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197A -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197A
KR20120081197A KR1020127011985A KR20127011985A KR20120081197A KR 20120081197 A KR20120081197 A KR 20120081197A KR 1020127011985 A KR1020127011985 A KR 1020127011985A KR 20127011985 A KR20127011985 A KR 20127011985A KR 20120081197 A KR20120081197 A KR 2012008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symbol sequence
group
user equipmen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056B1 (ko
Inventor
유안타오 장
지안밍 우
준 티안
후아 조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88Multiresol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56Cyclotomic systems, e.g. Bell Labs Layered Space-Time [BL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방법은, 프리코딩 전송 모드인 제1 사용자 장비 및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인 제2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1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매개변수 결정 단계;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1 및 제2 소스 데이터들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단계;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혼합 심볼 시퀀스에 대해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전송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BASE STATION,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것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층적 변조 기술의 기본적 사상은 사용되는 성좌점들(constellation points)을 기저 계층(base layer) 및 확장 계층(enhanced layer)과 같은 계층들로 분할하는 것이다. 양호한 채널 품질 또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사용자 장비가 복조에 의해 확장 계층의 성좌점들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반하여, 불량한 채널 품질 또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사용자 장비는 복조에 의해 기저 계층의 성좌점들에 포함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계층적 변조의 기본 원리는 "기저 데이터 스트림"이 종래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모드로 전송되고, "확장 데이터 스트림"은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모드로 전송되는 예를 통해 설명된다. 도 1은 계층적 변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은 16QAM의 성좌점이며, "×"은 QPSK의 성좌점이다. QPSK의 성좌점이 (도 1에서 점선 원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은) 큰 성좌점으로 가정되는 경우, 16QAM의 성좌점들 중 동일 사분면 내의 네 개의 성좌점은 큰 성좌점 내부의 작은 성좌점들로 여겨질 수 있다. 이러한 맵핑 모드에서, 불량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약한 식별 능력으로 인해, "큰 성좌점"만을 식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조에 의해 기저 데이터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강한 식별 능력으로 인해, "큰 성좌점"과 그 내부의 "작은 성좌점" 둘 다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심볼이 수신되면, 불량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복조에 의해 2-비트 데이터만을 획득할 수 있을 뿐인 반면에,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복조에 의해 4-비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심볼이 수신되면, 불량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단지 그 심볼이 제4 사분면 내의 "큰 성좌점"에 위치한다는 것을 식별하고, 복조에 의해 비트 데이터 "01"만을 획득할 수 있을 뿐인 반면에,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그 심볼이 제4 사분면 내의 "큰 성좌점"에 위치한다는 것뿐만 아니라 "큰 성좌점"의 좌측 상부 코너 상의 "작은 성좌점"에 위치한다는 것도 식별할 수 있으며, 복조에 의해 데이터 "1001"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불량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는 복조에 의해 "1001"의 앞쪽 두 비트만을 획득할 수 있을 뿐이다. 일반적으로, 16QAM 성좌점에서 16QAM보다 낮은 자릿수를 갖는 QPSK 변조에 대응하는 앞쪽 두 비트는 MSB들(most significant bits)로 지칭되며, 뒤쪽 두 비트는 LSB들(least significant bits)로 지칭된다.
