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683A -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683A
KR20120082683A KR1020110004113A KR20110004113A KR20120082683A KR 20120082683 A KR20120082683 A KR 20120082683A KR 1020110004113 A KR1020110004113 A KR 1020110004113A KR 20110004113 A KR20110004113 A KR 20110004113A KR 20120082683 A KR20120082683 A KR 2012008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as
liquefied fuel
frame
davit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해기
맹승범
김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683A/ko
Publication of KR2012008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는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고 상부측 턴테이블의 회전이 모터로 조절되는 축받이부와,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이 제1 또는 제2 액추에이터로 조절되는 대빗부와, 상기 대빗부에 탑재되고 액화연료가스가 공급되는 유연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LNG TRANSFER APPARATUS AND VESSEL HAVING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액화연료가스 이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렬 계류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연료가스 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칭함)의 상태로 LNG 수송선 또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된다.
이러한 LNG는 일종의 액화연료가스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천연가스를 대략 -163도씨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얻어지고,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운항되고 있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경우에는 액화연료가스인 LNG가 LNG 양하역 터미널 혹은 연안 부두에 미리 준비해 둔 LNG 탱크 로리(tank lorry)를 통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공급되고 있다.
한편,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이 늘어남에 따라 육상을 이용한 연료 충전 방법에는 한계가 있으며, 선박을 통해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급유선 개념이 개발 중에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98986호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화연료가스 저장 탱크, 상기 연료가스 저장 탱크와 연결되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관, 상기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액화연료가스 연료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 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증발 가스 회수관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으로 액화연료가스를 이송 또는 충전하는 세부 장치 또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소개된 방법은 없으며, 선박간 LNG 이송을 위해 통상적인 LNG 이송용 유연관(flexible hose)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유연관의 이용은 액화연료가스의 충전 또는 재충전을 자주 진행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서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충전 또는 재충전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그의 화물창 호스 처리용 대형 크레인을 가동시켜서, 유연관을 액화연료가스 급유선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사이에 배치 및 정렬하여야 하고, 이후, 유연관의 일측 단부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매니폴드에 결합시켜야 하며, 또한 유연관의 타측 단부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에 결합시켜야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서는 충전 또는 재충전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 탱크 쪽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저장 탱크 쪽으로 회수 및 처리하여야 하므로, 증발가스 처리용 유연관을 앞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더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서는 상대 선박인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과의 액화연료가스 이송을 위해 각각의 매니폴드가 서로 대면하도록 선박의 선수미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선박간 흘수 높이를 조정해야 하므로, 신속한 액화연료가스 이송 또는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액화연료가스 충전 도중 해상 상황에 따라 흘수가 변화될 때 세밀하게 유연관의 공간상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연관을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과의 도킹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관절식으로 전개 또는 복귀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를 구비하여, 유연관의 도킹 위치 조정 및 액화연료가스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고 상부측 턴테이블의 회전이 모터로 조절되는 축받이부와,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이 제1 또는 제2 액추에이터로 조절되는 대빗부와, 상기 대빗부에 탑재되고 액화연료가스가 공급되는 유연관을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관은, 리퀴드라인 옆에 증발가스라인이 더 병설되어 하나의 관체로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축받이부의 상기 모터에 모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대빗부의 상기 액추에이터에 유체작동원을 공급하도록 유체제어회로를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유체제어회로에 결합된 작업자 조작용 하나 이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가 배열되어 있고 작동 온/오프 스위치 및 작동 표시 램프가 마련된 제어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빗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서 힌지 결합된 제1 프레임과, 상기 턴테이블을 기반으로 제1 프레임을 들어올리도록, 상기 턴테이블 타측의 제1 실린더브래킷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피봇부 사이에 결합된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프레임의 끝단에서 접철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을 기반으로 제2 프레임을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제2 실린더브래킷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제2 피봇부 사이에 결합된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표면에 상기 유연관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빗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펜더부(fender member)를 더 포함하며, 펜더부는 대빗부의 끝단 양측면에 연결된 지지구조물과, 상기 지지구조물의 끝단에 결합된 방현재와, 상기 지지구조물의 방현재 쪽 단부와 상기 대빗부 연결된 쪽 단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를 갖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축받이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관절식 대빗부로 유연관을 이동시켜서, 유연관의 도킹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존의 매니폴드 이외에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전용으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를 마련하고, 대빗부에 의해 선박간 선수미 방향의 미세 위치 조정 또는 흘수 높이 조정을 하면서 액화연료가스의 충전 또는 재충전을 수행하여 액화연료가스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전용으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액화연료가스 이송을 위해 기존처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매니폴드에 별도의 유연관 연결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액화연료가스의 충전 또는 재충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대빗부의 끝단에 방현재와 같은 펜더부(fender member)를 제공하여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표면 또는 도막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대빗부가 관절식으로 전개 또는 복원될 수 있음에 따라, 