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63B1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63B1
KR102108063B1 KR1020130095983A KR20130095983A KR102108063B1 KR 102108063 B1 KR102108063 B1 KR 102108063B1 KR 1020130095983 A KR1020130095983 A KR 1020130095983A KR 20130095983 A KR20130095983 A KR 20130095983A KR 102108063 B1 KR102108063 B1 KR 10210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time
condition
stop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295A (ko
Inventor
노경신
정은택
하정욱
양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63B1/ko
Priority to EP14002165.0A priority patent/EP2843793B1/en
Priority to US14/321,459 priority patent/US9531201B2/en
Priority to CN201410381563.XA priority patent/CN104378497A/zh
Publication of KR2015001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또한 고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고,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해야 한다.
현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는 CCCV(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 방식으로 외부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
상기 CCCV 방식은 배터리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전류로 충전을 하다가, 어느 정도 충전(대략 60~70%)이 되면, 정전압으로 충전을 하는 방식으로써, 상기 CCCV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 시에는 과전류 충전 및 과전압 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방식이 현재는 거의 상기 CCCV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스마트한 충전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외부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충전 시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이 설정된 메모리와; 상기 배터리가 외부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조건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외부 충전 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하는 단계와;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배터리 충전 시에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간 동안 상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 완료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8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 상에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주변 조도에 해당하는 값을 제어부(180)로 출력하는 조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85)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 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휴대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언급되는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인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터치 액션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터치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터치 드래그(touch & 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 드래그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flicking)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및 특정 속도(또는 세기)로 스트로크(stroke)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휴대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프레스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또는 장착된 배터리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의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S100], 메모리(160)에 설정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파악한다[S200].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은, 상기 배터리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와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외부 충전 장치를 분리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시간을 미리 예측한 시간을 뜻한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이후에 현재 시간이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중단 시간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한다[S300].
일 예로,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는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3시간이 소요될 예정이면, 상기 3시간은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이라 말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량과, 상기 배터리의 용량 및 상기 외부 충전 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도중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2시간이 지난 이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할 예정이면, 상기 2시간은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라 말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2시간이 경과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S200의 세부 동작인,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5는 사용자가 자주 특정 시간대에 충전을 시작 및 중단할 경우, 상기 특정 시간대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적어도 2회 이상 같은 시간에 수행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메모리(160)에 저장하여 기억하고[S211], 상기 기억된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12].
일 예로, 사용자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회사에 출근하여 AM 9:00 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FM 5:00 시에 충전을 중단하면, 충전 시작 시간인 AM 9:00 시 및 충전 중단 시간인 FM 5:00 시를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11 및 S21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213].
상기 판별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S214], 제어부(180)는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15].
일 예로, 현재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이 상기 조건에 설정된 AM 9:00 시에 근접(예로, 기 설정된 분 단위로 AM 9:00 시보다 빠르거나 또는 느림)하거나 또는 일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조건에 설정된 FM 5:00 시로 결정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결정된 FM 5:00가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6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6은 사용자가 자주 특정 위치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 및 중단할 경우, 상기 특정 위치와, 상기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적어도 2회 이상 방문한 특정 위치에서 수행된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메모리(160)에 저장하여 기억하고[S221], 상기 기억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22].
이때, 상기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모듈(115)를 통해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회사에서 AM 9:00 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FM 5:00 시에 충전을 중단하면, 상기 회사의 위치 정보와, 충전 시작 시간인 AM 9:00 시 및 충전 중단 시간인 FM 5:00 시를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21 및 S22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위치 정보 모듈(115)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위치를 파악하고[S223], 상기 파악된 충전 위치가 상기 조건에 포함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지 판별한다[S224].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충전 위치가 상기 조건에 포함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면[S225], 제어부(180)는 현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226].
상기 판별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S227],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28].
