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620A -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620A
KR20120086620A KR1020110007978A KR20110007978A KR20120086620A KR 20120086620 A KR20120086620 A KR 20120086620A KR 1020110007978 A KR1020110007978 A KR 1020110007978A KR 20110007978 A KR20110007978 A KR 20110007978A KR 20120086620 A KR20120086620 A KR 2012008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ttern
shape
pattern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930B1 (ko
Inventor
광 석 서
이대환
김종은
진영필
신진수
Original Assignee
광 석 서
이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석 서, 이대환 filed Critical 광 석 서
Priority to KR102011000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 (BLU)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의 일종인 확산 필름 (diffusion sheet), 프리즘 쉬트 (prism shest), 기타 다른 광학 필름 등 정밀한 패턴을 구비한 필름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광학 필름 압출 시 별도의 음각 엠보싱된 필름을 함께 사용하여 공압출하여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확산 기능, 프리즘 기능 등 원하는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면 압출법에 의해 휘도가 우수하면서 원하는 광학 기능이 부여된 광학 필름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은 평판디스플레이 기구 및 광고용 등 다양한 목적의 광학 필름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Method of producing films having a pattern by an extrusion process and the optical films produced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일면 또는 양면에 패턴을 구비한 필름을 압출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패턴 층을 구비한 확산 쉬트 또는 광학 쉬트, 프리즘 쉬트 등 다양한 종류의 필름이 평판디스플레이 기구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단면도와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10)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데, 윗면에 광확산층으로 양각 렌즈층(11)이 기저필름(12) 위에 형성된 것과 같이, 광확산 필름(쉬트)은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필름 표면에 광 확산을 위해 아크릴, 아마이드, 스티렌 등의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로 만들어진 구형의 비드를 광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와 혼합하여 필름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광 확산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만들어진다.
코팅법에 의한 확산 필름 제조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코팅 공정 중 광 확산 코팅층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습식 코팅법에 의한 확산 필름의 제조는 고분자 필름을 먼저 제조한 후 그 표면에 광확산 기능을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술이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분자 필름 표면에 코팅성 증진을 위해 프라이머 층을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제적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압출법에 의해 광확산 기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있다. 즉, 압출 시 필름 또는 쉬트를 생산하기 위해 칼렌더링 (calendering) 하는 도중 금속 롤 표면에 비드 모양을 음각으로 새긴 후, 이 롤 표면에 압출물을 압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음각의 비드 모양에 압출물이 압착되면 둥근 모양의 바닥 쪽의 공기가 다 빠지지 않아 원형의 정확한 비드 모양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윗 부분이 평평한 둥근 모양이 만들어져 광확산 기능 또는 휘도를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드 모양이 너무 규칙적으로 만들어져 두 장을 겹쳐 놓으면 소위 모아레 (Moire) 현상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은 광확산 필름 뿐만 아니라 평판디스플레이 기구 또는 광고용 광학 필름에 사용하는 프리즘 필름 등의 다양한 광학 필름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따라서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 압출과 동시에 광확산 필름 또는 프리즘 필름 등 다양한 광학 필름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압출 기술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광학 필름의 발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압출 공정의 개선을 통하여 광학 필름과 같은 필름을 압출하는 공정 중 직접 정밀한 패턴을 필름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이 매우 적게 소모되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분자 수지로 만들어진 필름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형상의 패턴이 일 표면에 형성된 패터닝 필름과 상기 고분자 수지가 함께 한 쌍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압출되도록 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패터닝 필름의 패터닝이 형성된 면과 압출되는 고분자 수지가 접촉하여 롤러에서 압착되어 상기 필름의 일 표면에 상기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로 만들어진 필름은 상기 필름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압출 공정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으로 정밀한 패턴을 보유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별도의 필름 표면에 원하는 형태의 비드 모양이 패터닝(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필름 또는 일정한 산 모양이 패터닝(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별도의 패터닝 필름을 먼저 제조한다. 이 패터닝 필름을 별도의 유도 장치를 통해 압출기의 두 롤사이를 통과하도록 하며, 상기 패터닝 필름이 롤 사이를 통과하기 전에 그 표면에 압출물이 접촉하며 함께 통과시키면서 압착하여 압출물의 한쪽 표면에 패턴(예를 들면 양각의 렌즈 형상 또는 프리즘 형상, 또는 기타 모양)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롤 사이를 통과한다는 것은 패너팅 필름의 패턴 면이 압출물을 만나도록 함을 의미한다.
