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432A -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 Google Patents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432A
KR20120081432A KR1020110002771A KR20110002771A KR20120081432A KR 20120081432 A KR20120081432 A KR 20120081432A KR 1020110002771 A KR1020110002771 A KR 1020110002771A KR 20110002771 A KR20110002771 A KR 20110002771A KR 20120081432 A KR20120081432 A KR 2012008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road slope
dry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588B1 (ko
Inventor
전기성
유병옥
김태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1000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비탈면에 시공하는 비탈면 녹화공법을 건식으로 취부하여 건식 식생기반층을 조성하고, 건식 식생기반층 위에 습식 조성물, 물, 및 종자를 혼합한 조성물을 살포한 습식 식생기반층을 조성하는 식생기반층을 다층으로 하여 절성토사면을 녹지화함으로써 도로 비탈면의 침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에 있어서, 비탈면에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기 위한 건식 식생기반층(110)을 조성하는 단계(S110);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살포되는 종자(160)의 활착을 위한 덮개층(120)을 조성하는 단계(S120);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습식 조성물, 수분, 및 종자(160)가 혼합된 조성물이 살포되는 습식 식생기반층(130)을 조성하는 단계(S130); 및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토양의 표면을 덮어 주는 멀칭층(140)을 조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며, 식생기반층(110,130)을 다층으로 조성하여 도로 비탈면의 녹화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Dry composition for slope afforestation method, wet composition, slope afforestation method, and slope surf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비탈면에 시공하는 비탈면 녹화공법을 건식으로 취부하여 건식 식생기반층을 조성하고, 건식 식생기반층 위에 습식 조성물, 물, 및 종자를 혼합한 조성물을 살포한 습식 식생기반층을 조성하는 식생기반층을 다층으로 하여 절성토사면을 녹지화함으로써 도로 비탈면의 침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국토가 좁고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대규모 토지조성공사, 도로공사, 철도공사 등에 수반하여 비탈면을 개발하는 것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비탈면은 토사와 암반이 불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어 강우와 같은 자연재해로 비탈면이 붕괴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손실시키는 불안요소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탈면이 붕괴하지 않도록 개발하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공적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자연 친화적인 방안으로 비탈면이 형성된 지역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비탈면이 붕괴하지 않도록 하는 비탈면 녹화공법들이 특히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나대지(裸垈地)의 비탈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비탈면이 붕괴하지 않을 정도로 고착하는데 있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그 전에는 필수불가결하게 인공적인 구조물이 장시간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최근 국토 해양부에서는 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을 수립하여 도로 비탈면을 친환경적 재래종 위주로 복원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도로 비탈면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여름철의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비탈면의 침식과 세굴이 자주 발생하여 가능하면 녹화와 동시에 비탈면의 표면 보호를 위한 녹화 공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또한, 기존의 외래종 위주의 조기녹화에서 점차 자연생태와 경관을 고려한 녹화공법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비탈면의 조기 생태적 복원이 가능하고, 초기 침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도로 비탈면의 자연재생, 생태적 기능, 및 자연경관 향상을 위한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의 개발을 요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대규모 토지조성공사 또는 도로공사 등에 의하여 불가분하게 수반되는 절성토사면인 도로 비탈면을 녹화공법으로 시공하여 생태적 복원, 침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 비탈면을 녹화공법으로 시공함으로써 자연경관이 미려하고 자연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에 있어서, 건식 조성물은 점토 10 내지 30 중량%, 슬러지 10 내지 35 중량%, 토탄 10 내지 15 중량%, 톱밥 10 내지 15 중량%, 수피 또는 우드칩 5 내지 10 중량%, 축분 10 내지 1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및 토양안정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을 위한 습식 조성물에 있어서, 습식 조성물은 유기성 퇴비 20 내지 30 중량%, 식물퇴비 20 내지 30 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15 중량%, 톱밥 또는 우드칩 10 내지 15 중량%, 수피 5 내지 10 중량%, 표토 또는 현장발생토 20 내지 30 중량%, 및 