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768A - 스풀밸브 - Google Patents

스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768A
KR20120085768A KR20127009341A KR20127009341A KR20120085768A KR 20120085768 A KR20120085768 A KR 20120085768A KR 20127009341 A KR20127009341 A KR 20127009341A KR 20127009341 A KR20127009341 A KR 20127009341A KR 20120085768 A KR20120085768 A KR 2012008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land portion
supply
alo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9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929B1 (ko
Inventor
라훌 엘. 나벨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8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comprising means to avoid jamming of the slide or means to modify the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10T137/8671With annular passage [e.g., sp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스풀밸브(20)는 세로축(26)을 따라 연장하는 구멍(24)을 규정하는 하우징(24)을 포함한다. 스풀(28)이 구멍(24) 내에 배치되고 또한 제1흐름경로를 따라 유압 유체를 보내는 제1위치와 제2흐름경로를 따라 유압 유체를 보내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스풀(38)은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부(52)를 포함한다. 공급부(52)는 수풀(38)의 표면을 가로질러 유압 유체의 흐름을 부드럽게 보내기 위한 절단형 의구(64)를 규정하는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풀밸브{SPOOL VALVE}
본 발명은 유압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스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풀밸브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
스풀밸브(spool valve)들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밸브 하우징의 구멍 내에서 세로축을 따라 축방향을 스풀을 이동시킴으로써 유압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제어, 즉 전환한다. 스풀의 이동은 제1흐름경로와 제2흐름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압 유체를 보내기 위하여 밸브 하우징에 의해 규정되는 다양한 포트들 간의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을 개방 및/또는 폐쇄한다.
스풀은 스풀이 배치되는 구멍(bore)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랜드부(land portions)를 포함한다. 다양한 랜드부들은 그들 사이에 다수이 유체 송출부(fluid directing portion)들을 규정한다. 유체 송출부들은 밸브 하우징에 의해 규정되는 다양한 포트(port)들과 유체 연통하고, 그리고 다양한 랜브부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밀봉된다. 유체 송출부는 구멍과 협동하여 유체 챔버를 규정하고, 유압 유체가 유체 챔버를 통해 한 포트에서 다른 포트로 흐른다.
작동시에, 유압 유체는 다양한 포트들에서부터 유체 챔버들로 흐르고, 또한 스풀의 다양한 유체 송출부들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른다. 따라서, 스풀의 유체 송출부들의 외측 표면의 형상은 유체 챔버들을 통해 흐르는 유압 유체의 흐름 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서, 스풀밸브를 기술한다. 스풀밸브는 세로축을 따라 연장하는 구멍을 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공급포트와, 제1적하포트(a first load port)와, 제2적하포트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를 더 규정한다. 공급포트는 구멍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구멍에 유압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1적하포트는 구멍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제1흐름경로를 따라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제2적하포트는 구멍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제2흐름경로를 따라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는 구멍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하우징에서부터 유압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스풀이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되고 또한 적어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위치는 공급포트와 제1적하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제2적하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그리고 공급포트와 제2적하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폐쇄한다. 제2위치는 공급포트와 제2적하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제1적하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그리고 공급포트와 제1적하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폐쇄한다. 스풀은 제1랜드부와 제2랜드부 사이에서 세로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공급부는 스풀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제1적하포트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고 또한 스풀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적하포트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절단형 의구(truncated pseudosphere)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 스풀밸브용 스풀이 기술된다. 스풀은 제1단부와 제1단부로부터 세로축을 따라 이격되는 제2단부를 포함한다. 제1랜드부와, 제2랜드부와, 제1단부와 제1랜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랜드부와 그리고 제2랜드부와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랜드부. 제1랜브부, 제2랜드부, 제3랜드부 및 제4랜드부 각각은 밸브 하우징의 구멍에 대해 밀봉을 하도록 구성된다. 제1랜드부아 제2랜부부 사이에서 세로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공급부가 배치된다. 제3랜드부와 제1랜드부 사이에서 세로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제1회수부(a first retrun portion)가 배치된다. 제4랜드부아 제2래드부 사이에서 세로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제2회수부가 배치된다. 공급부는 밸브하우징의 제1적하포트와 제2적하포트 중 하나로 유압 유체를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절단형 의구(truncated pseudosphere)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과 장점들과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고의 모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스풀의 형상, 특히 스풀의 공급부의 형상은 공급포트에서 제1적하포트 및 제2적하포트 중 하나로 유압 유체를 부드럽게 직접 보내는데, 이는 스풀에 작용하는 유압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력을 저감시킨다. 스풀에 작용하는 유압력을 저감시키는 것은, 스풀이 보다 적은 노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위치에서 스풀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스풀밸브의 도식적 단면도.