일 예로, 현재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이 상기 조건에 설정된 AM 9:00 시에 근접(예로, 기 설정된 분 단위로 AM 9:00 시보다 빠르거나 또는 느림)하거나 또는 일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조건에 설정된 FM 5:00 시로 결정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결정된 FM 5:00가 되기 이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7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7은 사용자가 특정 요일에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 및 중단할 경우, 상기 특정 요일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적어도 2회 이상의 특정 요일에서 수행된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메모리(160)에 저장하여 기억하고[S231], 상기 기억된 특정 요일과, 상기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32].
일 예로, 사용자가 월요일의 AM 9:00 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FM 5:00 시에 충전을 중단하면, 상기 월요일과, 충전 시작 시간인 AM 9:00 시 및 충전 중단 시간인 FM 5:00 시를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31 및 S23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현재 요일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현재 요일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특정 요일과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233].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현재 요일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특정 요일과 일치하면[S234], 제어부(180)는 현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235].
상기 판별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S236],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37].
그 다음으로, 도 8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8은 사용자의 주변이 특정 조도인 환경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 및 중단할 경우, 상기 특정 조도와, 상기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배터리를 충전 시에 센싱부(140)에 포함된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고[S241], 상기 배터리의 추전이 중단되면,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42].
일 예로, 사용자가 어두운 방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 상기 어두운 방에 해당하는 주변 조도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41 및 S24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고[S243],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건에 포함된 주변 조도에 해당하는지 판별한다[S244].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건에 포함된 주변 조도에 해당하면[S245], 제어부(180)는 현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246].
상기 판별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S247], 상기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48].
그 다음으로, 도 9는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9는 사용자의 수면 시작 시간 및 수면 종료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수면 시작 시간 및 수면 종료 시간이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의 수면 시작 시간 및 수면 종료 시간을 메모리(160)에 기억하고[S251], 상기 기억된 사용자의 수면 시작 시간 및 수면 종료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52].
일 예로, 사용자가 PM 12:00 시를 상기 수면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고, AM 7:00 시를 상기 수면 종료 시간으로 설정하면, 상기 PM 12:00 시 및 AM 7:00 시를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51 및 S25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수면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253].
상기 판별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수면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S254], 상기 조건에 포함된 수면 종료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55].
그 다음으로, 도 10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10은 사용자가 설정한 모닝콜의 알람 출력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모닝콜이 설정되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모닝콜임을 알리기 위한 알람 출력 시간이 설정되면[S261], 상기 설정된 모닝콜의 알람 출력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62].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모닝콜의 알람 출력 시간을 AM 7:00 시로 설정하면, 상기 AM 7:00 시를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61 및 S26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조건에 포함된 모닝콜의 알람 출력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63].
그 다음으로, 도 11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11은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의 알림 출력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스케줄이 설정되고, 현재 시간에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스케줄 알림 출력 시간이 설정되면[S271], 상기 설정된 스케줄의 알림 출력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72].
S271 및 S272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조건에 포함된 스케줄의 알림 출력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73].
그 다음으로, 도 12는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제8 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도 12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의 제1 장소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한 이후에, 상기 제1 장소에서 원하는 목적지인 제2 장소까지의 길 안내를 요청한 경우, 상기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길 안내를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장소가 설정되면[S281], 상기 제1 및 제2 장소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282], 상기 획득된 제1 및 제2 장소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 및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S283].
이때, 현재 장소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모듈(115)을 통해 획득 가능하고, 목적지에 해당하는 상기 제2 장소의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계산된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 설정한다[S284].
일 예로, 현재 장소에 해당하는 제1 장소가 집이고, 목적지에 해당하는 제2 장소가 회사이고, 상기 집에서 회사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이 1시간이면, 상기 집 및 회사의 위치 정보와 상기 예상 도착 시간인 1시간을 상기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S281 내지 S284 과정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정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시작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길 안내가 시작되는지 판별한다[S285].
