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965B1 -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965B1
KR101415965B1 KR1020140025239A KR20140025239A KR101415965B1 KR 101415965 B1 KR101415965 B1 KR 101415965B1 KR 1020140025239 A KR1020140025239 A KR 1020140025239A KR 20140025239 A KR20140025239 A KR 20140025239A KR 101415965 B1 KR101415965 B1 KR 10141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omposition
weight
greening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기 filed Critical 김문기
Priority to KR102014002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토분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토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톱밥 5 내지 15 중량부, 섬유질조성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우분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미생물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키토산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은 섬유질조성물을 포함하여 경사면에 부족한 수분을 오랫동안 유지시키고, 발효된 우분을 포함하여 각종 미생물 및 유기물을 공급하여 노출된 지표면이나 경사면에 인위적으로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성장과 보습력·보비력·통기성 및 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적의 배합에 의하여 소정의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어서 우천이나 외부의 자연적인 충격에도 저항 가능한 강도를 가지고, 높은 부착력을 통해 박리현상에 의한 재료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MIXED ORGANIC COMPOSITION FOR AFFORESTATION OF STEEP SLOPE AND METHOD OF SLOPE AFFORESTANTI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유기물 재료를 이용하여 보비력, 보습력, 통기성 및 지력을 향상시켜 법면(절취된 경사면)에 빠르고 영구적인 자연생태복원 위한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건설이나 아파트단지 또는 공업단지 조성을 위한 토목공사 등으로 산지에 상당히 많은 수의 법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급경사면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불안감을 갖게 할뿐만 아니라,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리는 계절에는 낙석과 붕괴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에 법면을 녹화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법면을 녹화함으로 인하여 자연경관을 살려 시각적 불안감을 해소 할뿐만 아니라, 보다 근원적으로 녹화로 인하여 법면의 풍화로 인한 낙석, 세굴(함몰 등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 등에 의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토목공사 등으로 인하여 산악지역에 급경사면이 생길 수 있는데, 그러한 급경사면을 그대로 방치하면, 자연미관을 훼손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우천시 또는 지하수의 용출 등으로 인하여 붕괴의 위험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선 절토면에 계단식의 산마루 측구를 형성시킴으로써 법면에 세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그 경사면에 금속 또는 천연섬유로 된 망을 부착시켜, 그 위에 인공토양을 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인공토양의 부착시에는 식물 종자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식물종자에 의하여 자연적인 천이가 유도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 초본류, 관목류 및 삼림류의 식물종자를 일정 비율로 섞어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물종자를 이와 같이 초본류, 관목류 및 삼림류가 포함되도록 한 것은, 빠른 시일 내에 초본류가 발육하여 법면을 일차 녹화시키고, 그 다음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관목류가 성장하면서 초본류를 대체하고, 그 다음 일정기간 후에는 삼림류가 관목류를 대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목류의 성장으로 관목류의 그늘에 가려진 초본류는 도태되고, 마찬가지 이유로, 삼림류가 성장하면 그 그늘에 가려진 관목류가 도태된다. 이와 같은 식물의 천이현상으로 법면은 초본류, 관목류 및 삼림류가 적절히 균형을 갖춘 자연상태의 식물군으로 녹화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법면 녹화공법에 사용되는 인공토양은 식물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영구적인 법면녹화가 가능하도록 보습력과 보비력 및 부착력을 향상시켜야만 녹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법면 녹화사업은 실패로 돌아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법면 녹화 공법에 사용되는 인공토양으로서 친환경 재료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으로 녹화를 수행하면서도, 과도한 침식을 방지하고 보습력·보비력·부착력을 향상시켜 식물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토분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토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톱밥 5 내지 15 중량부, 섬유질조성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우분(牛糞)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미생물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키토산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숙토는 유기질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분은 부숙처리 또는 발효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질조성물은 피트모스 및 