토양단립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을 위한 습식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에 있어서, 비탈면에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기 위한 건식 식생기반층(110)을 조성하는 단계(S110);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종자의 활착을 위한 덮개층(120)을 조성하는 단계(S120);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습식 조성물, 수분, 및 종자가 혼합된 조성물이 살포되는 습식 식생기반층(130)을 조성하는 단계(S130); 및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토양의 표면을 덮어 주는 멀칭층(140)을 조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며, 식생기반층(110,130)을 다층으로 조성하여 도로 비탈면의 녹화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S110 단계 후,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120 단계 후, 건식 식생기반층(110) 및 암반층(20)을 관통하는 앵커(150)를 박아 덮개층(120)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130 단계 후,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식 조성물은, 점토 10 내지 30 중량%, 슬러지 10 내지 35 중량%, 토탄 10 내지 15 중량%, 톱밥 10 내지 15 중량%, 수피 또는 우드칩 5 내지 10 중량%, 축분 10 내지 1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및 토양안정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식 조성물은, 유기성 퇴비 20 내지 30 중량%, 식물퇴비 20 내지 30 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15 중량%, 톱밥 또는 우드칩 10 내지 15 중량%, 수피 5 내지 10 중량%, 표토 또는 현장발생토 20 내지 30 중량%, 및 토양단립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자는 목본 식물, 초본류 식물, 및 외래종 식물을 혼합한 것으로서,종자의 혼합 비율에 따라, 초본위주형은 목본 식물 25 내지 35 중량%, 초본류 식물 55 내지 65 중량%, 및 외래종 식물 5 내지 15 중량%이고, 초본관목혼합형은 목본 식물 30 내지 40 중량%, 초본류 식물 55 내지 65 중량%, 및 외래종 식물 1 내지 10 중량%이고, 목본군락형은 목본 식물 35 내지 45 중량% 및 초본류 식물 55 내지 65 중량%로서, 종자는 초본위주형, 초본관목혼합형, 및 목본군락형 중 어느 하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목본 식물은 자귀나무, 소나무, 붉나무, 사방오리나무, 개쉬땅나무, 싸리나무, 족제비싸리, 병꽃나무, 및 낭아초 중 어느 하나이고, 초본류 식물은 비수리, 쑥, 새, 끈끈이대나물, 쑥부쟁이, 패랭이꽃, 산국, 벌노랑이, 구절초, 달맞이꽃, 수레국화, 샤스타데이지, 도라지, 억새, 및 춘차국, 금계국 중 어느 하나이고, 외래종 식물은 톨페스큐, 캔터키 블루우그래스, 다년생 라이 그래스, 크리핑 레드 페스큐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식 조성물, 수분, 및 종자는 10:2: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덮개층(120)은 네트 또는 철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식 식생기반층(110)은 4 내지 5cm의 두께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식 식생기반층(130)은 1 내지 5cm의 두께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멀칭층(140)은 0.5 내지 2cm의 두께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멀칭층(140)은 볏짚, 보릿짚, 목초,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염화비닐 필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에 의해 조성된 도로 비탈면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비탈면을 녹화공법으로 시공함으로써 생태복원 기술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비탈면에 살포되는 종자를 재래종으로 하여 친생태적인 공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토인 현장발생토를 사용함으로써 친생태적인 공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기반층을 건식 식생기반층 및 습식 식생기반층의 다층구조로 조성하여 도로 비탈면을 조기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의해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사시도이고,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의해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은 일반도로 나 고속도로 등의 절성토사면에 식층기반층을 다층으로 조성한다. 조성된 식층기반층 위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심어 생태를 복원하는 친생태적 공법으로서,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에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기 위한 건식 식생기반층(110)을 조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110). 이때 건식 식생기반층(110)은 암반층(20) 위에 조성되게 된다. 그러나 암반층(20) 위에만 조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토양층 위에 건식 식생기반층(110)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건식 식생기반층(110)은 도로 비탈면이 약 60도 이하의 경사도를 갖는 절성토사면에 조성되며, 대략 암반층(20)으로부터 약 4 내지 5cm의 두께로 조성한다.
한편,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살포되는 건식 조성물의 혼합 중량비는 아래 [표 1]과 같다. [표 1]에 의하면 점토, 슬러지, 토탄, 톱밥, 수피 또는 우드칩, 축분, 석고, 시멘트, 토양안정제 등을 적절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살포하게 된다. 이때는 건식으로 살포하기 때문에 물과 함께 혼합되어 살포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중량%로 모두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량부 또는 다양한 단위로 혼합비를 산출할 수 있다.

