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415B1 -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415B1
KR102137415B1 KR1020130066467A KR20130066467A KR102137415B1 KR 102137415 B1 KR102137415 B1 KR 102137415B1 KR 1020130066467 A KR1020130066467 A KR 1020130066467A KR 20130066467 A KR20130066467 A KR 20130066467A KR 102137415 B1 KR102137415 B1 KR 10213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memory
net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477A (ko
Inventor
안창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은,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가지는 통신 모뎀; 및 상기 통신 모뎀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으로서 다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이 저장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의 전기제품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뿐,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
근래에 들어서는, 한국공개문헌 제2012-00670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에 통신수단을 설치하여 전기제품이 다른 제품과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고, 전력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일 예로 상기 전기제품에 설치되는 통신수단은 지그비(ZIGBEE)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지그비 모뎀의 경우, 한 버전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이 업그레이드되는 경우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대상 전기제품의 통신 모뎀의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한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은,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가지는 통신 모뎀; 및 상기 통신 모뎀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으로서 다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이 저장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뎀은, 상기 통신부의 통신 프로토콜과 다른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통신부를 위한 응용 프로토콜은 상기 추가적인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지그비 모뎀이고, 상기 추가적인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뎀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은, 통신부가 온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조인이 성공하는 경우 네크워크 조인 과정을 완료하고, 상기 네트워크 조인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 조인 실패 횟수가 일정 회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 조인 실패 횟수가 일정 회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와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추가적인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에 사용될 응용 프로토콜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지그비 모뎀이고, 상기 추가적인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뎀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은,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가지는 통신 모뎀; 및 상기 통신 모뎀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1통신부와 다른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으로서 다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이 저장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제1통신부를 위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은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은, 제1통신부가 온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조인이 성공하는 경우 네크워크 조인 과정을 완료하고, 상기 네트워크 조인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부와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제2통신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제1통신부를 위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은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에 다수 버젼의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이 저장되므로,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이 각기 다른 전기제품과의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제품의 일 예인 에너지 관리부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일 예인 에너지 관리부의 통신 모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유틸리티 네트워크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40), 일 예로 스마트 미터와, 상기 에너지 측정부(40) 및 가전제품(21, 22, 23, 24, 25)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에너지소비부로서의 가전제품, 즉 냉장고(21), 세탁기(22), 에어컨(23), 건조기(24) 또는 조리기기(25) 등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인 에너지 측정부(40), 에너지 관리부(30) 및 가전제품(21, 22, 23, 24, 25)을 통칭하여 전기제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를 다른 전기제품으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강우량, 강우여부, 일사량, 풍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각 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각 컴포넌트의 동작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의 에너지 사용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인 내부 정보와, 그 외의 정보인 외부 정보(에너지와 관련한 정보,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전기, 물, 가스 등의 정보 중 하나 일 수 있다. 일 예로, 전기와 관련한 정보의 종류는, 전기 요금(Time-based Pricing), 에너지저감(curtailment), 긴급상황(Grid emergency), 망 안전(grid reliability), 발전량(Energy generation Amount), 작동 우선 순위(operation priority), 에너지소비량(Energy consumption Amount)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원과 관련한 요금은 에너지 요금이라 할 수 있다.
즉,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요금 정보(에너지요금)와 요금 외 정보(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생성된 스케줄 정보(scheduled information)와, 실시 간으로 변동되는 실시 간 정보(real time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와 실시 간 정보는 현재 시간 이후(미래)의 정보 예측 여부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따라서 TOU(time of use) 정보이거나,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이거나, RTP(real time pattern)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제품의 일 예인 에너지 관리부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일 예인 에너지 관리부의 통신 모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너지 관리부(30)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30)의 기능 수행 등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10)와, 상기 에너지 관리부(10)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37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380)와,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10)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3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에너지 관리부(30)와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제품을 제어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10)는 상기 통신 모뎀(320)과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70)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30)의 작동 명령, 상기 에너지 관리부(30)와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제품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80)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30)의 정보, 상기 에너지 관리부(30)와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제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70)와 상기 표시부(380)는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상기 표시부(380)에서 입력부(370)가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80)는 입력부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뎀(320)은 제1통신부(340)와 제2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340)는 지그비(zigbee) 모뎀일 수 있고, 상기 제2통신부(350)는 와이파이(Wi-fi) 모뎀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모뎀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 모뎀이 통합된 모뎀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에너지 관리부(30)가 지그비 모뎀과 와이파이 모뎀을 별도의 통신 모뎀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뎀(320)은 제1통신부(340)에 의해서 지그비 모뎀을 가지는 전기제품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뎀(320)은 제2통신부(350)에 의해서 와이파이 모뎀을 가지는 전기제품과 통신할 수 있다.