다음으로, 계층적 변조 및 종래의 스케줄링을 채택한 경우의 복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자원 맵핑 방법이 도 2,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기지국(1)의 셀이 두 개의 사용자 장비를 갖는 통신 모델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제1 사용자 장비 UE1의 채널 품질은 제2 사용자 장비 UE2의 채널 품질보다 훨씬 더 양호하다. 도 3a는 종래의 스케줄링에서의 자원 맵핑 방법을 도시하며, 도 3b는 계층적 변조가 채택된 경우의 자원 맵핑 방법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케줄링에서, 기지국은 직교 자원들을 두 개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며, 직교 자원들은 코드-워드 직교, 시간-주파수 직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직교 자원들의 경우, 제1 사용자 장비 UE1은 시간-주파수 자원 1을 할당받고, 제2 사용자 장비 UE2는 시간-주파수 자원 1에 직교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2를 할당받는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 변조가 채택되면,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는 시간-주파수 자원들 1 및 2를 동시에 점유할 것이다. 셀의 스루풋 및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시간-주파수 자원들 1 및 2에 대해 동일한 변조 모드가 채택된다. 또한, 제2 사용자 장비 UE2의 데이터의 비트들은 성좌점들의 MSB들에 맵핑되며, 제1 사용자 장비 UE1의 데이터의 비트들은 성좌점들의 LSB들에 맵핑된다. 그 결과로, 셀의 스루풋 및 커버리지가 개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층적 변조 동안 비트 맵핑 조건들이 16QAM을 예로 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16QAM 성좌점 내에서, MSB들은 불량한 채널 품질을 갖는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의해 점유되며, LSB들은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점유된다. 복조 동안, 제2 사용자 장비 UE2는 복조에 의해 각각의 성좌점의 2 비트(즉, MSB들)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장비 UE1은 복조에 의해 각각의 성좌점의 4비트 모두를 획득할 수 있다.
장래에,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정보의 유효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멀티안테나를 사용할 것이다. 멀티안테나 기술들 중에서 중요한 기술은 프리코딩(precoding) 기술로서, 그 기본적인 사상은 사용자 장비가 추정에 의해 획득된 채널에 따라 적절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계산하고 그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것이다. 기지국은 다음번의 사용자 장비 스케줄링 시에, 전송된 데이터를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따라 프리코딩할 것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종래의 멀티안테나 프리코딩 전송 및 다이버시티 전송의 전형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프리코딩 전송의 구조도가 도 5a에 도시되며, 여기에서는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는 먼저 인코딩되며 레이트 매칭된다. 여기에서 인코딩은 1/3 베이스 인코딩이며, 레이트 매칭에 의해 출력된 시퀀스는 베이스 인코딩 이후 출력된 시퀀스의 절사 또는 천공을 통해 획득된 시퀀스이다. 시퀀스 길이는 변조 모드 및 사용되는 전송 계층의 개수와 관련이 있다. 다이버시티 전송의 구조도가 도 5b에 도시된다. 도 5a와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는 먼저 인코딩되고 레이트 매칭된다. 도 5a와 구별하고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사용되는 레이트 매칭을 제1 레이트 매칭으로 지칭하고,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사용되는 레이트 매칭을 제2 레이트 매칭으로 지칭한다. 제2 레이트 매칭 이후 출력되는 심볼 시퀀스는 심볼 시퀀스 x이다. 심볼 시퀀스 x는 성좌점 맵핑의 대상이 되며, 그 다음 다이버시티 전송된다.
계층적 변조가 멀티안테나 프리코딩 시스템에 채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두 개의 사용자 장비가 계층적 변조를 수행하도록 선택되면 이하의 문제점들이 발생할 것이다:
1. 두 개의 선택된 사용자 장비가 사전에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구성되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에 의해서만 피드백된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다운링크 데이터 프리코딩 동안 선택될 수 있으며, 그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다른 사용자 장비에 확실히 적합하지는 않다.
2. 다운링크 데이터 프리코딩에 채택된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에 의해 피드백되는 것이면, 다른 사용자 장비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모르기 때문에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다.
따라서, 관련 기술에서, 멀티안테나 시스템에서 계층적 변조를 채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해 인용된 문헌들이 다음과 같이 나열되며, 그 문헌들은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것처럼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1. [특허 문헌 1]: Malladi Durga Prasad, Hierarchical modulation for communication channels in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US 20090042511 A1).
2. [특허 문헌 2]: Vare Jani, et.al., Method and apparatuses for hierarchical transmission/reception in digital broadcast (US 20090222855 A1).
3. [특허 문헌 3]: Wu Qi,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cast data in Wimax/Wibro Relay system (US 20080298296 A1).
4. [특허 문헌 4]: Steer David G; Content differentiated hierarchical modulation used i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US 20080159186 A1).
