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534A - 산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산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534A
KR20120090534A KR1020110011013A KR20110011013A KR20120090534A KR 20120090534 A KR20120090534 A KR 20120090534A KR 1020110011013 A KR1020110011013 A KR 1020110011013A KR 20110011013 A KR20110011013 A KR 20110011013A KR 20120090534 A KR20120090534 A KR 2012009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vacuum pump
oxygen enrichment
ai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이동석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0534A/ko
Publication of KR2012009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펌프(100); 상기 진공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공 펌프(100)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부화시키는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마련되는 산소 배출 유로(300); 및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산소 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 상에 마련되는 조절 밸브(400); 를 포함하는 산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소 발생 장치{OXYGE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산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소의 농도가 높은 산소 부화 공기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는 산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기온이나 주행 조건에 관계없이 운전자 및 승객에 대하여 쾌적한 승차 환경을 제공하고, 창문에 습기 또는 서리가 차는 현상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히터 및 에어컨과 같은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실내 공간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 내에서 히터 또는 에어컨 등을 무리하게 작동시키는 경우 차량의 실내 공간의 공기가 탁해져서 산소의 농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실내 공간의 공기가 오염되거나 산소 농도가 저하되는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운전하는 운전자 등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불쾌 지수가 증가하여 집중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차량에 산소 발생 장치를 설치하여 밀폐된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있다.
즉, 일본공개특허 제2004-136232호는 공기가 오염되거나 공기의 산소 농도가 저하된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발생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산소 발생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 발생 장치는 본체(10),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의 산소 농도를 부화시키는 산소 부화막(20), 상기 산소 부화막(20)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진공 펌프(30) 및 산소 농도가 부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하는 토출구(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산소 발생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진공 펌프(30)의 진공압에 의하여 외부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구(5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산소 부화막(20)을 통과함으로써 산소 농도가 부화되는데, 상기 산소 부화막(20)은 공기 중의 질소보다 산소의 투과 속도가 빠른 원리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산소 부화막(20)에서 산소 농도가 부화된 공기는 상기 진공 펌프(30)를 경유하며, 상기 토출구(40)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공기가 오염되거나 공기의 산소 농도가 저하된 실내 공간은 상기 토출구(40)로부터 토출되는 산소 농도가 부화된 공기에 의하여 정화된다.
그러나, 상술한 산소 발생 장치는 상기 산소 부화막(20)의 면적, 상기 진공 펌프(30)의 진공압 또는 유량 등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토출구(4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유량 역시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황에 따라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유량 등의 조절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산소 부화막(20)의 면적, 상기 진공 펌프(30)의 성능을 상황에 따라 변경하여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유량 등을 조절할 수 있으나, 산소 농도 및 유량을 조절할 때마다 상기 산소 부화막(20)이나 상기 진공 펌프(30)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에 마련되는 밸브의 조절만으로 진공 펌프의 진공압이 걸리는 산소 부화 유닛의 면적을 변경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에 토출되는 산소의 농도 및 유량을 조절하는 산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펌프(100), 상기 진공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공 펌프(100)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부화시키는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마련되는 산소 배출 유로(300) 및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산소 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 상에 마련되는 조절 밸브(400)를 포함하는 산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는 상기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과 상기 진공 펌프(100)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배출관(3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 밸브(410)는 상기 각각의 배출관(310) 상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는 상기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이 연통되는 배출관(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 밸브(420)는 상기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관(320) 상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은,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중공의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산소 부화막(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는 내외부를 통하는 다수의 관통홈(2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산소 부화막(220)을 통과한다. 이와 같은 경우, 산소 부화막(22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개별적으로 산소 부화막(22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을 마련하고 상기 산소 부화 유닛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이 조절 밸브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산소 부화 유닛 또는 진공 펌프의 교체 없이 차량의 실내 공간에 토출되는 산소의 농도 및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산소 발생 장치에 구비된 산소 부화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산소 부화 유닛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는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차량의 트렁크 측에 설치하여 외기로부터 산소를 부화시키고, 산소 농도가 부화된 공기는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산소 발생 장치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펌프(100), 상기 진공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공 펌프(10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마련되는 산소 배출 유로(300) 및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마련되는 산소 배출 유로(300) 상에 마련되는 조절 밸브(40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펌프(100)는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상기 진공압을 전달한다.