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949A -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949A
KR20120080949A KR1020110002434A KR20110002434A KR20120080949A KR 20120080949 A KR20120080949 A KR 20120080949A KR 1020110002434 A KR1020110002434 A KR 1020110002434A KR 20110002434 A KR20110002434 A KR 20110002434A KR 20120080949 A KR20120080949 A KR 2012008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assage
heat exchanger
compressor
refrigeran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229B1 (ko
Inventor
이원석
김철민
최이철
임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1000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2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7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n expansion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25B2313/023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during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wo three-wa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상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제1냉매유로를 통해 공급받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냉매유로를 통해 공급받는 증발기기 제1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2냉매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 또는 상기 증발기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절환되는 제1삼방밸브와,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친 냉매를 상기 제2냉매유로로 유입시키는 제3냉매유로와, 상기 제2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유입시키는 제4냉매유로와, 상기 제3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된 냉매를 상기 제4냉매유로로 합류시키는 제5냉매유로와, 상기 제3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5냉매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팽창밸브 또는 상기 제5냉매유로로 유입되게 하도록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제2삼방밸브와, 상기 제5냉매유로가 상기 제4냉매유로에 합류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2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1삼방밸브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제습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삼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응축되면서 실내에 온풍을 제공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는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기는 난방 시, 수열원 방식의 히트펌프 시스템 적용으로 엔진룸에 배치되는 응축기 착상 발생 문제가 없어 일정한 난방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 및 난방 운전이 동시에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 차량에 있어 실내난방을 위한 난방시스템은 냉방시스템과는 별도의 루프로 구성,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서 난방열원으로 사용하던 엔진 폐열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부족하게 되었다. 이에 새로운 난방시스템으로 기존 냉난방시스템에 있어 냉매 흐름을 역으로 하여 난방을 실시할 수 있는 히트펌프 방식의 공조시스템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가열식 히트펌프 시스템은 겨울철 외기 기온이 낮을 때 난방을 위해 외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실외열교환기의 표면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0℃보다 낮은 온도로 동결되어 착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착상 발생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 저하에 따른 난방성능이 저하되어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을 위하여 냉방운전을 수행할 경우, 실내로 찬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승객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습 및 난방 운전이 동시에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상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제1냉매유로를 통해 공급받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냉매유로를 통해 공급받는 증발기기 제1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2냉매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 또는 상기 증발기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절환되는 제1삼방밸브와,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친 냉매를 상기 제2냉매유로로 유입시키는 제3냉매유로와, 상기 제2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유입시키는 제4냉매유로와, 상기 제3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된 냉매를 상기 제4냉매유로로 합류시키는 제5냉매유로와, 상기 제3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5냉매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팽창밸브 또는 상기 제5냉매유로로 유입되게 하도록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제2삼방밸브와, 상기 제5냉매유로가 상기 제4냉매유로에 합류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2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1삼방밸브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제습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삼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응축되면서 실내에 온풍을 제공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는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제1삼방밸브 이전에서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된 후 다시 상기 제1냉매유로와 연결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 상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입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를 거치게 하거나 거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제3삼방밸브를 더 포함하고, 냉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1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상기 증발기를 거쳐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에는 엔진 또는 전기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수 순환 유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 유로 상에는 상기 냉각수를 외부 유입 공기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제5냉매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라디에이터를 거친 냉각수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가열 열교환기 및 상기 제5냉매유로 상에 상기 가열 열교환기와 상기 제2삼방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2팽창밸브를 더 포함하고, 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유입되어 응축되고,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2팽창밸브에서 팽창하고 상기 가열 열교환기에서 증발한 후,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난방운전 시,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로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2삼방밸브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제5냉매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5냉매유로와 상기 제4냉매유로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는 제4삼방밸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4삼방밸브는 상기 제5냉매유로가 상기 압축기와 연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첫째, 제습난방 운전 시, 자동차 실내에 지속적인 난방 공급이 가능하고,
둘째, 제습난방 및 난방운전 시 응축기에 착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며,