5. [특허 문헌 5]: Gao Wen, el. al., Methods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modulation using radial constellation (US 20080170640 A1).
6. [비특허 문헌 1]: Fujitsu, Hierarchical modulation based DL MIMO for LTE-Advanced, 3GPP, R1-093163.
종래 기술에 대한 상기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들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루어진 것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해법들이 배경기술 부분에 설명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알려져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익한 선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양상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1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변조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되는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1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매개변수 결정 유닛;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 변조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 변조 유닛;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코딩 유닛; 및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기 위한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멀티안테나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머신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이 존재하며, 여기에서 명령어들은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멀티안테나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적 변조를 수행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 및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을 선택하는 구현 가능한 통신 방법 및 대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부분들은 비율에 맞게 그려지지 않았으며,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부분들을 도시하고 설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도면들 내의 대응 부분들이 확대될 수 있는데, 즉 이러한 부분들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제조되는 예시적 장치 내의 다른 부분들에 대해 확대된다.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술적 특징들 또는 부분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계층적 변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두 개의 사용자 장비 하에서의 통신 모델을 도시한다.
도 3a는 종래의 자원 맵핑 방법을 도시한다.
도 3b는 계층적 변조가 채택된 자원 맵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계층적 변조 동안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비트 맵핑의 조건들을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종래의 멀티안테나 프리코딩 전송 및 다이버시티 전송의 전형적인 개략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기지국에서의 신호 생성 흐름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의 예시적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계층적 변조에 관여하는 사용자 장비들의 선택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의 제1 예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의 제2 예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기지국에서의 신호 생성 흐름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과 무관하며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알려져 있는 부분들 및 처리는 도면들 및 설명들에서 생략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설명들 및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원리가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그에 대응하여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취지 및 문구의 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경,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고/되거나 도시된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결합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include, including)/포함한다, 포함하는(comprise, comprising)"은 여기에서 특징, 구성요소, 단계 및 컴포넌트의 존재를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기지국을 포함하는 일반적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액세스 시의 양호한 채널 품질 및/또는 양호한 히스토릭 채널 품질들을 갖는 사용자 장비들은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되는데 반하여, 액세스 시의 불량한 채널 품질 및/또는 불량한 히스토릭 채널 품질들을 갖는 사용자 장비들은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다. 기지국은 계층적 변조를 위해,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제1 사용자 장비 UE1을 선택하고, 불량한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제2 사용자 장비 UE2를 선택한다. 비록 도 6에서는 모든 사용자 장비들이 편의를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는 사용자 장비들이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물론 사용자 장비들의 일부만이 서로 같을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사용자 장비 UE1은 다음의 정보: 다음 순간의 전송에 사용될 코드 변조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그것의 채널 품질 정보; 다음 순간의 전송에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기지국(100)에 전송한다.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사용자 장비 UE2는 그것의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기지국(100)에 전송한다. 물론,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가 상기 정보에 더하여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가 단지 상기 정보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00)은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의해 전송된 정보에 따라, 계층적 변조의 변조 모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와 같은, 다음 순간의 전송에서 사용될 매개변수들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100)은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송신될 제1 소스 데이터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송신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생성하며, 그 다음,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은 컨스틸레이션 계층적 변조, 레이어-맵핑 및 프리코딩의 대상이 된다. 기지국(100)은 프리코딩된 데이터를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할 뿐만 아니라,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의 제2 사용자 장비 UE2가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사용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하기도 한다.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 각각은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기지국은 가장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자기 자신의 서비스 영역들을 형성하고 그 서비스 영역들에서 사용자 장비들을 서빙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하여야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 6 내지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기지국(100)은 계층적 변조에 관여하는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110); 사용될 계층적 변조의 변조 모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 각각,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고,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30) 및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에 대해 컨스틸레이션 계층적 변조를 수행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 변조 유닛(150);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코딩 유닛(160); 및 전송-종료 심볼 시퀀스를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하면서,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기지국(100) 내의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110),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30),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계층적 변조 유닛(150), 프리코딩 유닛(160), 및 전송 유닛(170)은 로직 회로(들) 또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지국(100)의 동작들이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은 기지국(100)에서의 신호 생성 흐름을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우선, 단계(ST102)에서,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110)은 계층적 변조에 관여하는 사용자 장비들로서,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1 사용자 장비 UE1을 선택하며,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2 사용자 장비 UE2를 선택한다.