송수신되는 정보의 종류 또는 전기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되는 통신 모뎀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에너지 측정부가 지그비 모뎀을 가지고, 가전제품이 와이파이 모뎀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규격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통신 모뎀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통신 프로토콜)에 의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부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의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통신부가 수신할 수 없는 정보를 다른 통신부가 수신함으로써, 통신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통신부(340)는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2통신부(350)는 상기 제1통신부(340)의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뎀에 따라서 통신 가능 거리가 제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가능 거리의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통신 모뎀이 다른 종류의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통신 과정에서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간섭 현상은 상기 각 통신부가 하나의 주파수, 즉 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넓은 채널 밴드 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상기 통신 간섭 현상은 상기 각 통신부가 서로 같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간섭 현상이 최소화되기 위한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안한다.
본 발명의 통신 모뎀(320)은, 인쇄회로기판(32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 설치되는 제1통신부(340) 및 제2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뎀(320)은, 상기 각 통신부(340, 350)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36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지그비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340)는, 지그비 칩(341)(통신 칩)과, 제1안테나(341)와, 메모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340)의 기본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제2통신부(350)와의 통신 간섭 현상을 줄이기 위한 부분 및 메모리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각 통신부는 칩 안테나와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비 모뎀인 제1통신부(340)는 일 예로 지그비 스마트 에너지 프로파일(zigbee smart energy profile)(이하 "SEP"라 함)인 응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용 프로토콜인 SEP는 지속적으로 버젼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그비 모뎀이 판매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버젼의 SEP가 메모리(343)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에너지 측정부(40)의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과, 제1통신부(340)의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이 다른 경우 상호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모리(343)에는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버젼이저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통신부(340)는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기제품과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343)에 저장된 응용 프로토콜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통신부(350)를 통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메모리(343)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3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와이파이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350)는, 와이파이 칩(351)(통신 칩)과, 제2안테나(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350)의 기본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제1통신부와의 통신 간섭 현상을 줄이기 위한 부분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안테나의 개수 및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제1통신부(340)와 상기 제2통신부(350) 간의 통신 간섭 현상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제1통신부(340)와 상기 제2통신부(3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서 서로 다른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통신부(340)와 상기 제2통신부(3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서 상호 거리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은 일반적으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통신부(3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서 제1코너(인쇄회로기판의 일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통신부(3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서 상기 제1코너의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2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와 상기 제2코너의 위치는 도 2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두 통신부 간의 물리적인 거리에 의해서 상기 두 통신부 간의 통신 간섭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각 통신부를 구성하는 상기 각 안테나(342, 352)는 상기 각 코너의 꼭지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서 상기 각 통신부와 대응되는 각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21)에는 설치되는 각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되며, 이 때, 상기 각 안테나(342, 352)가 위치하는 부분의 패턴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그비 모뎀인 상기 제1통신부(340)을 가지는 전기제품의 제1통신부(340)가 온되면, 상기 제1통신부(340)는, 동일 통신 프로토콜을 가지는 다른 전기제품과의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먼저, 상기 제1통신부(340)는 메모리(343)에 저장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중에서 어느 한 프로토콜(일 예로 SEP1.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한다(S1).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조인을 위한 시도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지그비 모뎀을 가지는 에너지 측정부(40)가 SEP1.1 프로토콜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통신부(340)의 네트워크 조인은 성공하게 되고, 네트워크 조인은 완료된다(S2, S4).