재료명

배합비

비고
점토 10 내지 30 중량%
슬러지 10 내지 35 중량% 하수오니, 정수오니, 녹조
토탄 10 내지 15 중량%
톱밥 10 내지 15 중량%
수피 또는 우드칩 5 내지 10 중량%
축분 10 내지 1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토양안정제 5 내지 20 중량%
이때 슬러지는 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생긴 침전물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건식 식생기반층(110)을 형성한 후에는,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상술한 건식 조성물을 살포한다. 이때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기 위하여 고압 취부기를 사용하며, 이과 같이 건식 조성물을 살포시에는 습식 식생기반층(130)에 살포 되는 조성물과는 달리 물 또는 수분을 혼합하지 않고 건식으로 살포한다.
다음으로, 건식 조성물을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살포한 후에는,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살포되는 종자의 활착을 위한 덮개층(120)을 조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120). 이러한 덮개층(120)은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으나, 아직 종자가 활착된 상태가 아니므로 덮개층(12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덮개층(120)은 네트 또는 철망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네트 또는 철망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층(120)은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덮개층(120)을 조성한 후, 건식 식생기반층(110) 및 암반층(20)을 관통하는 앵커(150)를 박아 덮개층(120)을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덮개층(120)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덮개층(120)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앵커(150)는 덮개층(120)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나 모두 가능하나, 일예로 철편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덮개층(120)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150)의 길이는 건식식생기반층(110)의 두께 및 암반층(20)을 감안하여 대략 20 내지 50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암반층(20)이 아닌 다른 종류의 토양층인 경우 또는 건식 식생기반층의 두께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앵커(15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앵커(150)를 사용하여 덮개층(120)을 고정한 후,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습식 조성물, 수분, 및 종자가 혼합된 조성물이 살포되는 습식 식생기반층(130)을 조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130).
이때 조성되는 습식 식생기반층(130)은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약 1 내지 5cm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꼭 이와 같은 두께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로 비탈면의 경사도 또는 도로 비탈면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습식 식생기반층(130)의 형성되는 두께를 바꿀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살포되는 조성물은 습식 조성물, 수분 또는 물, 및 종자를 혼합한 배합물이다. 이때 습식 조성물의 혼합 중량비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재료명

배합비

비고
유기성 퇴비 20 내지 30 중량% 어류(생선)퇴비, 인분 퇴비, 음식물퇴비 등 배합 퇴비
식물퇴비 20 내지 30 중량% 임목파쇄물, 식물재료 사용
피트모스 10 내지 15 중량%
톱밥 또는 우드칩 10 내지 15 중량%
수피 5 내지 10 중량%
표토 또는 현장발생토 20 내지 30 중량%
토양단립제 5 내지 20 중량%
그리고, 종자는 목본 식물, 초본류 식물, 및 외래종 식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혼합 비율에 따라 초본위주형, 초본관목혼합형, 및 목본군락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혼합 중량비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이때, [표 3]에서와 같이, 목본 식물은 자귀나무, 소나무, 붉나무, 사방오리나무, 개쉬땅나무, 싸리나무, 족제비싸리, 병꽃나무, 또는 낭아초 이다. 또한, 초본류 식물은 비수리, 쑥, 새, 끈끈이대나물, 쑥부쟁이, 패랭이꽃, 산국, 벌노랑이, 구절초, 달맞이꽃, 수레국화, 샤스타데이지, 도라지, 억새, 및 춘차국, 또는 금계국이다. 그리고, 외래종 식물은 톨페스큐(Tall Fescue), 캔터키 블루우그래스(Kentucky Blue Grass), 다년생 라이 그래스(Perennial Rye Grass), 또는 크리핑 레드 페스큐우(Creeping Red Fescue)이다.
수종 종자배합비




