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059A -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 Google Patents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059A
KR20120086059A KR1020110007277A KR20110007277A KR20120086059A KR 20120086059 A KR20120086059 A KR 20120086059A KR 1020110007277 A KR1020110007277 A KR 1020110007277A KR 20110007277 A KR20110007277 A KR 20110007277A KR 20120086059 A KR20120086059 A KR 20120086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ing
plate
perforated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511B1 (ko
Inventor
진혜라
Original Assignee
진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혜라 filed Critical 진혜라
Priority to KR102011000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개구부를 안전하게 덮어주는 유공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각종 개구부, 예를 들면 맨홀, 관로 점검구, 피트, 트랜치, 그레이팅 등과 같은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구부 덮개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개구부 주변의 작업이나 통행시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작업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여러 개의 유공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어댑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향상은 물론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Pierced plate for opening part}
본 발명은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개구부를 안전하게 덮어주는 유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은 복잡한 공정을 갖고 있고, 수많은 사람들이 결부되어 각각 맡은바 업무를 수행하여 완성해 나간다.
건선산업의 특성상 힘들고 위험한 일들이 많고, 시공 중 인명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개구부 주변에서 작업 중 혹은 개구부 덮개 미비로 추락하여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이다.
보통 건설현장을 순회하면서 개구부 주변을 지나거나, 보호조치된 모양을 볼 때마가 아쉬운 점이 많이 있다.
얇은 합판 조간을 얹어 놓거나 혹은 각목 몇 개로 얹어 놓는 경우도 있고, 주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았고, 개구부 주변에 핸드레일을 설치하지 않아 지나다니기에 공포심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개구부 덮개"의 문제는 결코 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 방심하기 쉽고 조치하기에는 손이 많이 가는 일이다.
도 9a는 건설현장의 개구부 덮개 현황의 일 예로서 맨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맨홀은 공사 마무리 단계에서 주철로 만들어진 맨홀 커버로 닫아지지만, 시공 중에 있는 맨홀의 개구부는 방수, 도로포장을 위한 높낮이 문제 때문에 사진과 같이 오픈된 채로 방치되기 쉽고, 합판이나 철물을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막아 놓지만, 덮개 위로의 통행, 혹은 장비의 이동으로 손상되기 쉽고, 작업 도중 중간 작업 완료 후, 덮개가 원상복구되어야 하나 덮개를 주변에 방치한 채로 열어두는 경우가 빈번하다.
주철 커버는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시공 중에 있는 맨홀은 덮기가 어렵다(빈번히 내부를 들어가야 하는 시공성 때문이다).
따라서, 개구부에 대한 보호조치 미흡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9b는 건설현장의 개구부 덮개 현황의 다른 예로서 각종 관로 점검구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여기서도 개구부를 방치하거나, 합판으로 임시 보호조치를 하는 정도인 관계로 인명사고 발생의 문제가 있고, 합판 등과 같은 덮개의 경우 제대로 고정이 않되어 있어 쉽게 오픈될 수 있는 등 이 역시 충분한 보호조치라고 보기는 어렵다.
도 9c는 건설현장의 개구부 덮개 현황의 또 다른 예로서 오픈 피트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피트(Pit) 내 출입 통제조치가 미흡한 단점과 피트 내에서 작업시 추락사고의 위험이 있다.
도 9d는 건설현장의 개구부 덮개 현황의 또 다른 예로서 트랜치(Trench)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상기 트랜치는 전기실 팬널 주변의 트랜치와 기계기구 이동용 트랜치 등이 있으며, 트랜치 주변 작업 혹은 통행시 추락의 위험이 있다.
도 9e는 건설현장의 개구부 덮개 현황의 또 다른 예로서 그레이팅(Grating)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여기서는 작업 발판을 이용하여 오프닝을 막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레이팅 설치 후에 기계, 배관, 전기용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관통부를 만들게 되는데, 관통부를 만든 후 각종 시설물을 설치하고 남은 공간은 그레이팅이 마무리되기 전까지 오픈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가시설물을 이용하여 오프닝을 임시 방편으로 막아놓는다.
