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767A -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767A
KR20120090767A KR1020117026998A KR20117026998A KR20120090767A KR 20120090767 A KR20120090767 A KR 20120090767A KR 1020117026998 A KR1020117026998 A KR 1020117026998A KR 20117026998 A KR20117026998 A KR 20117026998A KR 20120090767 A KR20120090767 A KR 2012009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mber
wall
stea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189B1 (ko
Inventor
로베르토 콜롬보
마우리치오 비아시
안젤로 이레라
Original Assignee
아이. 알. 씨. 에이. -에스.피.에이.-인더스트리아 레지스텐제 코라짜테 에 아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 알. 씨. 에이. -에스.피.에이.-인더스트리아 레지스텐제 코라짜테 에 아피니 filed Critical 아이. 알. 씨. 에이. -에스.피.에이.-인더스트리아 레지스텐제 코라짜테 에 아피니
Publication of KR2012009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ker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증기 발생기에는 증발되어야 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가열 요소가 제공되며, 이것은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콘테이너의 수직 벽들중 하나에서 얻어진 구멍 안에 고정된, 지지부의 형상화된 베이스에 삽입된 전기 저항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증발되어야 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가열 요소가 제공된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증기 발생기는 적은 양의 물이 있는 콘테이너에서 작업 사이클 동안 물이 가열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물 콘테이너의 저부측에 배치된 전기 저항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테이너들에는 적은 양의 물이 존재할 때에도 전기 저항체가 어떤 경우라도 물에 완전히 잠기는 하부 측의 물 수집 영역이 설치된다. 이것은 만약 저항체가 물에 잠기지 않으면서 가열된다면 발생되는 과열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 저항체를 가진 증기 발생기들은 일부 단점을 가진다. 석회질 스케일(limescale)이 사용시에 가열 요소 주변에 쉽게 침착되고 그것은 부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면서 열교환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저항체는 기계적인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금속 지지부에 고정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부식 촉발 지점을 만들 위험성이 있다. 과열을 방지하도록 작동 사이클 동안에 저항체가 물에 의하여 항상 덮이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상기 유형의 전기 저항체를 위하여 콘테이너 안에 특정의 공간을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그것은 또한 콘테이너로부터 밖으로 외부로의 물의 누설이 없는 것을 보장하면서 전기 저항체들이 콘테이너 안에 잘 삽입되고 적절한 조임 토크(tightening)로써 전기 저항체들이 콘테이너에 고정될 필요성이 있다.
현재 기술의 증기 발생기들의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은 발생기의 콘테이너 안에 도입되어 전기 저항체로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체적이 상당하다는 것이며, 따라서 증기 발생 시간이 길다는 것이다. 증기 발생기에 저항체의 수를 늘리는 해법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며 어떤 경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증기 발생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증기 발생 시간,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체적 및 사용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 발생기로부터 나오는 증기 유동에 의한 물방울의 끌림(drag)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넓은 공간이나 또는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콤팩트한 크기의 전기 가열 요소의 이용에 관한 것이며, 전기 가열 요소는 작동하는 동안에 물과 접촉되어 유지되는 증기 발생기의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증기 발생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도록 의도되는데, 상기 증기 발생기는, 가열되어야 하는 물을 담고 있는 콘테이너로서, 상기 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파이프 및 적어도 하나의 증기 유출 파이프가 제공된 콘테이너; 콘테이너의 제 1 수직벽에 형성된 개구에 수직으로 고정된 전기 가열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콘테이너에는 격벽이 제공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 1 벽을 포함하는 벽들을 가진 제 1 챔버 및, 콘테이너의 저부에 적어도 근접하여 제 1 챔버와 소통되는 제 2 챔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의 콘테이너가 유리하게는 격벽에 의하여 2 개의 챔버들인 증발 챔버 및 주 챔버로 분할되며, 그 격벽은 증기 발생이 시작되기 전에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체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서 증기 발생 시간을 감소시킨다.