그 다음, 사용자 장비들의 선택들이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0은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의 예시적인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계층적 변조에 관여하는 사용자 장비들을 선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ST202)에서, 자원 할당 유닛(112)은 계층적 변조에 관여하는 자원들을 제1 및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에 할당한다. 물론,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이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되고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비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으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이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되고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비들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단계(ST204)에서, 할당된 자원들은 각각의 후보 사용자 장비에 통지된다. 자원들을 후보 사용자 장비들에 할당하는 방법 및 할당된 자원들을 후보 사용자 장비들에 통지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발명 요점이 아니다. 그리고, 자원들을 후보 사용자 장비들에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들을 후보 사용자 장비들에 통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은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실제 상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후보 사용자 장비들이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된 자원들을 수신한 후,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은 그것의 채널 품질을 추정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며, 다음 순간의 전송에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다음 순간의 전송에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의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는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다음 순간에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기지국에 의해 그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코드북 내의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일련 번호)일 수 있다.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은 그것의 채널 품질을 추정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며, 다음 순간에서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ST206)에서, 수신 유닛(114)은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한다. 특히, 수신 유닛(114)은,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의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수신하며,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의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208)에서, 선택 유닛(116)은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의 하나의 후보 사용자 장비를 계층적 변조에 관여할 제1 사용자 장비 UE1으로서 선택하고,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하나의 후보 사용자 장비를 계층적 변조에 관여할 제2 사용자 장비 UE2로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 유닛(116)은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그 채널 품질 정보가 가장 큰 값을 갖는(즉,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하나의 후보 사용자 장비를 계층적 변조에 관여할 제1 사용자 장비 UE1으로서 선택하고,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그 채널 품질 정보가 가장 큰 값을 갖는(즉,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하나의 후보 사용자 장비를 계층적 변조에 관여할 제2 사용자 장비 UE2로서 선택한다.
계층적 변조에 관여할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가 선택된 이후, 흐름은 도 9로 돌아가 계속된다.
단계(ST104)에서,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은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채널 품질 정보,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의해 전송된 채널 품질 정보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의해 전송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기지국(100)에 의해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는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 중 하나에 의해 전송되는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 둘 다에 의해 전송된 전송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및/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의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계층-맵핑에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는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 중 하나에 의해 전송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 둘 다에 의해 전송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로부터, 및/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전송 계층의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일 수 있다.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에 따라, 및/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ST106)에서,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30)은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30)은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전송되는 제1 소스 데이터에 대해서 제1 인코딩을 수행한 다음,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모드에 따라 제1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제1 사용자 장비 UE1이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채택하기 때문에, 제1 소스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제1 인코딩 및 제1 레이트 매칭은 계층적 변조를 고려하지 않고 수행되는 것과 동일하다. 제1 인코딩 및 제1 레이트 매칭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된다.
단계(ST108)에서,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은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ST108)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2는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의 제1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은 인코딩 유닛(141), 계산 유닛(142) 및 레이트 매칭 유닛(143)을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내의 인코딩 유닛(141), 계산 유닛(142) 및 레이트 매칭 유닛(143)이 로직 회로(들) 또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내의 인코딩 유닛(141)은 제2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내의 계산 유닛(142)은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생성될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내의 레이트 매칭 유닛(143)은 계산된 길이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해 제2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2 레이트 매칭은 인코딩된 데이터의 절사 또는 천공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다이버시티 전송에서 제2 레이트 매칭 이후 출력된 심볼 시퀀스는 x이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 레이트 매칭 이후 출력된 제2 심볼 시퀀스는 y1이고, 제2 심볼 시퀀스 y1 및 심볼 시퀀스 x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제2 심볼 시퀀스 y1의 길이는 계층적 변조를 제외한 동일한 조건들 하에서의 심볼 시퀀스 x의 길이보다 더 크다.