이때 패터닝 필름 표면에 형성된 음각 또는 양각 패턴의 형상, 크기 및 밀도 등을 조절하면 다양한 형태, 크기 및 형태의 렌즈 형상이 돌출된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고분자 패턴 필름을 사용할 경우 금속롤 보다 고분자 수지와 고분자 패터닝 필름간의 접촉성이 우수해지므로 모아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 코팅공정 없이 압출 공정을 통하여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조하면서 모아레 (Moire) 현상이 없이 정밀한 패턴을 필름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드 형상, 프리즘 형상 등의 다양한 정밀한 형상을 갖는 광학 필름을 쉽게 제조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음각 패턴이 형성된 가이드 필름의 길이를 길게 하고 이를 풀어주거나 감을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설치된다면 음각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시간상 공정상으로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별도 코팅공정 없이 압출 공정을 통하여 비드 형상, 프리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음각 패턴이 형성된 가이드 필름의 길이를 길게 하고 이를 풀어주거나 감을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설치된다면 음각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시간상 공정상으로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미세하게 형상을 다르게 제작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패터닝 필름은 고분자 필름으로서 금속표면보다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특히 이를 볼록 형상을 갖는 음각 렌즈 패턴에 적용할 경우, 패턴 형상의 균일도를 낮출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패턴 필름은 두장 이상 겹쳤을 때 나타나는 모아레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평판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유니트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방법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기술로 제조한 광학산 필름 표면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기술로 제조한 광학산 필름 표면의 3차원 형상의 그림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기술로 제조한 광확산 필름 표면의 3차원 형상의 그림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기술로 제조한 광확산 필름 표면의 3차원 형상의 그림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기술로 제조한 광확산 필름 표면의 3차원 형상의 그림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코팅 공정없이 압출 시 광확산 필름 또는 프리즘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여 미세 정밀 패턴을 구비한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의 제공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새로운 압출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비드 형상 또는 프리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드 형상의 광학산 필름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은 비드 형상을 갖는 패턴으로 이루어진 광확산 쉬트 외에 프리즘 쉬트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압출법에 의한 고분자 필름 제조는 먼저 고분자를 건조 또는 결정화 등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전처리한 후 이를 압출기 호퍼를 통해 압출기로 주입하여 압출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압출기의 마지막 부분에 압출물의 형성을 결정짓는 다이가 있는데, 필름 또는 쉬트 제조의 경우 소위 티 다이 (T-die)라는 다이가 위치한다. 이 티 다이를 통해 압출물이 흘러나오면 이를 롤 사이에 넣고 압착하여 원하는 두께의 필름을 제조한다. 이를 칼렌더링 (calendering) 방법이라고 부른다. 칼렌더링법에 의한 필름 제조를 위해서는 압출물이 흘러나오는 경로에 롤이 몇 개 위치하는데, 일반적으로 한 쌍의 제 1롤과 제 2롤 사이로 압출물이 흘러내리게 한 후 이를 압착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표면에 음각의 비드 형상을 갖도록 패터닝된 필름이 제 2롤을 통해 지나가도록 하고(음각 패턴된 면은 상대편 롤을 향해서 위치하게 됨) 제 1롤과 제 2롤 사이에, 즉 제 1롤과 음각 비드 패턴 면 사이에 압출물이 흘러내려 압착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압출물이 롤러 사이에서 압착되어 지나간 후 패턴 형성을 위해 투입된 음각 패턴을 갖는 필름은 별도의 경로를 거쳐 다시 권취하여 처리하고,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광확산 필름은 권취하면 된다. 이하 패턴닝 필름의 패턴을 음각 패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론 양각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압출물에 반대로 패턴이 생길 것이다.