반면, 지그비 모뎀을 가지는 에너지 측정부(40)가 SEP2.0 프로토콜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통신부(340)의 네트워크 조인은 실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통신부(340)는 메모리(343)에 저장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중에서 다른 프로토콜(일 예로 SEP2.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한다(S2, S3). 이 때, 지그비 모뎀을 가지는 에너지 측정부(40)가 SEP2.0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1통신부(340)의 네트워크 조인은 성공하게 되고, 네트워크 조인은 완료된다(S5, S6).
만약, 상기 통신 대상인 에너지 측정부(40)가 상기 메모리(343)에 저장된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과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343)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을 이용한 네트워크 조인은 실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제어부(360)는, 각 응용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조인을 다시 시도하게 되며, 각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네트워크 조인의 실패 횟수가 일정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제어부(360)는, 상기 제2통신부(350)로 하여금 상기 전기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사의 서버, 또는 전기제품의 서비스를 위한 서버, 또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제1통신부(340)로 다운받을 수 있는 응용 프로토콜 정보를 서치하여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이 때, 제1통신부(340)로 다운받을 수 있는 응용 프로토콜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과거 응용 프로토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되는 새로운 응용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에 다수 버젼의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이 저장되므로,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이 각기 다른 전기제품과의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위에서는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 변경이 가능한 모뎀의 일 예로서 지그비 모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응용 프로토콜의 버젼 변경이 가능한 모뎀이라도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30: 에너지 관리부 320: 통신모뎀
340: 제1통신부 350: 제2통신부

Claims (9)

  1.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가지는 통신 모뎀; 및
    상기 통신 모뎀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1통신부와 다른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으로서 다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이 저장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제1통신부를 위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은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기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가 다수의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전기제품.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지그비 모뎀이고,
    상기 제2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뎀인 전기제품.
  6. 제1통신부가 온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조인이 성공하는 경우 네크워크 조인 과정을 완료하고, 상기 네트워크 조인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부와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제2통신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제1통신부를 위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버젼의 응용 프로토콜은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중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 조인을 시도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 조인 실패 횟수가 일정 회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응용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 조인 실패 횟수가 일정 회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되면, 상기 제2통신부가 상기 제1통신부에 사용될 응용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지그비 모뎀이고, 상기 제2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뎀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20130066467A 2013-06-11 2013-06-11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3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67A KR102137415B1 (ko) 2013-06-11 2013-06-11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67A KR102137415B1 (ko) 2013-06-11 2013-06-11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77A KR20140144477A (ko) 2014-12-19
KR102137415B1 true KR102137415B1 (ko) 2020-07-24

Family

ID=5267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467A KR102137415B1 (ko) 2013-06-11 2013-06-11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458B1 (ko) * 2001-05-14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가능한 가전기기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방법
KR100498285B1 (ko) * 2002-08-1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 브리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57001B1 (ko) * 2005-03-02 200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77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0932B (zh) 基于移动互联的智能家电控制系统及方法
US930335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CN105681142B (zh) 组网系统和组网方法
US20140232549A1 (en) Integrated terminal for advance metering infrastructu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365704B (zh) 设备绑定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5573151A (zh) 家电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家庭数据终端
US20210215367A1 (en) Method of Auto Association of HVAC Energy with Control Signal for Self Diagnostics of the HVAC System
US9297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appliance
US9934023B2 (en) Remote distribution of a software update to remote-reading terminals
CN105573132A (zh) 家庭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3409823B1 (en) Network system
US9171190B2 (en) Appliance and method for data exchange in a household
US10416626B2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37415B1 (ko)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50236928A1 (en) Update appliance communication settings to compensate for temperature fluctuations
US10938491B2 (en)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US10482195B2 (en) Management method of an electric install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one such installation
KR101281122B1 (ko) 전류소비패턴 생성 및 분석방법
CN108386963A (zh) 一种遥控终端与被控终端控制方法、装置及终端
WO2017153238A1 (en) A household appliance
KR102107063B1 (ko) 전기제품 및 전기제품의 통신연결방법
JP6155504B2 (ja) 伝送路状態検査機
KR1017386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06603B1 (ko) 전기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