비록 도 8에서는 단계들(ST106 및 ST108)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계들(ST106 및 ST108)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단계(ST110)에서, 레이트 매칭된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은 컨스틸레이션 계층적 변조의 대상이 되어,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은 비트 레벨에서 혼합되어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16QAM 계층적 변조가 채택된 경우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심볼 시퀀스는 16QAM 성좌점들의 두 개의 LSB에 맵핑될 수 있으며, 제2 심볼 시퀀스는 16QAM 성좌점들의 두 개의 MSB에 맵핑될 수 있다.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계층적 변조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고안될 다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계층적 변조 이후, 프리코딩 유닛(160)은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혼합된 시퀀스를 레이어-맵핑하고,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따라 레이어-맵핑된 시퀀스를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한다. 혼합된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발명 요지가 아니다.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실제 상태에 따라, 현재 알려졌거나 미래에 고안될 방법들로 계층-맵핑 및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T114)에서, 전송 유닛(170)은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사용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고, 전송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전송한다. 제1 사용자 장비 UE1에서, 수신된 신호가 디코딩된다. 제2 사용자 장비 UE2에서, 수신된 신호가 수신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디코딩된다. 전송 유닛(170)은 할당된 자원들 내에서 전용 파일럿 또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방식을 통해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의해 결정된 것들과 다른 경우, 전송 유닛(170)은 또한 사용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제1 사용자 장비 UE1에 전송한다. 제1 사용자 장비 UE1에서, 수신된 신호는 수신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디코딩된다.
단계들이 위에서 순서대로 번호 붙여졌음에도 불구하고, 단계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어떤 단계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계층적 변조를 수행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전송 모드 및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을 선택하는 구현 가능한 통신 방법 및 대응 장치가 제공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는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에 따라 계산되며, 그 다음 레이트 매칭이 수행되어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제2 소스 데이터가 인코딩된 뒤에, 출력된 심볼 시퀀스 x가 계층적 변조를 고려하지 않고 종래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방식으로 획득되며, 그 다음, 제2 인코딩은 출력된 비트 시퀀스 x에 대해 수행된다는 점에 있다.
간결함을 위해, 제1 및 제2 실시예의 동일한 부분들은 생략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이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내에서의 신호 생성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은 제1 인코딩 유닛(151), 레이트 매칭 유닛(152), 계산 유닛(153),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154), 및 제2 인코딩 유닛(155)을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140) 내의 제1 인코딩 유닛(151), 레이트 매칭 유닛(152), 계산 유닛(153),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154), 및 제2 인코딩 유닛(155)은 로직 회로(들) 또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모두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먼저, 제1 인코딩 유닛(151)은 제2 소스 데이터에 대해 제1 인코딩을 수행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레이트 매칭 유닛(152)은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제3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3 심볼 시퀀스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 하에서 레이트 매칭을 통해 생성된 것, 즉 시퀀스 x와 동일하다. 계산 유닛(153)은 매개변수 결정 유닛(120)에 의해 결정된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계층적으로 변조된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한다.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154)은 계산된 길이에 따라, 인코딩 모드를 선택한다. 제2 인코딩 유닛(155)은 선택된 인코딩 모드에 따라, 제3 심볼 시퀀스에 대해 제2 인코딩을 수행하여 제2 심볼 시퀀스 y2를 생성한다.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154)은 제2 인코딩 유닛(155)에 의해 생성된 제2 심볼 시퀀스 y2의 길이가 제1 실시예에서 레이트 매칭 유닛(143)에 의해 생성된 제2 심볼 시퀀스 y1와 동일한 그러한 인코딩 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인코딩 모드는 반복 코딩 또는 비트 레벨 공간 시간 코딩, 또는 터보 코딩, 컨벌루션 코딩과 같은 다른 채널 인코딩 모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심볼 시퀀스들 y1 및 y2의 컨텐츠들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라, 계층적 변조를 수행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전송 모드 및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을 선택하는 구현 가능한 통신 방법 및 대응 장치들이 제공된다.
