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517A -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517A
KR20120086517A KR1020110007810A KR20110007810A KR20120086517A KR 20120086517 A KR20120086517 A KR 20120086517A KR 1020110007810 A KR1020110007810 A KR 1020110007810A KR 20110007810 A KR20110007810 A KR 20110007810A KR 20120086517 A KR20120086517 A KR 20120086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information
free
pai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028B1 (ko
Inventor
김종기
정우성
이경철
이덕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0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은,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게이트, 제1 촬영 장치, 게이트 관리부, 복수의 제2 촬영 장치, 무선 단말기, 및 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게이트는 플랫폼(platform)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유효 승차권 없이 출입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한다. 위치 추적부는 상기 게이트 관리부로부터 제1 촬영 정보와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타깃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로부터 제2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촬영 정보,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 및 제2 촬영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은 승객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고 무임승차자의 단속에 필요한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Free rider tracking system using a subminiatur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본 발명은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타 대중교통 수단에 비하여 비교적 승차 요금이 저렴하고, 정체현상 없이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이동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이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지하철 이용 승객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승객이 불편 없이 지하철의 플랫폼(platform)에 신속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랫폼 입구에는 다수의 게이트(gate)가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게이트는 다수의 승차권을 각각 동시에 체크할 수 있다.
각각의 게이트는 유효한 승차권을 제시한 승객의 출입을 허용하고, 유효하지 않은 승차권을 제시하거나 또는 승차권이 없는 승객(즉, 무임승차자)이 출입할 수 없도록 도어(door)를 차단한다. 하지만 게이트의 도어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무임승차자가 승차 요금을 지불하지 않은 채 무단으로 게이트의 도어를 뛰어 넘어 도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게이트가 설치된 구역마다 무임승차자를 단속하는 역무원이 배치되어야 하지만, 업무 특성상 역무원은 지하철 운행 시간 내내 게이트 설치 구역을 지키고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역무원을 대신하여 게이트 설치 구역에서 무임승차자를 단속하는 업무만을 처리하는 직원이 고용될 수도 있지만, 이를 위해 투입되는 비용을 고려하면 이 또한 최선의 해법이라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정상적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초소형 RFID 태그를 부착하고, 게이트 통과 시의 무임승차자의 촬영 영상,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추적한 무임승차자의 위치 정보, 및 무임승차자의 현재 위치의 촬영 영상을 역무원이 휴대한 무선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승객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고 무임승차자의 단속에 필요한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은,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게이트, 제1 촬영 장치, 게이트 관리부, 복수의 제2 촬영 장치, 무선 단말기, 및 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에는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게이트는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를 보유하고, 플랫폼(platform)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의 출입을 허용하고, 유효 승차권 없이 출입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한다.
제1 촬영 장치는 상기 게이트의 주변 영역을 촬영한다.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무임승차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게이트로부터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부착된 초소형 RFID 태그(즉, 타깃(target) 태그)의 식별 정보(즉,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복수의 제2 촬영 장치는 운송수단 역사 내부에 분산 설치되어, 자신이 설치된 지역을 촬영한다. 무선 단말기는 표시 기능을 가지며 역무원에 의해 휴대 된다.
위치 추적부는 상기 게이트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1 촬영 정보와 상기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깃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촬영 장치 중,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로부터 제2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촬영 정보,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촬영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은 비정상적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초소형 RFID 태그를 부착하고, 게이트 통과 시의 무임승차자의 촬영 영상,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추적한 무임승차자의 위치 정보, 및 무임승차자의 현재 위치의 촬영 영상을 역무원이 휴대한 무선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므로, 역무원이 무임승차자를 손쉽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은 승객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고 무임승차자의 단속에 필요한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게이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복수개가 플랫폼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게이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게이트 복수개가 플랫폼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는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송수신 신호의 도시가 생략된다.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100)은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K는 자연수), 복수의 게이트(G1?GN)(N은 자연수), 복수의 제1 촬영 장치(FC1?FCJ)(J는 자연수), 게이트 관리부(110),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M)(M은 자연수), 위치 추적부(120), 및 복수의 무선 단말기(T1?TH)(H는 자연수)를 포함한다.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에는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는 복수의 게이트(G1?GN)에 설정된 개수만큼씩 각각 수용된다. 예를 들어, 초소형 RFID 태그(D1?D10)가 게이트(G1)에 수용되고, 초소형 RFID 태그(D11?D20)가 게이트(G2)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G1?GN) 각각은, 플랩 도어(flap door)를 포함하는 게이트로 구현되거나, 또는 회전 도어를 포함하는 게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G1?GN) 각각은, 운송수단 플랫폼(platform)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출입구마다 설정된 수의 게이트들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송수단은 항공기, 선박, 지하철, 기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G1?GN) 각각은,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의 출입을 허용하고, 유효 승차권 없이 출입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자신이 보유한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한다.