셋째, 기존의 자동차 쿨링모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습난방 운전 시 개략적인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냉방운전 시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난방운전 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이하, "공조기"라 함)(100)의 제습난방 운전 시 개략적인 흐름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공조기(100)의 냉방운전 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공조기(100)의 난방운전 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조기(100)는 자동차에 배치되는 압축기(110)와, 증발기(130)와, 실내열교환기(120)와, 제1 내지 제5냉매유로((140, 150, 160, 170, 180)와, 제1 및 제2삼방밸브(141, 161)와, 제1팽창밸브(15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동차는 일반적인 가솔린 엔진 차량 및 디젤 엔진 자동차가 아닌,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유로(140)는 상기 압축기(11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를 연결하고, 상기 제2냉매유로(150)는 상기 제1냉매유로(14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증발기(130)를 연결하며, 상기 제3냉매유로(16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0)와 상기 제2냉매유로(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4냉매유로(170)는 상기 증발기(13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로 공급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5냉매유로(180)는 상기 제3냉매유로(160)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4냉매유로(170) 상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냉매유로(140) 상에서 상기 제1냉매유로(140)와 상기 제2냉매유로(150)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냉매가 상기 제1냉매유로(140)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제2냉매유로(150)를 통해 상기 증발기(130)로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삼방밸브(1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삼방밸브(141)는 제습난방 및 난방운전 시 상기 제1냉매유로(140)를 개방하여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 공급되도록 조절하고, 냉방운전 시 상기 제2냉매유로(150)를 개방하여 냉매가 상기 증발기(130)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제3냉매유로(160) 상에서 상기 제3냉매유로(160)와 상기 제5냉매유로(180)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냉매가 상기 제3냉매유로(160)를 통해 상기 제2냉매유로(150)로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제5냉매유로(180)를 통해 상기 제4냉매유로(170)로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삼방밸브(16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삼방밸브(161)는 제습난방 운전 시 냉매가 상기 제3냉매유로(160)를 통해 상기 제2냉매유로(150)로 공급되도록 조절하고, 난방운전 시 상기 제5냉매유로(180)를 통해 상기 제4냉매유로(170)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제1냉매유로(140) 상에는 상기 제1냉매유로(140)로부터 분기되어 다시 상기 제1냉매유로(140)와 병합되도록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 유로(190)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190) 상에 마련되는 응축기(193)와, 상기 제1냉매유로(140)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190)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140) 또는 바이패스 유로(19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조절하는 상기 제3삼방밸브(19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삼방밸브(191)는 냉방운전 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190)를 개방하여 상기 응축기(193)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조절되고, 제습난방 및 난방운전 시 상기 제1냉매유로(140)를 개방하여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제4냉매유로(170) 상에는 상기 제2삼방밸브(161)로부터 상기 제5냉매유로(180)를 통해 냉매를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130)로부터 상기 제4냉매유로(170)를 통해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상기 제4삼방밸브(171)가 마련된다.
상기 제4삼방밸브(171)는 제습난방 및 냉방운전 시 상기 제4냉매유로(170)를 통해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로 공급되도록 조절하고, 난방운전 시 상기 제5냉매유로(180)를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로 공급되도록 냉매의 유동 경로를 조절한다.
상기 제1팽창밸브(151)는 상기 제2냉매유로(15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 및 상기 제3냉매유로(160)를 통해 공급되는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팽창시킨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30)를 통해 냉방이 필요한 제습난방 및 냉방운전 시 가동된다.
상기 응축기(193)에는 엔진 또는 전기모듈 등의 구동부(M)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순환유로(10)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10)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R)와, 상기 라디에이터(R)를 냉각시키는 냉각팬(F)이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100)은 상기 응축기(193)와, 상기 라디에이터(R)와, 상기 냉각팬(F)을 이용하는 기존의 자동차용 쿨링모듈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10) 상에서 상기 라디에이터(R)와 상기 구동부(M) 사이에 가열 열교환기(C)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 열교환기(C)는 상기 제5냉매유로(180)를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라디에이터(R)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5냉매유로(180) 상에는 제2팽창밸브(181)가 배치된다. 상기 제2팽창밸브(181)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공급받아 저온의 냉매로 팽창시킨다. 따라서 상기 난방이 필요한 난방운전 시 상기 가열 열교환기(C)에서는 냉매와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냉매가 증발됨과 동시에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기(100)의 작동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습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로(140)를 통해 상기 제1삼방밸브(141)를 거쳐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 유입되어 응축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160)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2삼방밸브(161)를 거쳐 상기 제1팽창밸브(151)로 공급된다. 상기 제1팽창밸브(151)에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130)로 유입되어 증발하고, 상기 증발기(130)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상기 제4냉매유로(170)를 통해 상기 압축기(110)로 회수된다. 이때 상기 제4냉매유로(170) 상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A)가 마련된다.
이때 송풍팬(20)이 외부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증발기(130)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를 지나는데, 상기 증발기(130)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난방된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난방이 이루어진다.
제습난방 운전 시, 냉각수는 상기 라디에이터(R)에서 냉각되어 상기 가열 열교환기(C)로 공급되고, 상기 구동부(M)를 거쳐 상기 라디에이터(R)로 회수되도록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10)를 순환한다. 이때 상기 제5냉매유로(180)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열 열교환기(C)에서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은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냉방운전 시,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로(140)를 통해 상기 제3삼방밸브(191)를 거쳐, 상기 바이패스 유로(190)로 공급된다. 이때 냉매는 상기 응축기(193)에서 응축된 후, 상기 제1냉매유로(140)로 다시 유입되어 상기 제1삼방밸브(141)를 거치고 상기 제1팽창밸브(151)에서 팽창하고, 상기 증발기(130)에서 증발한다. 이때 상기 송풍팬(20)이 외부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증발기(130)를 지나면서 자동차 실내에 냉방을 공급하고, 냉매는 상기 제4냉매유로(170)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압축기(110)로 회수된다.