콘테이너 하부측에서의 소통은 석회질 스케일(가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콘테이너의 저부에 걸쳐 떨어짐)이 양쪽 챔버들에 있는 전체 저부에 걸쳐 축적되는 것을 허용하고, 더욱이 2 개의 챔버들에서 물의 동일한 수위를 유지시킨다.
또한, 콘테이너의 상부측에서 2 개 챔버들 사이의 소통은 2 개 챔버들 안의 압력을 평형화시키고, 발생된 증기가 증발 챔버로부터 주 챔버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발생기로부터 나오는 증기 유동에 의해 물방울이 끌리는 것(drag)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는 현재 기술에 비교하여 몇가지 장점이 있는데, 이것은 가정용 전기 장치의 하부 영역에 물을 담고 있는, 콘테이너의 저부 또는 수평 평면에 직각인 벽에 대하여 평탄하게 장착되는 특징과 결합된, 가열 요소의 보다 콘팩트하고 거의 평탄하거나 또는 임의의 경우에 매우 평탄화된 구현예 때문이다.
석회질 스케일은 물과 접촉된 가열 요소 표면의 열팽창 및 중력 자체의 힘 때문에 가열 요소에 덜 붙으려 하고 더욱이 자체적으로 제거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가열 요소를 위해 선택된 위치는 상기 잔류물이 콘테이너의 저부측을 향해 끌리게 하며, 저항체의 부식 또는 과열 위험성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장점은 가열 요소를 콘테이너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지지부를 제공할 필요성이 억제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이 절약되고 부식 위험성이 감소된다. 가열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신속 조임 장치(quick tightening device)에 의해 콘테이너의 벽에 적절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가열 요소를 벽에 고정시키는데 조임의 토크를 적용할 필요성이 없는데, 그러한 작업은 특히 가열 요소가 고정되는 벽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을 때 항상 잠재적으로 위험한 것이다.
가열 요소의 구성 때문에,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온도 센서가 물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가열 요소의 하우징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개시된, 증기 발생기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 아닌 구현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보다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제 1 구현예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증기 발생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개략적인 축방향 투상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서 도 4 의 상세부(B)에 대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의 제 1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증기 발생기는 전체적으로 도면 번호 1 로 표시되어 있고, 콘테이너(4)를 구비하는데, 상기 콘테이너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평행 육면체 형상이고, 가열되고 증발될 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콘테이너에는 물 유입 파이프(3) 및 발생된 증기를 위한 유출 파이프(5)가 제공된다.
증기 발생기(1)에는 전기 가열 요소(2)가 제공되며, 전기 가열 요소는 콘테이너(4)의 수직 벽(15)에 형성된 개구(6)에 수직이도록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한 경우에, 작동 주기 동안에 형성되는 석회질 스케일(limescale)은 콘테이너(4)의 하측부상에 침착되어 증기 발생기(1)가 용이하게 세정되게 한다. 가열 요소(2)의 외측 형상은 원형이지만, 다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 의 가열 요소(2)는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강철 플레이트 및 알루미늄 저항체(resistor)가 상기 플레이트상에 브레이징(brazing)된다. 콘테이너(4)에는 격벽(10)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며, 그것은 제 1 챔버 또는 증발 챔버(13) 및 제 2 챔버 또는 주 챔버(14)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챔버는 전기 가열 요소(2)가 고정되는 수직 벽(15)을 포함하고, 제 2 챔버는 콘테이너(4)의 저부(16)에 적어도 근접하게 제 1 챔버(13)와 소통된다. 콘테이너(4)의 하부측에서의 이러한 소통은 가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저부(16)에 걸쳐 떨어지는 석회질 스케일이 양쪽 챔버들에서 전체 저부(16)에 걸쳐 쌓이는 것을 허용한다. 증발 챔버로부터 주 챔버로의 석회질 스케일의 분산은 파이프(3)를 통해 들어가는 물에 의해 용이해지는데, 특히 파이프(3)가 증발 챔버(13)의 하부측에 제공된다면 용이해진다. 더욱이, 콘테이너의 하부 부분에서의 이러한 소통은 소통되는 용기(vessel)들의 원리에 기인하여 2 개 챔버들에서 동등한 수위를 유지시킨다.