복수의 제1 촬영 장치(FC1?FCJ) 각각은, 게이트(G1?GN)의 주변 영역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출입구마다 하나의 촬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게이트 관리부(110)는 복수의 게이트(G1?G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임승차 알림 정보(ALMIF)에 응답하여, 해당 게이트(예를 들어, G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촬영 장치(예를 들어, FC1)로부터 제1 촬영 정보(PICIF1)를 수신한다. 복수의 제1 촬영 장치(FC1?FCJ)가 각각 출력하는 제1 촬영 정보(PICIF1?PICIFJ) 각각은, 게이트(G1?GN)의 주변 영역을 촬영한 제1 촬영 영상과, 복수의 제1 촬영 장치(FC1?FCJ)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 무임승차 알림 정보(ALMIF)는 해당 게이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G1?G5)의 주변에 제1 촬영 장치(FC1)가 설치된 경우, 게이트(G1?G5)의 위치 정보와 제1 촬영 장치(FC1)의 위치 정보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게이트 관리부(110)는 무임승차자가 통과한 해당 게이트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촬영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게이트 관리부(110)는 해당 게이트(예를 들어, G1)로부터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부착된 초소형 RFID 태그(즉, 타깃(target) 태그)의 식별 정보(즉, 타깃 식별 정보)(예를 들어, TTGIF1)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관리부(110)는 무임승차 알림 정보(ALMIF)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만 제1 촬영 정보(예를 들어, PICIF1)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촬영 정보(예를 들어, PICIF1)에 포함되는 촬영 영상은, 무임승차자가 게이트를 비정상적으로 통과하는 장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촬영 정보(예를 들어, PICIF1)는 추후에 증거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M)는 운송수단 역사의 내부에 분산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M) 각각은 자신이 설치된 지역을 촬영한다.
위치 추적부(120)는 게이트 관리부(110)로부터 제1 촬영 정보(예를 들어, PICIF1)와 타깃 식별 정보(예를 들어, TTGIF1)를 수신한다. 위치 추적부(120)는 타깃 식별 정보(예를 들어, TTGIF1)에 기초하여 타깃 태그(예를 들어, D1)의 위치를 추적하고,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M) 중, 타깃 태그(예를 들어, D1)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예를 들어, SC1)로부터 제2 촬영 정보(SPICIF1))를 수신한다. 위치 추적부(120)는 제1 촬영 정보(PICIF1),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LOCIF1), 및 제2 촬영 정보(SPICIF1)를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또, 위치 추적부(120)는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 추적 해제 정보(CNLIF)를 수신할 때 타깃 태그의 위치 추적 동작을 정지한다.
위치 추적부(120)는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FT1?FTM)(M은 자연수), 중앙 서버(121), 및 무선 통신부(122)를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FT1?FTM)는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M)가 설치된 지역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FT1?FTM) 각각은 중앙 서버(121)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호출 명령(CMD)에 응답하여, 자신의 통신 관할 지역 내에 타깃 태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태그 호출 정보(TGCALL)를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RFSIG)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각각은 태그 호출 정보(TGCALL)에 응답하여, 자신의 태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응답 정보(RSPIF)를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통신을 관할하는 해당 고정형 단말기에 출력한다.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FT1?FTM) 각각은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호출 응답 정보(RSPIF)를 수신할 때, 호출 응답 정보(RSPIF)에 포함된 태그 식별 정보(TGIF)(즉, 타깃 식별 정보(TTGIF))와 자신의 위치 정보(LOCIF)를 포함하는 태그 감지 정보(TGSEN)를 중앙 서버(121)에 출력한다.
