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603B1 - 전기제품 - Google Patents

전기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603B1
KR101906603B1 KR1020120096753A KR20120096753A KR101906603B1 KR 101906603 B1 KR101906603 B1 KR 101906603B1 KR 1020120096753 A KR1020120096753 A KR 1020120096753A KR 20120096753 A KR20120096753 A KR 20120096753A KR 101906603 B1 KR101906603 B1 KR 10190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ergy information
power information
energy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064A (ko
Inventor
안창한
전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603B1/ko
Priority to US13/972,047 priority patent/US20140067136A1/en
Priority to CN201610080073.5A priority patent/CN105681098B/zh
Priority to CN201310384398.9A priority patent/CN103676824B/zh
Publication of KR2014002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064A/ko
Priority to US15/276,369 priority patent/US104166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02J13/00009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using pulsed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전력요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전력정보를 외부 컴포넌트에 요청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전력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전력정보 중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제외한 제 2 전력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전기제품 {A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전기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에, 상기 전기제품은 일정한 전력정보를 가지는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되었다. 일례로,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요금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너지 절감정책과 연동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정보를 가지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상기 변동하는 전력 정보를 기초로 전기제품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터넷등을 통하여 전력 정보를 별도로 확인하여야 하고,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전기제품의 작동시간 또는 작동코스를 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는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전력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많은데, 상기 전력 정보는 미리 결정된 주기, 일례로 일일, 주간 또는 월간별로만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전기제품의 구동방식(시간, 코스등)을 일일이 계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주기별로 제공되는 작동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전기제품의 작동 시작시간, 작동 종료시간 또는 작동 코스등을 직관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정보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는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전력요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전력정보를 외부 컴포넌트에 요청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전력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전력정보 중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제외한 제 2 전력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제품은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전력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은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와, 현재시간 이후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정보를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이 현재시간에 작동하는 것이 유리한지 여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시간의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제품의 전원이 ON 되고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 연결되면,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전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전력정보를 전기제품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은 전력정보가 변경되는 시간 전후에 전력정보를 다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기존에 저장된 전력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므로, 전력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한 후, 제 2 전력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때 제 1 전력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상기 제 1 전력정보의 변경여부가 확인될 수 있으므로, 제 1 전력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통신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전력정보가 송수신된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전력정보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력정보의 요청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전력정보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타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외부 컴포넌트(200)가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전기제품의 기능수행을 위하여 구동되는 구동부(17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17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에 관한 정보에는, 에너지 요금과 관련한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 요금과 관련한 정보에는, 전력요금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7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과정에서 상기 전력요금이 저감될 수 있는 시간 또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는, 외부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기제품(100)에 제공하는 컴포넌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에너지원은 에너지발생부(전력회사), 에너지분배부(전력분배회사) 및 에너지저장부(에너지저장/공급회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컴포넌트에는, 전기제품의 전기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전기제품 또는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또는 상기 전기제품의 절전구동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전기제품의 일례로서 세탁기가 도시된다. 그러나, 전기제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세탁기외에 냉장고, 조리기기, 건조기, 에어컨, 청소기 또는 정수기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11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위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부(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 또는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에너지에 관한 정보(이하, 에너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부(15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정보는 전력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너지가 전력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전면 패널(105) 내측에 "통신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내부에 내장되지 않고,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전기제품(100)의 내부 정보를 외부(일례로, 외부 컴포넌트(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는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모듈로서 제공되었을 때 통신모듈 내에 배치되는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품 제어부(150) 사이에는,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170)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210)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 및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 2 입력부(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전력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 2 통신부(210)의 사이에는, 통신을 위한 제 1 인터페이스(300)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제공되는 전력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으로 공급되는 전력에 관한 제 1 정보 및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또는 전력사용량에 관한 제 2 정보가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통신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일례로, 제 1 컴포넌트와 제 2 컴포넌트간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전기제품(100)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컴포넌트는 외부 컴포넌트(20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에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자체 고유코드(device code, 제 1 고유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IP(통신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코드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제조 당시, 설치 또는 판매시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문자)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자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IP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와의 통신을 위하여 고정 IP 또는 변동(유동) IP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P는 통신 방법에 따라, 별도의 AP(Access point)를 통하여 할당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자체 설정에 의하여 할당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 방법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가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제 2 컴포넌트에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자체 고유코드(device code, 제 2 고유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제 2 통신부(210)의 IP가 할당될 수 있다(S11,S12).