격벽(10)이 바람직스럽게는 콘테이너(4)의 상부벽(17)과 일체형이다. 그것은 콘테이너(4)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상부벽(17) 및/또는 측벽(18)에 일체로 고정된 분리 요소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격벽(10)을 콘테이너(4)에 제공하는 것은 증기 발생 전에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체적 감소를 유리하게 허용하며, 따라서 증기 발생 시간을 최소화시킨다.
제 2 챔버(14)가 콘테이너(4)의 제 1 챔버(13)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도 2 에 도시된 경우에, 제 1 챔버(13)는 콘테이너(4)의 전체 체적의 약 1/3 과 같은 체적을 가지며, 따라서 제 2 챔버(14)는 상기 전체 체적의 약 2/3 와 같은 체적을 가진다. 이것은 챔버(13) 안에서 증기 발생이 시작되기 전에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체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제 1 챔버(13) 및 제 2 챔버(14)는 격벽(10)의 측부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소통될 수 있다. 실제로, 도입 포트(12)가 콘테이너(4)의 측벽(18)과 벽(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격벽(10)은 실질적으로 수직 벽의 폭에 대응하는 거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도 1).
다른 장점으로서, 격벽(10)에는 개구(11)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핀구멍(pinhole)으로서, 콘테이너(4)의 상부벽(17)에 근접하게 있으며 증기가 제 1 챔버(13)로부터 제 2 챔버(14)로 통과되게 한다.
대안의 변형예(미도시)에서, 격벽(10)은 콘테이너(4)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18)과만 일체형이고, 바람직스럽게는 2 개의 측벽(18)들과 일체형이고, 편리하게는 상부벽(17)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증기가 통과하는 개구를 남기게 되는데, 그 개구는 벽(10)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콘테이너의 상부 부분에서 2 개의 챔버(13,14)들 사이의 연결은 증기가 증발 챔버(13)로부터 주 챔버(14)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에 의하여, 증기의 유동은 파이프(5)를 떠나기 전에 끌리는 물방울을 잃게 한다. 더욱이, 콘테이너의 상부 부분에서의 상기 연결은 2 개 챔버(13,14)들에서의 압력들이 평형화되게 한다.
발생된 증기를 위한 유출 파이프(5)는 상부 벽(17)에 근접하게 제 1 챔버(14) 또는 주 챔버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대안의 변형예에서, 증기 유출 파이프는 제 1 챔버(3)내에 배치되어 콘테이너의 차가운 측을 작은 범위로 가열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짧은 기간의 증기 발생을 최대화시킨다.
바람직한 제 1 해법은 파이프(5)가 콘테이너의 상부벽(17)에 있는 것이고, 제 2 해법은 콘테이너의 측벽의 상부 부분에 상기 파이프(5)가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해법에서, 물 유입 파이프(3)는 제 1 챔버(13) 또는 증발 챔버 안에 배치되는데, 바람직스럽게는 콘테이너의 저부(16)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콘테이너의 저부에 걸쳐 석회질 스케일이 퍼지는 것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대안의 변형예에서, 물 유입 파이프는 제 2 챔버(14)내에 위치되며, 바람직스럽게는 콘테이너의 저부(16)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차가운 물을 콘테이너(4)의 가장 차가운 측으로 도입하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증기 발생의 재시작을 지연시킨다.