선박의 갑판 상부의 협소한 설치 공간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대빗부 또는 축받이부가 유연관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유연관의 움직임이 줄어듦으로 인해 안정적인 액화연료가스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리퀴드라인 및 증발가스라인을 갖는 유연관과 커넥터를 제공함에 따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인 액화연료가스를 공급시 별도의 증발가스 처리용 라인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일 관체의 유연관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선박에서 별도의 증발가스를 연결하기 위한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니폴드 주변의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액화연료가스 터미널에서 액화연료가스인 LNG를 공급 받아 저장 탱크(110)에 저장한 후, 급유가 필요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미 도시)에 접근 또는 병렬 계류한 후, LNG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공급하여 추진 선박의 연료 탱크에 충전 또는 재충전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또는 부유체 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선박(100)은 LNG 운반선 등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저장 탱크(110)와, 액화연료가스 터미널에서 LNG를 양하역 하는데 사용되는 매니폴드(120)를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를 매니폴드(120)의 플랫폼 주변의 갑판 상에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는 선박(100)의 좌현 또는 우현에도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위치는 플랫폼 주변의 갑판 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니폴드 주변의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는 그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외부의 유체작동원(예: 유압)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여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유체제어회로와, 이런 유체제어회로에 결합된 작업자 조작용 하나 이상의 작동레버와, 작동레버가 배열되어 있고 작동 온/오프 스위치 및 작동 표시 램프가 마련된 제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유체제어회로란,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의 대빗부(230)에 마련된 액추에이터(231, 2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유체제어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축받이부(220)에 마련된 모터(222)에 모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런 제어부(210)는 유연관(300)이 탑재된 관절식 대빗부(230)의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을 작업자용 작동레버의 조작에 대응하게 제어하거나, 대빗부(230)을 지지하고 있는 축받이부(220)의 턴테이블(221)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유연관(300)은 1개의 리퀴드라인(301)과 1개의 증발가스라인(302)을 하나의 관체로 형성하도록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유연관(300)은 리퀴드라인(301)을 기본으로 구성하고 부가적으로 리퀴드라인(301) 옆에 증발가스라인(302)이 병설되어 하나의 유연성 있는 관체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유연관(300)의 리퀴드라인(301)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인 선박(100)으로부터 액화연료가스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공급하는데 사용되도록, 선박(100)의 매니폴드(120)의 리퀴드라인(121)으로부터 브랜치(branch)된 라인에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연관(300)의 증발가스라인(302)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으로부터 증발가스를 선박(100)에 회수시키도록, 선박(100)의 매니폴드(120)의 증발가스라인(122)으로부터 브랜치된 라인에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관(300)은 필요에 따른 변형 설계에 의해 2개의 리퀴드라인과 1개의 증발가스라인을 갖는 관체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는 축받이부(220), 대빗부(230), 펜더부(240)(fender member), 유연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관(300)의 종단에는 커넥터(3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유연관(300)의 커넥터(310)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에 체결되어 액화연료가스인 LNG를 이송할 수 있는 초저온 커넥터 일 수 있다.
축받이부(220)는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고 상부측 턴테이블(221)의 회전이 모터(222)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턴테이블(221)의 회전은 유연관(300)의 커넥터(310)의 종방향(선수미방향)의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방향의 조절이란, 병렬 계류(side by side ship to ship)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작업을 수행할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 위치 쪽으로 유연관(300)의 커넥터(31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대빗부(230)는 턴테이블(221)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이 제1 또는 제2 액추에이터(231, 232)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대빗부(230)는 축받이부(220)의 턴테이블(221)의 일측에서 힌지 결합된 제1 프레임(233)과, 턴테이블(221)을 기반으로 제1 프레임(233)을 들어올리도록, 턴테이블(221) 타측의 제1 실린더브래킷(234)과 제1 프레임(233)의 제1 피봇부(235) 사이에 결합된 제1 액추에이터(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빗부(230)는 제1 프레임(233)의 끝단에서 접철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2 프레임(236)과, 제1 프레임(233)을 기반으로 제2 프레임(236)을 들어올리도록, 제1 프레임(233)의 제2 실린더브래킷(237)과 제2 프레임(236)의 제2 피봇부(238) 사이에 결합된 제2 액추에이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빗부(230)는 제1 프레임(233) 또는 제2 프레임(236)의 표면에 상기 유연관(300)을 배치시키고 유연관(300)의 연장방향으로 유연관(300)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대신 유연관(300)의 외주면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설치 케이싱(239)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케이싱(239)은 축받이부(220)에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설치 케이싱(239)은 링형상, 튜브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펜더부(240)는 대빗부(230)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펜더부(240)는 방현재(241)를 지지구조물(242)에 결합하고, 방현재(241)의 반대쪽 지지구조물(242)의 단부를 대빗부(230)의 끝단 양측면을 이용하여 대빗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지지구조물(242)은 격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고, 유연관(300)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지구조물(242)의 방현재(241) 쪽 단부와 대빗부(230) 연결된 쪽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 댐퍼(243)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런 펜더부(240)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과의 도킹 시, 방현재(241)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도킹시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또는 대빗부(230) 또는 유연관(300)의 끝단의 커넥터(310)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여,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도막(painting 또는 coating)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연관(300) 또는 커넥터(310)는 액화연료가스의 공급과 증발가스의 회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관부재를 복수개로 그룹화하여 다발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하나의 관체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예: 라인)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연관(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개의 리퀴드라인과 1개의 증발가스라인을 하나의 관체로 형성하고, 이러한 유연관(300)의 관체에 대응하게 커넥터(310)를 형성할 수 있다.