중앙 서버(121)는 게이트 관리부(110)로부터 타깃 식별 정보(TTGIF)를 수신할 때,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FT1?FTM)에 태그 호출 명령(CMD)을 각각 출력한다.
중앙 서버(121)는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FT1?FTM)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감지 정보(TGSEN)에 응답하여,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SC1?SCM 중 하나)로부터 제2 촬영 정보(SPICIF)를 수신한다.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J)가 각각 출력하는 제2 촬영 정보(SPICIF1?SPICIFM) 각각은, 자신의 주변 영역을 촬영한 제2 촬영 영상과, 복수의 제2 촬영 장치(SC1?SCJ)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정형 단말기(FT1)의 통신 관할 지역 내에 제2 촬영 장치(SC1)가 설치된 경우, 고정형 단말기(FT1)와 제2 촬영 장치(SC1)의 위치 정보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서버(121)는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중앙 서버(121)는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 제2 촬영 정보, 및 게이트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제1 촬영 정보를 무선 통신부(122)에 출력한다.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는, 타깃 식별 정보(TTGIF)와 타깃 태그가 위치하는 통신 관할 지역에 대응하는 고정형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22)는 무선 통신망(101)을 통하여 중앙 서버(121)와 무선 단말기(T1?TH)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부(122)는 중앙 서버(121)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촬영 정보와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를, 표시 기능을 가지며 역무원(들)에 의해 휴대 되는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그 결과,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가 경보를 발생하면서, 제1 및 제2 촬영 영상과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부착된 초소형 RFID 태그(예를 들어, D1)가 고정형 단말기들(FT1?FT5)의 통신 관할 지역을 차례로 통과하여 이동될 때, 중앙 서버(121)는 고정형 단말기들(FT1?FT5)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촬영 장치(SC1?SC5)의 제2 촬영 정보(SPICIF1?SPICIF5)를 차례로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22)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에 차례로 송신한다.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촬영 영상의 표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촬영 영상과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를 연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따라서 역무원(들)은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무임승차자를 추적하여 붙잡을 수 있다.
또, 무선 통신부(122)는 무선 단말기(T1?TH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적 해제 정보(CNLIF)를 중앙 서버(121)에 송신한다.
위치 추적부(120)는 표시장치(123) 및 DB(database)(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3)는 중앙 서버(121)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VDAT)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촬영 영상과,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와, 경보 영상을 표시한다. 그 결과, 역무원실 또는 중앙 관제실에서 근무하는 역무원이 표시 장치(123)에 표시된 영상을 통해 무임승차자의 추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DB(124)는 중앙 서버(121)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촬영 영상과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복수의 게이트(G1?GN)가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게이트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게이트(G1?GN)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게이트(G1?GN)의 구성 및 동작은 서로 유사하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게이트(G1)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게이트(G1)는 제1 리더(reader)기(210), 제2 리더기(220), 제1 입구측 장치(230), 제2 입구측 장치(240), 및 게이트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1 리더기(210)는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frame)(201, 202)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제1 입구측(271)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 중 하나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게이트 제어부(250)에 출력한다.
제2 리더기(220)는 제1 입구(271)측과 마주보는 제2 입구(272)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 중 나머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게이트 제어부(250)에 출력한다.
제1 입구측 장치(230)는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들(FFSN1?FFSNP)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출력한다. 제1 입구측 장치(230)는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이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제1 통과 차단 신호(BLK1)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가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입구측 장치(230)는 제1 입구(271)가 차단된 상태에서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들(FSSN1?FSSNQ)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출력한다. 제1 입구측 장치(230)는 제1 토출 제어 신호(TWCTL1)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한다.
제1 입구측 장치(230)는 제1 센서부(231), 제2 센서부(232), 제1 RFID 태그 토출부(233), 및 제1 플랩도어 구동부(234)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231)는 복수의 제1 센서들(FFS1?FFSP)(P는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센서들(FFS1?FFSP)은 제1 입구(271)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203, 204)의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센서들(FFS1?FFSP)은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들(FFSN1?FFSNP)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각각 출력한다.