임시로 막아놓은 덮개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야 하고, 작업자들이 통행하는데 지장이 없어야 하나, 공사현장에서 제대로 고정이 안되어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통행 중 발에 걸려 넘어질 위험요소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사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각종 개구부, 예를 들면 맨홀, 관로 점검구, 피트, 트랜치, 그레이팅 등과 같은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구부 덮개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개구부 주변의 작업이나 통행시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작업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유공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어댑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향상은 물론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건설현장의 개구부를 덮는 부재로서,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는 수직의 플랜지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유공판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판 본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에도 다수의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건설현장의 개구부 위에 놓여져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유공판 본체는 상면과 측면 둘레를 이루는 외측에 배치되는 금속판과 격자모양의 리브를 가지면서 금속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지판을 일체로 결합시킨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경량화는 물론 취성 파괴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공판 본체의 측면 플랜지를 따라 밀착 배치되면서 플랜지에 있는 체결용 홀을 통해 볼트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에지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유공판 유동 방지를 위한 수단의 일 예로서, 유공판 본체의 저면부에 배치되고 유공판 본체에 있는 홀을 통해 수직 설치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유공판 본체의 저면에 수직자세로 설치되어, 개구부 내에서 벽체와의 걸림 간섭을 통해 유공판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해주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유공판 유동 방지를 위한 수단의 다른 예로서, 유공판 본체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유공판 본체에 있는 홀을 통해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관 및 이 가이드 관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유공판 본체의 저부에 설치되어, 개구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걸려지는 구조를 통해 유공판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해주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앵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공사현장의 산재되어 있는 맨홀, 관로 점검구, 피트, 트랜치, 그레이팅 등과 같은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마감함으로써, 개구부 주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나 개구부를 통행하는 경우 등과 같은 상황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여러 개의 유공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댑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공판의 기능성 향상과 더불어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FRP 소재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무게가 가볍고, 이에 따라 설치는 물론 제거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도중 중간작업 완료 후 덮개를 원상복구시키기가 편리하다.
넷째, 개구부 내로 위치되는 4개의 어댑터를 통해 유공판을 견고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들이 통행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에지 어댑터가 부착되어 있어 통행 중 발에 걸려 넘어질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다섯째,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시공과 관련한 인력 및 장비를 절약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에지 어댑터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어댑터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5b,5c,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어댑터를 부착하여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가이드 및 앵커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7b,7c,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가이드 및 앵커를 부착하여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대체용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9b,9c,9d,9e는 건설현장의 각종 개구부 덮개 현황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건설현장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형태 및 다양한 크기의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 건설현장의 개구부를 방치하지 않고 안전하게 마감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의 유공판 본체(1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그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폭으로 수직 형성되는 플랜지(10)가 구비되고,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에는 다수의 홀(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12)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오와 열을 맞춘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볼트나 가이드 관을 관통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되고, 사용되지 않는 홀(12)은 블라인드 플러그(미도시) 등으로 마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경우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을 예로 들었지만,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플랜지(10)에는 다수의 체결용 홀(13), 예를 들면 3개 정도의 체결용 홀(13)이 형성되며, 이때의 체결용 홀(13)은 후술하는 에지 어댑터(16)를 결합하거나, 또는 유공판 간을 연결할 때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공판 본체(11)는 금속 소재와 FRP 등과 같은 수지 소재를 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는 수직의 플랜지(10a)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금속판(11a)이 마련되고, 이와 유사한 형태로서 역시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는 수직의 플랜지(10b)을 가지는 수지판(11b)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판(11b)에는 자체 강도 보강을 위하여 플랜지(10b)의 내측에 형성되는 격자형의 리브(1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판(11a)의 경우 유공판 본체(11)의 상면과 측면 둘레를 이루면서 외측에 배치되고, 즉 바깥쪽 표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수지판(11b)의 경우 금속판(11a)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일체로 결합되므로서, 상기 유공판 본체(11)는 외측의 금속판(11a)과 내측의 수지판(11b)이 상호 조합되는 2겹의 형태, 다시 말해 수지판 내부 구조물의 윗면과 옆면을 금속판이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금속판(11a)과 수지판(11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유공판 본체(11)는 성형틀(미도시)에 금속판(11a)을 고정하고, FRP 재질 등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수지판(11b)을 금속판(11a)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방식, 또는 수지판 사출성형시 금속판을 인서트하여 일체 성형하는 방식 등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11a)의 경우에는 취성 파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수지판(11b)의 경우에는 강도 보완 및 경량화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금속판을 사용하지 않고 FRP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수지판(11b)과 강도 보강을 위해 강선 등과 같은 보강재(26)를 내부에 포함한 형태로 이루어진 유공판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공판의 유공판 본체(11)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폭으로 수직 형성되는 플랜지(10)를 가지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홀(12)이 형성된다.
