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089A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089A
KR20120080089A KR1020110001545A KR20110001545A KR20120080089A KR 20120080089 A KR20120080089 A KR 20120080089A KR 1020110001545 A KR1020110001545 A KR 1020110001545A KR 20110001545 A KR20110001545 A KR 20110001545A KR 20120080089 A KR20120080089 A KR 2012008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munication
electrical appliance
sig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689B1 (ko
Inventor
이훈봉
김양환
박형준
강성환
전찬성
김무승
최종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689B1/ko
Priority to EP19177804.2A priority patent/EP3554003B1/en
Priority to EP12732327.7A priority patent/EP2663020B1/en
Priority to US13/978,472 priority patent/US9219763B2/en
Priority to PCT/KR2012/000129 priority patent/WO2012093874A2/ko
Publication of KR2012008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고유코드를 가지는 전기제품;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정보를 교환하며, 제 2 고유코드를 가지는 외부 컴포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퍼넌트에 통신 연결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이 입력된 컴포넌트로부터 연결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연결신호를 발생한 일 컴포넌트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한 타 컴포넌트간에, 통신 주소 및 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전기제품 내의 인터페이스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터 컴포넌트; 및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수신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기제품에 접근하여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즉 가정 내 또는 가정 외에서 제어할 수 있기를 바라는 소비자의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전기제품의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고유코드를 가지는 전기제품;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정보를 교환하며, 제 2 고유코드를 가지는 외부 컴포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퍼넌트에 통신 연결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이 입력된 컴포넌트로부터 연결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연결신호를 발생한 일 컴포넌트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한 타 컴포넌트간에, 통신 주소 및 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전기제품 내의 인터페이스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터 컴포넌트; 및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수신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포함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연결 과정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통신부간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 자체 또는 전기제품과 제어장치간에 통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통신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타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어장치(200)가 포함된다.
도면에는, 상기 전기제품(100)과 제어장치(200)가 통신연결 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전기제품(100)은 전기제품(1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200)와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일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점에서, "외부 컴퍼넌트"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기제품(100)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장치(Remote controller)가 포함된다.
도면에는, 전기제품의 일례로서 세탁기가 도시된다. 그러나, 전기제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세탁기외에 냉장고, 조리기기, 건조기, 에어컨, 청소기 또는 정수기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상기 제어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11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위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부(13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장치(200)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전기제품(100)의 내부 정보를 외부(일례로, 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품 제어부(150) 사이에는,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170)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210)와, 상기 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상기 제어장치(200)에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 2 입력부(230)와, 상기 제어장치(200) 또는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200)의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 2 통신부(210)의 사이에는, 통신을 위한 제 1 인터페이스(300)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제어장치(200) 또는 전기제품(1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력부(23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보에는, 상기 제어장치(200) 자체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 1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기능 수행 또는 작동을 위한 제 2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통신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일례로, 제 1 컴포넌트와 제 2 컴포넌트간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제 2 컴포넌트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제어 대상, 일례로 전기제품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에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자체 고유코드(device code, 제 1 고유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IP(통신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코드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제조 당시, 설치 또는 판매시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문자)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자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IP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와의 통신을 위하여 고정 IP 또는 변동(유동) IP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P는 통신 방법에 따라, 별도의 AP(Access point)를 통하여 할당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자체 설정에 의하여 할당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 방법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가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제 2 컴포넌트에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자체 고유코드(device code, 제 2 고유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제 2 통신부(210)의 IP가 할당될 수 있다(S1,S2).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제 2 컴포넌트간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에는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장치로서 규정되는 제 1 컴포넌트에 소정 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소정 명령은,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정보를 실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정보는 특정 프로그램(일례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다.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컴포넌트 즉, 상기 제어장치(200)의 메모리부(2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S3).