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은 산소 배출 유로(30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에 의하면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는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을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은 상기 진공 펌프(100)에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부화시킨다. 즉,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산소의 농도가 부화된다. 이러한 산소 부화 유닛(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산소의 농도가 높아진 공기는 상기 진공 펌프(100)를 경유하고,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어 운전자 및 승객에게 쾌적한 탑승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 밸브(400)는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 상에 마련되는데,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조절 밸브(400)가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를 개폐함에 따라 공기의 산소 농도가 조절되는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산소 발생 장치에 구비된 산소 부화 유닛(20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은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중공의 플레이트(210) 및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산소 부화막(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0)는 얇은 박판 형상 가지고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부재로서 그 양측면에는 내외부를 통하도록 다수의 관통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10)의 상단면 일측에는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와 연결되는 연결구(214)가 마련되는데, 상기 진공 펌프(100)가 발생시키는 진공압이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를 통하여 인가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210) 내부에 외부 공기는 상기 다수의 관통홈(212)을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2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산소 부화막(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중의 산소 분자(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를 질소 등의 다른 성분의 기체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투과시킴으로써 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산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에게 쾌적한 탑승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조절 밸브(410)가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를 개폐함에 따라 공기의 산소 농도가 조절되는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은 복수개의 배출관(310)에 의하여 상기 진공 펌프(10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관(310) 상에는 조절 밸브(410)가 각각 마련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밸브(410)는 각각의 배출관(310)을 개폐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4개의 배출관(310)이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배출관(310) 상에 각각 마련되는 조절 밸브(410) 모두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는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모두를 통과함으로써 산소 농도가 증가되며, 산소 농도가 증가된 외부 공기는 상기 진공 펌프(100)를 경유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실내 공간의 상태나 운전자 및 승객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절 밸브(410)를 폐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4개의 조절 밸브(410) 중 2개의 조절 밸브(410)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데, 상기 진공 펌프(100)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은 조절 밸브(410)가 개방된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만 인가되므로 외부 공기는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만을 통과하면서 산소 농도가 증가된다.
이때, 상기 진공 펌프(100)의 진공압이 인가되는 산소 부화 유닛(200)의 개수는 감소되므로, 즉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산소 부화막(220)의 면적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은 감소하는 반면, 상기 조절 밸브(410)가 개방된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인가되는 진공압은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진공압이 인가되면,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진공압이 인가되는 경우보다 고농도로 산소 농도가 농축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다만,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배출관(310) 상에 조절 밸브(410)를 마련하고, 상기 조절 밸브(410)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서 산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진공 펌프(100) 또는 산소 부화 유닛(200)의 교체 없이 용이하게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개의 조절 밸브(410)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2개의 조절 밸브(410)를 폐쇄시킨 경우보다 고농도로 산소 농도가 농축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포함하는 산소 발생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의 개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와 달리 하나의 배출관(32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상기 진공 펌프(100)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320)을 개폐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조절 밸브(420)는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 진공 펌프(100)와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관(320) 상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는 배출관(320) 및 조절 밸브(420)의 배치 상태만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와 상이할 뿐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조절 밸브(420)가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를 개폐함에 따라 공기의 산소 농도가 조절되는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 발생 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은 하나의 배출관(320)에 의하여 상기 진공 펌프(10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320) 상에는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조절 밸브(420)가 각각 마련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밸브(420)는 각각의 배출관(320)을 개폐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배출관(32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상기 진공 펌프(100)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 진공 펌프(100)와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관(320) 상에 각각 마련되는 조절 밸브(410) 모두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는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모두를 통과함으로써 산소 농도가 증가되며, 산소 농도가 증가된 외부 공기는 상기 진공 펌프(100)를 경유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실내 공간의 상태나 운전자 및 승객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절 밸브(420)를 폐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4개의 조절 밸브(420) 중 1개의 조절 밸브(420, 도면상 왼쪽에서 두 번째로 배치된 조절 밸브)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데, 상기 진공 펌프(100)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은 조절 밸브(420)가 개방된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도면상 오른쪽에 배치되는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만 인가되므로 외부 공기는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만을 통과하면서 산소 농도가 증가된다.