이때의 홀(12) 역시 후술하는 볼트나 가이드 관을 관통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되고, 사용되지 않는 홀(12)은 블라인드 플러그(미도시) 등으로 마감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경우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을 예로 들었지만,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플랜지(10)에는 3개 정도의 체결용 홀(13)이 형성되며, 이때의 체결용 홀(13)은 후술하는 에지 어댑터(16)를 결합하거나, 또는 유공판 간을 연결할 때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공판 본체(11)는 FRP 등과 같은 수지 소재를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성형할 수 있으며, 강성 보강을 위하여 그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격자형 배치구조나, 또는 어느 한쪽 방향의 일자형 배치구조 등을 갖는 강선 등의 보강재(26)가 일체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공판 본체 사출 성형시 강선을 인서트하여 함께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은 개구부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여러 개를 이어붙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공판 본체(11)는 측면의 플랜지(10)를 맞댄 상태에서 볼트체결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다른 유공판 본체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유공판 본체(11)와 유공판 본체(11)를 서로의 측면 플랜지(10)를 맞댄 상태에서 플랜지(10)에 있는 체결용 홀(13)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2개의 유공판 본체(11)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공판 본체(11)의 연결구조는 사각형의 유공판 본체(11)의 4면 플랜지(10)측으로 모두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개구부의 크기에 맞게 적당한 수의 유공판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에지 어댑터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유공판에 에지 어댑터(16)를 부가한 형태를 보여준다.
상기 에지 어댑터(16)는 상면이 경사면(15)으로 되어 있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길다란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에지 어댑터(16)는 유공판 본체(11)의 측면 플랜지(10)를 따라 밀착 배치되면서 플랜지(10)에 있는 체결용 홀(13)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에지 어댑터(16)는 유공판 본체(11)의 4면 플랜지(10)에 모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지 어댑터(16)는 띠 모양의 금속판을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한 후, 내측에 플라스틱 재질을 채워 경사면을 만든 형태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공판 본체(11)의 가장자리 부분이 경사면(15)이 있는 에지 어댑터(16)에 의해 마감되므로, 작업자가 통행 중 발에 걸려 넘어지는 문제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어댑터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어댑터를 부착하여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개구부를 덮고 있는 유공판의 움직임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인 어댑터(18)를 보여준다.
상기 어댑터(18)는 길다란 사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블럭에는 블럭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관통되는 장홀(19)이 형성되며, 이때의 장홀(19)은 후술하는 볼트(17a)가 관통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어댑터(18)는 유공판 본체(11)의 저면에 수직자세로 설치되며, 개구부 내에 위치되면서 개구부 내의 벽체와 간섭을 통해, 즉 수평방향으로의 걸림간섭을 통해 유공판이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댑터(18)는 유공판 본체(11)의 저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유공판 본체(11)에 있는 홀(12)과 어댑터(18)에 있는 장홀(19)을 통해 볼트(17a)가 관통된 후, 어댑터(18)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볼트(17a)에 너트가 체결되므로서, 상기 어댑터(18)는 유공판 본체(11)에 일체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4개의 어댑터(18)가 유공판 본체(11)의 저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형태를 제공하며, 이때의 4개의 어댑터(18)는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의 배치 형태를 이루면서 유공판 본체(11)의 수평방향으로의 앞뒤쪽 및 좌우쪽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공판 본체(11)와 저면과 어댑터(18)의 상단 사이에는 스페이서(25)가 삽입되는데, 스페이서(25)의 역할은 어댑터(18)가 회전을 통해 개구부 벽체와의 간격을 조정할 때 강도 보강용 리브와의 간섭을 피하고 정확한 수직자세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어댑터(18)에 구비되는 장홀(19)은 사각 블럭의 가상의 중심축선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이러한 장홀(19)의 편심위치 특성을 이용하여 어댑터(18)와 개구부 내의 벽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장홀(19)은 