목본 식물



자귀나무 초본위주형 초본관목혼합형 목본군락형
소나무


25 내지 35
중량%






30 내지 40
중량%





35 내지 45
중량%


붉나무
사방오리나무
개쉬땅나무
싸리나무
족제비싸리
병꽃나무
낭아초








초본류 식물





비수리






55 내지 65
중량%












55 내지 65
중량%












55 내지 65
중량%





끈끈이대나물
쑥부쟁이
패랭이꽃
산국
벌노랑이
구절초
달맞이꽃
수레국화
샤스타데이지
도라지
억새
춘차국
금계국


외래종 식물
톨페스큐
5 내지 15
중량%

1 내지 10
중량%



캔터키 블루우그래스
다년생 라이 그래스
크리핑 레드 페스큐우
한편, 상술한 습식 조성물, 수분 또는 물, 및 종자는 10 : 2 : 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살포된다. 이와 같이, 식생기반층(110,130)이 다층으로 형성되면, 도로 비탈면의 녹화조성 초기에 비가 많이 오더라도 비탈면의 붕괴 등이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도로 비탈면을 조기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습식 식생기반층(130)을 형성한 후에는,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상술한 습식 조성물, 물 또는 수분, 및 종자가 혼합된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습식 조성물을 살포하기 위하여 고압 취부기를 사용하며,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살포되는 조성물은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살포되는 건식 조성물과 달리 물이 혼합되어 습식으로 살포된다.
마지막으로,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혼합된 조성물을 살포한 후, 토양의 표면을 덮어 주는 멀칭층(140)을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조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140). 이때 멀칭층(140)은 살포된 종자의 보온 또는 보습을 위한 층으로서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약 0.5 내지 2cm의 두께로 조성된다.
한편, 멀칭층(140)은 볏짚, 보릿짚, 목초,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으로 구비하여 습식 식생기반층(130)을 덮개 된다.
상술한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으로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실제로 조성된 도로 비탈면의 사진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에 의하면, 일반도로나 고속도로 등의 도로 절삭에 의한 비탈면의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도로를 만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비탈면
20 : 암반층
110 : 건식 식생기반층
120 : 덮개층
130 : 습식 식생기반층
140 : 멀칭층
150 : 앵커

Claims (17)

  1.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건식 조성물은 점토 10 내지 30 중량%, 슬러지 10 내지 35 중량%, 토탄 10 내지 15 중량%, 톱밥 10 내지 15 중량%, 수피 또는 우드칩 5 내지 10 중량%, 축분 10 내지 1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및 토양안정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2.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습식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습식 조성물은 유기성 퇴비 20 내지 30 중량%, 식물퇴비 20 내지 30 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15 중량%, 톱밥 또는 우드칩 10 내지 15 중량%, 수피 5 내지 10 중량%, 표토 또는 현장발생토 20 내지 30 중량%, 및 토양단립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의 녹화공법을 위한 습식 조성물.
  3.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기 위한 건식 식생기반층(110)을 조성하는 단계(S110);
    상기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종자(160)의 활착을 위한 덮개층(120)을 조성하는 단계(S120);
    상기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습식 조성물, 수분, 및 상기 종자(160)가 혼합된 조성물이 살포되는 상기 습식 식생기반층(130)을 조성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토양의 표면을 덮어 주는 멀칭층(140)을 조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110 단계 후,
    상기 건식 식생기반층(110) 위에 상기 건식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120 단계 후,
    상기 건식 식생기반층(110) 및 암반층(20)을 관통하는 앵커(150)를 박아 상기 덮개층(120)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130 단계 후,
    상기 습식 식생기반층(130) 위에 상기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조성물은,
    점토 10 내지 30 중량%, 슬러지 10 내지 35 중량%, 토탄 10 내지 15 중량%, 톱밥 10 내지 15 중량%, 수피 또는 우드칩 5 내지 10 중량%, 축분 10 내지 1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시멘트 5 내지 20 중량%, 및 토양안정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조성물은,
    유기성 퇴비 20 내지 30 중량%, 식물퇴비 20 내지 30 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15 중량%, 톱밥 또는 우드칩 10 내지 15 중량%, 수피 5 내지 10 중량%, 표토 또는 현장발생토 20 내지 30 중량%, 및 토양단립제 5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160)는 목본 식물, 초본류 식물, 및 외래종 식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상기 종자(160)의 혼합 비율에 따라,
    초본위주형은 목본 식물 25 내지 35 중량%, 초본류 식물 55 내지 65 중량%, 및 외래종 식물 5 내지 15 중량%이고,
    초본관목혼합형은 목본 식물 30 내지 40 중량%, 초본류 식물 55 내지 65 중량%, 및 외래종 식물 1 내지 10 중량%이고,
    목본군락형은 목본 식물 35 내지 45 중량% 및 초본류 식물 55 내지 65 중량%로서,
    상기 종자(160)는 상기 초본위주형, 초본관목혼합형, 및 목본군락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본 식물은 자귀나무, 소나무, 붉나무, 사방오리나무, 개쉬땅나무, 싸리나무, 족제비싸리, 병꽃나무, 및 낭아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초본류 식물은 비수리, 쑥, 새, 끈끈이대나물, 쑥부쟁이, 패링이꽃, 산국, 벌노랑이, 구절초, 달맞이꽃, 수레국화, 샤스타데이지, 도라지, 억새, 및 춘차국, 금계국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외래종 식물은 톨페스큐, 캔터키 블루우그래스, 다년생 라이 그래스, 크리핑 레드 페스큐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조성물, 상기 수분, 및 상기 종자(160)는 10:2: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층(120)은 네트 또는 철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식생기반층(110)은 4 내지 5cm의 두께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생기반층(130)은 1 내지 5cm의 두께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층(140)은 0.5 내지 2cm의 두께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층(140)은 볏짚, 보릿짚, 목초,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염화비닐 필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17.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에 의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조성된 도로 비탈면.
KR1020110002771A 2011-01-11 2011-01-11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KR10130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771A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1-01-11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771A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1-01-11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432A true KR20120081432A (ko) 2012-07-19
KR101307588B1 KR101307588B1 (ko) 2013-09-12