이때 제 1롤 표면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면 제 1롤쪽 표면도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표면에는 헤이즈값을 50%로 맞추기 위한 제 1롤을 사용하면, 상기 표면은 헤이즈 값이 5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한 패턴을 갖고, 그리고 반대쪽 표면은 제 2롤과 패터닝 필름에 의해 원하는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양 쪽 모두 패터닝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의 제조 공정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압출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을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압출기(110)의 티 다이(120)로부터 흘러나오는 압출물(200)이 제 1롤 또는 제 2롤을 통해 들어오는 패턴을 갖는 패터닝 필름(190)을 만났을 때 압출물의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는 압출물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면 (음각) 패턴쪽으로 압출물이 잘 흘러들어가지 않아 원하는 (양각) 패턴을 얻을 수 없고 끝의 둥근 부분이 뭉그러진 형태의 불완전한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롤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고 또한 롤로 들어오는 패턴을 갖는 패터닝 필름을 예열해야 하는 데, 도 2에서는 예열히터로 미리 예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압출물이 티 다이로부터 흘러나오면 곧바로 공기를 만나게 되어 압출물의 온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압출물의 점도가 높아진다. 이때 패턴을 갖는 팬터닝 필름과 접촉하게 되면 압출물의 온도 저하는 더 급격하게 된다. 이렇게 압출물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점도가 급격히 높아지면 패턴 형성이 잘 안되기 때문에 롤을 가열하여야 하며, 특히 제 1롤이 압출물과 만났을 때 압출물의 냉각속도를 조금이라도 늦추어야 좋은 모양이 렌즈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2 롤의 온도를 섭씨 120~200도 정도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제 2롤은 음각 패턴된 패터닝 필름이 지나가기 때문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제 1롤은 압출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제 1롤의 온도가 섭씨 120도 미만인 경우 압출물의 온도가 너무 낮아져 패턴 형성이 잘 안되어 불리하고 섭씨 온도가 200도 이상인 경우 제 1롤을 이 온도까지 가열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히려 불리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각패턴을 갖는 별도의 필름도 제 2롤에 감겨 압출물과 만나기 전에 예열해야 압출물과 만났을 때 압출물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음각 패턴된 패터닝 필름 예열은 섭씨 50~170도 범위에서 예열하면 된다. 예열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경우 필름 온도가 너무 낮아 원하는 패턴을 얻기 어려워 불리하고 섭씨 170도 이상인 경우 온도가 너무 높아 음각 패턴된 별도 필름이 변형되거나 기저 필름이 변형될 우려가 있어 오히려 불리하다.
음각패턴이 형성된 패터닝 필름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들 이외에 음각 패턴을 갖는 패터닝 필름을 예열하기 위한 예열장치로서 예열히터, 이 패터닝 필름이 제 2롤을 감싸고 들어가게 하기 위한 장치, 티 다이(120)에서 흘러나오는 압출물(200)의 냉각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 1 및 2 롤 가열장치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음각 패턴된 패터닝 필름의 예열은 예열히터 외에도 별도의 열풍 장치 또는 적외선 가열장치 등의 가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2 롤 가열장치는, 미도시 되었지만, 이들 롤 내부에 장착하거나 예를 들어 미리 가열된 액체가 흐르도록 하면 간단하게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압출 공정에서 주로 음각 패턴된 별도 필름이 제 2롤 표면을 통하여 지나가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음각 패턴된 패터닝 필름이 제 1롤을 지나가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음각 패턴된 패터닝 필름의 예열장치 및 별도 필름 가이드 롤 등은 모두 제 1롤쪽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음각 패턴된 면이 제 2롤쪽을 향하여 압출물을 만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음각 패턴된 필름을 통과시키면서 압출물을 만나도록 하여 양각패턴의 최종필름(100)을 제조한 것과 같이, 원하는 모양의 양각 패턴을 갖도록 하는 기술로서, 양각 패턴의 지름(비드 형상의 경우) 또는 밑변(프리즘 필름의 경우)의 길이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2 미크론 이상의 비드 형상 또는 밑변이 2 미크론 이상인 프리즘 형상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직경 또는 밑변의 길이가 2 미크론보다 작으면 패턴 형성이 잘 안되어 불리하다. 엘시디 산업용 광확산 필름용 비드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100 미크론 미만이다. 즉, 상기 패턴은 2 미크론 이상의 다양한 정밀한 입체 형상으로 압착에 의해 고분자 수지에 그 형상을 만들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은 일반 패턴을 보유한 필름 외에, 광확산 필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정밀한 패턴을 표면에 보유한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프리즘 쉬트의 경우, 제조하고자 하는 산 모양을 갖는 프리즘 쉬트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술한 광확산 쉬트 제조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즉, 음각 패턴이 프리즘 산 모양이 음각으로 만들어진 패터닝 필름을 압출기의 제 1 또는 2 롤 표면을 지나가도록 한 후 압출물이 닿아 압착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패턴은 음각 또는 양각의 패턴으로, 둥근 비드 모양, 산 모양, 마름모꼴 모양, 렌즈 모양, 프리즘 모양, 원뿔 모양, 및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또는 다각형 형태의 뿔 모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의 패턴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은 압출법을 이용한 기술이기 때문에 압출물은 특별한 종류의 필름에 국한되지 않고 압출법에 의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고분자에 적용 가능하다. 