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035A - 유아 교육용 학습기 - Google Patents

유아 교육용 학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035A
KR20120085035A KR1020110006419A KR20110006419A KR20120085035A KR 20120085035 A KR20120085035 A KR 20120085035A KR 1020110006419 A KR1020110006419 A KR 1020110006419A KR 20110006419 A KR20110006419 A KR 20110006419A KR 20120085035 A KR20120085035 A KR 20120085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memory
soun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859B1 (ko
Inventor
배상민
김경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0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8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교육용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본체, 이 인쇄회로기판의 동일한 색상을 띄어 동일파장인 엘이디를 횡방향으로 복수 개 실장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띄어 다른파장인 엘이디를 종방향으로 복수 개 실장하는 엘이디군, 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속시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을 실행하는 복수개의 메모리아웃팩, 이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본체에 구비되어 메모리아웃팩으로부터 실행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제 1출력부, 및 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어느 하나의 메모리아웃팩에 의해 실행되는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의 엘이디가 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공급되는 음의 고저(高低)나 장단(長短)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확한 음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출력되는 음을 별도로 저장하면서 저장된 음을 따라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 교육용 학습기{LEARNING APPARATUS FOR EDUCATION}
본 발명은 유아 교육용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음의 고저(高低)나 장단(長短)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확한 음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출력되는 음을 별도로 저장하면서 저장된 음을 따라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
유아들의 인지 발달은 촉각적인 인지능력으로부터 시각적 인지능력으로 발전되고 다음에 언어적 인지능력으로 발전되게 된다.
특히, 어릴 때의 학습능력에 있어서, 3세 이전에 뇌의 80%가 완성되며, 아이들에게 좋은 음악을 들려주게 되면 집중력이 향상되고 기억력이 좋아져 학습효과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 된 바 있다.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과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학습기 및 교습구들이 개발되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 중 하나가 임의의 문자, 숫자 혹은 각종 동식물 모양이 나타낸 책이나 카드와 같은 학습물을 기기 본체에 올려놓은 후, 그 학습물에 표시된 학습 내용을 인식용 전자펜으로 인식하는 경우, 기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는 인식펜에 의해서 읽혀지는 인식 내용과 관련한 것을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갖게 하여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전자 학습기가 있다.
기존의 전자 학습기는 출력되는 음의 고저(高低)나 음의 장단(長短)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전자 학습기는 출력되는 음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저장한 후 청취함으로써 학습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녹음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모리아웃팩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출력되는 색상을 달리하고, 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출력되는 동일 색상의 개수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확한 음의 고저나 장단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색상과 함께 출력되는 음을 별도로 광센서펜에 저장하고, 광센서펜으로부터 저장되어 출력되는 음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의 고저나 장단 등과 같은 음성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 교육용 학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는: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본체, 이 인쇄회로기판의 동일한 색상을 띄어 동일파장인 엘이디를 횡방향으로 복수 개 실장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띄어 다른파장인 엘이디를 종방향으로 복수 개 실장하는 엘이디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일한 색상을 띄어 동일파장인 엘이디를 일직선상으로 실장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띄어 다른파장인 엘이디를 나란하도록 실장하는 엘이디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시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을 실행하는 복수개의 메모리아웃팩,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아웃팩으로부터 실행하는 음을 출력하는 제 1출력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어느 하나의 상기 메모리아웃팩에 의해 실행되는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의 엘이디가 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엘이디군을 보호하고 발광하는 엘이디의 빛을 외측으로 발산하기 위해 투명한 스크린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선택된 상기 메모리아웃팩을 끼우는 끼움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끼움홀부에 끼워진 상기 메모리아웃팩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팩슬롯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이디에 의해 발생하는 파장에 관한 정보는 펜 타입의 광학센서펜에 음성 데이터로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센서펜은, 손으로 잡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발산하는 특정한 엘이디의 빛의 파장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센서펜은, 상기 그립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정보취득센서부와 연결되어 취득된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인팩, 및 상기 메모리인팩에 구비되어 취득된 음을 출력하는 제 2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인팩은, 상기 제 2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메모리부, 및 상기 음성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제 3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광학센서펜과 상기 메모리아웃팩 및 상기 메모리인팩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함을 출입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메모리아웃팩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출력되는 색상을 달리하고, 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출력되는 동일 색상의 개수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확한 음의 고저나 장단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색상과 함께 출력되는 음을 별도로 광센서펜에 저장하고, 광센서펜으로부터 저장되어 출력되는 음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의 고저나 장단 등과 같은 음성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본체로부터 수납홈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광센서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스크린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본체로부터 수납홈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광센서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의 스크린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교육용 학습기는 본체(100), 엘이디군(110), 메모리아웃팩(120), 제 1출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측에 인쇄회로기판(102)을 장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쇄회로기판(102)은 신호의 출입을 위해 회로패턴을 형성한다. 이 인쇄회로기판(10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물론, 인쇄회로기판(102)을 내측에 장착하여 보호하는 본체(1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체(100)는 인쇄회로기판(102)을 인서트 몰딩하거나 또는 복수 개로 분리되어 내측에 인쇄회로기판(102)을 장착 후 조립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102)을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2)은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게 고정 장착되거나, 가장자리를 본체(100)의 내측에 지지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군(110)은 인쇄회로기판(102)에 실장되는 것으로서, 외부 신호에 따라 발광하게 된다.