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제 2 컴포넌트간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에는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컴포넌트에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명령은, 미리 설정된 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된 후 자동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에는 제 2 컴포넌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신호(Connection Sequence)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연결신호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에 수신될 수 있다(S14).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정보와 제 2 컴포넌트의 정보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의 상호 교환되는 정보에는, 각 컴포넌트의 상기 IP 주소 및 자체 코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가 상대 컴포넌트(장치)를 인식 또는 검색하여 직접 교환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서버(Server)를 경유하여 교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S15).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의 정보가 상호 교환됨으로써, 상기 제 1,2 컴포넌트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컴포넌트가 통신 연결되면, 그들간에 정보(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S16).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전력정보가 송수신된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에서 설명한 제 1,2 컴포넌트간의 통신연결이 완료되면(S21), 상기 제 1,2 컴포넌트간에 시간 동기화 과정이 수행된다. 시간 동기화 과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기제품은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의 작동시간 또는 작동방식을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정보에는 시간정보 및 요금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은 요금이 싼 시간구간에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정보에 포함되는 시간정보가,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에도 반영되는 것이 요구되며, 상기 제 1,2 컴포넌트 간에 상기 시간정보를 일치시키는 과정이 "시간 동기화"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시간정보, 즉 전력정보에 포함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시간정보가 다를 경우, 컴포넌트의 작동 제어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전력요금이 비싼 상황하에서,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컴포넌트가 작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컴포넌트로부터 송신된 제 1 시간정보와, 제 1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제 2 시간정보가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시간정보가 상기 제 2 시간정보가 동일하면,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인 것으로 판단 또는 확인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시간정보가 상기 제 2 시간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제 2 시간정보를 상기 제 1 시간정보로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상태 확인 또는 동기화 된 결과신호는 제 2 컴포넌트로 송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컴포넌트의 시간 정보가, 전력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와 동일해짐으로써, 전력 정보에 기초한 컴포넌트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22).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라 함은, 전기제품을 현재 구동시킨다고 가정할 때 적용되는 전력정보로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전기제품을 지금 즉시 구동할 때 발생되는 전력요금에 가장 많은 관심을 두고 있게 되므로,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먼저 요청하게 된다(S23).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는 전력정보 중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로 송신하며,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 잘 수신하였다는 신호로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S24).
상기 제 1 컴포넌트(100)에 수신된 제 1 전력정보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부(140)는 전기제품(100)의 전원 OFF시 저장된 정보가 손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전원이 OFF 되면 손실되며, 이후 상기 전기제품(100)의 전원이 ON 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전력정보를 새로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25).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한 후, 제 2 전력정보를 상기 제 2 컴포넌트(200)에 요청한다. 상기 제 2 전력정보는, 상기 전력정보 중 상기 제 1 전력정보를 제외한 전력정보로서, 현재시간 이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전력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S26).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제 2 전력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컴포넌트(200)에 확인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제 2 전력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S27,S28).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정보가 송수신 되는 과정에서, 이전에 송수신된 제 1 전력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 과정에서, 제 1 전력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전력정보 및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 과정은 다수 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송수신 되어야 하는 전력정보의 용량이 클 경우, 상기 제 1 전력정보 또는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은 다수 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정보의 송수신 완료여부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전력정보 송신완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이 적어도 1회 이상 있은 후, 상기 제 1 컴포넌트(100)에 상기 제 2 컴포넌트(200)의 전력정보 송신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2 컴포넌트간 전력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될 수 있다(S29,S30).
한편, 상기 제 1 전력정보 또는 제 2 전력정보에는, 비용구분 정보(Price ID), 비용이 적용되는 시작시간(Start time) 및 해당 비용의 지속시간(Duration)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용은 전력요금으로 이해된다.
상기 비용구분 정보에는, 제 1 비용, 제 2 비용, 제 3 비용과 같이 비용을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용적용 시작시간은 상기 제 1 비용, 제 2 비용 또는 제 3 비용이 적용되는 시작시점을 나타내며, 상기 비용 지속시간은 상기 제 1 비용, 제 2 비용 또는 제 3 비용이 지속되는 시간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비용은 시작시간(12:00PM) 및 지속시간(3시간 30분)을 가지며, 제 2 비용은 시작시간(15:30PM) 및 지속시간(5시간)을 가지며, 제 3 비용은 시작시간(20:30PM) 및 지속시간(4시간 30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력정보 또는 제 2 전력정보는 테이블화 되어,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전력정보가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달되면, 상기 전기제품(100)은 상기 제 1,2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요금이 저감될 수 있도록 절전구동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절전구동에 관한 일 구동방식을 추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전력정보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 1,2 컴포넌트간 통신연결이 완료되면, 시간 동기화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 제 1 전력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S31~S34).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수신된 제 1 전력정보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기저장된 전력정보를 비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부(140)는 전기제품(100)의 전원 OFF시에도 정보의 저장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컴포넌트(100)의 전원이 ON된 후,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제 1 전력정보를 수신하면, 이전에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었던 전력정보와 제 1 전력정보는 비교될 수 있다(S35).