이때, 상기 진공 펌프(100)의 진공압이 인가되는 산소 부화 유닛(200)의 개수는 감소되므로, 즉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산소 부화막(220)의 면적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은 감소하는 반면, 상기 조절 밸브(420)가 개방된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인가되는 진공압은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2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진공압이 인가되면,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에 진공압이 인가되는 경우보다 고농도로 산소 농도가 농축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4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을 포함하는 산소 발생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의 개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진공 펌프 200: 산소 부화 유닛
210: 플레이트 212: 관통홈
214: 연결구 220: 산소 부화막
300: 산소 배출 유로 400: 조절 밸브

Claims (4)

  1.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펌프(100);
    상기 진공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진공 펌프(100)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부화시키는 복수개의 산소 부화 유닛(200);
    상기 진공 펌프(100)와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마련되는 산소 배출 유로(300); 및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산소 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 상에 마련되는 조절 밸브(400); 를 포함하는 산소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는 상기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과 상기 진공 펌프(100)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배출관(3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 밸브(410)는 상기 각각의 배출관(310)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배출 유로(300)는 상기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이 연통되는 배출관(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 밸브(420)는 상기 각각의 산소 부화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관(320)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부화 유닛(200)은,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중공의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산소 부화막(220)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는 내외부를 통하는 다수의 관통홈(2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진공 펌프(100)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산소 부화막(220)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발생 장치.
KR1020110011013A 2011-02-08 2011-02-08 산소 발생 장치 KR20120090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13A KR20120090534A (ko) 2011-02-08 2011-02-08 산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13A KR20120090534A (ko) 2011-02-08 2011-02-08 산소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34A true KR20120090534A (ko) 2012-08-17

Family

ID=4688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13A KR20120090534A (ko) 2011-02-08 2011-02-08 산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0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149B1 (ko) * 2021-10-14 2022-08-23 이승준 산소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산소 공급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149B1 (ko) * 2021-10-14 2022-08-23 이승준 산소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산소 공급 시스템
KR20230053502A (ko) * 2021-10-14 2023-04-21 이승준 산소 발생기를 이용한 정수기 결합형 산소 공급 시스템
KR20230053501A (ko) * 2021-10-14 2023-04-21 이승준 산소 발생기를 이용한 헤드셋 타입의 산소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5926A (ja) 透過制御されるガラス窓
CN104737086B (zh) 集成型气体供给装置
JP5848780B2 (ja) 酸素を生成する方法及び構成
ATE383260T1 (de) Luftausströmer,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08375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35264A (ko) 기체 분자 오염 물질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클린룸
WO2010149958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gas into a liquid
CN106004896A (zh) 轨道交通用车辆司机室引风道结构
KR20210018207A (ko) 초순수 제조 장치 및 초순수 제조 방법
KR20120090534A (ko) 산소 발생 장치
KR20200017059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JP2007176301A (ja) 車両用空気調整装置
WO2008047260A3 (fr) Dispositif de purification d'air de l'habitacle d'un véhicule notamment, associant plusieurs appareils de traitement de l'air à purifier.
JP2004511385A (ja) 空気ガイドボックス
KR20130005898A (ko) 정수장치의 필터간 유량 균등분배 구조
US11872521B2 (en) Air purifying system
JP5953138B2 (ja) 湿潤ガス発生方法と小流量用調湿装置
CN106152450A (zh) 一种导风装置以及送风的方法
CN111788150A (zh) 臭氧产生装置和臭氧产生方法
CN203818979U (zh) 一种用于混合空气流的混合器
KR101756381B1 (ko) 차량용 산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20496A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CN111589066B (zh) 低氧空气供给装置和训练装置
JPS6343812A (ja) 車両の空調装置
PL2154439T3 (pl) Regulator strumienia objętości, zwłaszcza do instalacji klimatyzacyjnych lub wentylacyjn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