즉,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후 위치 정보 모듈(115)을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가 상기 조건에 포함된 제1 장소에 해당하고,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길 안내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길 안내가 시작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길 안내가 시작된 것으로 판별되면[S286], 상기 조건에 포함된 예상 도착 시간을 도 4의 S200 단계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한다[S287].
이상,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도 4의 S200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도 4의 S300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도 4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배터리의 현재 잔량과, 상기 배터리의 용량 및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파악한다[S310].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을 기준으로, 도 5 내지 도 12의 과정에 의해 결정된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 및 상기 파악된 예상 충전 완료 시간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상기 예상 충전 완료 시간보다 짧은지 판별하고[S320], 상기 판별 결과 짧으면[S330], 상기 배터리가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 동안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한다[S340].
일 예로, 상기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3시간 남았으나,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현재 시간으로부터 2시간 남았을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2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도록 기존보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판별 결과 길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 동안 충전이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제어한다[S350].
일 예로, 상기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3시간 남았으나,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현재 시간으로부터 4시간 남았을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4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도록 기존보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4 내지 도 13의 과정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중에 현재 시간이 상기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직전에 상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에 강제 보상 충전을 실시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9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일 예로, 도 14는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충전을 시작 및 중단할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2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AM 9:00 시에 출근하여, PM 17:00 시에 퇴근하고, AM 9:00 시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이고, PM 17:00가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제1 구간(210)에서는 충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빠르게 충전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인 PM 17:00 보다 짧을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많이 확보된 상태이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위해 도 14에 도시된 제2 구간(220)과 같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충전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현재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바로 직전에 1~9%로 강제 보상 충전(230)을 실시한다.
다른 예로, 도 15는 도 10에서 설명된 모닝콜과 같이, 사용자가 취침 시에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고, 기상 시에 충전을 중단할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닝콜의 알람 출력 시간을 AM 6:00 시로 설정하고, 24:00 시에 취침할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은 24:00 시이고, AM 6:00 시가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제1 구간(310)에서는 충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빠르게 충전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인 AM 6:00 보다 짧을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많이 확보된 상태이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위해 도 15에 도시된 제2 구간(320)과 같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충전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현재 시간이 사용자의 기상 시간인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바로 직전에 1~9%로 강제 보상 충전(330)을 실시한다.
또 다른 예로, 도 16은 도 11에서 설명된 스케줄과 같이,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고, 스케줄 알림 출력 시간에 충전을 중단할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케줄 알림 출력 시간을 PM 16:00 시로 설정하고, 상기 PM 16:00 시 이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할 경우, PM 16:00 시가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 및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의 스케줄 알림 출력 시간인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바로 직전에 1~9%로 강제 보상 충전(410)을 실시한다.
또 다른 예로, 도 17 및 도 18은 도 12에서 설명된 길 안내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충전 중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500A, 500B)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 장소에서 상기 배터리를 PM 12:00 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제1 장소에서 목적지인 제2 장소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이 PM 13:30 분으로써, 1시간 30분 소요될 예정이고,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이 2시간 30분이면, 제어부(180)는 1시간 30분 동안 상기 배터리가 최대한 충전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 한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 장소에서 상기 배터리를 PM 12:00 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제1 장소에서 목적지인 제2 장소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이 PM 16:30 분으로써, 4시간 30분 소요될 예정이고,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이 2시간 30분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많이 확보된 상태이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위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충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 중단 시간인 PM 16:30이 되기 바로 직전에 강제 보상 충전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9는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 중에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6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이후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 사용으로 인해 현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량보다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이 더 많을 경우,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온도 및 사용량을 계산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량이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보다 많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보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많을 경우 상기 배터리의 수명 및 온도 감소를 위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11: 방송 수신부 112: 이동통신 모듈