수신된 제 1 전력정보와 기 저장된 전력정보가 동일하면(S36), 이후의 단계로서,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 제 2 전력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확인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8,S39).
반면에, 수신된 제 1 전력정보와 기 저장된 전력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S36),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상기 수신된 제 1 전력정보가 저장된다. 즉,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전력정보는 상기 제 1 전력정보로 변경 또는 업데이트 된다. 그리고, 상기한 S38,S39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7).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수신된 제 2 전력정보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기저장된 전력정보를 비교한다(S40).
수신된 제 2 전력정보와 기 저장된 전력정보가 동일하면(S41), 이러한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 과정은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전력정보의 송신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이루어지며, 상기 송신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2 컴포넌트(100,200)간 전력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될 수 있다(S43,S44).
반면에, 수신된 제 2 전력정보와 기 저장된 전력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S41),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상기 수신된 제 2 전력정보가 저장된다. 즉,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전력정보는 상기 제 1 전력정보로 변경 또는 업데이트 된다. 그리고, 상기한 S43,S44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2).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력정보의 요청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에는, 시간에 따른 전력정보, 즉 전력비용에 관한 변화추이가 도시된다. 도시된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X축값은 현재시간(T0)를 시점으로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며, Y축값은 전력비용을 나타낸다.
현재시간(T0)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는 비용구분 정보(제 1 비용(P1)), 시작시간(T0) 및 지속시간(T1-T0)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정보 이외의 제 2 전력정보, 즉 현재시간(T0) 이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전력정보에는, 아래의 세부 전력정보 테이블이 포함될 수 있다.
1. 비용구분 정보(제 2 비용(P2)), 시작시간(T1) 및 지속시간(T2-T1).
2. 비용구분 정보(제 3 비용(P3)), 시작시간(T2) 및 지속시간(T3-T2).
3. 비용구분 정보(제 4 비용(P4)), 시작시간(T3) 및 지속시간(T4-T3).
이와 같이, 상기 전력정보에는, 비용이 변화되는 시점이 다수 회 존재한다. 상세히, 비용은 T1,T2,T3에서 변화된다.
공급되는 전력비용이 변화되는 경우, 해당 변화되는 시점(이하, 비용변화 시점)은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컴포넌트, 즉 전기제품(100)은 상기 비용변화 시점에, 상기 제 2 컴포넌트(200)에 전력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제품(100)은 도 6에서 보여지는, (A),(B),(C)의 경계시점에 전력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이 전력정보를 요청하는 시기는, 상기 (A),(B),(C)의 경계시점일 수 있고, 상기 경계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만큼 이전일 수 있고, 상기 경계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만큼 이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기제품(100)은 전력정보에 포함된 비용정보가 변화되는 경계시점, 또는 그 전후에, 전력정보를 다시 요청함으로써, 이전에 저장된 전력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전기제품(100)은 정확한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작동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잘못된 전력정보에 기인하여 원하지 않는 비용구간에서 전기제품을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전력정보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컴포넌트가 전력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세히, 제 1,2 컴포넌트(100,200)의 전원이 ON 되고, 상호 통신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 전력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컴포넌트(200)로부터 전력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전력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컴포넌트(200)에 확인신호를 송신한다(S51~S54).
그리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S55), 상기 제 1 컴포넌트(100)는 상기 제 2 컴포넌트(200)에 전력정보를 재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이 수신된 전력정보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으며,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전력정보를 상기 제 1 컴포넌트(100)의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S56,S57). 반면에, 전력정보에 변경이 없는 경우, S55 이하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전력정보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전력비용, 시작시간 및 지속시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S55 내지 S57의 과정은 상기 제 1 컴포넌트(100) 또는 제 2 컴포넌트(200)의 전원에 대한 OFF 명령이 인식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S58,S59).