그 중심과 사각 블럭의 각 변과의 거리가 다르게 되어 있어서(a<b<c<d), 어댑터(18)를 90°씩 회전시키게 되면 벽체와 어댑터(18) 간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개구의 크기에 맞게 어댑터(18)와 개구부 벽체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댑터(18)와 개구부 벽체 간의 간격을 5?25mm 정도로 조절할 수 있는 예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a = 5mm, b = 10mm , c = 20mm, d = 25mm 로 설정한 후, 어댑터(18)를 회전시키면, 개구부 벽체와의 간격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가이드 및 앵커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에 가이드 및 앵커를 부착하여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a 내지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가이드 관(20)과 앵커(21)가 구비되어 있는 유공판 본체(11)를 이용하여 개구부를 마감하는 형태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홀(12)을 통해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면서 유공판 본체(11)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관(20)과, 상기 가이드 관(20)의 내측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개구부측에 걸려지는 앵커(2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4세트의 가이드 관(20) 및 앵커(21)가 유공판 본체(11)의 저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형태를 제공하며, 이때의 4세트의 가이드 관(20) 및 앵커(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의 배치 형태를 이루면서 유공판 본체(11)의 수평방향으로의 앞뒤쪽 및 좌우쪽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게 되고, 또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관(20)의 원형의 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부에는 관 직경보다 큰 직경(유공판 본체의 홀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 관(20)에는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절개부(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관(20)의 절개부(22)는 관 하단에서부터 절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길게 절개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때의 홈을 따라 앵커(21)가 위아래로 위치를 옮겨가며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앵커(21)는 가이드 관(20)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2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21)는 가이드 관(20)의 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내경면에 나사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몸체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몸체 부분의 일측에는 쐐기모양으로 수평 연장되는 걸림 부분이 형성되어, 이때의 걸림 부분을 통해 개구부 내측 하단부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21)의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볼트(17b)가 마련되고, 이때의 볼트(17b)는 가이드 관(20)의 내부를 따라 관통 설치되면서 그 하단부를 통해 앵커(21)의 몸체 부분에 있는 나사부와 체결되므로서, 볼트체결구조에 의해 앵커(2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관(20)의 헤드부에는 방향 표시 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방향 표시 홈(23)은 절개부(2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방향 표시 홈(23)은 절개부(22)가 형성되는 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관(20)의 헤드부에 있는 방향 표시 홈(23)을 보고 가이드 관(20)에 끼워지는 앵커(21)의 걸림 부분의 위치가 어느 방향에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앵커(21)의 몸체 부분을 가이드 관(20) 내에 삽입함과 아울러 그 걸림 부분을 가이드 관(20)의 절개부(22)에 끼우게 되면, 이때의 앵커(21)의 걸림 부분은 가이드 관(20)의 헤드부에 있는 방향 표시 홈(23)과 같은 위치가 되므로, 작업자는 방향 표시 홈(23)의 위치를 확인한 후, 가이드 관(20)을 돌려 앵커(21)의 걸림 부분을 절개부 내의 고정면 방향에 위치시키고, 볼트 체결을 통해 앵커(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이드 및 앵커를 이용하여 유공판 본체(11)를 개구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공판 본체(11)에 있는 홀(12) 중에서 사용하는 홀(12), 즉 가이드 관(20)을 삽입할 홀(12)을 결정한다.
이때, 앵커(21)가 회전했을 때 걸림 가능한 홀을 결정한다.
다음, 유공판 본체(11)에 있는 4개의 홀(12)이 결정되면, 각 홀(12)에 가이드 관(20)을 삽입하고, 이때의 가이드 관(20)의 하단에 앵커(21)을 끼운다.
이때, 앵커(21)의 몸체 부분은 가이드 관 내에 끼우는 동시에 걸림 부분은 절개부(22) 내에 끼워지도록 한다.
다음, 가이드 관(20)의 내측으로 볼트(17b)를 삽입한 후에 볼트(17b)에 앵커(21)를 체결하여 가(假) 고정시킨다.
이때, 앵커(21)의 걸림 부분은 모두 안쪽으로 모은 상태로 맞춘 다음, 이 상태 그대로 개구부 내에 삽입하여 유공판 본체(11)를 개구부 위에 올려 놓는다.