도 2는 제2위치에서 스풀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스풀밸브의 도식적 단면도.
도 3은 스풀의 다른 실시예의 도식적 단면도.
도 4는 스풀의 제1실시예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5는 스풀의 다른 제2실시예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6은 스풀의 다른 제3실시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을 통해 같은 참조부호가 같은 부분에 부여되는 도 1과 2를 참조하면, 스풀밸브는 참조번호 20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풀밸브(20)는 도 1에 도시된, 제1흐름경로와 도 2에 도시된, 제2흐름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압 유체의 흐름을 보낸다.
스풀밸브(20)는 유압시스템의 일부이다. 유압시스템은 유압 유체를 가압하고 또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와, 유압 유체의 흐름을 보내기 위한 스풀밸브(20)와, 가압된 유압 유체의 흐름을 일로 변환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그리고 과도한 유압 유체를 저장하고 또한 유압 유체를 펌프로 역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탱크(미도시)를 포함한다.
스풀밸브(20)는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세로축(26)을 따라 연장하는 구멍(24)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의도한 특정 상황에 대해 소정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2)은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되거나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은 공급포트(28)와, 제1적하포트(30)와, 제2적하포트(32)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34, 36)를 더 규정한다. 공급포트(28)는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그리고 유압 유체를 구멍(24)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1적하포트(30)는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유압 유체를 제1흐름경로를 따라 구멍(24)에서부터 보내도록 구성된다. 제2적하포트(32)는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유압 유체를 제2흐름경로를 따라 구멍(24)에서부터 보내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34, 36)는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탱크로 유압 유체를 회수하기 위해 하우징(22)에서부터 유압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는 제1방출포트(34)와 제2방출포트(36)를 포함한다.
스풀밸브(20)는 구멍(24)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풀(38)을 포함한다. 스풀(38)은 도 1에 도시된 제1위치와 도 2에 도시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1위치는 공급포트(28)와 제1적하포트(30)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제2적하포트(32)와 제2방출포트(36)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그리고 공급포트(28)와 제2적하포트(32) 간의 유체 연통을 밀폐한다. 제2위치는 공급포트(28)와 제2적하포트(32) 간의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제1적하포트(30)와 제1방출포트(34) 간의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그리고 공급포트(28)와 제1적하포트(30) 간의 유체 연통을 밀폐한다. 하우징(22)과 스풀(28)은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제1위치와 제2위치는 여기서 도시한 것 또는 기술한 것과 상이하 순서로 유체 연통을 개방 및/또는 밀폐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스풀(38)은 제1단부(40)와 제2단부(42)를 포함한다. 제2단부(42)는 세로축(26)을 따라 제1단부(40)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38)은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와, 제3랜드부(48)와 제4랜드부(50)를 더 포함한다.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는 스풀(38)의 거의 중간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1랜드부(44)는 제2단부(41)보다는 제1단부(40)에 가깝게 배치되고 그리고 제2랜드부(46)는 제1단부(40)보다는 제2단부(42)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3랜드부(48)는 제1단부(40)와 제1랜드부(44) 사이에 배치된다. 제4랜드부(50)는 제2랜드부(46)와 제2단부(42) 사이에 배치된다.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와, 제3랜드부(48)와 제4랜드부(50) 각각은 구멍(24)에 의해 규정되는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와, 제3랜드부(48)와 제4랜드부(50) 각각은 구멍(24)에 대해 밀봉을 하도록 구성된다.
