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524A -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524A
KR20120087524A KR1020110008770A KR20110008770A KR20120087524A KR 20120087524 A KR20120087524 A KR 20120087524A KR 1020110008770 A KR1020110008770 A KR 1020110008770A KR 20110008770 A KR20110008770 A KR 20110008770A KR 20120087524 A KR20120087524 A KR 20120087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nozzle
heating element
coil
molten stee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주
최주태
하태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524A/ko
Publication of KR2012008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using electric, magnetic, sonic or ultras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지노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침지노즐에 열을 전달시키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 대응되도록 배선되며 전기장을 형성시켜 상기 발열체의 발열을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THE DEVICE TO PREVENT CLOGGING OF SUBMERGED ENTRY NOZZLE}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정 시,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주입시키는 침지노즐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법은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M)을 턴디쉬(Tundish)에 받았다가 연속 주조기용 주형(Mold)에 주입하여 일정한 모양을 만들고 연속주조기를 통과하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침지노즐(SEN, Submerged Entry Nozzle)은 턴디쉬 하부에 형성되어 턴디쉬로부터 주형으로 용강(M)을 주입시 사용되는 관으로서, 턴디쉬의 스토퍼(Stopper)와 연동하여 용강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주조품의 고품질을 위하여서는 주형으로의 편류가 없이 균일하게 용강이 공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주입시키는 침지노즐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주조품의 결함 발생을 줄여 생산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열 시간을 줄여 원가 절감과 생산량 증대가 가능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는 침지노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침지노즐에 열을 전달시키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 대응되도록 배선되며 전기장을 형성시켜 상기 발열체의 발열을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침지노즐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침지노즐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배치되며, 복수의 발열체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표면에 산화방지를 위한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막은 석회, 장석, 규산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고, 고온에서 소성되는 고화도 유약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이상의 흑연과 나머지 잔부는 점결제, 유약 및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유도 코일이 다회 귄취되어 판상을 이루고, 상기 판상은 상기 발열체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코일은 속이 빈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로 냉각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에 의하면,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주입시키는 침지노즐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주조품의 결함 발생을 줄여 생산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열 시간을 줄여 원가 절감과 생산량 증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연속주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침지노즐의 막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주파 유도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코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발열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설치 전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설치 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연속주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용강(M)은 래들(4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턴디쉬(300)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을 위하여, 래들(400)에는 턴디쉬(300)를 향해 연장하는 슈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405)이 설치된다. 슈라우드 노즐(405)은 용강(M)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질화되지 않도록 턴디쉬(300) 내의 용강(M)에 잠기도록 연장한다. 슈라우드 노즐(405)의 파손 등으로 용강(M)이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를 오픈 캐스팅(Open casting)이라 한다.
턴디쉬(300) 내의 용강(M)은 주형(200) 내로 연장하는 침지 노즐(SEN, Submerged Entry Nozzle, 100)에 의해 주형(200) 내로 유동하게 된다. 침지 노즐(100)은 주형(200)의 중앙에 배치되어, 침지 노즐(100)의 양 토출구(109)에서 토출되는 용강(M)의 유동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침지 노즐(100)을 통한 용강(M)의 토출의 시작, 토출 속도, 및 중단은 침지 노즐(100)에 대응하여 턴디쉬(300)에 설치되는 스토퍼(stopper, 301)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는 침지 노즐(1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침지 노즐(100)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침지 노즐(100)을 통한 용강(M)의 유동에 대한 제어는, 스토퍼 방식과 다른,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게이트는 판재가 턴디쉬(3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침지 노즐(100)을 통한 용강(M)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주형(200) 내의 용강(M)은 주형(200)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M)의 중심보다는 주변부가 수냉되는 주형(200)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주변부가 먼저 응고되는 방식에 의해, 스트랜드(800)의 주조 방향을 따른 뒷부분은 미응고 용강(802)이 용강(M)이 응고된 응고쉘(801)에 감싸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핀치롤이 완전히 응고된 스트랜드(800)의 선단부(803)를 잡아당김에 따라, 미응고 용강(802)은 응고쉘(801)과 함께 주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응고 용강(802)은 위 이동 과정에서 냉각수(135)를 분사하는 스프레이(605)에 의해 냉각된다. 이는 스트랜드(800)에서 미응고 용강(802)이 차지하는 두께가 점차로 작아지게 한다. 스트랜드(800)가 응고 완료점(805)에 이르면, 스트랜드(800)는 전체 두께가 응고쉘(801)로 채워지게 된다. 응고가 완료된 스트랜드(800)는 절단 지점(700)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슬라브 등과 같은 주조품(P)으로 나뉘어진다.