도 3 은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의 제 2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제 1 구현예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 3 의 도면에는 콘테이너(4)의 상부벽, 증발 챔버(13)내의 물 유입 파이프 및, 주 챔버(14)내의 증기 유출 파이프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제 1 챔버(13)는 제 2 챔버(14)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고, 제 1 챔버(13)의 측벽은 제 2 챔버(14)의 측벽의 일측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챔버(13)의 측벽은 2 개 챔버들 사이에서 격벽(10)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1),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핀 구멍이 상기 벽(10)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챔버(13)에 의해 발생된 증기가 챔버(14)를 통과하게 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11'),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핀 구멍이 상기 벽(10)의 하부 부분에 제공되어 물은 2 개 챔버들 사이를 통과한다. 콘테이너(4)의 전체 저부에 걸쳐 석회질 스케일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벽(10)은 2 개 챔버들의 공통 저부(16)에 대하여 상승되는 것이 유리하다.
증기 발생기의 작동은 상기 설명된 구현예들 모두에서 동일하다. 비등점에 도달하도록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체적은 증발 챔버(13) 안에 포함된 것만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콘테이너의 수직 벽(15)은 가열 요소(2)의 지지 요소(7)가 삽입되는 개구(6)를 가지고, 그것은 금속 시트(metal sheet)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른 등가의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편리하게 성형된다. 지지 요소(7)의 베이스(8)는 평면에서 원형인 것이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그 치수는 지지 요소(7)가 삽입되는 구멍(6)의 치수에 대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지 유형의 수단에 의해 지지 요소가 구멍에 고정된다. 예를들어, 나사, 클램프 또는 다른 종래의 고정 수단 또는 신속 해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직경 방향 단면에서 고려하면, 베이스는 평탄 형상이지만, 매우 큰 굽힘 반경을 가진 구형(spherical) 캡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굽힘은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증발되어야 하는 물(9)이 콘테이너(4)의 수직벽의 좌측 부분에 포함되고, 가열 요소(2)를 장착하거나 유지하거나 또는 수리하기 위한 외측 접근부는 우측에 제공된다.
지지 요소(7)는 그것의 외측에 열 방산기(20)를 포함하며, 유리하게는 보다 우수한 열의 분포를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열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등가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방산기(20)는 예를 들어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지지 요소(7)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이 편리하다.
가열 요소(2)는 방산기(20)의 외측에 차례로 고정된 전기 저항체(21)를 포함한다. 전기 저항체(21)(도 4 에는 오직 일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그 형상 및 전체적인 치수는 가열 요소(2)내에 포함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변형예에서, 저항체는 루프 형상으로 굽혀지지만(도 1), 그것은 구불구불한(serpentine)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콤팩트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실리콘과 함께 산화 마그네슘(MgO)이 사용되어, 저항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통과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에 저항체 및 가열 요소의 다른 구성 요소들(절연체를 형성함)을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필요하다면, 가열 요소(2)는 가열 요소의 적절한 작동에 필요한 다른 구성 요소들을 그것의 외측에 구비할 수 있으며, 그것은 예를 들어 과부하의 경우에 제어된 방출을 허용하는 온도 퓨즈(temperature fuse) 및 써모스태트와 같은 것이다.
NTC 온도 센서가 제공되었을 때, 그것은 가열 요소(2)의 하우징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가정용 전기 기구의 콘테이너 내측에 있는 저항체 자체의 위에 배치되는 현재 기술에 비하여 훨씬 간단하고 향상된 위치이다. 그러한 배치는 가열 요소(2)의 제조 비용에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구조 요소가 향상된 유압 밀봉을 위하여 콘테이너(4)의 벽에 제공되는데, 그 유압 밀봉은 지지 요소(7)의 주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고리형 융기부(23)로서, 가열 요소(2)와 콘테이너(4)의 벽 사이의 접촉을 최적화시킨다. 분리된 밀봉 요소, 예를 들어 O 링(24)도 제공되는데, 그것은 지지 요소(7)와 벽(4) 사이에 제공된다. 다른 등가의 밀봉 요소들이 O 링(24) 대신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고리형 플랜지(8')는 지지 요소(7)의 베이스(8)의 주위 영역에 제공되어 가열 요소(2)의 향상된 위치 선정 및 최적의 고정을 허용한다.