상기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에는 제 2 컴포넌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신호(Connection Sequence)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연결신호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에 수신될 수 있다(S4).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정보와 제 2 컴포넌트의 정보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의 상호 교환되는 정보에는, 각 컴포넌트의 상기 IP 주소 및 자체 코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가 상대 컴포넌트(장치)를 인식 또는 검색하여 직접 교환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서버(Server)를 경유하여 교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S5).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의 정보가 상호 교환됨으로써, 상기 제 1,2 컴포넌트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컴포넌트가 통신 연결되면, 그들간에 정보(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S6).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0)에는, 외부 특히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10) 및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대하여 소정 정보(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마스터 컴포넌트(Master Component)이며,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Slave Component)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장착여부 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통신 가능상태(Live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의 통신 가능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관한 유용한 정보(일례로, 작동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용 신호(Dummy fram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례로, 1초를 주기로 하여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품 제어부(150)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수신 확인신호 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보유 또는 저장하고 있는 외부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확인신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신호이며,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외의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일례로, 제어장치(200), 상기 전기제품(100)과 제어장치(200)에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제어장치(200)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등)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부터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외부 데이터 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다음 번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외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품 데이터(내부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한다.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기능, 상태값 또는 작동정보에 관한 유용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마스터 컴포넌트이고,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인 경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되면(S11), 마스터 컴포넌트(150)에서는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슬레이브 컴포넌트(110)에 전달된다(S12).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13), 전송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로부터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로 상기 외부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한다(S14).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15), 수신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에 응답하는 제품 데이터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로 전송된다(S16).
반면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미수신 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통신불능으로 인식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시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0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외부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통신 가능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했음에도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 불능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에 "통신불능 상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로부터 마스터 컴포넌트(150)로 외부 데이터 전송을 시도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불능 상태가 상기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전달되는 외부 데이터 신호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며, 상기 통신불능 상태가 상기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S17,S18).
한편, S13 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는 수신확인 신호를 발생시킨다(S19).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20),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미수신 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통신불능으로 인식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원용한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마스터 컴포넌트와 슬레이브 컴포넌트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10) 및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대하여 소정 정보(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마스터 컴포넌트(Master Component)이며,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Slave Component)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의 통신 가능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외부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필요에 따라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수신 확인신호 또는 제품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바로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부터 수신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외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품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외부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제품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전기제품(100)이 외부 컴포넌트로 먼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외부 컴포넌트는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마스터 컴포넌트이고,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인 경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되면(S31), 마스터 컴포넌트(110)에서는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 전달된다(S32).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서,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가 발생된다(S33).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34),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될 수 있다(S40). 그리고, 통신불능 상태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S41).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수신되었으면, 통신가능 상태로 인식된다(S35).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36), 상기 외부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외부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한다(S37).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38), 수신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에 응답하는 제품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로 전송된다(S39).