제2 센서부(232)는 복수의 제2 센서들(FSS1?FSSQ)(Q는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센서들(FSS1?FSSQ)은 한 쌍의 제1 플랩도어(flap door)(234a, 234b)에 이웃한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플랩도어(234a, 234b)는 제1 입구(271)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의 대향 면(203, 204)들의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센서들(FSS1?FSSQ)은 제1 입구(271)를 차단한 한 쌍의 제1 플랩도어(234a, 234b)를 뛰어 넘어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제2 감지 신호들(FSSN1?FSSNQ)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각각 출력한다.
제1 RFID 태그 토출부(233)는 제1 입구(271)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의 대향 면(203, 204)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제1 RFID 태그 토출부(233)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제1 토출 제어 신호(TWCTL1)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한다.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각각의 일면은 의복에 부착되기 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RFID 태그 토출부(233)가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하기 전에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일부) 중 하나의 일면에 접착 물질을 도포할 수도 있다.
제1 플랩도어 구동부(234)는 평상시에 한 쌍의 제1 플랩도어(234a, 234b)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플랩도어 구동부(234)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제1 통과 차단 신호(BLK1)에 응답하여 한 쌍의 제1 플랩도어(234a, 234b)를 구동시켜 제1 입구(271)를 차단한다.
제2 입구측 장치(240)는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3 감지 신호들(SFSN1?SFSNP)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출력한다. 제2 입구측 장치(240)는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이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2 입구측 장치(240)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통과 차단 신호(BLK2)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가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2 입구측 장치(240)는 제2 입구(272)가 차단된 상태에서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4 감지 신호들(SSSN1?SSSNP)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출력한다. 제2 입구측 장치(240)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토출 제어 신호(TWCTL2)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다른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한다.
제2 입구측 장치(240)는 제1 센서부(241), 제2 센서부(242), 제2 RFID 태그 토출부(243), 및 제1 플랩도어 구동부(244)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241)는 복수의 제1 센서들(SFS1?SFSP)(P는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센서들(SFS1?SFSP)은 제2 입구(272)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205, 206)의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센서들(SFS1?SFSP)은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제3 감지 신호들(SFSN1?SFSNP)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각각 출력한다.
제2 센서부(242)는 복수의 제2 센서들(SSS1?SSSQ)(Q는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센서들(SSS1?SSSQ)은 한 쌍의 제2 플랩도어(244a, 244b)에 이웃한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제2 플랩도어(244a, 244b)는 제2 입구(272)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의 대향 면(205, 206)들의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센서들(SSS1?SSSQ)은 제2 입구(272)를 차단한 한 쌍의 제2 플랩도어(244a, 244b)를 뛰어 넘어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제4 감지 신호들(SSSN1?SSSNQ)을 게이트 제어부(250)에 각각 출력한다.
제2 RFID 태그 토출부(243)는 제2 입구(272)측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의 대향 면(205, 206)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제2 RFID 태그 토출부(243)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토출 제어 신호(TWCTL2)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다른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한다.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다른 일부) 각각의 일면은 의복에 부착되기 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RFID 태그 토출부(243)가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다른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하기 전에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다른 일부) 중 하나의 일면에 접착 물질을 도포할 수도 있다.