코이어더스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절개지 또는 경사면에 뿜어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물 조성물을 이용한 법면녹화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은 친환경 재료인 우분, 피트모스, 부숙톱밥 등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식재되는 식물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건강하게 생장시켜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을 증대 시키고, 녹화식물의 부착력, 내침식성을 증대시켜 효율적이면서 영구적으로 녹화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혼합토 조성물은 섬유질조성물을 포함하여 경사면에 부족한 수분을 오랫동안 유지시키고, 발효된 우분을 포함하여 각종 미생물 및 유기물을 풍부하게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혼합토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에 의하여 소정의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어서 우천이나 외부의 자연적인 충격에도 저항 가능한 강도를 가지고, 부착강도에 있어서도 종래기술의 혼합토에 비하여 향상된 부착력을 가지게 되어, 녹화식물을 경사면에 부착하였을 때 경사면과의 부착력을 발휘하여 박리현상에 의한 재료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공후 발아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유기성 혼합물을 이용한 시공 후 75일이 경과한 사진이다. (단, ① 톨 훼스큐, ② 켄터키 블루그라스, ③ 금계국, ④ 비수리, ⑤ 자귀나무, ⑥ 수레국화, ⑦ 싸리, ⑧ 벌노랑이, ⑨ 춘차국, ⑩ 코스모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녹화용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 후 75일이 경과한 사진이다. (단, ① 톨 훼스큐, ② 켄터키 블루그라스, ③ 금계국, ④ 비수리, ⑤ 자귀나무, ⑥ 수레국화, ⑦ 싸리, ⑧ 벌노랑이, ⑨ 춘차국, ⑩ 코스모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친환경 유기물 재료를 이용하여 보비력, 보습력, 통기성 및 지력을 향상시켜 법면(절취된 경사면)에 빠르고 영구적인 자연생태복원 위한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토분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토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톱밥 5 내지 15 중량부, 섬유질조성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우분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미생물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키토산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중 토분은 통기성이 양호한 현무풍화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분의 함량은 30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토분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공극률 저하로 갈라짐이 많아지고 발아율이 저하되며, 상대적으로 유기함량이 과다하게 됨에 따라 영양 과다 현상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못하고, 토분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중이 높아 법면에 시공하였을 부착력 및 강도 저하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중 부숙토는 유기성 오니를 원료로 함수율을 조정하여 부숙시설 등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1차 발효공정 후에 미분해된 유기물을 분해하여 악취 및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해서 안정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2차 발효(또는 '후부숙 공정'이라 한다) 부숙공정을 거친 것을 말한다.
상기 부숙토의 주원료인 슬러지는 생물학적 정화의 생성물이므로 미생물균체 외에 유기물, 질소, 인 등의 비료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투수성 및 보수력을 증가시켜 토양 완충능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슬러지를 질적인 변화를 통해 부숙토로 전환시킨 후 토양으로 환원하는 것이 가장 유용한 자원재활용방법이며, 예산절감 및 환경보호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 때 부숙토의 함량은 3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숙토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보습력, 보비력의 결핍으로 부착력 부족과 비탈면에 식재된 잔디의 발아 및 생장이 저하된다. 또한 최근의 기상이변 등에 의한 폭우 및 한발로 인하여 비탈면 녹화재료의 부착력 및 강도 부족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부숙토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영양과다 및 가스 장애로 인해 식물의 발아저하 및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부숙토는 유기질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질 물질을 더 포함함으로써 녹화재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유기질 물질은 식물 생육에 유용한 유기질 비료 등이 될 수 있으며, 식물이 필요로 하는 N, P, K를 함유하는 물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중 부숙톱밥은 톱밥을 부숙시킨 것으로, 배합토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토양 유기물의 생성을 촉진하고, 보비력이 좋으며, 식물의 이식후 활착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한다.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녹화식물의 활착에 거의 도움이 되지 못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기함량이 높아 오히려 식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조성물은 식물공장에서 작물 생산을 위한 배지로써 물질 내부에 많은 미세공극을 보유하여 보수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써 바람직하게는 피트모스(peat moss), 코이어 더스트(coir dust)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트모스를 사용할 수 있다.