스풀(38)은 공급부(52)와, 제1회수부(54)와 그리고 제2회수부(56)를 더 포함한다. 공급부(52)는 구멍(24)과 협동하여 이들 사이에 공급챔버(58)를 규정하고, 유압 유체는 공급챔버를 통해 펌프에서부터 보내진다. 제1회수부(54)는 구멍(24)가 형동하여 제1챔버(60)를 규정한다. 제2회수부(56)는 구멍(24)과 협동하여 제2챔버(62)를 규정한다.
공급부(52)는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 사이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스풀(38)의 거의 중간부분 근처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수부(54)는 공급부(52)와 제1단부(40) 사이에서 공급부(52)의 좌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회수부(54)는 제3랜드부(48)와 제1랜드부(44)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수부(56)는 공급부(52)와 제2단부(42) 사이에서 공급부(52)의 우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회수부(56)는 제2랜드부(46)와 제4랜드부(50) 사이에 배치된다.
공급부(52)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단형 의구(truncated pseudosphere)(64)를 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구는 일반적으로, 그의 점근선(asymptote)을 중심으로 추적선(tractrix)을 회전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일정한 네가티브 표면(constant negative surface)로서 규정된다. 절단형 의구(64)는 절단된 대향하는 말단부들을가지는 의구의 형상이다. 절단형 의구(64)는 공급부(52)의 중간부에 중심을 둔다. 절단형 의구(64)는, 스풀(38)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유압 유체를 제1적하포트(30)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1반부(a first halt)(66)를 포함하고, 또한 스풀(38)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유압 유체를 제2적하포트(32)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2반부(68)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절단형 의구(64)는 일정한 음의 만곡(a constant negative curvature)을 가지는 외측표면(65)을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절단형 의구(64)의 제1반부(66)는 제1역반경(a first inverse radius)(I/R)를 규정하고 또한 절단형 의구(64)의 제2반부(68)는 제2역반경(I/R)을 규정한다. 제1역반경은 제2역반경과 동일하다.
절단형 의구(64)는 공급부(52)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릿지(ridge)(70)를 포함한다. 도 1과 2의 축적의 인해, 릿지(70)는 단면에서 포인트로서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스풀(38)의 주변 둘레로 연장하는 환상의 선형 링(annular liner ring)을 규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를 참조하면, 릿지(70)는 세로축을 따라 선규정된 간격으로 연장하는 평면(flat face)(71)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6을 참조하면, 릿지(70)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선규정된 간격은 릿지(70)의 직경의 제조와 측정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형 의구(64)의 제1반부(66)와 제2반부(68)는 릿지(70)을 가로질러 반영한, 세로축(26)에 대해 수직인 서로간의 반사 영상이고 또한 공급부(52)의 중간부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릿지(70)는 절단형 의구(64)의 소정의 다른 섹션에 의해 규정되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즉 환언하면, 릿지(70)의 직경은 절단형 의구(64)에 의해 규정되는 가장 큰 직경이다.
공급포트(52)는 또한 제1만곡부(72)와 제2만곡부(74)를 더 포함한다. 제1만곡부(72)는 절단형 의구(64)의 제1반부(66)와 제1랜드부(44) 사이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만곡부(72)는, 제1랜브부(44)에서부터 절단형 의구(64)의 제1반부(66)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세로축(260을 따라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규정한다. 제2만곡부(74)는 절단형 의구(64)의 제2반부(68)와 제2랜드부(46) 사이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만곡부(74)는, 제2랜드부(46)에서부터 절단형 의구(64)의 제2반부(68)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세로축(26)을 따라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규정한다. 따라서, 세로축(26)을 따라 스풀(38)의 공급부(52)의 길이는 제1만곡부(72)와, 절단형 의구(64)와 제2만곡부(74)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부수적으로, 제1랜드부(44)에서부터 제2랜드부(46)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공급부(52)의 직경은 제1만곡부(72)를 따라 크기가 감소하고, 절단형 의구(64)의 제1반부(66)를 따라 크기가 증가하고, 절단형 의구(64)의 제2반부(68)를 따라 크기가 감소하고, 그리고 제2만곡부(74)를 따라 크기가 증가한다.