제2 플랩도어 구동부(244)는 평상시에 한 쌍의 제2 플랩도어(244a, 244b)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제2 플랩도어 구동부(234)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통과 차단 신호(BLK2)에 응답하여 한 쌍의 제2 플랩도어(244a, 244b)를 구동시켜 제2 입구(272)를 차단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제1 감지 신호들(FFSN1?FFSNP) 또는 제1 리더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무임승차자가 제1 입구(271)를 통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통과 차단 신호(BLK2)를 제2 입구측 장치(240)(즉, 제2 플랩도어 구동부(244))에 출력하고, 무임 승차 알림 정보(ALM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그 결과, 제1 입구(271)를 통하여,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에 들어온 무임승차자가 제2 입구(272)를 통하여 나가려고 할 때(즉, 화살표(A1) 진행 방향), 제2 입구측 장치(240)가 무임승차자의 진행을 차단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제1 또는 제2 리더기(210, 220)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승객의 과금 정보를 과금 서버(130)에 송신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제2 통과 차단 신호(BLK2)를 제2 입구측 장치(240)에 출력한 후 제4 감지 신호들(SSSN1?SSSNQ)에 응답하여 제2 토출 제어 신호(BLK2)를 제2 입구(272)측 장치(240)(즉, 제2 RFID 태그 토출부(243))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토출된 RFID 테그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타깃 식별 정보(TTG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제3 감지 신호들(SFSN1?SFSNP) 또는 제2 리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무임승차자가 제2 입구(272)를 통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통과 차단 신호(BLK1)를 제1 입구측 장치(230)(즉, 제1 플랩도어 구동부(234))에 출력하고, 무임 승차 알림 정보(ALM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그 결과, 제2 입구(272)를 통하여,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201, 202)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에 들어온 무임승차자가 제1 입구(271)를 통하여 나가려고 할 때(즉, 화살표(A2) 진행 방향), 제1 입구측 장치(230)가 무임승차자의 진행을 차단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제1 통과 차단 신호(BLK1)를 제1 입구측 장치(230)에 출력한 후 제2 감지 신호들(FSSN1?FSSNQ)에 응답하여 제1 토출 제어 신호(TWCTL1)를 제1 입구측 장치(230)(즉, 제1 RFID 태그 토출부(233))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토출된 RFID 테그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추가의 타깃 식별 정보(TTG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게이트(G1)는 경보 발생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 발생부(260)는 게이트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제어 신호(ALCTL)에 응답하여 시각적 경보와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한다. 도 3에는 경보 발생부(26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무임승차자가 제1 또는 제2 입구(271 또는 272)를 통과하는 것을 인식할 때 경보 제어 신호(ALCLT)를 경보 발생부(260)에 출력한다.
도 3에는 게이트(G1)의 구성 요소들이 모두 도시되도록 하기 위해, 게이트 프레임(201, 202)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게이트 프레임(201, 202)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운송수단 플랫폼의 서로 다른 출입구들(281, 282)에 각각 3개의 게이트가 설치된 것이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복수의 게이트(G1?GN)가 회전 도어를 포함하는 게이트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게이트(G1?GN)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게이트(G1?GN)의 구성 및 동작은 서로 유사하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게이트(G1')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게이트(G1')는 제1 리더기(311), 제2 리더기(312), 회전도어 락(lock)부(313), 제1 내지 제4 센서부(314?317), 제1 RFID 태그 토출부(318), 제2 RFID 태그 토출부(319), 및 게이트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제1 리더기(311)는 게이트 프레임(301)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301, 30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제1 방향(화살표(A3))으로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게이트 제어부(320)에 출력한다.
제2 리더기(312)는 게이트 프레임(3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통로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화살표(A4))으로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게이트 제어부(320)에 출력한다.
회전도어 락부(313)는 평상시에는 회전도어(313a)의 회전 금지 상태를 유지하고, 게이트 제어부(320)로부터 통과 허용 신호(PSS)를 수신할 때에만 제1 또는 제2 회전방향(A5 또는 A6)으로 회전도어(313a)의 1회전을 허용한다. 회전도어(313a)는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303, 304)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314)는 복수의 제1 센서들(FS1?FSL)(L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센서들(FS1?FSL)은 회전도어(313a) 상부 영역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303, 304)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센서들(FS1?FSL)은 회전도어(313a)의 상부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들(FSN1?FSNL)을 게이트 제어부(320)에 각각 출력한다.
제2 센서부(315)는 복수의 제2 센서들(SS1?SSL)(L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센서들(SS1?SSL)은 회전도어(313a)의 하부 영역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303, 304)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센서들(SS1?SSL)은 회전도어(313a)의 하부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제2 감지 신호들(SSN1?SSNL)을 각각 게이트 제어부(320)에 출력한다.
제3 센서부(316)는 복수의 제3 센서들(TS1?TSR)(R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3 센서들(TS1?TSR)은 회전도어(313a)에 이웃한 제1 영역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303, 304)들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3 센서들(TS1?TSR)은 회전 금지 상태인 회전도어(313a)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하여 제2 방향(A4)으로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제3 감지 신호들(TSN1?TSNR)을 게이트 제어부(320)에 각각 출력한다.