대표적인 필름으로는 에스터기, 이미드기, 아마이드기, 술폰기, 카보네이트기, 설파이드기, 올레핀기 등의 관능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또는 공중합된 고분자 필름 또는 이들 고분자 필름이 복합화되어 있는 고분자 필름 등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경도 증진 및 굴절율 조절을 통한 휘도 증가 등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를 공압출법에 의하여 2층 이상의 층 구조를 갖도록 압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양각 형상이 형성된 반대면 표면이 바닥에 닿음으로써 긁힘 등의 문제점 보완을 위해 아크릴계 수지를 공압출하면 바닥면의 경도가 증가하여 긁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양각 형상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에 굴절율 조절제를 혼합하여 양각 형상을 만들면 광학 필름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하는 고분자 수지 또는 특정 목적의 충전제 또는 첨가제는 해당 목적을 위하여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은 최종 제품의 표면에 양각 패턴을 압출법에 의해 제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은 최종 제품의 표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광학 필름의 제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는 최종적으로 음각 패턴을 만들기 위해 투입하는 별도 필름의 표면에 양각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최종 필름의 표면에 음각 패턴을 갖도록 하는 기술은 양각 패턴을 갖는 별도 필름을 제 1롤 또는 제 2롤을 감싸고 지나가도록 한 후 여기에 압출물이 닿아 압착되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각 또는 양각의 패터닝 필름 제조 시 패터닝 필름 표면과 압출하려는 고분자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아 접착력이 증가하면 압출 후 가이드 필름과 최종 제품과의 분리가 어려워 불리하다. 따라서 패터닝 필름의 표면 음각 또는 양각 패턴은 압출하려는 고분자 수자와 상용성이 매우 나빠서 압출 공정 중 서로 달라 붙지 말아야 한다.
이런 목적으로 가장 좋은 재료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고분자 필름을 비롯한 기저 물질 표면에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하면 일반 고분자 수지와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져 본 발명의 압출 공정 중 가이드 필름과 고분자 압출물과 달라 붙지 않아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언급된 내용 증 광확산 쉬트를 예로 들어 실시예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 또는 광확산 쉬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에 둥근 모양의 음각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미리 준비한다. 이는 비드 직경이 50 미크론인 아크릴 비드를 광경화형 수지와 혼합하여 비드 코팅액을 만든 후 이를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에 도포하여 광확산 필름을 먼저 만든다. 이때 수지층은 약 25 미크론이고 비드 직경이 50 미크론이므로 수지층 위에 약 25 미크론의 비드가 양각으로 돌출되어 있는 필름이다. 이 필름 표면에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을 25 미크론 두께로 도포하여 압착, 광경화한 후 떼어내면 음각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압출 시 이 음각 패턴된 가이드 필름을 압출 시 제 2롤 표면을 통해 지나가게 하는데, 이때 음각 패턴된 표면에 압출물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제 1롤과 제 2롤을 125도의 온도로 가열하고, 음각 패턴된 패터닝 필름을 적외선 가열장치를 통해 제 2롤에 투입되기 직전에 필름 표면 온도가 섭씨 60도가 되도록 예열하여 제 2롤 쪽으로 지나가게 하여 압출물을 만나 압착되도록 하여 양각 패턴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은 한 쪽에는 비드 크기의 둥근 모양이 돌출된 형태의 확산필름이 만들어진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의 표면 요철 모양이 아래 도 3 및 도 4에 나와 있고, 이 필름의 휘도가 기준 확산 필름인 184D 확산필름 (UNIVACCO, Taiwan) 대비 118%로 측정되었다. 이때 필름의 총 두께는 154-161 미크론이었다. 본 측정에는 7 인치 LED 타입의 백라이트 유니트가 사용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보듯이, 최종 필름의 표면에는 직경 약 50 미크론 정도의 양각 렌즈가 형성되었고 이 필름의 휘도가 기준 시료인 확산 필름 대비 높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광경화형 수지조성물로 가이드 필름의 음각 패턴을 형성 시료인 물 압착에 의해 음각패턴을 가진 가이드 필름과 양각 패턴을 가진 최종 제품이 서로 잘 떨어져 본 발명의 목적에 매우 효과적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제 1롤 가열온도가 섭씨 90도임을 제외한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기술로 만들어진 광확산 필름의 양각 형태가 도 5의 그림에 나와 있다. 이 도에서 보듯이 끝이 뭉그러진 형태로서 광확산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필름의 휘도는 기준 시료 184D 확산필름 (UNIVACCO, Taiwan) 대비 84% 정도로서 휘도가 상당히 저하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음각 패턴된 별도 필름을 예열하지 않고 실온 상태의 필름을 그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기술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광확산 필름의 양각패턴 모양이 도 6에 나와 있는데, 도 6과 마찬가지로 둥근 렌즈 모양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윗 부분이 납작한 렌즈 모양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필름의 휘도는 기준 시료 184D 확산필름 (UNIVACCO, Taiwan) 대비 78%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음각패턴된 별도 필름을 제 1롤쪽에서 음각패턴된 표면이 압출물을 접촉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지나가도록 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기술로 제조된 필름의 양각모양이 도 7에 나와 있는데, 본 도의 그림에서 보듯이, 둥근 모양의 양각 렌즈가 도 4와 같이 잘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필름의 광투과도는 기준 시료 대비 184D 확산필름 (UNIVACCO, Taiwan) 106%로 측정되어 양호한 휘도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인 음각 패턴된 별도 필름을 예열한 후 압출공정 중 제 1롤 또는 제 2롤을 통해 지나가게 하면서 제 1롤 과 제 2롤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여 양각 렌즈 형상을 형성하면 별도 코팅 공정없이 광확산 기능이 좋은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갖는 광학 필름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3)