Family

ID=4671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771A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1-01-11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5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85B1 (ko) * 2014-03-10 2015-03-31 주식회사 한길 자연배합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934B1 (ko) * 2014-03-10 2015-04-16 주식회사 한길 자연배합토 조성물을 이용한 훼손지 생태복원 녹화방법
CN105724030A (zh) * 2016-03-09 2016-07-06 上海商学院 一种生态保健型植物群落的构建方法
CN109831955A (zh) * 2019-04-10 2019-06-04 华中农业大学 一种梯田的固土方法及梯田生态护坡结构
KR101995968B1 (ko) * 2018-12-27 2019-07-03 전성미 사면의 식생조성을 위한 식생기반층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조성공법
CN110063182A (zh) * 2019-04-03 2019-07-30 甘肃有色工程勘察设计研究院 用于黄土高原泥流防治的植物根群坝生态工程建设方法
CN110226489A (zh) * 2019-06-27 2019-09-13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边坡绿化喷播纤维基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2526425B1 (ko) * 2022-04-06 2023-04-26 정의우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65B1 (ko) 2014-03-03 2014-07-04 김문기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841A (ko) * 2000-12-20 2002-06-26 허 태 학 다층뿜어붙이기 비탈면 녹화공법
KR100667005B1 (ko) 2006-05-23 2007-01-10 주식회사 풍록원 현지 생물종의 다양성이 복원가능한 절개지 녹화방법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8-11-21 김안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100923312B1 (ko) 2008-06-16 2009-10-2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다층의 식생 기반을 조성하는 사면 녹화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85B1 (ko) * 2014-03-10 2015-03-31 주식회사 한길 자연배합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934B1 (ko) * 2014-03-10 2015-04-16 주식회사 한길 자연배합토 조성물을 이용한 훼손지 생태복원 녹화방법
CN105724030A (zh) * 2016-03-09 2016-07-06 上海商学院 一种生态保健型植物群落的构建方法
KR101995968B1 (ko) * 2018-12-27 2019-07-03 전성미 사면의 식생조성을 위한 식생기반층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조성공법
CN110063182A (zh) * 2019-04-03 2019-07-30 甘肃有色工程勘察设计研究院 用于黄土高原泥流防治的植物根群坝生态工程建设方法
CN109831955A (zh) * 2019-04-10 2019-06-04 华中农业大学 一种梯田的固土方法及梯田生态护坡结构
CN110226489A (zh) * 2019-06-27 2019-09-13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边坡绿化喷播纤维基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2526425B1 (ko) * 2022-04-06 2023-04-26 정의우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588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588B1 (ko)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CN104620838B (zh) 水库消落带植被恢复方法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12522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1419494B1 (ko) 비탈면보호 식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JP4883673B2 (ja) 緑化用培地構造
KR101654044B1 (ko)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KR100713613B1 (ko) 활엽수칩을 이용한 채석장 식생복원방법
KR100923312B1 (ko) 다층의 식생 기반을 조성하는 사면 녹화 방법
KR101186035B1 (ko)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JP5160972B2 (ja) 森林機能回復工法
KR101190009B1 (ko) 펄프솜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101201346B1 (ko) 비탈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KR10128227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유기물 식생자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23004B1 (ko) 산림표토성분 조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표토층조성에 의한 생태복원 녹화방법
JP4351719B2 (ja) 地面被覆工及び地面被覆工法
CN105830738A (zh) 适用于地下车库顶板绿化种植的种植土层和地基
KR101236697B1 (ko) 알리신을 이용한 암반절개지 사면녹화공법
KR20100116003A (ko) 식생기반재
KR100765909B1 (ko) 인공 식생기반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친환경적 녹화방법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94567B1 (ko) 활엽수칩을 이용한 폐광지 식생복원방법
KR101201999B1 (ko)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KR101555856B1 (ko) 에코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KR100491497B1 (ko) 후리졸녹산토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