이와 같이, 전력정보의 요청 및 수신과정이 설정주기에 따라 수행됨으로써, 전기제품은 주기적으로 정확한 전력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컴포넌트가 제 1 전력정보의 요청 및 수신을 하고, 수신확인 신호가 제 2 컴포넌트로 송신된 이후에, 제 2 전력정보의 요청이 이루어지는 것(순차적 송수신)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 전력정보와 제 2 전력정보는 요청, 수신 및 확인신호 전송과 같은 별도의 프로세스 없이, 제 1 전력정보의 송수신 후에 곧바로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일방적 송수신). 그리고, 제 2 전력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컴포넌트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에 전력정보의 송신완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제 3 실시예는 전력정보 중 비용의 변화가 있는 시점에 전력정보를 요청하고, 제 4 실시예는 주기적으로 전력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전력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 즉 전력비용, 시작시간 또는 지속시간에 변경이 있는 경우, 제 1 컴포넌트의 요청 없이도, 상기 제 2 컴포넌트가 상기 제 1 컴포넌트로 변경된 전력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전기제품 110 : 제 1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 1 입력부
140 : 메모리부 150 : 제품 제어부
200 : 외부 컴포넌트 210 : 제 2 통신부

Claims (17)

  1. 에너지요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너지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에너지정보를 외부 컴포넌트에 요청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에너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에너지정보 중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제 1 에너지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에너지정보를 제외한 제 2 에너지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정보에는, 현재시간(T0)에 대응하는 제 1 전력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에너지정보에는, 현재시간(T0) 이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전력정보에는,
    현재 에너지요금을 의미하는 제 1 비용 정보(P1), 해당 비용이 적용되는 시작시간(T0) 및 해당 비용이 적용되는 지속시간(T1-T0)이 포함되고,
    상기 제 2 전력정보에는,
    제 2 비용 정보(P2), 시작시간(T1) 및 지속시간(T2-T1); 및
    제 3 비용 정보(P3), 시작시간(T2) 및 지속시간(T3-T2)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에너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에너지정보에 포함된 비용 정보가 변화되는 시점에,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 상기 제 2 에너지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이 ON 되었을 때, 상기 에너지정보를 상기 외부 컴포넌트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전기제품이 OFF 되면 상기 에너지정보를 손실하는 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전기제품이 ON 되면, 상기 통신모듈에 수신된 새로운 에너지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전기제품이 OFF 되어도 상기 에너지정보의 저장상태를 유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전기제품이 ON 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에너지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수신된 에너지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통신모듈 내에 배치되는 모듈 메모리이거나, 상기 통신모듈 외에 별도로 제공되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정보와 제 2 에너지정보는 순차적으로 또는 일방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에너지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 1 에너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확인 신호를 상기 외부 컴포넌트에 송신한 후,
    상기 제 2 에너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 2 에너지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송신완료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 2 에너지정보의 수신시 상기 제 1 에너지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상기 제 1 에너지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에너지정보의 일방적 수신과정에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 1 에너지정보 수신후 수신확인 신호의 송신없이, 상기 제 2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에 에너지정보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상기 에너지정보의 변경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통신모듈은,
    별도의 요청없이도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변경된 에너지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는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 에너지량을 파악하고, 에너지에 관한 요금정보를 상기 전기제품에 전달하는 스마트 미터인 전기제품.
KR1020120096753A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KR10190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53A KR101906603B1 (ko)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US13/972,047 US20140067136A1 (en) 2012-08-31 2013-08-21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080073.5A CN105681098B (zh) 2012-08-31 2013-08-29 电器及其控制方法
CN201310384398.9A CN103676824B (zh) 2012-08-31 2013-08-29 电器及其控制方法
US15/276,369 US10416626B2 (en) 2012-08-31 2016-09-2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53A KR101906603B1 (ko)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64A KR20140029064A (ko) 2014-03-10
KR101906603B1 true KR101906603B1 (ko) 2018-10-10

Family

ID=5064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753A KR101906603B1 (ko)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26B1 (ko) 2015-09-02 2019-1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483B1 (en) 1998-01-27 2001-02-06 Johnson Controls, Inc. Real-time pricing controller of an energy storage medium
US20030178894A1 (en) 2002-03-22 2003-09-25 Ghent Bobby A.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appliance
US20080262979A1 (en) * 2007-04-18 2008-10-23 Sempa Power Systems Ltd. Heating facility using time-of-use electric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5370A1 (en) * 2009-10-26 2012-08-23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483B1 (en) 1998-01-27 2001-02-06 Johnson Controls, Inc. Real-time pricing controller of an energy storage medium
US20030178894A1 (en) 2002-03-22 2003-09-25 Ghent Bobby A.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appliance
US20080262979A1 (en) * 2007-04-18 2008-10-23 Sempa Power Systems Ltd. Heating facility using time-of-use electri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64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420B1 (ko) 이동기기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US930335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CN102694870B (zh) 动态分配地址的网关的在线升级方法
KR10179502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58772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US9979201B2 (en) Component for a network system including a power saving function
EP3409823B1 (en) Network system
JP2012238180A (ja) 家電機器の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820963B1 (ko) 컴포넌트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기
KR101906603B1 (ko) 전기제품
US10416626B2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108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KR10174184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2774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EP3554003B1 (en) Network system
KR101727749B1 (ko) 디지털 기기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예약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KR101452692B1 (ko) Iot기반 조립형 종단 단말장치
KR101892756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75106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69865B1 (ko) 전기제품
KR1017386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US20170108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KR102137415B1 (ko)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40029997A (ko) 전기제품
KR20160080200A (ko) 가전제품 및 그의 통신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