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020Y1 -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020Y1
KR200246020Y1 KR2020010017207U KR20010017207U KR200246020Y1 KR 200246020 Y1 KR200246020 Y1 KR 200246020Y1 KR 2020010017207 U KR2020010017207 U KR 2020010017207U KR 20010017207 U KR20010017207 U KR 20010017207U KR 200246020 Y1 KR200246020 Y1 KR 200246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rame
scaffolding
building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김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현 filed Critical 김석현
Priority to KR2020010017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020Y1/ko

Link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판프레임을 연결핀으로 간단히 조립 및 해체가능하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발판프레임들의 가로지지대 사이를 연결핀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A SCAFFOLD ASSEMBLING FRAMEWORK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구성된 발판프레임을 연결핀으로 간단히 연결하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안전발판은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해줌과 아울러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안전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발판은 가로지지대(1a)와 세로지지대(1b)를 용접하고, 이 위에 발판부재(1c)를 고정시켜 발판프레임(1)을 구성한다.
상기 발판프레임(1)은 단위체로 구성되고, 안전발판의 설치장소에 따라 발판프레임(1)을 복수개 연결 사용하게 된다.
즉, 각각의 발판프레임(1)이 접면되는 세로지지대(1b)에 관통공(1d)을 천공하고, 이를 볼트(2)로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발판은 가로지지대(1a)와 세로지지대(1b)가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 용접을 시행하여야 하는 곳이 많고, 용접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인건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발판은 상측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함으로 가로지지대(1a)와 세로지지대(1b)의 접합부분에 전단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용접을 전둘레로 시행하여야 하는 것이다.(도 1의 확대부위 참조)
또한, 세로지지대(1b)에 관통공(1d)을 천공하여 작업이 복잡하고, 상기 관통공(1d)에 볼트(2)로 체결하여 작업시간이 길어 질뿐만 아니라 해체작업도 길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발판프레임을 연결핀으로 간단히 조립 및 해체가능하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안전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요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전발판 10: 발판프레임
11: 가로지지대 12: 세로지지대
13: 발판부재 20: 연결핀
21: 분리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발판프레임들의 가로지지대 사이를 연결핀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는 'ㄷ'자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세로지지대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핀은 사각단면을 이루며 중앙 외주면에 분리테가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100)은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10)과, 상기 발판프레임(10)을 연결하는 연결핀(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판프레임(10)은 가로지지대(11)와 세로지지대(12)를 사각형태로 용접하고, 이의 상측에 발판부재(13)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가로지지대(11)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세로지지대(12)는 'ㄷ'자 형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ㄷ'자 형강의 내측으로 사각파이프를 삽입시키고, 상기 사각파이프가 접면되는 'ㄷ'자 형강의 수직면을 절단하여 외측에서 사각파이프의 내경이 보이도록 용접하여 이에 연결핀(20)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용접부위는 사각파이프와 'ㄷ'자 형강의 수평면의 끝단부를 용접함으로, 종래와 같이 전둘레로 용접을 하지 않아도 전단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발판부재(13)는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at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핀(20)은 발판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가로지지대(11)의 내경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사각단면을 이루며 중앙 외주면에 분리테(21)가 형성되어져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100)은 건물의 직선부위에서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물의 모서리 부위에서는 일측을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발판(100)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100)은 사각파이프와 'ㄷ'자 형강을 사용하여 간단히 사각형태 또는 일측이 경사진 형태로 만들고 상측에 발판부재(13)를 고정하여 발판프레임(10)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발판프레임(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제작하여 작업길이에 따라 복수개연결하게 되는데 이는 발판프레임(10)과 또 다른 발판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핀(20)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발판프레임(10)의 가로지지대(11)가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내경에 연결핀(20)를 중앙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테(21)까지 삽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모서리 부위에는 일측이 경사진 형상의 발판프레임(10)을 사각형상의 발판프레임(10)과 결합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용 안전발판은 발판프레임 사이에 연결핀으로 결합 또는 해체를 손쉽게 할수 있을 뿐만 용접시간이 적게 들고,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각파이프와 'ㄷ'자 형강으로 제작하여 강도가 강해지게 된다.
또한, 안전발판의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가로지지대(11)와 세로지지대(12)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13)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10)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100)에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발판프레임(10)들의 가로지지대(11) 사이를 연결핀(20)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11)는 'ㄷ'자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세로지지대(12)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20)은 사각단면을 이루며 중앙 외주면에 분리테(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KR2020010017207U 2001-06-09 2001-06-09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KR200246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07U KR200246020Y1 (ko) 2001-06-09 2001-06-09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07U KR200246020Y1 (ko) 2001-06-09 2001-06-09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020Y1 true KR200246020Y1 (ko) 2001-10-29

Family

ID=7310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07U KR200246020Y1 (ko) 2001-06-09 2001-06-09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0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55B1 (ko) 2009-06-01 2011-07-11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의 작업발판 연결장치
KR101270511B1 (ko) * 2011-01-25 2013-06-03 진혜라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KR101899893B1 (ko) * 2017-12-26 2018-09-18 김원근 다양한 구조로 조립 가능한 조립식 작업 발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55B1 (ko) 2009-06-01 2011-07-11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의 작업발판 연결장치
KR101270511B1 (ko) * 2011-01-25 2013-06-03 진혜라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KR101899893B1 (ko) * 2017-12-26 2018-09-18 김원근 다양한 구조로 조립 가능한 조립식 작업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540B1 (ko) 강관 비계용 연결구
JP4628212B2 (ja) 締結具
KR200246020Y1 (ko)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
JP6210608B1 (ja) 支保工
JP2006291531A (ja) 柱・梁接合部構造
JP2005282339A (ja) 中空鋼管鉄塔の添接l形材による補強構造
KR101004204B1 (ko)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JP2007191860A (ja) 鉄骨造の柱梁接合構造
JP3956298B2 (ja) 柱梁接合部
JP3885335B2 (ja) 連結金具を備えた作業足場用支柱
JP2002242484A (ja) 軸回転防止用支持柱
JP2018145618A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KR100492719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JP3670591B2 (ja) 接合金具
KR20080012584A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JP2005320745A (ja) 梁補剛ユニットおよび梁の補剛構造
KR100758595B1 (ko) 에이치빔용 연결소켓
KR20240010181A (ko) 시스템 비계
KR200267908Y1 (ko) 건축용 안전발판
JP7442234B1 (ja) 足場設置装置および筒状構造物の周囲に足場を設置する方法
KR102435535B1 (ko) 건축용 비계 조립체
KR102443721B1 (ko) 경량 시스템 비계
JPH09317021A (ja) ユニット建物とその施工方法
KR100627233B1 (ko)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KR200342797Y1 (ko) 건축용 조립식 가설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