연속주조 공정에서 온도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는 연속 주조 공정 중 용강(M)의 응고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는 과열로 인하여 주조품의 품질저하, 내화물의 침식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동시에, 젼속주조기의 가열을 위한 비용이 증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는 제강 공정을 거친 용강(M)이 수강되기 전에 예열과정을 거쳐, 용강(M)과 연속주조기의 온도차이를 줄이고, 연주공정 중 온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턴디쉬(300)에서 주형(200)으로 용강(M)을 이송시키는 통로가 되는 침지노즐은 용강(M)의 수강 정도에 비하여 표면적이 넓어, 예열 된 열을 공기 중으로 잃어버리기 쉽다. 따라서, 침지노즐은 노즐 내 게재물(106)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으로 인한 불균일한 용강(M)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침지노즐의 막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침지노즐은 용강(M) 주입부(103)와 단열부재 장착부(101)와 대기 노출부(105)와 침지부(108)를 포함하고, 침지부(108)에는 토출구(109)가 형성되어 있다.
용강(M) 주입부(103)는 턴디쉬(300) 내부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용강(M) 주입부(103)는 턴디쉬(300)에서 침지노즐로 용강(M)이 이송되는 입구가 되는 통로 부분이다. 용강(M) 주입부(103)는 턴디쉬(300) 내에 형성된 개폐장치와 연동하여 용강(M)의 주입량을 제어하게 된다. 개폐장치는 스토퍼(도 1, 301)와 슬라이드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재 장착부(101)는 침지노즐의 외연면 상단에 단열부재(102)가 형성된 부분이다. 단열부재 장착부(101)는 침지노즐의 외연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102)는 주형(200)으로 주입되는 용강(M)의 온도에 의해 침식 또는 탈락 될 수 있어 용강(M)과 직접 닿지 않도록 침지노즐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 장착부(101) 내부의 용강(M)은 온도가 잘 유지되어 게재물(106)이 형성되는 정도가 매우 적다.
대기 노출부(105)는 추가적인 단열부재(102)가 형성되지 않고 대기에 직접 드러난 침지노즐 부분이다. 대기 노출부(105) 내부의 용강(M)은 온도가 하강되어 게재물(106)이 형성된다. 게재물(106)은 알루미늄 산화물일 수 있다. 게재물(106)은 지금(철)일 수 있다. 또한 게재물(106)은 알루미늄 산화물과 지금(철)이 혼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게재물(106)이 발생되면 침지노즐 내부에 이송되는 용강(M)의 유량이 줄어들고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용강(M)의 유량과 유속의 변화로 미루어 침지노즐의 막힘 상태를 짐작하고 대처할 수 있다.
침지부(108)는 침지노즐이 주형(200) 내부로 삽입 형성되어 주입된 용강(M)에 침지된 부분이다. 침지부(108)는 토출구(109)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09)는 용강(M)이 주형(200)으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주파 유도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코일(130) 형상의 도체(903) 중심에 영구자석(900)을 반복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면 자기장(910)이 변하고 도체(903)에 유도전류(914)가 흐른다. 이것을 전자 유도 작용이라 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고주파 유도가열은 이 전자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영구자석(900)을 움직이는 것 대신 코일(130)에 교류전류를 흘려 교번자속을 발생시킴으로서 발열체(120)에 유도전류(와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유도전류는 와전류손에 의해 주울열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주울열은 발열체(120)를 가열시키며, 이러한 가열현상을 유도가열이라 한다.
유도전류는 코일(130)에 근접한 물체부분에 집중 유도될 수 있다. 유도전류는 물체 표면 주위에서 강하게 흐르려고 하고, 물체 내부에서는 약하게 흐르려는 특징이 있다. 유도전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발열체(120)의 표면에만 전류가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어 전기적 저항이 등가적으로 커지고, 유도전류의 발생량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수를 사용하여 전류의 표피작용과 근접효과에 따라서 발열체(120) 표면에 자속 및 와전류의 집중으로 재발생되는 열손실이 발열체(120)의 표면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표피작용은 물체의 표면에만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다. 근접효과는 코일(130)에 흐르는 전류와 발열체(120)에 유도된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두 전류 사이의 흡인력에 의하여 발열체(120)와 코일(130)이 인접한 부위의 전류밀도가 높아지는 현상이다. 열손실은 와전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의 2가지 열손실 형태를 포함한다. 와전류손은 발열체(120)의 고유저항과 와전류에 의한 주울열이 발생되면서 손실되는 에너지이다. 발열체(120)가 자성체인 경우 자성체를 구성하고 있는 자기분자는 인가된 자속에 따라 재배열하게 되고 인가된 자속을 완전히 제거하여도 인가전의 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된다. 히스테리시스손은 상기 경우의 자기분자의 회복 불능에 따른 자력 감소를 말한다.