제4 센서부(317)는 복수의 제4 센서들(HS1?HSR)(R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4 센서들(HS1?HSR)은 회전도어(313a)에 이웃한 제2 영역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303, 304)들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4 센서들(HS1?HSR)은 회전 금지 상태인 회전도어(313a)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하여 제2 방향(A4)에 반대 방향인 제1 방향(A3)으로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제4 감지 신호들(HSN1?HSNR)을 게이트 제어부(320)에 각각 출력한다.
제1 RFID 태그 토출부(318)는 회전도어(313a)에 이웃한 제1 영역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303, 304) 중 하나에 설치된다. 제1 RFID 태그 토출부(318)는 게이트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되는 제1 토출 제어 신호(TWCTL1)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한다.
제2 RFID 태그 토출부(319)는 회전도어(313a)에 이웃한 제2 영역의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303, 304) 중 하나에 설치된다. 제2 RFID 태그 토출부(319)는 게이트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토출 제어 신호(TWCTL2)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D1?DK 중 다른 일부) 중 하나를 토출한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제1 또는 제2 리더기(311 또는 312)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승차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통과 허용 신호(PSS)를 회전도어 락부(313)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회전도어(313a)가 회전 금지 상태인 동안, 제1 및 제3 감지 신호들(FSN1?FSNL, TSN1?TSNR)을 수신하거나 또는 제2 및 제3 감지 신호들(SSN1?SSNL, TSN1?TSNR)을 수신할 때, 무임승차자가 통로를 제2 방향(A4)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무임승차자를 감지하면, 무임 승차 알림 정보(AML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하고, 제1 토출 제어 신호(TWCTL1)를 제1 RFID 태그 토출부(318)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토출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타깃 식별 정보(TTG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또한, 게이트 제어부(320)는 회전도어(313a)가 회전 금지 상태인 동안, 제1 및 제4 감지 신호들(FSN1?FSNL, HSN1?HSNR)을 수신하거나 또는 제2 및 제4 감지 신호들(SSN1?SSNL, HSN1?HSNR)을 수신할 때, 무임승차자가 통로를 제1 방향(A3)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무임승차자를 감지하면, 무임 승차 알림 정보(AML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하고, 제2 토출 제어 신호(TWCTL2)를 제2 RFID 태그 토출부(319)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토출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추가의 타깃 식별 정보(TTGIF')를 게이트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부(250)는 제1 또는 제2 리더기(311, 312)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승객의 과금 정보를 과금 서버(130)에 송신할 수 있다.
게이트(G1')는 경보 발생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 발생부(321)는 게이트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제어 신호(ALCTL)에 응답하여 시각적 경보와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한다. 도 6에는 경보 발생부(32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게이트 제어부(320)는, 무임승차자가 통로를 제1 또는 제2 방향(A3 또는 A4)으로 통과하는 것을 인식할 때 경보 제어 신호(ALCTL)를 경보 발생부(321)에 출력한다.
도 6에는 게이트(G1')의 구성 요소들이 모두 도시되도록 하기 위해, 게이트 프레임(301, 302)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게이트 프레임(301, 302)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운송수단 플랫폼의 서로 다른 출입구들(283, 284)에 각각 3개의 게이트가 설치된 것이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D1?DK: 초소형 RFID 태그
G1?GN: 게이트 FC1?FCJ: 제1 촬영 장치
SC1?SCM: 제2 촬영 장치 110: 게이트 관리부
120: 위치 추적부 FT1?FTM: 고정형 단말기
121: 중앙 서버 122: 무선 통신부
123: 표시장치 124: DB
T1?TH: 무선 단말기

Claims (14)

  1.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를 보유하고, 플랫폼(platform)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의 출입을 허용하고, 유효 승차권 없이 출입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촬영 장치;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무임승차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촬영 장치로부터 제1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게이트로부터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부착된 초소형 RFID 태그(즉, 타깃(target) 태그)의 식별 정보(즉,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게이트 관리부;
    운송수단 역사 내부에 분산 설치되어, 자신이 설치된 지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제2 촬영 장치;
    표시 기능을 가지며 역무원에 의해 휴대 되는 무선 단말기; 및
    상기 게이트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1 촬영 정보와 상기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깃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촬영 장치 중,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로부터 제2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촬영 정보,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촬영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위치 추적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위치 추적 해제 정보를 수신할 때 타깃 태그의 위치 추적 동작을 정지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가 각각 저장된 추가의 초소형 RFID 태그들; 및
    상기 추가의 초소형 RFID 태그들을 보유하고, 상기 플랫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의 출입을 허용하고, 유효 승차권 없이 출입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추가의 초소형 RFID 태그들 중 하나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추가의 무임승차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촬영 장치로부터 추가의 제1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로부터 추가의 타깃 태그의 식별 정보(즉, 추가의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가 각각 저장된 추가의 초소형 RFID 태그들;
    상기 추가의 초소형 RFID 태그들을 보유하고, 플랫폼의 추가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의 출입을 허용하고, 유효 승차권 없이 출입하는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추가의 초소형 RFID 태그들 중 하나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추가의 제1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추가의 무임승차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의 제1 촬영 장치로부터 추가의 제1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게이트로부터 추가의 타깃 태그의 식별 정보(즉, 추가의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 기능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역무원에 의해 휴대 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무선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촬영 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각각 설치되고, 자신의 통신 관할 지역 내에 타깃 태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태그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