113: 무선 인터넷 모듈 114: 근거리 통신 모듈
115: 위치 정보 모듈 120: A/V 입력부
121: 카메라 122: 마이크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41: 근접 센서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 모듈
153: 알람 모듈 154: 햅틱 모듈
155: 프로젝터 모듈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81: 멀티미디어 모듈 185: 전원 공급부

Claims (14)

  1. 배터리;
    상기 배터리가 외부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충전 시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충전 중단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될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 및 상기 예측된 충전 완료 시간 사이의 차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적어도 2회 이상 같은 시간에 수행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상기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적어도 2회 이상 방문된 특정 위치에서 수행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파악을 위한 위치 정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될 경우 상기 위치 정보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현재 위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특정 위치에 해당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기 설정된 주변 조도값일 때 수행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 및 충전 중단 시간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될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주변 조도값에 해당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충전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수면 시작 시간 및 수면 종료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시간이 상기 수면 시작 시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일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포함된 충전 중단 시간을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기 설정된 모닝콜을 위한 알람 출력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의 알림 출력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알람 출력 시간 또는 알림 출력 시간을을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제1 장소에서 제2 장소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이 상기 예측된 충전 완료 시간보다 길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 동안 충전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이 상기 예측된 충전 완료 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 동안 충전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이 상기 예측된 충전 중단 시간이 되기 직전에 상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 완료되도록 상기 배터리에 강제 보상 충전을 실시하는 휴대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95983A 2013-08-13 2013-08-1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983A KR102108063B1 (ko) 2013-08-13 2013-08-1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14002165.0A EP2843793B1 (en) 2013-08-13 2014-06-24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321,459 US9531201B2 (en) 2013-08-13 2014-07-0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410381563.XA CN104378497A (zh) 2013-08-13 2014-08-05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983A KR102108063B1 (ko) 2013-08-13 2013-08-1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95A KR20150019295A (ko) 2015-02-25
KR102108063B1 true KR102108063B1 (ko) 2020-05-08

Family

ID=5117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983A KR102108063B1 (ko) 2013-08-13 2013-08-1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31201B2 (ko)
EP (1) EP2843793B1 (ko)
KR (1) KR102108063B1 (ko)
CN (1) CN1043784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8324A1 (en) * 2013-12-30 2015-07-02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increase and decrease charging current to battery
US11038361B2 (en) 2015-03-16 2021-06-15 Lenovo (Singapore) Pte. Ltd. Battery with cathode materials for charging at different rates
KR101650038B1 (ko) 2015-05-27 2016-08-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KR20160143136A (ko) * 2015-06-04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알림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547376B1 (ko) 2016-03-03 202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5811508B (zh) * 2016-04-25 2018-09-25 深圳市艾微迅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充电的方法及移动终端
US10283985B2 (en) 2016-05-25 2019-05-07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time at which battery is to be charged
CN109690900B (zh) 2016-06-01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的方法及终端
US10439418B2 (en) 2016-07-29 2019-10-08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charge a battery at different charge rates and indicate when charging at a faster rate is available
CN106254656A (zh) * 2016-08-09 2016-12-2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充电提示方法及终端
FR3058271A1 (fr) * 2016-11-03 2018-05-04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et systeme de controle de charge d'une batterie d'un equipement electrique
JP6984186B2 (ja) * 2017-06-12 2021-12-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62932A (ko) * 2017-08-15 2018-06-11 박근수 휴대용 장치 및 휴대용 장치의 알람 설정 방법
KR102544462B1 (ko) * 2018-01-25 2023-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충전구간을 제어하는 방법