코일(130)은 열과 전류의 전도가 가능한 금속 즉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130)은 부도체 또는 반도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부도체 또는 반도체를 자화시킬 수 있는 매우 놓은 전압이 필요하다.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하면, 직접 가열에 의한 열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단시간 가열로 산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국부가열을 함으로서 경화 깊이 선정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가열 조건 조정이 용이하며, 자동화가 용이하다. 또한 기계 가공라인과의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공해요소 발생이 없어 정정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가주파수를 달리하여 경화깊이나 열분포를 응용목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비금속물과 전기장(910)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유도 코일(130)과 발열체(120)가 이격 형성되어도 가열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는 용강(M)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침지노즐(100)과, 침지노즐 주변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발열체(120)와, 발열체(120)에 대응되도록 배선된 코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코일(130)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120)는 침지노즐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발열체(120)는 침지노즐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열체(120)는 침지노즐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침지부(108) 상단, 즉 용강(M) 표면과 발열체(120)와의 간격(h)이 20 ? 30mm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120)는 하나의 발열체(120)가 침지노즐에 대응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발열체(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체(120)가 연장 형성되어 침지노즐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발열체(120)가 연장 형성된 경우, 설치 이후, 보수 및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발열체(120)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이상의 흑연과 나머지 잔부는 점결제, 유약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120) 표면에는 코일(130)이 배선되어 있다. 코일(130)은 유도 코일(130)이 다회 귄취되어 판상을 이룰 수 있다. 판상은 상기 발열체(120)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유도 코일(130)은 유도전류에 의하여 전기장(9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유도 코일(130)은 속이 빈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로 냉각수(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유도 코일(130)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도 5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코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고주파 가열에 쓰이는 코일(130)은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각양각색으로 되어 있다. 코일(130)은 발진 주파수, 가열물의 재질과 용도 및 침투깊이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일(130)은 코일(130) 주변부에 형성되는 자력선이 교차 되도록 설계하여야 높은 자속 밀도를 얻을 수 있고 많은 전류가 유도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가열에 쓰이는 코일(130)의 단면적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선(spiral) 모양으로 다회 귄취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130)의 단면적 모양은 발열체(12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일(130)은 상기 발열체(120)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코일(130)은 발열체(120)의 표면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발열체(120)와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130)은 전류에 의하여 전기장(910)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130)은 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리, 니켈 등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코일(130)은 비금속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시킬 경우, 유도전류의 발생을 위하여 매우 높은 전압을 인가시킬 필요가 있다.
코일(130)은 속이 빈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로 냉각수(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냉각수(135)의 흐름은 코일(13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발열체(120)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열체(120)는 발열 본체(121)와 코팅막(125)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열 본체(121)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발열 본체(121)는 순도 95%이상의 흑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흑연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용융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흑연은 열전도성이 높고, 열팽창율이 적은 특징이 있다. 흑연은 전기전도도가 좋고, 탄소질과 흑연질의 배합에 따라 전기전도도를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흑연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코팅막(125)은 고화도 유약을 발열 본체(121)의 표면에 바르고, 1200℃ ? 1400℃에서 소성시킴으로서 형성시킬 수 있다. 고화도 유약에 의한 코팅막(125) 형성은 발열체(120)를 내구성이 강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소성온도가 1200℃보다 낮으면, 유약과 발열 본체(121)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소성온도가 1400℃보다 높으면, 고온에 의하여 발열체(120)가 갈라지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코팅막(125)의 형성으로 발열체(120) 표면이 유리질 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발열체 표면은 산화방지를 위한 코팅막(125)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막(125)은 석회, 장석, 유약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고화도 유약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코팅막(125)은 발열체(120)의 표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코팅막(125)은 액체 및 기체에 대해서 불투과성을 만들어 주변 가스등과의 반응을 억제 시킬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방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팅막(125)은 발열체(12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체(120)는 10 ? 30mm의 두께(d)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120)의 두께(d)가 10mm 미만인 경우, 유도된 전류를 감당하지 못하고 발열체(12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발열체(120)의 두께(d)가 30mm 초과인 경우, 발열체(120)의 무게가 상당하여 설치 이후, 보수 및 교환 등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발열체(120)는 침지노즐의 대기 노출부(도 2, 105)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120)는 단열부재 장착부(101)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발열체(120)는 침지노즐의 단열부재 장착부(101)와 대기 노출부(105)에 형성될 수 있고, 침지부(108) 상단, 즉 용강(M) 표면과 발열체(120)와의 간격(h)이 20 ? 30mm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120)와 용강(M) 표면이 20mm 보다 가깝게 형성되면, 용강(M)의 튀김과 용강(M) 내부의 가스가 분출되는 열에 의하여 발열체(120)가 손상될 수 있다. 발열체(120)와 용강(M) 표면이 30mm 보다 멀게 형성되면, 침지노즐의 게재물(106) 형성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설치 전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의 설치 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는 침지노즐 둘레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발열체(120)가 연장 형성되어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120)의 표면에는 유도 코일(130)이 배선될 수 있다.