특히, 엘이디군(110)은 인쇄회로기판(102)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엘이디군(110)을 이루는 엘이디(112)는 횡방향(橫防向)(도면에서 봤을 때)으로 일직선이 되게 배열된다. 이때, 횡방향으로 일직선이 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112)는 외부 신호에 따라 동일한 색상을 띄며 발광하게 된다. 아울러, 동일한 색상을 띄는 엘이디(112)는 동일한 파장을 갖게 된다.
더불어, 엘이디군(110)을 이루는 엘이디(112)는 종방향(縱方向)(도면에서 봤을 때)으로 복수 열(列) 배열된다. 이때, 종방향으로 다수 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112)는 외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띄며 발광하게 된다. 아울러, 서로 다른 색상을 띄는 엘이디(112)는 각기 고유한 서로 다른 파장을 갖게 된다.
편의상, 엘이디군(110)은 사각형 궤적의 범위 내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이 되게 인쇄회로기판(102)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112)로 한다.
한편, 메모리아웃팩(120)은 인쇄회로기판(102)에 접속시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음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모리아웃팩(120)은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메모리아웃팩(120)은 인쇄회로기판(102)에 접속시 서로 다른 저장정보에 의해 다른 음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음'은 기계나 전자제품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의미하고, '음성'은 사람의 말(言)을 의미한다.
이때, 메모리아웃팩(120)이 인쇄회로기판(102)에 접속하게 되면, 메모리아웃팩(120)에 저장된 음은 인쇄회로기판(102)으로 출력되고, 출력되는 음은,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해당되는 엘이디(112)를 발광하도록 유도한다. 물론, 메모리아웃팩(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측에 메모리칩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출력부(130)는 인쇄회로기판(102)에 연결되고, 본체(100)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출력부(130)는 메모리아웃팩(120)으로부터 실행하는 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출력부(130)는 메모리아웃팩(120)의 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1출력부(130)는 스피커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출력부(1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본체(100)에 고정 장착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쇄회로기판(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인쇄회로기판(102)에 접속된 어느 하나의 메모리아웃팩(120)에 의해 실행되는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의 엘이디(112)가 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112)의 개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40)는 메모리아웃팩(120)의 음을 제 1출력부(130)로 출력 제어하는 역할과 함께 출력되는 음의 상태에 따라 엘이디(112)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음의 상태'란 음의 고저와 음의 장단을 의미한다.
특히, 도 7에서처럼, 출력되는 음의 고저가 다르다면, 출력되는 음의 해당되는 색상을 띄는 엘이디(112)가 연이어 발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출력되는 음의 장단이 다르다면, 출력되는 음의 해당되는 길이에 해당되는 색상을 띄는 엘이디(112)가 연이어 발광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는 엘이디군(110)을 보호하고, 발광하는 엘이디(112)의 빛을 외측으로 발산하기 위해 투명한 스크린(15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스크린(150)은 본체(100)에 장착되어 발광하는 엘이디(112)의 빛을 투과시키며 표면에서 해당되는 색상을 띄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스크린(150)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스크린(15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스크린(150)은 본체(100)의 개방된 상측에 거치되거나,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본체(100)에 고정 설치된다.