변형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의 다양한 변형들이 있을 수 있다.
(1) 단계(ST108) 전에, 통신 방법은 도 8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으로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기지국(100)은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은 제1 서브유닛 및 제2 서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서브유닛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제2 서브유닛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선택 유닛은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서브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3) 기지국(100)은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 중 임의의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 UE1으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 중 임의의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 UE2로서 선택하며, 할당된 자원들을 제1 사용자 장비 UE1 및 제2 사용자 장비 UE2에 통지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 UE1은 그 채널 품질을 추정하고, 할당된 자원들에 따라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의 개수를 결정하며,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 제2 사용자 장비 UE2는 그 채널 품질 정보를 추정하고 할당된 자원들에 따라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결정하며,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 대안적으로, 기지국(100)은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 중 임의의 것을 제1 사용자 장비 UE1으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장비들로부터 제2 사용자 장비 UE2를 제1 실시예에서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100)은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1 사용자 장비 UE1을 제1 실시예에서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장비들 중 임의의 것을 제2 사용자 장비 UE2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기계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이 명백하다.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경우, 프로그램코드들은 멀티안테나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기계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이 명백하다.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경우, 명령어들은 멀티안테나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유닛들 및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방법 및 설계 제한 조건들의 특정한 적용에 달려있다. 전문가는 각각의 특정한 적용을 위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하여 기술된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컴퓨터와 같은 로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실행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컴퓨터와 같은 로직 장치)가 상기 방법들 또는 그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컴포넌트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소프트웨어는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저항기, 하드 디스크, 분리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예시적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정신에 따른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을 착상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 및 변경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부기
부기 1: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단계;
제1 채널 품질 정보,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및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변조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
부기 2: 상기 선택 단계는,
자원들을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및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에 할당하고, 각각의 후보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자원들을 통지하는 단계;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제1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를 수신하고,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1 채널 품질 정보가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2 채널 품질 정보가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기 1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3: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2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길이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기 1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4: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제1-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방식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제3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길이에 따라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심볼 시퀀스를 제2 인코딩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기 1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5: 상기 인코딩 모드는 반복 코딩, 비트 레벨 공간 시간 코딩, 터보 코딩 또는 컨벌루션 코딩인 부기 4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6: 상기 결정 단계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채널 품질 정보,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의 제2 개수를 수신하고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기 1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7: 상기 계층-맵핑 단계에 사용되는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이며,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인 부기 1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8: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생성 모드로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기 1에 따른 통신 방법.
부기 9: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부기 10: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제1 채널 품질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매개변수 결정 유닛;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
변조 모드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
변조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 변조 유닛;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코딩 유닛; 및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기 위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기지국.
부기 11: 상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은,
자원들을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및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에 할당하고, 각각의 후보 사용자 장비에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통시하는 자원 할당 유닛;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채널 품질 정보,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1 채널 품질 정보가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제2 채널 품질 정보가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선택 유닛;
을 포함하는 부기 10에 따른 기지국.
부기 12: 상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은,
제2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계산 유닛; 및
상기 길이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레이트 매칭 유닛;
을 포함하는 부기 10에 따른 기지국.
부기 13: 상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은,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제1-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인코딩 유닛;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방식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제3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레이트 매칭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계산 유닛;
상기 길이에 따라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심볼 시퀀스를 제2-인코딩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 인코딩 유닛;
을 포함하는 부기 10에 따른 기지국.
부기 14: 상기 인코딩 모드는 반복 코딩, 비트 레벨 공간 시간 코딩, 터보 코딩 또는 컨벌루션 코딩인 부기 13에 따른 기지국.
부기 15: 상기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이며,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인 부기 10에 따른 기지국.