유연관(300)은 대빗부(240)의 이동에 따라 운반될 수 있도록 대빗부(240)에 탑재되어 있다.
유연관(300)의 커넥터(310)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도시 안됨)에 체결될 수 있다.
유연관(300)은 선박(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연료가스를 커넥터(310) 및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를 통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이송하여 충전 또는 재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연관(300)은 커넥터(310)가 있는 선외측 부분인 자유단 부위(M)를 가질 수 있도록 대빗부(230)에 설치되어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정도의 여분을 두고 자유단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인 선박(100)에 마련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2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작업자는 제어부(210)의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병렬 계류(side by side ship to ship)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작업을 수행할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 위치에 유연관(300)의 커넥터(3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축받이부(220)의 턴테이블(21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어부(210)의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대빗부(230)의 제1 액추에이터(231) 또는 제2 액추에이터(232)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매니폴드의 상하 위치에 따라 제1, 제2 프레임(233, 236) 및 유연관(300)을 상하로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대빗부(230)의 끝단에 설치된 펜더부(240)의 방현재(241)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과 선박(100)간 액화연료가스 이송을 진행하는 동안, 두 선박의 6자유도 운동에 따라 두 선박의 거리가 변동되며 이로 인한 충격력이 대빗부(230)에 작용되는 것을 방현재(241)와 스프링 댐퍼(243)에서 다단계로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를 응용하여, 대빗부(230)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응용할 경우, 예컨대 거치대 구조의 비관절식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고, 유연관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선박 200 :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210 : 제어부 220 : 축받이부
230 : 대빗부 240 : 펜더부
300 : 유연관 310 : 커넥터

Claims (8)

  1.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고 상부측 턴테이블의 회전이 모터로 조절되는 축받이부와,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이 제1 또는 제2 액추에이터로 조절되는 대빗부와,
    상기 대빗부에 탑재되고 액화연료가스가 공급되는 유연관을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은,
    리퀴드라인 옆에 증발가스라인이 더 병설되어 하나의 관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부의 상기 모터에 모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대빗부의 상기 액추에이터에 유체작동원을 공급하도록 유체제어회로를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제어회로에 결합된 작업자 조작용 하나 이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가 배열되어 있고 작동 온/오프 스위치 및 작동 표시 램프가 마련된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빗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서 힌지 결합된 제1 프레임과,
    상기 턴테이블을 기반으로 제1 프레임을 들어올리도록, 상기 턴테이블 타측의 제1 실린더브래킷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피봇부 사이에 결합된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프레임의 끝단에서 접철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을 기반으로 제2 프레임을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제2 실린더브래킷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제2 피봇부 사이에 결합된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표면에 상기 유연관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빗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펜더부(fender memb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펜더부는,
    상기 대빗부의 끝단 양측면에 연결된 지지구조물과,
    상기 지지구조물의 끝단에 결합된 방현재와,
    상기 지지구조물의 방현재 쪽 단부와 상기 대빗부 연결된 쪽 단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댐퍼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를 갖는 선박.
KR1020110004113A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KR20120082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13A KR20120082683A (ko)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13A KR20120082683A (ko)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83A true KR20120082683A (ko) 2012-07-24

Family

ID=4671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113A KR20120082683A (ko)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6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23A (ko) 2014-11-14 2016-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딩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933974B1 (ko) * 2017-07-26 2019-03-25 삼성중공업(주)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220167885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케이조선 Lng 벙커링선의 이동식 매니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23A (ko) 2014-11-14 2016-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딩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933974B1 (ko) * 2017-07-26 2019-03-25 삼성중공업(주)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220167885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케이조선 Lng 벙커링선의 이동식 매니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605B2 (en) Side-by-side hydrocarbon transfer system
US8186170B2 (en)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US9731795B2 (en) Handling system for flexible conduit
US8864420B2 (en)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EP3110689B1 (en) Retractable lng cargo transfer bow manifold for tandem marine cargo transfers
WO2012021205A2 (en)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US20180105234A1 (en) Deployable connection and emergency release system
KR20060130825A (ko) 부유식 액화 가스 저장선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사이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수단
KR20120022329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수송선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KR20120082683A (ko) 액화연료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선박
KR20130134244A (ko)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US10087067B2 (en) Fluid transfer apparatus
KR101148063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EP3678930B1 (en) Tie-in system and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tie-in system
KR101348614B1 (ko) 액화연료가스 공급용 터미널 선박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2050929B1 (ko) 벙커링장치
KR101732602B1 (ko) Lng 주유 및 배출과 하역기능을 겸하는 lng 선박용 하이브리드 언로딩 장치
KR102587511B1 (ko) 선수부가물 속도성능 저하 개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가스저장 재기화 설비
KR20170000778U (ko) 벙커링 선박의 계류 장치 및 계류 시스템
JP2022030752A (ja) Lng中継浮揚体
KR20160000024U (ko) 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