 (ja) * 2002-10-24 2005-09-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圧発生回路、電圧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並びにその駆動方法
WO2005015252A1 (ja) 2003-06-27 2005-02-17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蓄電池の劣化判定方法、二次電池の内部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二次電池の内部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二次電池劣化判定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JP5367604B2 (ja) * 2003-08-22 2013-12-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内部インピーダンス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4597501B2 (ja) 2003-10-01 2010-12-15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の残存容量推定方法および装置
US7554295B2 (en) * 2004-04-06 2009-06-30 Cobasys, Llc Determination of IR-free voltage in hybrid vehicle applications
JP4623448B2 (ja) 2005-04-20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二次電池の残存容量演算方法
JP2007121030A (ja) 2005-10-26 2007-05-17 Denso Corp 車両用蓄電装置の内部状態検出装置
KR20090094006A (ko) 2006-12-26 2009-09-02 파나소닉 주식회사 비수계 전해질 2차 전지의 충전 방법, 전자 기기, 전지 팩 및 충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0004B2 (en) 2015-03-11 2018-10-23 Lsis Co., Ltd. Power management system
KR20180055123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230052358A (ko) * 2021-10-12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73076B2 (en) 2014-07-08
KR101212200B1 (ko) 2012-12-13
US20120200264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00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US118552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ies battery charging
KR101181822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1173856B1 (ko) 최대 전력점 추종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의 운전 방법
KR101147202B1 (ko) 전력 저장 장치
KR101369692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6670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8810066B2 (en)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47205B1 (ko) 대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전력 저장 장치
Shibata et al. Redox flow batteries for the stable supply of renewable energy
KR101678526B1 (ko)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101408886B1 (ko)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장치, 전력 저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15502A (ko) 배터리 가온 기능을 갖는 전원 변환 장치
KR20140058770A (ko) 전력 관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1156A (ko) 전력 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