피트모스는 섬유질로 이루어진 퇴적된 수생식물로써 아주 가볍고 수분의 흡수율과 함수량이 높아 식물의 수분 유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공극률이 60~85%로 통기성이 매우 좋으며, 무기함량이 매우 적고 분해과정에서 무기성분의 용출도 많지 않으므로 시비조절이 용이하며, 해충 및 잡초종자 등이 없고 가벼워 경사면에 부착이 용이 할뿐만 아니라 섬유질 상으로 되어있어 다른 자재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보습력 및 통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섬유질 조성물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되도록 한다.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사면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많은 함수량으로 혼합토의 부착 강도가 약해져 경사면에 있는 유기 혼합물 전체가 흘러 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중 우분(牛糞)은 유기물이나 비료성분 함량이 높은 친환경적인 유기물 비료로 주성분은 유기성 탄수화물이며, 이것이 발효되고 나면 탄수화물이 산화되어 회분이나 인산, 요소와 질소 성분이 높아진다. 섬유질이 많으므로 토양을 입단화 하는데 유리하며, 비료효과는 다른 축분보다 천천히 나타나나 효과는 오래 지속되며, 또한 토양을 부드럽게 만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분은 부숙처리 또는 발효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기 우분은 2개월 정도의 충분한 발효를 시킨 후 사용하였고, 상기 발효시 효소를 첨가하면 기간을 단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분의 함량은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기함량이 높아 영양과다 및 가스 발생으로 인해 식물의 발아저하 및 식물 생육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미량성분 중 미생물은 직·간접적인 작용으로 토양에 존재 하는 각종 유기물을 분해를 촉진하여 토양의 물리성·화학성을 개선하고, 토양의 입단화를 촉진시켜 작물의 생육을 증진시키고 작물생산의 기본이 되는 토양을 건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인산 및 불용성 양분을 가용화할 수 있는 균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물을 분해하고, 작물의 균일한 생육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속, 리조푸스 속, 락토바실러스 속, 바실러스 속 미생물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은 Aspergillus niger(KACC 930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 KACC 93025)는 토양 내 난용성 인산을 유리 인산으로 분해시킬 수 있어 난용성 인산염이 축적되는 염류로 인한 작물재배 장애를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주성분 재료에 포함되는 염류를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생물로 하기 표 1에서 제시하는 미생물을 선택할 수 있다.
식물생장 촉진균 Trichoderma spp., Bacillus sp., PSB(photosynthetic bacteria)
유용근권미생물 VA(Vesicles, Arbuscules)균, Pseudomonas spp., Actinomyces sp.
식물병원균의 길항균 Trichoderma spp., Bacillus sp., Actnomyces ssp.,
Streptomyces sp., Pseudomonas putida,
P. auruginosa, Gliocladium sp.
선충 길항균 BT(Bacillus thuringiensis), Dactylella sp.,
Arthrobotrys sp., Verticillum sp., Paecilomyces sp.
유기물 분해 촉진균 Bacillus sp., Lactobacillus sp., Streptomyces spp.,
Rhodobacter sp., Saccharomyces spp.,
Glactomyces sp.
질소고정 및 천연 비료 생산 미생물 PSB(Clostridium sp., Entrobacter sp., Klebsiella sp.), Azotobacter sp., Rhodobacter sp.
또한 상기 미생물은 0.0001 내지 0.00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미생물의 부족으로 식생환경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고, 0.0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기물의 분해가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어 영양분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량성분 중 키토산은 글루코사민이 3,000 내지 5,000개 연결된 고분자로, 갑각류와 곤충류 껍질 또는 키틴으로부터 얻어지는 물질로서, 칼루스형성을 활성화하고, 뿌리발육을 증대시키고, 성장 촉진 및 증수효과가 있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식물 병해충 방제제 역할을 하며, 토양방선균을 증식시키고 떼알구조 형성에 기여하여 토양개량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키토산에 의해 식물세포가 활성화되면 비료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토산은 그 점도가 1 내지 100이고, 적정 수만 내지 수십만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녹화식물이 웃자라거나 약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0.001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절개지 또는 경사면에 뿜어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이용한 법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법면녹화방법의 뿜어붙이는 단계는 시공두께가 0.5 내지 7c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5cm 미만인 경우 빗물 등에 의하여 침식될 우려가 있고, 7cm 초과인 경우 혼합토의 자중으로 인하여 흘러내릴 수 있고 시공이 어려워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뿜어붙이는 단계 전에 PVC 코팅망을 덮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VC 코팅망은 토양 암절개면에 금속 재질의 철조망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그물망인 것이며 상기 PVC 코팅망을 앵커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VC 코팅망을 덮는 단계는 토양 절개면의 