  1. 고분자 수지로 만들어진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의 패턴이 일 표면에 형성된 패터닝 필름과 상기 고분자 수지가 함께 한 쌍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압출되도록 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패터닝 필름의 패턴이 형성된 면과 압출되는 고분자 수지가 접촉하여 롤러에서 압착되어 상기 필름의 일 표면에 상기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필름과 롤러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가 예열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패터닝 필름의 예열온도는 섭씨 120~200도의 범위이고,
    압착 롤들의 가열온도가 섭씨 50~17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필름의 상기 각 패턴의 직경 또는 밑변이 2 미크론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음각 또는 양각의 패턴으로, 둥근 비드 모양, 산 모양, 마름모꼴 모양, 렌즈 모양, 프리즘 모양, 원뿔 모양, 및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또는 다각형 형태의 뿔 모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공정에서 고분자 수지가 일층 압출 또는 다층의 공압출법을 이용하여 일층 또는 다층 이상의 복합 필름으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름은 동일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공중합물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필름이 고분자 필름 또는 기저 물질 표면에 광경화형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며, 상기 층에 패터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필름이 어느 하나의 롤을 감싸고 지나갈 때 반대편 롤의 표면에 또한 패터닝 처리하거나 다른 패터닝 필름이 감싸도록 하여 양면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보유한 필름의 제조 방법.
  10. 고분자 수지로 만들어진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에는 압출법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패턴이 소정의 형상의 패턴이 일 표면에 형성된 패터닝 필름과의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제8항에 의한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제9항에 의한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KR1020110007978A 2011-01-26 2011-01-26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KR10128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978A KR101280930B1 (ko) 2011-01-26 2011-01-26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978A KR101280930B1 (ko) 2011-01-26 2011-01-26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620A true KR20120086620A (ko) 2012-08-03
KR101280930B1 KR101280930B1 (ko) 2013-07-01

Family

ID=4687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978A KR101280930B1 (ko) 2011-01-26 2011-01-26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30A1 (ko) * 2012-11-07 2014-05-15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055B1 (ko) * 2008-07-15 2012-09-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미세패턴 형성용 소프트 몰드
KR101173839B1 (ko) * 2009-04-24 2012-08-14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30A1 (ko) * 2012-11-07 2014-05-15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930B1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5904B1 (en) Surface light source
KR100886206B1 (ko) 광학 시트 및 광학 시트 제조방법
TW200841046A (en) Light diffuser plate, surface emission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3007526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heet having optical functions
TW201202767A (en) Laminated double-sided light guide plate
TWI606284B (zh) 隨機散布式反射偏光器
TW200838721A (en) Production process of embossed resin sheet material
TW201202768A (en) Double sided light guide plate manufactured with patterned rollers
TWI411850B (zh) Optica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9952363B2 (en) Random dispersion-type reflection polarizer
TWI461762B (zh) 薄雙側光導板
KR100750843B1 (ko)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시트, 그리고 렌티큘러렌즈 시트의 제조 방법
JP2002250807A (ja) レンズシート、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及びレンズシートの成形方法
TWI382203B (zh) Light diffusion laminated board
KR101280930B1 (ko) 압출법으로 패턴을 보유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KR20150079168A (ko)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TWI417577B (zh) Light transfer plate with light structure and light guide plate
TWI574823B (zh) And a resin sheet for forming a resin sheet
TWI809399B (zh) 光學片、液晶顯示裝置的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資訊機器及光學片的製造方法
KR20150078700A (ko) 압출 인각 방식에 의한 거대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의 제조방법
JP2012171296A (ja) パタ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50079170A (ko) 랜덤 분산형 반사 편광자
JP2009109796A (ja) 光学調整部材および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
KR101551648B1 (ko) 복합 도광판
WO2020177590A1 (zh) 线栅结构及其制作方法、投影屏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