편의상, 스크린(150)은 음악의 5선(152)이 인쇄된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엘이디군(110)은 5선(152)을 따라 인쇄회로기판(102)에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이은 엘이디(112)의 발광을 통해 음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02)이 본체(100) 내측에 장착되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아웃팩(120)은 쉽게 인쇄회로기판(102)에 번갈아 결합되기 어렵다. 그래서, 본체(100)는 선택된 메모리아웃팩(120)을 끼우는 끼움홀부(162)를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102)은 끼움홀부(162)에 끼워진 메모리아웃팩(12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팩슬롯(164)을 구비한다.
즉, 메모리아웃팩(120)은 끼움홀부(162)에 삽입되며 인쇄회로기판(102)의 팩슬롯(164)에 끼워지게 된다. 그래서, 메모리아웃팩(120)의 음 신호는 인쇄회로기판(102)으로 전송 가능하게 된다.
이때, 팩슬롯(164)이 메모리아웃팩(12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팩슬롯(164)이 인쇄회로기판(102)에 실장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팩슬롯(164)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스크린(15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통해 음을 정보 저장하여 간단히 휴대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간단한 정보저장매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엘이디(112)에 의해 발생하는 파장에 관한 정보들은 펜 타입의 광학센서펜(170)에 음성 데이터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학센서펜(170)은 그립부(172) 및 정보취득센서부(174)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처럼, 그립부(172)는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정보취득센서부(174)는 그립부(172)의 하측에 구비되어 발산하는 특정한 엘이디(112)의 빛의 파장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보취득센서부(174)는 발광하는 엘이디(112)의 빛에 포함되는 고유한 파장을 취득하는 센서류 및 취득된 고유한 파장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엔코더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는 엘이디(112)의 빛을 통해 정보취득센서부(174)에서 변환되는 기계음을 의미한다.
또한, 광학센서펜(170)은 메모리인팩(176) 및 제 2출력부(178)를 포함한다.
메모리인팩(176)은 그립부(17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정보취득센서부(174)와 연결되어 취득된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2출력부(178)는 메모리인팩(176)에 구비되어 취득된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2출력부(178)를 통해 출력되는 음은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나, 반복 학습을 위해 단속되게 출력되거나 반복 재생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인팩(176)은 스위치나 버튼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2출력부(178)는 메모리인팩(176)에 구비된 스피커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학센서펜(170)의 정보취득센서부(174)가 스크린(150)에 접하여 하나씩의 엘이디(112)의 빛과 겹쳐지면, 해당 빛에 해당되는 음은 제 2출력부(178)를 통해서만 출력된다. 즉, 정보취득센서부(174)가 빛의 해당 음을 제 2출력부(178)로 출력시, 제 1출력부(130)로 출력되는 음은 출력 정지된다. 이때, 제어부(140)가 정보취득센서부(174)의 신호를 수신하여 음을 제 1출력부(130) 또는 제 2출력부(178)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40)는 정보취득센서부(174)와 각 엘이디(112)에 일대일로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포함한다.
특히, 메모리인팩(176)은 음성메모리부(175) 및 제 3출력부(177)를 포함한다.
음성메모리부(175)는 제 2출력부(178)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음성메모리부(175)는 메모리인팩(176)에 장착된 메모리칩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출력부(177)는 음성메모리부(175)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3출력부(177)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은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나, 반복 학습을 위해 단속되게 출력되거나 반복 재생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인팩(176)은 또 다른 스위치나 버튼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3출력부(177)는 메모리인팩(176)에 구비된 또 다른 스피커로 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제 2출력부(178)와 제 3출력부(177)는 동일한 스피커로 도시한다.