다음, 가이드 관(20)을 회전시켜 앵커(21)의 걸림 부분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조정한다.
이때에는 가이드 관(20)의 헤드부에 있는 방향 표시 홈(23)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볼트(17b)를 조이면, 앵커(21)가 볼트에 체결되면서 위로 당겨지게 되고, 결국 앵커(21)의 걸림 부분이 개구부의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유공판 본체(11)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을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대체용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트렌치나 피트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를 대체할 수 있는 유공판의 시공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공사현장의 개구부가 트랜치 혹은 피트인 경우에는 트랜치나 피트 등의 내부 벽면에 걸림부재(24)가 설치되고, 이 걸림부재(24)에 앵커(21)가 걸려지도록 하는 구조로 유공판을 설치함으로써, 유공판을 트랜치 혹은 피트 등의 마감을 위한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유공판 본체(11)와 4세트의 가이드 관(20) 및 앵커(21)와 체결을 위한 각 볼트(17b)를 포함하는 유공판에 마련되고, 이때의 유공판에는 걸림방지를 위한 에지 어댑터(16)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공판을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대체용도로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트랜치 혹은 피트를 완성한 후, 트랜치 혹은 피트의 내측 벽면에 "L" 형강 등과 같은 걸림부재(24)를 설치한다.
이때의 걸림부재(24)는 익스펜션 볼트를 사용하여 트랜치 혹은 피트 내부 벽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렇게 설치되는 걸림부재(24)를 지지대로 사용하여 가이드 관(20) 및 앵커(21)와 볼트(17b)를 사용하고 유공판 본체(11)를 트랜치 혹은 피트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가이드 관(20) 및 앵커(21)와 볼트(17b)가 설치되지 않은 유공판 본체(11)의 홀(12)은 필요에 따라 블라인드 플러그를 사용하여 막을 수 있다.
보통 그레이팅 설치 특성을 살펴보면, 그레이팅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트랜치 혹은 피트 내부 테두리 부분에 그레이팅 지지용 철물을 설치하고, 거푸집 설치 후에 콘크리트 타설, 양생, 거푸집 제거 과정을 거친 다음, 그레이팅을 설치하게 된다.
또, 콘크리트 커버 제조 과정은 거푸집 설치,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양생, 거푸집 제거의 공정을 거쳐야 완성되며, 거푸집 수량 및 공간의 한정으로 필요한 수량 전체를 한번에 생산할 수 없어 여러 회로 나누어 동일한 공정을 거쳐 제작되는 한편, 중량물이라 시공 장소로 이동,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시공상의 많은 어려움이 있는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공판으로 대체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레이팅 지지용 철물 설치작업은 까다롭고, 정밀성이 요구되는 작업으로 해당 공정 삭제로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효과가 있고, 또 콘크리트 커버 제작 공정의 삭제로 인건비 절감 및 공기 단축의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 배수 트랜치의 경우, 내부로 우수 유입시 부유물과 토사가 함께 유입되는데, 유공판으로 대체할 경우 유공판에 연결된 에지 어댑터에 의해 턱이 만들어져, 토사는 에지 어댑터 하부에 쌓이고, 유공판 홀로 우수만 유입되어 토사에 의한 배수구 막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경량의 유공판인 관계로 커버 하중 감소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공판은 건설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각종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고, 또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동시에 작업 도중 중간 작업 완료 후에 덮개를 용이하게 원상복구시킬 수 있는 등 개구부에 대한 확실한 보호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 플랜지 11 : 유공판 본체
11a : 금속판 11b : 수지판
12 : 홀 13 : 체결용 홀
14 : 리브 15 : 경사면
16 : 에지 어댑터 17a,17b : 볼트
18 : 어댑터 19 : 장홀
20 : 가이드 관 21 : 앵커
22 : 절개부 23 : 방향 표시 홈
24 : 걸림부재 25 : 스페이서
26 : 보강재

Claims (11)

  1. 건설현장의 개구부를 덮는 부재로서,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는 수직의 플랜지(10)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유공판 본체(11)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판 본체(11)에는 다수의 홀(1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10)에도 다수의 체결용 홀(13)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건설현장의 개구부 위에 놓여져 개구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 본체(11)는 상면과 측면 둘레를 이루는 외측에 배치되는 금속판(11a)과 격자모양의 리브(14)를 가지면서 금속판(11a)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지판(11b)을 일체로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 본체(11)는 내부에 보강재(26)가 들어 있는 동시에 저면부에 격자모양의 리브(14)를 갖는 수지판(11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 본체(11)는 측면의 플랜지(10)를 맞댄 상태에서의 볼트체결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다른 유공판 본체와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면이 경사면(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측면 플랜지(10)를 따라 밀착 배치되면서 플랜지(10)에 있는 체결용 홀(13)을 통해 볼트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에지 어댑터(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저면부에 배치되고 유공판 본체(11)에 있는 홀(12)을 통해 수직 설치되는 볼트(17a)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유공판 본체(11)의 저면에 수직자세로 설치되어, 