제1회수부(54)는, 스풀(38)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제1적하포트(3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회수부(54)는 제1적하포트(30)에서 제1방출포트(34)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제1회수부(54)는 제1외측부(76)와, 제1내측부(78)와 그리고 제1환형 크레스트(a first annular crest)(80)를 포함한다. 제1환형 크레스트(80)는 제1내측부(78)와 제1외측부(76) 사이에 배치된다. 제1외측부(76)는, 제3랜드부(48)에서부터 제1환형 크레세트(80)를 향하는 방향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세로축(26)을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포함한다. 제1내측부(78)는, 제1환형 크레세트(80)에서부터 제1랜드부(44)를 향하는 방향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제1내측부(78)와 제2외측부(76) 각각은 직경 변화율(a rate of diametric change), 즉 세로축(26)을 따라 측정한, 제1내측부(78)와 제1외측부(76)의 직경의 변화율을 포함한다. 세로축(26)을 따라 제1외측부(76)의 직경 변화율은 제1내측부(78)의 직경 변화율보다 크다. 즉 환언하면, 세로축(26)을 따라 공통의 간격에 걸쳐 측정하였을 때, 제1외측부(76)의 직경은 제1내측부(78) 보다 빠른 비율로 크기가 감소한다.
제1회수부(54)와 제2회수부(56)는 세로축(26)을 횡단하는 공급부(52)의 중간부, 즉 공급부(52)의 릿지(70)에 걸쳐 반영한, 서로에 대한 거울 영상이다. 따라서, 제1회수부(54)와 제2회수부(56)는 공급부(52)의 중간부에 대해 서로 간에 대칭적이다.
제2회수부(56)는, 스풀(38)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제2적하부(32)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회수부(56)는 제2적하포트(32)에서 제2방출포트(36)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제2회수부(56)는 제2외측부(82)와, 제2내측부(84)와 그리고 제2환형의 크레세트(86)를 포함한다. 제2환형의 크레세트(86)는 제2내측부(84)와 제2외측부(82) 사이에 배치된다. 제2외측부(82)는, 제4랜드부(50)에서 제2환형의 크레세트(86)를 향하는 방향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세로축(26)을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포함한다. 제2내측부(84)는, 제2환형의 크레세트(86)에서 제2랜드부(46)를 향하는 방향에서 세로축(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내측부(84)와 제2외측부(82) 각각은 직경 변화율, 즉 세로축(26)을 따라 측정한, 제2내측부(84)와 제2외측부(82) 각각의 직경의 변화율을 포함한다. 세로축(26)을 따라 제2외측부(82)의 직경 변화율은 제2내측부(84)의 직경 변화율보다 크다. 즉 환언하면, 세로출(26)을 따라 공통의 간격에 걸쳐 측정하였을 때, 제2외측부(82)의 직경은 제2내측부(84)보다 빠른 비율로 크기가 감소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풀의 다른 실시예가 참조번호 188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스풀(38)의 제1실시예의 요소들과 동일한 스풀(188)의 다른 실시예의 요소들은 100단위로 증가한 참조번호로 식별된다. 예컨대, 스풀(38)의 제1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4로 식별되는 제1랜드부는 스풀(188)의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144로 식별되고, 스풀(38)의 제1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0으로 식별되는 제1단부는 스풀(188)의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140으로 식별되고, 스풀(38)의 제1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2로 식별되는 제2단부는 스풀(188)의 다른 실시에에서 참조번호 142로 식별되고, 그리고 스풀(38)의 제1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8로 식별되는 제3랜드부는 스풀(188)의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148로 식별된다.
스풀(188)의 다른 실시에에서, 제1랜드부(144)와 제2랜드부(146) 각각은 원추대(frustoconical portion)(190)를 포함한다. 제1랜드부(144)와 제2랜드부(146) 각각의 원추대(190)는, 공급부(152)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서 세로축(1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크기가 감소하는 직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랜드부(144)의 원추대(190)의 직경은, 지면 상의 좌측에서 우측의 방향으로, 즉 제1회수부(154)에서부터 공급부(152)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로축(1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크기가 감소한다. 비슷하게, 제2랜드부(146)의 원추대(190)의 직경은, 지면의 우측에서 좌측의 방향으로, 즉 제2회수부(156)에서부터 공급부(152)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로축(126)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크기가 감소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고의 모드들을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디자인과 실시예들은 인지하게 될 것이다.