부기 16: 부기 10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은 제1 서브유닛 및 제2 서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유닛은: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계산유닛; 및
상기 길이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레이트 매칭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유닛은: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제1-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인코딩 유닛;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방식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제3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레이트 매칭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계산유닛; 및
상기 길이에 따라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심볼 시퀀스를 제2-인코딩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 인코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부기 17: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이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부기 18: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이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Claims (13)

  1.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1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상기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자원들을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및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에 할당하고, 각각의 후보 사용자 장비에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채널 품질 정보,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상기 제1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상기 제2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길이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제1-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방식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제3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길이에 따라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심볼 시퀀스를 제2-인코딩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모드는 반복 코딩, 비트 레벨 공간 시간 코딩, 터보 코딩 또는 컨벌루션 코딩인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7. 프리코딩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로 설정된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를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1 채널 품질 정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에 따라, 계층적 변조에서 사용될 변조 모드, 계층-맵핑에서 사용될 전송 계층들의 개수, 및 프리코딩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매개변수 결정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1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1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제2 소스 데이터로부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
    상기 변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심볼 시퀀스들을 계층적으로 변조하여 혼합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적 변조 유닛;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혼합 심볼 시퀀스를 계층-맵핑하고 프리코딩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코딩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에 상기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를 통지하기 위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은,
    자원들을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및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에 할당하고, 각각의 후보 사용자 장비에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통지하는 자원 할당 유닛;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채널 품질 정보,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1 개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채널 품질 정보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제2 개수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상기 제1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제1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상기 제2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제2 그룹의 후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후보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선택 유닛
    을 포함하는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은,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계산 유닛; 및
    상기 길이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레이트 매칭 유닛
    을 포함하는 기지국.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시퀀스 생성 유닛은,
    상기 제2 소스 데이터를 제1-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인코딩 유닛;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레이트 매칭 방식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제3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레이트 매칭 유닛;
    상기 변조 모드 및 상기 전송 계층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심볼 시퀀스의 길이를 계산하는 계산 유닛;
    상기 길이에 따라 인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인코딩 모드 선택 유닛; 및
    상기 인코딩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심볼 시퀀스를 제2-인코딩하여 상기 제2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 인코딩 유닛
    을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모드는 반복 코딩, 비트 레벨 공간 시간 코딩, 터보 코딩 또는 컨벌루션 코딩인 기지국.
  12.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13.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상기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KR1020127011985A 2009-10-09 2009-10-09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101337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9/074375 WO2011041930A1 (zh) 2009-10-09 2009-10-09 基站、多天线通信系统及其中使用的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97A true KR20120081197A (ko) 2012-07-18
KR101337056B1 KR101337056B1 (ko) 2013-12-05

Family

ID=4385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985A KR101337056B1 (ko) 2009-10-09 2009-10-09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72549B2 (ko)
EP (1) EP2487987A1 (ko)
JP (1) JP5494809B2 (ko)
KR (1) KR101337056B1 (ko)
CN (1) CN102577582B (ko)
TW (1) TW201130366A (ko)