한편, 본체(100)는 광학센서펜(170)과 메모리아웃팩(120) 및 메모리인팩(176)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함(182,184)을 출입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납함(182,184)은 하나 구비되어 광학센서펜(170)과 메모리아웃팩(120) 및 메모리인팩(176)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나, 메모리아웃팩(120) 및 메모리인팩(176)을 광학센서펜(170)과 별도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수납함(182,184)은 메모리아웃팩(120) 및 메모리인팩(176)을 수납하는 제 1수납함(182)과, 광학센서펜(170)을 수납하는 제 2수납함(184)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특히, 수납함(182,184)은 본체(100)의 측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고, 인쇄회로기판(102)의 하측에 해당되는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납함(182,184)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2: 인쇄회로기판
110: 엘이디군(LED群) 112: 엘이디
120: 메모리아웃팩 130: 제 1출력부
140: 제어부 150: 스크린
162: 끼움홀부 164: 팩슬롯
170: 광학센서펜 172: 그립부
174: 정보취득센서부 175: 음성메모리부
176: 메모리인팩 177: 제 3출력부
178: 제 2출력부 182,184: 제 1,2수납함

Claims (8)

  1.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본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일한 색상을 띄어 동일파장인 엘이디를 횡방향으로 복수 개 실장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띄어 다른파장인 엘이디를 종방향으로 복수 개 실장하는 엘이디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시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음을 실행하는 복수개의 메모리아웃팩;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아웃팩으로부터 실행하는 음을 출력하는 제 1출력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어느 하나의 상기 메모리아웃팩에 의해 실행되는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의 엘이디가 발하도록 제어하거나, 음의 장단(長短)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엘이디군을 보호하고, 발광하는 엘이디의 빛을 외측으로 발산하기 위해 투명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선택된 상기 메모리아웃팩을 끼우는 끼움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끼움홀부에 끼워진 상기 메모리아웃팩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팩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에 의해 발생하는 파장에 관한 정보는 펜 타입의 광학센서펜에 음성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펜은,
    손으로 잡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발산하는 특정한 엘이디의 빛의 파장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펜은, 상기 그립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정보취득센서부와 연결되어 취득된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인팩; 및
    상기 메모리인팩에 구비되어 취득된 음을 출력하는 제 2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인팩은,
    상기 제 2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메모리부; 및
    상기 음성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제 3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8. 제 5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광학센서펜과 상기 메모리아웃팩 및 상기 메모리인팩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함을 출입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교육용 학습기.
KR1020110006419A 2011-01-21 2011-01-21 유아 교육용 학습기 KR10123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19A KR101234859B1 (ko) 2011-01-21 2011-01-21 유아 교육용 학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19A KR101234859B1 (ko) 2011-01-21 2011-01-21 유아 교육용 학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35A true KR20120085035A (ko) 2012-07-31
KR101234859B1 KR101234859B1 (ko) 2013-02-19

Family

ID=4671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419A KR101234859B1 (ko) 2011-01-21 2011-01-21 유아 교육용 학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2252A (zh) * 2016-03-15 2016-06-01 东华大学 一种通信电子线路远程实验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49B1 (ko) 2017-07-25 2019-03-28 임광철 스마트 토이 및 그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09A (ja) 1999-03-29 2000-10-13 Toyoda Gosei Co Ltd サウンド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JP5109254B2 (ja) 2005-12-07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の設定方法
KR20080104629A (ko) * 2007-05-28 2008-12-03 (주)씨티엘 Led를 이용한 그래픽 이퀄라이저
KR100995958B1 (ko) * 2009-03-31 2010-11-25 유은희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2252A (zh) * 2016-03-15 2016-06-01 东华大学 一种通信电子线路远程实验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859B1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9098A1 (ko)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KR101876275B1 (ko) 구구단 학습용 큐브
NO173628B (no) Laere- og underholdningsapparat
US11645944B2 (en) Learning toy, mobile body for learning toy, and panel for learning toy
WO2018086616A1 (en) Changeable book system
US20100279752A1 (en) Game apparatus for learning
KR20190062181A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234859B1 (ko) 유아 교육용 학습기
US20130130589A1 (en) "Electronic Musical Puzzle"
CN102629424A (zh) 一种互动问答装置及其处理方法
KR20230125899A (ko) 음성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유아 교육용 학습기
KR100907341B1 (ko) 교육용 전자악보
KR20130074435A (ko) 기타 자동 코드 연습기
KR1019178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521035B1 (ko) 다양한 출력 기능을 가지는 줄넘기
CN202549091U (zh) 互动问答装置
KR19990079730A (ko) 대화식 음성 교습구
CN1842830A (zh) 交互式印制材料和传感器设备
JP2004233853A (ja) 音楽学習玩具
JP6182724B1 (ja) 音楽教材
KR101978891B1 (ko) 역사 체험용 브로마이드 타입 교재
KR20160000681U (ko) 패턴 스캐닝 기능을 가지는 차량 형상의 아동 학습 장치
US3808709A (en) Child teaching board game
KR200305518Y1 (ko) 유아용 한글 학습기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