가열 요소(2)는 증기 발생기의 콘테이너(4)의 수직 벽에 장착되었을 때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전력 라인(22)에 연결된다. 더욱이, 가열 요소(2)에 기인하여, 증기 발생기에 장착되었을 때 현재 기술의 해법과 비교하여 일부 사용상의 장점을 가지는 특히 콤팩트한 체적의 해법이 이루어진다. 만약 가열 요소(2)가 오직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거나 또는 물로 둘러싸인다면, 증발 챔버(13)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가열 요소(2)에 근접한 영역에서 물이 끓기 시작했을 때 공기 포말들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포말들은 물의 난류 움직임을 발생시켜서 실제로 물의 수위를 그러한 영역에서 상승시킴으로써 가열 요소(2)가 잠기는 것을 허용하고 작동하는 동안에 보다 낳은 열교환 효율을 달성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가열 요소(2)의 변형예의 특징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이전의 구현예들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가열 저항체(2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압출된 튜브형 요소(25)로 삽입되고, 튜브형 요소는 유체의 도입을 위하여 동일한 압출 요소에서 얻어진 파이프(26)를 가진다. 따라서, 파이프(26)는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또는 그것의 일부에 걸쳐서, 전기 저항체(21)의 옆에 있다. 이러한 해법은 최적의 열전도성이 전기 저항체(21)와 파이프(26)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하고, 전기 저항체(21)로부터 발생된 열의 일부가 파이프(26)를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것도 허용한다.
증기 발생기의 유리한 해법에서, 가열 요소(2)의 파이프(26)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들에 의하여) 증기 유출 파이프(5)와 직접적으로 소통되고 증기 발생기(1)에서 발생된 증기는 과열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26) 안에서 이송된다.
증기를 발생시키는 열은 발생기 콘테이너의 수직 벽을 따라서 수직 위치에 배치된 다음과 같은 유형의 전기 가열 요소에 의하여 공급될 수도 있다.
-공동(cavity) 안에 재 가압(re-pressing)됨으로써 다이캐스트 플레이트에 고정된 저항체,
-주조(casting)시에 다이 캐스트 플레이트의 덩어리안에 포함된 저항체,
-강철 플레이트상에 인쇄된 저항성 실크 스크린 인서트(silk-screen insert) ("두꺼운 필름"의 저항체).
유리하게는, 발생기 콘테이너의 수직 벽을 따라서 수직 위치에 전기 가열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세탁 기계 및 많은 증기 발생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튜브형 저항체로부터 분리된 스케일(scale)과 비교할 때, 가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어 콘테이너의 저부에 걸쳐 떨어진 석회질 스케일은 매우 얇은 스케일의 형상이라는 점이 주목되었다. 이러한 장점은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브레이징된 플레이트(brazed plate)"를 가진 저항체를 이용함으로써 특히 주목되었다.
1. 증기 발생기 2. 전기 가열 요소
3. 유입 파이프 4. 콘테이너
13. 제 1 챔버 14. 콘테이너

Claims (15)

  1. 가열되어야 하는 물을 포함하는 콘테이너(4)로서, 상기 물의 적어도 하나의 유입 파이프(3) 및 적어도 하나의 증기 유출 파이프(5)가 제공된, 콘테이너(4);
    콘테이너(4)의 제 1 수직 벽(15)에 형성된 개구(6) 안에 수직으로 고정된 전기 가열 요소(2);를 구비하고,
    상기 콘테이너(4)에는 격벽(10)이 제공되고, 격벽은 상기 제 1 벽(15)을 포함하는 벽들을 가진 제 1 챔버(13) 및, 콘테이너(4)의 저부(16)에 적어도 근접하여 제 1 챔버(13)와 소통되는 제 2 챔버(14)를 형성하는, 증기 발생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0)은 콘테이너(4)의 상부벽(17)과 일체인, 증기 발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14)는 상기 격벽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근접하여 제 1 챔버(13)와 소통되는, 증기 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0)은 콘테이너(4)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18)과 일체이고, 콘테이너(4)의 상부벽(17)으로부터 이격된, 증기 발생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부벽(17)에 근접하여, 격벽(10)에는 제 1 챔버(13)로부터 제 2 챔버(14)로 증기가 통과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1)가 제공되는, 증기 발생기.