WO (1) WO2011041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8658A (zh) * 2010-02-10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分层映射的速率匹配权值校正方法和装置
WO2012157876A2 (ko) * 2011-05-13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521208B (zh) 2012-08-23 2017-11-10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发送装置、接收装置及数字传输方法
CN104321992B (zh) * 2013-03-29 2017-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EP3024190B1 (en) * 2013-07-18 2019-05-01 LG Electronics Inc. Robust symbo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hierarchical modul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20150117866A1 (en) * 2013-10-31 2015-04-30 Zte Corporation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symbol mapping
US20150139293A1 (en) * 2013-11-18 2015-05-21 Wi-Lan Labs, Inc. Hierarchical modulation for multiple streams
MY193241A (en) 2013-12-05 2022-09-27 Huawei Tech Co Ltd Enhanced wireless coverage and reduced battery power consumption
US9973369B2 (en) * 2014-03-13 201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kelihood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GB2524726B (en) * 2014-03-25 2018-05-23 Canon Kk Image data encapsulation with tile support
US11271703B2 (en) * 2014-05-02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mproving control channel capacity
US9942013B2 (en) 2014-05-07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CN105471543B (zh) * 2014-08-01 2020-08-14 株式会社Ntt都科摩 发送装置和发送方法
US9866364B2 (en) * 2014-08-29 2018-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mi-orthogonal multiple access
WO2016029442A1 (zh) * 2014-08-29 2016-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US10312950B2 (en) * 2014-10-03 2019-06-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interleaving and modulation
EP3267753B1 (en) * 2015-04-22 2020-0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multiple users in mimo system
CN106470178B (zh) * 2015-08-11 2019-08-23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多用户mimo发射系统
CN106452664B (zh) * 2015-08-11 2019-08-27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多用户mimo发射方法
CN106612138A (zh) * 2015-10-22 2017-05-03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多用户数据传输方法
CN106612433B (zh) * 2015-10-22 2019-11-26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一种层析式编码译码方法
WO2017213564A1 (en) * 2016-06-09 2017-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modulation and coding suitable for broadcasting using hierarchical modulation and unequal error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404A (ko) * 2003-08-20 2006-07-12 톰슨 라이센싱 방사 배열을 사용하여 계층 변조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316900C1 (ru) * 2003-09-25 2008-02-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Иерархическое кодировани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ножества антенн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US8223853B2 (en) * 2005-01-11 2012-07-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 in a layered modulation system
US20090222855A1 (en) 2005-05-24 2009-09-03 Jani Vare Method and apparatuses for hierarchical transmission/reception in digital broadcast
WO2007124566A1 (en) * 2006-04-28 2007-11-08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7986746B2 (en) 2006-12-30 2011-07-26 Nortel Networks Limited Content differentiated hierarchical modulation used i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CN101296016A (zh) 2007-04-27 2008-10-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WiMax&WiBro中继系统中多播数据的传输方法
KR101107940B1 (ko) * 2007-06-08 2012-01-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에서 통신 채널들을 위한 계층적 변조
CN101886925B (zh) 2010-05-27 2012-06-27 北京大学 基于载波调制的多波长干涉式光纤陀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7800A (ja) 2013-03-04
CN102577582A (zh) 2012-07-11
EP2487987A1 (en) 2012-08-15
KR101337056B1 (ko) 2013-12-05
TW201130366A (en) 2011-09-01
JP5494809B2 (ja) 2014-05-21
US8472549B2 (en) 2013-06-25
US20120189082A1 (en) 2012-07-26
CN102577582B (zh) 2015-01-28
WO2011041930A1 (zh)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056B1 (ko) 기지국, 멀티안테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102274595B1 (ko) 중첩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287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SI-RS and data using partial muting of CSI-RS
CN107710842B (zh) 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设备
JP5316547B2 (ja) 装置
WO2016038960A1 (ja) 基地局、ユーザ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7104776B (zh) 用于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接收器和发送器
CN105144817A (zh) 用于解调参考信号选择的系统和方法
CN106464322A (zh) 网络辅助小区内干扰消除以及抑制的信令
WO20120469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debook subset restriction bitmap
EP28422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ng a signal in a multi user mimo-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05723623A (zh) 具有网络协助的干扰消除/抑制方法
US20160036619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CN107241922A (zh) 用于多用户叠加传输方案的调制以及解调
KR201100935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특정한 dmrs 안테나 포트를 지시하는 방법
CN107210833A (zh) 用于多用户多入/多出(mimo)通信的干扰消除和抑制
US20120281779A1 (en) Methods and entities for modulation symbol transport
CN102960017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及通信方法
JP5950029B2 (ja) 移動局、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4096745A (ja) 最大尤度事後確率検出器
JP5524962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160148B1 (ko) 다중 안테나기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20257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hannel using diversity
CN105917713B (zh) 信道估计方法、通信节点及通信系统
WO2016101601A1 (zh) 多天线下行数据传输方法及设备、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