US11165269B2 (en) * 2018-02-23 2021-11-02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958082B2 (en) * 2018-04-25 2021-03-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battery cycling for lifetime longevity
CN108989562B (zh) * 2018-07-17 2021-06-08 深圳市知赢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自动控制方法、装置
CN109888867B (zh) * 2019-02-27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移动终端
DE102019210479A1 (de) * 2019-07-16 2021-01-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lektrischen Laden eines tragbaren Kommunikationsendgeräts in einem Kraftfahrzeug mit einer Ladefunktion, sowie Ladesystem und Kraftfahrzeug
CN110445210B (zh) * 2019-08-07 2020-10-0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的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346950B1 (ko) * 2019-11-15 2022-01-05 김윤순 이중 통신보안을 구비한 솔라 표지병
CN113497468A (zh) * 2020-03-20 2021-10-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管控方法及电子设备
US20210336464A1 (en) * 2020-04-28 2021-10-28 Intel Corporation Inference based fast charging
CN113839427A (zh) * 2020-06-05 2021-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管理方法、电子设备和系统
JP7435423B2 (ja) * 2020-12-01 2024-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充電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88340B2 (en) * 2020-12-04 2024-01-30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Method to enhance the life of a lithium battery
US20220407329A1 (en) * 2021-06-16 2022-1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ttery charge regulation
WO2023101659A1 (en) * 2021-11-30 2023-06-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wireless charge rate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9690A1 (en) 2010-11-25 2012-05-31 Nokia Corporation Context aware battery charging
EP2595269A1 (en) 2011-11-16 2013-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harge rate for a rechargeable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944A (en) * 1993-12-22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rdless telephone with battery measuring section
JP3220100B2 (ja) * 1999-01-26 2001-10-22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供給回路および電源供給方法
JP2004094607A (ja) * 2002-08-30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機器、及びその充電状態最適化方法とプログラム、並びに、電池管理サーバ、及びそれによる電池式電気機器の充電状態最適化方法とプログラム
US20070128899A1 (en) * 2003-01-12 2007-06-07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comfort, and/or reliability in Operating Systems, such as for example Windows
US7576545B2 (en) * 2006-10-18 2009-08-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ithium-ion battery prognostic testing and process
US8922329B2 (en) * 2009-07-23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charging to extend battery life and improve efficiency
IN2012DN00984A (ko) * 2009-08-11 2015-04-10 Sony Corp
US8798830B2 (en) * 2010-02-15 2014-08-05 Denso Corporation Charge controller and navigation device for plug-in vehicle
JP5647057B2 (ja) * 2010-05-19 2014-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充電装置、充電制御ユニット及び充電制御方法
US8395390B2 (en) * 2010-09-14 2013-03-12 Sp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KR101212200B1 (ko) * 2011-02-09 2012-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분극 전압 제거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US8854013B2 (en) * 2011-07-27 2014-10-07 The Boeing Company System for monitoring a battery charger
US9744873B2 (en) * 2011-10-12 2017-08-29 Volkswagen Ag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 vehicle
JP5739788B2 (ja) * 2011-11-15 2015-06-24 株式会社東芝 充放電計画立案システムおよび充放電計画立案方法
CN104584317B (zh) * 2012-08-20 2016-04-20 日产自动车株式会社 二次电池的充电装置以及二次电池的充电方法
US9197092B2 (en) * 2012-10-30 2015-11-24 Dell Products L.P. Battery charge management using usage profi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9690A1 (en) 2010-11-25 2012-05-31 Nokia Corporation Context aware battery charging
EP2595269A1 (en) 2011-11-16 2013-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harge rate for a rechargeab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78497A (zh) 2015-02-25
KR20150019295A (ko) 2015-02-25
US9531201B2 (en) 2016-12-27
EP2843793B1 (en) 2017-10-25
US20150048803A1 (en) 2015-02-19
EP2843793A2 (en) 2015-03-04
EP2843793A3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0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6B1 (ko) 이동 단말기
KR10218216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97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46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518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18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1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064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7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401439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406B1 (ko) 단말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3335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01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591B1 (ko) 이동 단말기,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1497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알람 제공 방법
KR102018553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114125A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기능이 있는 이동 단말 장치
KR2013001100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0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845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의 기록 매체
KR2015004414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09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구동 방법
KR1019845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