Claims (13)

  1. 세로축(26)을 따라 연장하는 구멍(24)과, 상기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상기 구멍(24)에 유압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포트(28)와, 상기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제2흐름경로를 따라 상기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1적하포트(30)와, 상기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제2흐름경로를 따라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2적하포트(32)와, 그리고 상기 구멍(24)과 유체 연통하고 또한 하우징(22)으로부터 유압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를 규정하는 상기 하우징(22)과; 그리고
    상기 구멍(24)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풀(38)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는 상기 공급포트(28)와 상기 제1적하포트(30)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상기 제2적하포트(3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그리고 상기 공급포트(28)와 상기 제2적하포트(32) 간에 유체 연통을 밀폐하며, 그리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공급포트(28)와 상기 제2적하포트(32)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상기 제1적하포트(3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 간에 유체 연통을 개방하고, 그리고 상기 공급포트(28)와 상기 제1적하포트(30) 간에 유체 연통을 밀폐하고;
    상기 스풀(38)은 제1랜드부(44)와 제2랜드부(46) 사이에서 축방향(26)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급부(5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52)는 상기 스풀(38)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유압 유체를 상기 제1적하포트(30)로 보내고 또한 상기 스풀(38)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적하포트(32)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절단형 의구(64)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풀(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형 의구(64)는 일정한 음의 만곡을 가지는 표면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형 의구(64)는 상기 공급부(52)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릿지(70)를 포함하고, 상기 릿지(70)는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다른 섹션에 의해 규정되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형 의구(64)는 제1반부(66)와 제2반부(68)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부(66)와 제2반부(68)는 상기 릿지(70)에 대해 서로 간의 거울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52)는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상기 제1반부(66)와 상기 제1랜드부(44)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만곡부(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만곡부(72)는 상기 제1랜드부(44)에서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상기 제1반부(66)로 상기 세로축(26)을 따라 그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52)는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상기 제2반부(68)와 상기 제2랜드부(46)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만곡부(74)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만곡부(74)는 상기 제2랜드부(46)에서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상기 제2반부(68)로 상기 세로축(26)을 따라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상기 제1반부(66)는 제1역반경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절단형 의구(64)의 상기 제2반부(68)는 제2역반경을 규정하고, 상기 제1역반경은 상기 제2역반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38)은 제1단부(40)와, 상기 제1단부(40)와 상기 제1랜드부(44) 사이에 배치되는 제3랜드부(48)와 그리고 상기 제3랜드부(48)와 상기 제1랜드부(44) 사이에 배치되는 제1회수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수부(540는 상기 스풀(38)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적하포트(3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38)은 제2단부(42)와, 상기 제2단부(42)와 상기 제2랜드부(46) 사이에 배치되는 제4랜드부(50)와 그리고 상기 제4랜드부(50)와 상기 제2랜드부(46) 사이에 배치되는 제2회수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수부(56)는 상기 수풀(38)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적하포트(3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포트로 유압 유체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부(54)는 