냉방 운전 시, 냉각수는 상기 라디에이터(R)에서 냉각되어 상기 가열 열교환기(C)로 공급되고, 상기 구동부(M)를 거쳐 상기 라디에이터(R)로 회수되도록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10)를 순환한다. 이때 상기 제5냉매유로(180)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열 열교환기(C)에서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은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난방운전 시,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로(140)를 통해 상기 제1삼방밸브(141)를 거쳐 상기 실내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차량의 실내에 난방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20)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160)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2삼방밸브(161)를 거쳐 상기 제5냉매유로(180)로 공급되고, 상기 제2팽창밸브(181)에서 팽창된다. 상기 팽창된 저온의 냉매가 상기 가열 열교환기(C)의 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증발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 열교환기(C)를 통해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4삼방밸브(171)를 거쳐 상기 압축기(110)로 회수된다. 상기 가열 열교환기(C)에서 열교환을 마친 냉각수는 냉각되어 상기 구동부(M)로 유입된다.
난방운전 또는 제습난방 운전 시, 상기 응축기(193)로 냉매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응축기(193)에서의 착상이 원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기조화기 110 : 압축기
120 : 실내열교환기 130 : 증발기
140 : 제1냉매유로 141 : 제1삼방밸브
150 : 제2냉매유로 151 : 제1팽창밸브
160 : 제3냉매유로 161 : 제2삼방밸브
170 : 제4냉매유로 171 : 제4삼방밸브
180 : 제5냉매유로 181 : 제2팽창밸브
190 : 바이패스 유로 191 : 제3삼방밸브
193 : 응축기 10 : 냉각수 순환유로
20 : 송풍기 R : 라디에이터
F : 냉각팬 C : 가열 열교환기
M : 구동부 A : 어큐뮬레이터

Claims (5)

  1.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제1냉매유로를 통해 공급받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냉매유로를 통해 공급받는 증발기
    상기 제1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2냉매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 또는 상기 증발기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절환되는 제1삼방밸브;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친 냉매를 상기 제2냉매유로로 유입시키는 제3냉매유로;
    상기 제2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유입시키는 제4냉매유로;
    상기 제3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된 냉매를 상기 제4냉매유로로 합류시키는 제5냉매유로;
    상기 제3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5냉매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팽창밸브 또는 상기 제5냉매유로로 유입되게 하도록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제2삼방밸브;
    상기 제5냉매유로가 상기 제4냉매유로에 합류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2냉매유로 상에서 상기 제1삼방밸브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제습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삼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응축되면서 실내에 온풍을 제공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1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는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삼방밸브 이전에서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분기된 후 다시 상기 제1냉매유로와 연결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 상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입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제1냉매유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를 거치게 하거나 거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제3삼방밸브를 더 포함하고,
    냉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1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상기 증발기를 거쳐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는 엔진 또는 전기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수 순환 유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 유로 상에는 상기 냉각수를 외부 유입 공기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제5냉매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라디에이터를 거친 냉각수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가열 열교환기; 및
    상기 제5냉매유로 상에 상기 가열 열교환기와 상기 제2삼방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2팽창밸브를 더 포함하고,
    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1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유입되어 응축되고,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2팽창밸브에서 팽창하고 상기 가열 열교환기에서 증발한 후,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난방운전 시,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3냉매유로로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2삼방밸브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제5냉매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5냉매유로와 상기 제4냉매유로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는 제4삼방밸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4삼방밸브는 상기 제5냉매유로가 상기 압축기와 연통하도록 조절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20110002434A 2011-01-10 2011-01-10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4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34A KR101746229B1 (ko) 2011-01-10 2011-01-10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34A KR101746229B1 (ko) 2011-01-10 2011-01-10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49A true KR20120080949A (ko) 2012-07-18
KR101746229B1 KR101746229B1 (ko) 2017-06-27

Family

ID=4671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434A KR101746229B1 (ko) 2011-01-10 2011-01-10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4087A1 (en) * 2021-01-04 2022-07-07 Lg Electronics Inc. Thermo-hygrostat air conditioner using heat pu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mo-hygrostat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517A (ja) * 2008-05-13 2009-11-26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4087A1 (en) * 2021-01-04 2022-07-07 Lg Electronics Inc. Thermo-hygrostat air conditioner using heat pu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mo-hygrostat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229B1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383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2679477B (zh) 车用热泵系统
KR10205811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604731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9501068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166982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WO2014136423A1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構成ユニット
KR102091809B1 (ko) 자동차용 히트펌프
KR20210013241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39165B1 (ko) 자동차용 히트펌프
KR20140126846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11762B1 (ko) 자동차용 히트펌프
KR102111322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70087077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495460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20140023733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200418216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03143B1 (ko) 자동차용 히트펌프
JP631522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構成ユニット
WO2023160198A1 (zh) 汽车热管理系统及新能源汽车
KR100954015B1 (ko) 버스용 천정형 공기조화장치
KR101735115B1 (ko)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US20230020602A1 (en) Vehicular heat management system
JP201001282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126905A (ko)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