반면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되며, 통신불능 상태가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7에서는,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가 바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로부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전송시도 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었으면, 우선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가 수신확인 신호를 응답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전송시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110)에는, 복수의 통신모듈(113,115)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포트(111,115)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113,115)에는, 제 1 통신모듈(113) 및 제 2 통신모듈(117)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포트(111,115)에는, 상기 제 1 통신모듈(113) 및 제 2 통신모듈(117)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통신포트(111) 및 제 2 통신포트(115)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Zigbee Modem이고,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와이파이 모뎀(또는 USB)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외부 전력정보를 수신하며, 전기제품(100)의 전력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전력정보에는, 공급되는 에너지(전기,가스, 물) 요금, 에너지량 또는 에너지 품질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전력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사용 에너지량 또는 사용 에너지 요금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예를 들어 제어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이 USB 일 경우, 상기 USB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외부 컴포넌트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는 소정 서버(일례로, 웹 서버)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제품(100)에 결합되어 소프트웨어를 상기 전기제품(1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USB는 통신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와이파이 모뎀이고,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USB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상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및 설치등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0)에는, 복수의 통신 제어부(182,184)를 구비하는 제 1 통신부(110) 및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 제어부(182,184)에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 제어부(182) 및 외부 컴포넌트(일례로,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 제어부(18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통신 제어부(182,184) 각각에는, Host CPU가 내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통신 제어부(182)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70)에서 규정되는 통신 제어부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통신 제어부(184)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00)에서 규정되는 통신 제어부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통신 제어부(182,184)를 가지는 제 1 통신부(110)는, 듀어 코어(Dual Core) 타입의 모뎀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통신부(110) 내에 복수의 코어(즉, 통신 제어부)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게 되므로, 통신 속도가 빠르고 통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10 : 네트워크 시스템 100 : 전기제품
110 : 제 1 통신부 120,2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 1 입력부 140, 240 : 메모리부
150 : 제품 제어부 170 : 제 2 인터페이스
182 : 제 1 통신 제어부 184 : 제 2 통신 제어부
200 : 제어장치 230 : 제 2 입력부
250 : 제어부 300 : 제 1 인터페이스

Claims (18)

  1.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고유코드를 가지는 전기제품;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정보를 교환하며, 제 2 고유코드를 가지는 외부 컴포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퍼넌트에 통신 연결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이 입력된 컴포넌트로부터 연결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연결신호를 발생한 일 컴포넌트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한 타 컴포넌트간에, 통신 주소 및 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전기제품 내의 인터페이스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터 컴포넌트; 및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수신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제품 제어부이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된 외부 데이터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한 대응신호로서 상기 외부 데이터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통신부이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제품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데이터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 받으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상기 외부 데이터에 대한 대응신호로서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데이터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한 때 발생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수신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외부 컴퍼넌트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외부 컴퍼넌트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0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불능 상태는, 상기 전기제품에 디스플레이 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통신포트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에는,
    Zigbee Modem이 포함되며, 와이파이 모뎀 및 USB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에는,
    적어도 와이파이 모뎀 및 USB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 또는 슬레이브 컴포넌트 중 하나는 통신부이며,
    상기 통신부에는,
    전기제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 제어부; 및
    상기 외부 컴퍼넌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 제어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 및 슬레이브 컴포넌트 중 어느 하나에는,
    듀어 코어 모뎀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10001545A 2011-01-06 2011-01-06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3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45A KR101738689B1 (ko) 2011-01-06 2011-01-06 네트워크 시스템
EP19177804.2A EP3554003B1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EP12732327.7A EP2663020B1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US13/978,472 US9219763B2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PCT/KR2012/000129 WO2012093874A2 (ko) 2011-01-06 2012-01-05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45A KR101738689B1 (ko) 2011-01-06 2011-01-06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89A true KR20120080089A (ko) 2012-07-16
KR101738689B1 KR101738689B1 (ko) 2017-05-22

Family

ID=4671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545A KR101738689B1 (ko) 2011-01-06 2011-01-06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122A1 (ko) * 2013-08-14 2015-02-19 어니컴 주식회사 앱테스트시스템 및 앱테스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719A1 (en) * 2004-08-30 2006-03-02 Holtschneider Davi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nec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KR100950491B1 (ko) * 2006-08-03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 이를 갖는 네트워크프린터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JP2008124862A (ja) * 2006-11-14 2008-05-29 Funai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122A1 (ko) * 2013-08-14 2015-02-19 어니컴 주식회사 앱테스트시스템 및 앱테스트방법
KR101522307B1 (ko) * 2013-08-14 2015-05-21 어니컴 주식회사 앱테스트시스템 및 앱테스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689B1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211B1 (ko)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10179502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1003A (ko) 세탁기
JP2004135351A (ja) 乱数発生型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10026834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JP6171173B2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CN105791067A (zh) 智能家居系统
KR100442281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57487A (ko)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US9219763B2 (en) Network system
KR1017386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TWI520638B (zh) Connection method of wireless control system
KR20120027687A (ko) WⅰBro 망을 통해 시리얼 통신 에뮬레이션을 지원하는 M2M 모듈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00590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KR101452692B1 (ko) Iot기반 조립형 종단 단말장치
KR10175106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AU2018252445B2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connection test run method therefor
KR101892757B1 (ko) 전기제품
KR1018779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바인딩 방법
JP4162236B2 (ja) 熱源機通信システム
KR101906603B1 (ko) 전기제품
KR102107063B1 (ko) 전기제품 및 전기제품의 통신연결방법
KR102076273B1 (ko) 전기제품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836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119526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