제1외측부(76)와, 제1내측부(78)와 그리고 상기 제1내측부(78)와 상기 제1외측부(76) 사이에 배치되는 제1환형의 크레세트(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부(76)는 상기 제3랜드부(48)에서 상기 제1환형의 크레세트(80)로 상기 세로축(260을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내측부(78)는 상기 제1환형의 크레세트(80)에서 상기 제1랜드부(44)로 상기 세로축(26)을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수부(56)는 제2외측부(82)와, 제2내측부(84)와 그리고 상기 제2내측부(84)와 상기 제2외측부(82) 사이에 배치도는 제2환형의 크레세트(86)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외측부(82)는 상기 제4랜드부(50)에서 상기 제2환형의 크레세트(86)로 상기 세로축(26)을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내측부(84)는 상기 제2환형의 크레세트(86)에서 상기 제2랜드부(46)로 상기 세로축(26)을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부(54)는 상기 공급부(52)의 중간부에 대해 상기 제2회수부(56)와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랜드부(44)와 상기 제2랜드부(46) 각각은 상기 공급부(52)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축(26)을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추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KR1020127009341A 2009-09-22 2010-09-21 스풀밸브 KR101766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64,071 US8464756B2 (en) 2009-09-22 2009-09-22 Spool valve
US12/564,071 2009-09-22
PCT/IB2010/002352 WO2011036532A1 (en) 2009-09-22 2010-09-21 Spool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768A true KR20120085768A (ko) 2012-08-01
KR101766929B1 KR101766929B1 (ko) 2017-08-09

Family

ID=4329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41A KR101766929B1 (ko) 2009-09-22 2010-09-21 스풀밸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64756B2 (ko)
EP (1) EP2480806B1 (ko)
JP (1) JP5822835B2 (ko)
KR (1) KR101766929B1 (ko)
CN (1) CN102498320B (ko)
BR (1) BR112012006242A2 (ko)
CA (1) CA2774909C (ko)
MX (1) MX2012003461A (ko)
WO (1) WO2011036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3697A1 (de) * 2010-11-10 2012-05-10 Robert Bosch Gmbh Druckregelventil, insbesondere zur Ansteuerung einer Kupplung in einem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JP5602074B2 (ja) * 2011-03-16 2014-10-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制御弁
DE102011080667A1 (de) * 2011-08-09 2013-02-14 Robert Bosch Gmbh Schieberventil mit einem Ventilschieber
DE102012224019A1 (de) * 2012-12-20 2014-06-26 Robert Bosch Gmbh Schieberventil, insbesondere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s
US9470324B2 (en) * 2013-06-04 2016-10-18 Spx Flow, Inc. Directional valve and method of operation
US9556970B2 (en) * 2013-07-19 2017-01-31 Control Components, Inc. Cascade trim for control valve
US9752465B2 (en) * 2014-09-03 2017-09-05 Denso Corporation Valve timing controller
US9791062B2 (en) * 2014-10-13 2017-10-17 Fema Corporation Of Michigan Hydraulic valve having pressure compensated flow control
DE102016107773A1 (de) 2016-03-09 2017-09-14 Hilite Germany Gmbh Hydraulikventil
EP3217052B1 (de) * 2016-03-09 2019-04-10 ECO Holding 1 GmbH Hydraulikventil
CN107725515B (zh) * 2016-08-10 2021-11-09 博世力士乐(常州)有限公司 液压阀
CN111051707B (zh) * 2017-08-15 2023-02-28 丹佛斯动力系统Ii技术有限公司 滑阀
US11448313B2 (en) * 2017-11-02 2022-09-20 Superior Transmission Parts, Inc. Pressure regulator valve
JP7439423B2 (ja) * 2019-09-09 2024-02-28 Smc株式会社 サーボバルブ
CN111637106A (zh) * 2020-05-15 2020-09-08 大连理工大学 一种降低多路阀稳态液动力的环形凸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9097A (en) * 1957-12-11 1960-08-16 New York Air Brake Co Five position control valve having power float position
JPS4875219U (ko) * 1971-12-21 1973-09-18
JPS4967217A (ko) * 1972-11-01 1974-06-29
JPS5917303B2 (ja) * 1973-04-30 1984-04-20 キヤタピラ− トラクタ− コンパニ− 流量制御弁
JPS51115329A (en) * 1975-04-03 1976-10-09 Toshiba Machine Co Ltd Plunger of compensating flow force