경사면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경사면이 유실될 가능성이 있을 때 필요하며,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이 토양 절개면의 부착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뿜어붙이는 단계 전에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유기 혼합토 조성물의 함수율이 20 내지 40%가 되도록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조성물의 함수율을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함수율 조절단계는 식물의 발아 및 생육을 원활히 하고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의 토양 암절개면에의 부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뿜어붙이는 단게 전에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에 잔디류, 초화류, 목화류 등 식물의 종자를 혼합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하거나 또는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뿜어붙이는 단계 후에 잔디류, 초화류, 목본류 등 식물의 종자를 살포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혼합토 조성물의 제조 및 생육 실험
1.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현무풍화토(골재 채취장에서 친 15㎜ 이하의 마사토), 부숙 혼합토(연기군 청암녹화자재에서 구입), 부숙톱밥(영풍 원예자재에서 구입), 피트모스(영풍 원에자재에서 구입). 발효 우분(한터 조경자재에서 구입), 미생물((주)네스코에서 구입), 키토산((주)네스코에서 구입)을 배합하여 친환경 법면녹화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 배합표(1㎥ 기준)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화강토(골재 채취장에서 친 토양), 하수ㅇ정수 슬러지(연기군 청암녹화 자재에서 구입)), 토탄(영풍 원예자재에서 구입), 식품슬러지(연기군 청암 녹화에서 구입)를 배합하여 혼합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 배합표(1㎥ 기준)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수량 계량
1 토분
(현무풍화토)
화강토 0.4 0.3BH 3바켓
2 부숙 혼합토 하수, 정수 슬러지 0.4 0.3BH 3바켓
3 부숙 톱밥 토탄 0.09 20 포장재 사용
4 피트모스 식품슬러지 0.09 20 포장재 사용
5 발효 우분 0.02 20 포장재 사용
6 키토탑TM 60g 포장재 사용
7 푸르미TM 50g 포장재 사용
8 600 배합탱크 용량(1800L)
배합탱크1/3채움
2. 혼합토 조성물에 따른 생육 실험
다인-비안1 국도건설 공사 현장(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송호리 1338번지 STA.6+620지점)에 2013년 5월 20일 ~ 2013년 05월 22일로 약 3일간 시험시공 하였다. 시공사진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생육실험 면적은 각각 100m2 이상 되도록 시공하고, 지역구분에 따른 지질, 암질, 토질상태, 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취부두께를 선정하고 시공한 후 관찰하였다. 본 생육실험에 사용된 혼합종자(파종량(g/m2))는 하기 표 3에, 시공순서 및 시공장비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종 자 수 량 비 율 기 준
재래목본 자 귀 나 무 1.0g 32% 15~40%
싸 리 6.0g
낭 아 초 1.0g
재래초본 초화류
재래초본 초화류
비 수 리 9.0g 54% 30~65%
안 고 초 3.0g
금 계 국 0.4g
노 랑 0.2g
구 절 초 0.2g
춘 차 국 0.2g
패 랭 이 0.2g
산 국 0.2g
코 스 모 스 0.1g
도입초본 캔터키블루그라스 3.5g 14% 20~30%
터프타입톨훼스큐
ky31톨훼스큐
소 계 25g 100%
실시예 비교예
시공순서 1. 부착망 설치
(pvc코팅망#105858)
1. 부착망 설치
(pvc코팅망 #105858)
2. 착지핀 설치
(16, L400)당 1.0개
2. 착지핀 설치
(16, L350)당 0.5개
3. 앙카핀 설치
(16, L500)당 0.11개
3. 앙카핀 설치
(16, L500)당 0.11개
4. 결속선 설치
(8 와이어로프)
4. 횡선설치
(#8 pvc코팅철선)
5. 유기혼합토 취부1회에
시공두께 도달
녹화토 취부1회에 시공두께 도달
사용장비 녹생토취부기(아리바) 녹생토취부기(아리바)
공기압축기(21/min) 공기압축기(21/min)
발전기(50) 발전기(50)
물탱크(5,000) 물탱크(5,000)
트럭탑재형크레인(5Ton) 트럭탑재형크레인(5Ton)
3. 생육 실험결과
생육실험에 따른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식 물 명 실 시 예 비 교 예
목본류 자귀나무
싸리
소 계 2종 2종
초화류 비수리
금계국 -
벌노랑이 -
수레국화 -
춘차국 -
코스모스 -
소 계 6종 1종
도입초본 켄터키블루그라스
터프타입톨훼스큐
소 계 2종 2종
합 계 10종 5종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토 조성물의 시공 후 발아된 사진을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 후 21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도입초본(잔디류)류와 초화류가 비슷하게 발아가 되었고, 목본류의 경우에는 시공 후 23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발아가 되면서 녹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혼합토 조성물 시공 후 75일이 경과된 시점인 2013.08.05.일에 식생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도 3) 10종의 초, 목본류(① 톨훼스큐, ② 켄터키 블루그라스, ③ 금계국, ④ 비수리, ⑤ 자귀나무, ⑥ 수레국화, ⑦ 싸리, ⑧ 벌노랑이, ⑨ 춘차국, ⑩ 코스모스)에 의하여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기 비교예의 경우(도 4)에는 초본류(⑥ 수레국화, ⑦ 싸리, ⑧ 벌노랑이, ⑨ 춘차국, ⑩ 코스모스)에 대해서는 거의 녹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은 미관과 경관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안정된 식생을 조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리적 시험>
1. 일축 압축강도 시험
일축 압축 시험은 KS F 2314 (2001)에 의한 시험방법에 따라 공인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고, 그 시험 결과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이 때, 본 발명 실시예의 혼합토 조성물을 각각 시료 1, 2, 3으로 하여 시험하였다.