개구부 내에서 벽체와의 간섭을 통해 유공판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해주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어댑터(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7)는 볼트(17a)가 관통되는 길이방향의 장홀(19)을 가지는 길다란 사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홀(19)의 중심과 사각 블럭의 각 변과의 거리는 각각 다르게 되어 있어서 어댑터와 벽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 본체(11)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유공판 본체(11)에 있는 홀(12)을 통해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관(20) 및 이 가이드 관(2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볼트(17b)와 앵커(21)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유공판 본체(11)의 저부에 설치되어, 개구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걸려지는 구조를 통해 유공판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해주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앵커(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앵커(21)는 가이드 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2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20)의 헤드부에는 앵커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향 표시 홈(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트랜치 혹은 피트인 경우, 트랜치 혹은 피트 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24)에 앵커(21)를 거는 구조를 이용하여 유공판으로 트랜치 혹은 피트를 마감함으로써,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커버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KR1020110007277A 2011-01-25 2011-01-25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KR10127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77A KR101270511B1 (ko) 2011-01-25 2011-01-25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77A KR101270511B1 (ko) 2011-01-25 2011-01-25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59A true KR20120086059A (ko) 2012-08-02
KR101270511B1 KR101270511B1 (ko) 2013-06-03

Family

ID=4687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277A KR101270511B1 (ko) 2011-01-25 2011-01-25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0170A (zh) * 2013-07-18 2013-11-27 吴江市黎里建兴铸件厂 一种窨井盖
CN105113549A (zh) * 2015-09-17 2015-12-02 成都易信达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锁防盗井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109Y2 (ko) * 1971-11-26 1976-05-26
KR200246020Y1 (ko) * 2001-06-09 2001-10-29 김석현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KR100937481B1 (ko) * 2008-09-19 2010-01-19 허동석 개구부 덮개
KR20100116007A (ko) * 2009-04-21 2010-10-29 (주)태영산업 개구부 덮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511B1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266B2 (en) Concrete deck with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
US11008728B2 (en) Manhole device
US20200270880A1 (en) Forms for constructing foundations for anchoring pole vault standards
KR100782667B1 (ko) 교량안전점검통로 고정용 매입장치
US10480211B2 (en) Handrail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843175B1 (ko) 집수구
KR101270511B1 (ko)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0944458B1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US20140075878A1 (en) Frame support
KR100774885B1 (ko)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는 조립식 앵커 볼트 구조 및 이를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JP6346369B1 (ja) 補強土壁工事の安全対策用柵
KR101856583B1 (ko) 건축물 슬라브 개구부 설치용 안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8667764B2 (en) Embedded mesh in precast walls
KR101887966B1 (ko) 맨홀 커버 구조
KR200375319Y1 (ko)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KR101085324B1 (ko) 안전난간 지주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공법
KR102127345B1 (ko)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AU2018100374B4 (en) Formwork for Creating Penetrations or Openings in Concrete Floor Structures
JP7078241B1 (ja) 残存型枠工事の安全対策用柵
KR100981148B1 (ko) 집수정 벽면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커브슈, 상부 연결폼 및 이들을 포함하는 체결구
AU2007101042A4 (en) Building floor safety barrier
KR101190129B1 (ko)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WO2016057790A1 (en) Concrete deck with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
CN110607781A (zh) 一种用于可拆卸防洪装置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