    상기 게이트 관리부로부터 타깃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에 태그 호출 명령을 각각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형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감지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로부터 제2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촬영 정보, 및 상기 게이트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촬영 정보를 출력하는 중앙 서버;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촬영 정보와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 추적 해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감지 정보와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 각각은, 상기 타깃 식별 정보와, 상기 타깃 태그가 위치하는 통신 관할 지역에 대응하는 고정형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정보는, 상기 제1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촬영 영상과 상기 제1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2 촬영 장치 중,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설치된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촬영 영상과 제1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촬영 영상과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와 경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촬영 영상과 상기 타깃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DB(database)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frame)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제1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 중 하나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입구를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출력하는 제1 리더(reader)기;
    제1 입구측과 마주보는 제2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 중 나머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입구를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출력하는 제2 리더기;
    상기 제1 입구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들을 출력하고,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이 상기 제1 입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제1 통과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1 입구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입구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구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들을 출력하고, 제1 토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하는 제1 입구측 장치;
    상기 제2 입구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3 감지 신호들을 출력하고, 유효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이 상기 제2 입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통과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2 입구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입구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구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4 감지 신호들을 출력하고, 제2 토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다른 하나를 토출하는 제2 입구측 장치;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들 또는 상기 제1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1 입구를 통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통과 차단 신호를 상기 제2 입구측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무임 승차 알림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 통과 차단 신호를 상기 제2 입구측 장치에 출력한 후 상기 제4 감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토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입구측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타깃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는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지 신호들 또는 상기 제2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2 입구를 통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통과 차단 신호를 상기 제1 입구측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무임 승차 알림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1 통과 차단 신호를 상기 제1 입구측 장치에 출력한 후 상기 제2 감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토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입구측 장치에 출력하고, 추가의 타깃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는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적 경보와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1 또는 제2 입구를 통과하는 것을 인식할 때 상기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경보 발생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입구를 통하여 상기 통로에 들어온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2 입구를 통하여 나가려고 할 때, 상기 제2 입구측 장치가 무임승차자의 진행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입구를 통하여 상기 통로에 들어온 무임승차자가 상기 제1 입구를 통하여 나가려고 할 때, 상기 제1 입구측 장치가 무임승차자의 진행을 차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측 장치는,
    상기 제1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의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입구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제어부에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하는 제1 RFID 태그 토출부;
    상기 제1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의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 플랩도어(flap door)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통과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플랩도어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입구를 차단하는 제1 플랩도어 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 플랩도어에 이웃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입구를 차단한 상기 한 쌍의 제1 플랩도어를 뛰어 넘어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제어부에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구측 장치는,
    상기 제2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의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입구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제3 감지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제어부에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2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토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하는 제2 RFID 태그 토출부;