침지 노즐 표면과 발열체(120)와 유도 코일(130)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전기장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각 구성 사이에 또는 일부 구성 사이에 간격이 없이 밀착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에 의하면,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주입시키는 침지노즐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주조품의 결함 발생을 줄여 생산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열 시간을 줄여 원가 절감과 생산량 증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침지 노즐 101: 단열부재 장착부
102: 단열부재 103: 주입부
105: 대기 노출부 106: 게재물
108: 침지부 109: 토출구
120: 발열체 121: 발열 본체
125: 코팅막 130: 코일(유도 코일)
135: 냉각수 200: 주형
300: 턴디쉬 301: 스토퍼
400: 래들 405: 슈라우드 노즐
600: 지지롤 605: 스프레이
700: 절단 지점 800: 스트랜드
801: 응고쉘 802: 미응고 용강
803: 선단부 805: 응고 완료점
900: 영구자석 903: 코일 형상의 도체
907: 전압 910: 전기장
914: 유도전류
h: 간격 d: 두께
M: 용강 P: 주조품

Claims (8)

  1. 침지노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침지노즐에 열을 전달시키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 대응되도록 배선되며 전기장을 형성시켜 상기 발열체의 발열을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침지노즐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침지노즐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배치되며, 복수의 발열체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표면에 산화방지를 위한 코팅막이 형성된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석회, 장석, 규산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고, 고온에서 소성되는 고화도 유약으로 형성시키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이상의 흑연과 나머지 잔부는 점결제, 유약 및 불순물이 포함되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유도 코일이 다회 귄취되어 판상을 이루고, 상기 판상은 상기 발열체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대응되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은 속이 빈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로 냉각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KR1020110008770A 2011-01-28 2011-01-28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KR20120087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70A KR20120087524A (ko) 2011-01-28 2011-01-28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70A KR20120087524A (ko) 2011-01-28 2011-01-28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24A true KR20120087524A (ko) 2012-08-07

Family

ID=4687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70A KR20120087524A (ko) 2011-01-28 2011-01-28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5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5928A (zh) * 2015-01-22 2015-04-22 无锡巨力重工股份有限公司 双水口外加热式中间罐
CN109954871A (zh) * 2019-04-30 2019-07-02 湖南中科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浸入式水口加热旋转装置及其工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5928A (zh) * 2015-01-22 2015-04-22 无锡巨力重工股份有限公司 双水口外加热式中间罐
CN109954871A (zh) * 2019-04-30 2019-07-02 湖南中科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浸入式水口加热旋转装置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2839B (zh) 用於一電磁鑄造之開底式電感應冷卻坩鍋及在一開底式電感應冷卻坩鍋中電磁鑄造一鑄塊之方法
JP5360024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CN103212675A (zh) 一种钢锭冒口感应加热及电磁搅拌装置
Park et al. Continuous casting of steel billet with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JP6003851B2 (ja) 連続鋳造用鋳型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KR20120087524A (ko)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
JP2015051442A (ja) 連続鋳造用鋳型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9233729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予熱方法及び連続鋳造方法
KR101201780B1 (ko) 베륨동의 연속주조장치
US2779073A (en) Receptacle for molten metal
Nakashima et al. Improvement of continuously cast slabs by decreasing nonmetallic inclusions
JP3728872B2 (ja) 金属の連続溶解鋳造装置および方法
JP5654339B2 (ja) 誘導加熱式アルミニウム溶解・保持炉
CN106735158B (zh) 一种结晶器浸入式水口及其使用方法
JP2555768B2 (ja) 金属の連続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JP6565516B2 (ja) 鋳造装置
JP2007218483A (ja) コールドクルーシブル誘導溶解装置
JP5263095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及び連続鋳造設備
JP6528992B2 (ja) 鋳造装置
HE et al. Influence of Magnetic Shielding on the Power Loss of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ntrolled Automated Steel Teeming System
CN109865819A (zh) 一种利用电感线圈横向磁通加热进行预制体铸渗制作陶瓷增强体金属基复合材料的方法
CN212704334U (zh) 用于中间罐的电磁感应加热装置
KR20130076060A (ko) 전자기 주조장치
JP2006289431A (ja) 合金溶湯の鋳造方法
KR20090060737A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에지스컬 생성저감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