  6. 재 1 항에 있어서,
    제 2 챔버(14)는 제 1 챔버(13)의 체적과 같거나 그보다 큰 체적을 가지는, 증기 발생기.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증기 유출 파이프(5)는 콘테이너의 상부벽(17)에 근접하여 제 2 챔버(14) 또는 제 1 챔버(13)에 배치되는, 증기 발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물 유입 파이프(3)는 콘테이너의 저부(16)에 근접하여 제 1 챔버(13) 또는 제 2 챔버(14)에 배치되는, 증기 발생기.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 요소(2)는 사용시에 물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겨서 유지되도록 수직 벽(15)의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발생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가열 요소(2)는:
    베이스(8)를 가진 얇은 금속의 지지 요소(7)로서, 내측부인 제 1 측부가 콘테이너(4)의 내부와 접촉되어 배치되고, 내측부에 반대편에 있는 베이스(8) 측부상의 외측부인 제 2 측부가 상기 콘테이너의 외측부상에 위치되는, 지지 요소(7);
    지지 요소(7)의 외측부에 고정된, 전기 가열 저항체(21);
    유체가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수단(24); 및,
    전기 가열 저항체(21)와 지지 요소(7) 사이에 배치된 금속의 열 방산 디스크(20)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7)는 제 1 벽(15)을 따라서 수직의 위치에 있는, 증기 발생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7)의 베이스(8)는 평면에서 원의 형상이고 단면에서 평탄하거나 또는 구형 캡(spherical cap)의 형상인, 증기 발생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고리형 플랜지(8')는 베이스(8)의 주위 영역내에 제공되는, 증기 발생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증기 통과 파이프(26)는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적합화된 전기 가열 저항체(21)의 측부에 제공되는, 증기 발생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가열 요소(2)는 공동(cavity) 안으로의 재-가압(re-pressing)에 의하여 다이-캐스트 플레이트(die-cast plate)에 고정된 저항체이거나, 또는 주조시에 다이-캐스트 플레이트의 덩어리에 포함된 저항체이거나, 또는 강철 플레이트상에 인쇄된 저항성 인서트 실크 스크린(resistive insert silk-screen)인, 증기 발생기.
KR1020117026998A 2009-04-15 2010-04-14 증기 발생기 KR101706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2009A000173 2009-04-15
ITRM2009A000173A IT1394239B1 (it) 2009-04-15 2009-04-15 Generatore di vapore
PCT/IB2010/051611 WO2010119405A2 (en) 2009-04-15 2010-04-14 Steam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767A true KR20120090767A (ko) 2012-08-17
KR101706189B1 KR101706189B1 (ko) 2017-02-13

Family

ID=4131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998A KR101706189B1 (ko) 2009-04-15 2010-04-14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74610B2 (ko)
EP (1) EP2419558B9 (ko)
KR (1) KR101706189B1 (ko)
CN (1) CN102395726B (ko)
BR (1) BRPI1014916A2 (ko)
CA (1) CA2758403A1 (ko)
ES (1) ES2469091T3 (ko)
IT (1) IT1394239B1 (ko)
MX (1) MX2011010727A (ko)
WO (1) WO201011940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524A (ko) * 2020-08-14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378B2 (en) 2013-04-17 2017-05-30 Venkata Sundereswar Rao VEMPATI Energy efficient pressure less steam generator
US20180030640A1 (en) * 2016-07-29 2018-02-01 Wuxi Little Swan Co., Ltd.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having the same
CN107246600B (zh) * 2016-12-30 2019-04-09 袁芳革 一种快速蒸汽发生器
CN107906496A (zh) * 2018-03-12 2018-04-13 朱毅 一种循环蒸发式蒸汽炉
CN209712520U (zh) * 2018-09-27 2019-12-03 东莞市丰海金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低温真空烹饪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231B1 (ko) * 1995-06-16 1998-07-01 이중희 스팀 발생장치
KR20070025264A (ko) * 2005-09-0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1815A (en) * 1934-12-11 1936-05-26 Arlie M Brown Heating system