    상기 제2 입구측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의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 플랩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통과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플랩도어를 구동시켜 상기 제2 입구를 차단하는 제2 플랩도어 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플랩도어에 이웃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입구를 차단한 상기 한 쌍의 제2 플랩도어를 뛰어 넘어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제4 감지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제어부에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frame) 중 하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출력하는 제1 리더기;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 중 나머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통과하는 승객에 의해 접촉된 승차권을 읽어 승차권 정보를 출력하는 제2 리더기;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 중 하나에 설치된 회전도어의 회전 금지 상태를 유지하고, 통과 허용 신호를 수신할 때에만 제1 또는 제2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도어의 1회전을 허용하는 회전도어 락(lock)부;
    상기 회전도어 상부 영역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도어의 상부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회전도어의 하부 영역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도어의 하부를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제2 감지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
    상기 회전도어에 이웃한 제1 영역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 금지 상태인 상기 회전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하여 제2 방향으로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제3 감지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3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3 센서부;
    상기 회전도어에 이웃한 제2 영역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 금지 상태인 상기 회전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하여 제2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고 제4 감지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4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4 센서부;
    상기 회전도어에 이웃한 제1 영역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 중 하나에 설치되어, 제1 토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하나를 토출하는 제1 RFID 태그 토출부;
    상기 회전도어에 이웃한 제2 영역의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프레임의 대향 면들 중 하나에 설치되어, 제2 토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무임승차자의 의복에 상기 복수의 초소형 RFID 태그 중 다른 하나를 토출하는 제2 RFID 태그 토출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승차권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승차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과 허용 신호를 상기 회전도어 락부에 출력하고, 상기 회전도어가 회전 금지 상태인 동안, 상기 제1 및 제3 감지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및 제3 감지 신호들을 수신할 때, 무임승차자가 상기 통로를 제2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무임 승차 알림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1 토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RFID 태그 토출부에 출력하고, 상기 타깃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는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회전도어가 회전 금지 상태인 동안, 상기 제1 및 제4 감지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또는 제2 및 제4 감지 신호들을 수신할 때, 무임승차자가 상기 통로를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무임 승차 알림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 토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RFID 태그 토출부에 출력하고, 추가의 타깃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 관리부에 출력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적 경보와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무임승차자가 상기 통로를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인식할 때 상기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경보 발생부에 출력하는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KR1020110007810A 2011-01-26 2011-01-26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KR10120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10A KR101200028B1 (ko) 2011-01-26 2011-01-26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10A KR101200028B1 (ko) 2011-01-26 2011-01-26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517A true KR20120086517A (ko) 2012-08-03
KR101200028B1 KR101200028B1 (ko) 2012-11-09

Family

ID=4687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810A KR101200028B1 (ko) 2011-01-26 2011-01-26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856B1 (ko) * 2020-11-23 2022-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부정승차자 관리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3B1 (ko) 2017-03-09 2018-06-01 주식회사 큐브인 벽부형 승차권 발매기를 이용한 무임승차 방지 시스템
KR102167052B1 (ko) 2018-12-14 2020-10-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임 승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0547B1 (ko) 2018-12-14 2020-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임승차 징후자 검지 및 특징 정보 추출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856B1 (ko) * 2020-11-23 2022-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부정승차자 관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028B1 (ko) 201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EP2397995B1 (en) Anti fare evasion system
WO2008076463B1 (en) Automated site security,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system
KR101034643B1 (ko) 고객 관리시스템
WO2018008893A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0028B1 (ko)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KR101522686B1 (ko) 차량의 출입 통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RU2596993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оплаты проезда в общественном транспорте
JP6509691B2 (ja) 改札監視システム
US20080198228A1 (en) Active door monitoring system
WO2022003801A1 (ja) ゲート装置、ゲートシステム、ゲート制御方法
JP6563283B2 (ja) 監視システム
KR102004998B1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JP2009059168A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と入場管理方法および入出場管理システムと入出場管理方法
CN110036417B (zh) 免手持且无票的收费系统
JPH0714037A (ja) 道路利用者の料金支払状態チェック用監視システム
EP3699871B1 (en) Pass determin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331320B2 (ja) 通路制御システム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EP1619638A1 (en) Airport surveillance system
KR101950466B1 (ko) 부정 승차자 검출 시스템, 부정 승차자 검출 서버와 그 방법
JP2006163788A (ja) 入場者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JP6763053B2 (ja) 改札監視システム
KR20190061543A (ko) 자동 화물 반출입 시스템 중 셔틀 내 화물 정렬 방법
KR20190061548A (ko) 자동 화물 반출입 시스템의 4열 벨트 구조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