시험항목 결 과 시험방법
1 2 3 평균
압축강도(N/) 0.25 0.2 0.27 0.24 KS F 2314;2001
상기 표 6을 참고하면, 일축 압축 강도 시험결과 평균 0.24 N/㎟로 나타났는바, 이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우천에 저항가능한 정도의 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부착강도
부착강도 시험은 KS F 4716 (2006)에 의한 시험방법에 따라 공인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한 시험 결과값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이 때, 본 발명 실시예의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각각 시료 1, 2, 3으로 하여 시험하였다.
시험항목 결 과 시험방법
1 2 3 평균
부착강도(N/) 0.14 0.12 0.14 0.13 KS F 4716;2006
상기 표 7을 참고하면, 부착강도 시험결과 평균 0.13N/㎟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토사 및 기존의 건식, 습식, 반습식의 재료보다 매우 우수한 부착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암반에 부착하였을 경우, 표 6,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우천 시에 암면과의 매우 우수한 부착력을 발휘하여 박리현상에 의한 재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수 없고, 이하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토분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토 30 내지 50 중량부, 부숙톱밥 5 내지 15 중량부, 섬유질조성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우분(牛糞)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미생물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키토산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우분은 부숙처리 또는 발효처리한 것이고,
    상기 섬유질조성물은 피트모스(peat moss) 및 코이어더스트(coir dus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재래초본의 생육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숙토는 유기질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을 절개지 또는 경사면에 뿜어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법면녹화용 유기 혼합물 조성물을 이용하여 재래초본의 생육을 향상시킨 법면녹화방법.
KR1020140025239A 2014-03-03 2014-03-03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KR10141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39A KR101415965B1 (ko) 2014-03-03 2014-03-03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39A KR101415965B1 (ko) 2014-03-03 2014-03-03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965B1 true KR101415965B1 (ko) 2014-07-04

Family

ID=5174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39A KR101415965B1 (ko) 2014-03-03 2014-03-03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832B1 (ko) * 2018-03-22 2019-10-14 남순백 친환경 법면 녹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632B1 (ko) 2012-02-27 2012-09-17 목도창조 주식회사 친환경 법면 녹화용 배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법면녹화방법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3-09-12 한국도로공사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3-09-12 한국도로공사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KR101182632B1 (ko) 2012-02-27 2012-09-17 목도창조 주식회사 친환경 법면 녹화용 배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법면녹화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832B1 (ko) * 2018-03-22 2019-10-14 남순백 친환경 법면 녹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5066B (zh) 一种植物种植保墒节水速生方法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754572B (zh) 一种植物培育基体及其制造和应用
KR101081389B1 (ko) 토사침식방지와 조기식생,활착을 위한 무복토 활성탄 식생매트와 그의 제조 방법
US20180177143A1 (en) Soilless pre-vegetated ma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03348831A (zh) 改性沙体
CN107006288A (zh) 一种用于荒漠化土地治理的稻秸秆复合植生基质模块
CN105028011B (zh) 高原地区树木种植坑及树木种植方法
CN103348830A (zh) 利用植物型改性沙土治理沙地的方法
JP2000139113A (ja) 荒廃地の樹林化方法
CN103348798A (zh) 利用改性沙土育树治理沙地的方法
CN107306757B (zh) 一种乔木移栽方法
CN103352459A (zh) 利用改性沙体治理沙漠的方法
CN103348836A (zh) 利用改性沙土治理沙地的方法
CN108301422A (zh) 一种岩质边坡生态修复方法
CN103348835A (zh) 利用改性沙体育树治理沙漠的方法
CN205337116U (zh) 一种秸秆固沙贮水种植毯
KR101186035B1 (ko)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KR101572110B1 (ko)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1415965B1 (ko)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CN105917921A (zh) 一种马尾松林下套种明党参改善土壤土质的栽培方法
CN109526708B (zh) 一种用于陡峭山崖植被恢复的生态网及制备方法
KR101236697B1 (ko) 알리신을 이용한 암반절개지 사면녹화공법
CN112352493B (zh) 海绵城市生态保湿系统及其在城市工程中的应用
CN105648999B (zh) 秸秆毯及其制造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