US2888006A (en) * 1956-05-23 1959-05-26 Henry J Martin Furnace humidifier system
US3683153A (en) * 1971-02-19 1972-08-08 Victory Metal Mfg Corp Vaporizer with external heating element
US3685259A (en) * 1971-05-10 1972-08-22 Pactide Corp Self-limiting electrolytic heater
US4753758A (en) * 1983-05-19 1988-06-28 Intertech Resources Inc. Respiratory humidifier
GB8814206D0 (en) * 1988-06-15 1988-07-20 Black & Decker Inc Improvements in/relating to steam generators
JPH03267604A (ja) * 1990-03-19 1991-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蒸気発生機
US5140667A (en) * 1991-08-28 1992-08-18 Herrmidifier Company, Inc. Electric steam humidifier for mounting on the horizontal bottom wall or vertical side wall of an air duct of a forced air furnace
KR100517613B1 (ko) * 2003-03-31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US6961516B2 (en) * 2003-03-31 2005-11-01 Toshiba Ceramics Co., Ltd. Steam generator and mixer using the same
AU2006250221B2 (en) * 2005-05-23 2009-07-23 Lg Electronics Inc. A steam generator in drum washing machine
KR20070088068A (ko) * 2006-02-24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0672490B1 (ko) * 2006-04-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장치용 스팀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 장치
JP2010054173A (ja) *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231B1 (ko) * 1995-06-16 1998-07-01 이중희 스팀 발생장치
KR20070025264A (ko) * 2005-09-0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524A (ko) * 2020-08-14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RM20090173A1 (it) 2010-10-16
BRPI1014916A2 (pt) 2016-04-26
EP2419558A2 (en) 2012-02-22
CN102395726A (zh) 2012-03-28
CN102395726B (zh) 2013-10-09
WO2010119405A2 (en) 2010-10-21
ES2469091T3 (es) 2014-06-17
US8774610B2 (en) 2014-07-08
CA2758403A1 (en) 2010-10-21
KR101706189B1 (ko) 2017-02-13
IT1394239B1 (it) 2012-06-01
EP2419558B9 (en) 2014-06-18
EP2419558B1 (en) 2014-03-05
US20120039585A1 (en) 2012-02-16
WO2010119405A3 (en) 2010-12-09
MX2011010727A (es)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281B2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KR20120090767A (ko) 증기 발생기
JP6070760B2 (ja) 電気湯沸し器
CN212178836U (zh) 蒸汽生成器和包括该蒸汽生成器的装置
JP2009058185A (ja) 蒸気発生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加熱調理器
RU2738917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типа с функцией генерации горячего воздуха
KR20120057007A (ko) 소형 온수보일러의 온수 가열장치
CN218942954U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CN219048116U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US20200352381A1 (en) Reservoir for steam cooking
JP5961946B2 (ja) 電気ポット
CN210688410U (zh) 取暖器
KR200421016Y1 (ko) 온수 순환시스템
CN219048117U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CN217082496U (zh) 蒸汽发热锅以及挂烫机
CN217235671U (zh) 集成灶
CN218960543U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JP2015171551A (ja) 電気ポット
RU2004108245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е водонагреватели
JP6160682B2 (ja) 電気湯沸し器
CN117663091A (zh) 蒸汽发生装置
CN118021181A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JP4427292B2 (ja) タオル蒸し装置
JP2007285639A (ja) 熱交換器
JP2010038520A (ja) 蒸気発生装置及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