JPS53159486U (ko) * 1977-05-20 1978-12-14
DE2730431A1 (de) 1977-07-06 1979-01-25 Ver Flugtechnische Werke Servoventil zur absperrung und/oder durchschaltung hydraulischer fluessigkeit
US4220178A (en) * 1979-01-31 1980-09-02 The Cessna Aircraft Company Momentum balance spool
IT1126324B (it) 1979-11-06 1986-05-21 Duplomatic Valvola copiatrice,particolarmente per idrocopiatori di macchine utensili
DE2949231C2 (de) * 1979-12-07 1984-12-13 Mannesmann Rexroth GmbH, 8770 Lohr Druckmittelventil, insbesondere Druckreduzierventil
US4388949A (en) * 1980-12-11 1983-06-21 Bonney Roland W Multiple four-way control valve
JPH0289136A (ja) * 1988-09-27 1990-03-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プロセツサの再起動方式
US4941508A (en) * 1989-12-28 1990-07-17 Dana Corporation Force balanced hydraulic spool valve
US5193584A (en) 1992-02-20 1993-03-16 Sauer Inc. Spool valv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571089Y2 (ja) 1993-05-07 1998-05-13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切換弁
JPH0989136A (ja) * 1995-09-25 1997-03-31 Toyota Motor Corp スプール弁装置
CN2283160Y (zh) 1996-11-28 1998-06-03 闫学富 电液动换向阀
JP3839562B2 (ja) * 1997-09-17 2006-11-0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スプール弁
DE19938884B4 (de) 1999-08-17 2009-10-01 Schaeffler Kg Wegeventil und Verfahren zur Optimierung von dessen Regelbarkeit und Bauaufwand
JP2002106508A (ja) 2000-09-29 2002-04-10 Komatsu Ltd 流量方向制御弁
US6810912B2 (en) 2002-05-29 2004-11-02 Nachi-Fujikoshi Corp. Spool valve with decreased fluid force acting on spool
WO2005031199A1 (en) * 2003-09-29 2005-04-07 Aser Tech Co., Ltd. Slide spool-type valve
US20050224115A1 (en) 2004-04-09 2005-10-13 Globe Union Industrial Corp. Faucet with constant temperature valve
US7886767B2 (en) * 2007-02-27 2011-02-15 Parker-Hannifin Corporation Hydraulic valve with spool position sensing assembly
CN101387310A (zh) 2007-09-12 2009-03-18 胡斯可国际股份有限公司 带有压力补偿的方向滑阀和再生分流阀的液压阀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0806B1 (en) 2015-05-27
MX2012003461A (es) 2012-04-19
JP5822835B2 (ja) 2015-11-24
US20110067771A1 (en) 2011-03-24
WO2011036532A1 (en) 2011-03-31
CA2774909C (en) 2015-06-16
JP2013505412A (ja) 2013-02-14
CN102498320A (zh) 2012-06-13
EP2480806A1 (en) 2012-08-01
BR112012006242A2 (pt) 2021-03-02
US8464756B2 (en) 2013-06-18
KR101766929B1 (ko) 2017-08-09
CA2774909A1 (en) 2011-03-31
CN102498320B (zh)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5768A (ko) 스풀밸브
EP3303886B1 (e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 liquid
JP5322493B2 (ja) 振れ止め装置
EP159158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edium flow
RU2018119090A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3500444A (ja) 圧力調整弁
US10359123B2 (en) Fluid pressure regulator with reverse flow capability
US9441747B2 (en) Pressure/flow regulator
KR20120121887A (ko) 비례제어밸브 조립체
US10247209B2 (en) Control device for zero-leak directional control valves
US7841359B2 (en) Check valve
JP6715207B2 (ja) 方向制御弁及びそれを適用した油圧回路を備えた建設機械
KR102089193B1 (ko) 유체압 실린더
EP3553324B1 (en) Valve and hydraulic system with the same
JP6909164B2 (ja) 流体圧制御装置
ITMI20071644A1 (it) Cuscinetto e relativa apparecchiatura di lubrificazione
US20160160885A1 (en) Hydraulic circuit for an actuator
EP3587830A1 (en) Spool valve connection arrangement for manual override assembly
JP2009529635A (ja) ハイドロリック式の弁アッセンブリ
JP7479807B2 (ja) 弁および建設機械
KR20110125502A (ko) 건설기계용 더블로드체크밸브 포펫구조
US20160116073A1 (en) Piston valve
KR20210081884A (ko) 가변 베인 오일 펌프
JP2007046788A (ja) 作業機の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