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997A - 전기제품 - Google Patents

전기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997A
KR20140029997A KR1020120096802A KR20120096802A KR20140029997A KR 20140029997 A KR20140029997 A KR 20140029997A KR 1020120096802 A KR1020120096802 A KR 1020120096802A KR 20120096802 A KR20120096802 A KR 20120096802A KR 20140029997 A KR20140029997 A KR 20140029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xternal component
mapping information
cause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757B1 (ko
Inventor
안창한
전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757B1/ko
Priority to US13/972,047 priority patent/US20140067136A1/en
Priority to CN201610080073.5A priority patent/CN105681098B/zh
Priority to CN201310384398.9A priority patent/CN103676824B/zh
Publication of KR2014002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997A/ko
Priority to US15/276,369 priority patent/US104166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6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e.g. enhancement of specific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에너지 요금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에너지 요금관련 정보에 대하여,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인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부와 외부 컴포넌트간의 통신 가능여부가 불능인 것으로 인식되면, 미리 결정된 다수의 매핑정보로부터 통신불능 원인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제품{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에, 상기 전기제품은 일정한 전력정보를 가지는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되었다. 일례로,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요금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너지 절감정책과 연동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정보를 가지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되었다. 전기제품의 작동방식은 상기 변동하는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전기제품은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전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가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전력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제품의 작동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종래의 전기제품의 경우,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간에 통신이 불능된 경우 서비스 기사가 가정에 방문하여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포넌트를 수리하여야 하고, 수리가 완료되기 전까지 전기제품이 전력정보에 따라 운전 제어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불능 문제가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는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에너지 요금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에너지 요금관련 정보에 대하여,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인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부와 외부 컴포넌트간의 통신 가능여부가 불능인 것으로 인식되면, 미리 결정된 다수의 매핑정보로부터 통신불능 원인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제품에는 통신불능 원인에 관한 미리 매핑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간 통신제한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미리 매핑된 정보를 확인하여 문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리 매핑된 정보에는, 자체적으로 문제 해결할 수 있는 제 1 정보 및 문제 해결이 불가한 제 2 정보가 포함되고, 통신불능 원인이 제 1 정보에 해당할 경우 복구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통신을 정상상태로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통신불능 상태에 대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통신불능 원인이 제 2 정보에 해당할 경우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간 통신 네트워크를 재설정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통신불능 원인에 관한 미리 매핑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통신불능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간 통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통신 메세지의 전송횟수, 전송시간 또는 통신강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통신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제품은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에너지요금 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에너지요금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불능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외부 컴포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component)로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타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외부 컴포넌트(200)가 포함된다.
도 1에는, 전기제품의 일례로서 세탁기가 도시된다. 그러나, 전기제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세탁기외에 냉장고, 조리기기, 건조기, 에어컨, 청소기 또는 정수기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전기제품의 기능수행을 위하여 구동되는 구동부(18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1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에 관한 정보에는, 에너지 요금과 관련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180)에는, 모터, 압축기, 히터 또는 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 요금과 관련한 정보에는, 전력요금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8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과정에서 상기 전력요금이 저감될 수 있는 시간 또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는, 외부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기제품(100)에 제공하는 컴포넌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에너지원은 에너지발생부(전력회사), 에너지분배부(전력분배회사) 및 에너지저장부(에너지저장/공급회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컴포넌트에는, 전기제품의 전기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전기제품 또는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또는 상기 전기제품의 절전구동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기제품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개설할 수 있고, 상기 전기제품을 상기 네트워크에 편입시키거나 탈퇴시킬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키 메세지(key message) 또는 채널변경 메세지(channel change message)를 전기제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는 상기 네트워크의 마스터(master) 기능을 하는 점에서, "서버"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전기제품(100)은 상기 네트워크의 슬레이브(slave)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11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위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부(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 또는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에너지에 관한 정보(이하, 에너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부(15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정보는 전력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장치(200)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상부에 "통신모듈"로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외부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전기제품(100)의 내부 정보를 외부(일례로, 외부 컴포넌트(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가 통신불능 상태에 있을 경우,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다수의 매핑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아래의 표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포함된 다수의 매핑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분 통신불능 원인
제 1 매핑정보 네트워크 키 업데이트 메세지 미수신 상태에서, 서버의 네트워크 키 변경
제 2 매핑정보 채널변경 메세지 미수신 상태에서, 외부 컴포넌트의 채널 변경
제 3 매핑정보 외부 컴포넌트의 전원 OFF
제 4 매핑정보 외부 컴포넌트의 새로운 네트워크 개설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간의 소정의 절차에 따라 통신연결을 시도한 후 통신불능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매핑정보가 체크된다.
상기 매핑정보에는, 통신불능 상태의 일 원인으로서,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간에 구축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키(key)가 변경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 1 매핑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의 키(key)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와 전기제품(100)이 연결되기 위하여 필요한 보안 코드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은 통신연결 초기에 상기 네트워크의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전송함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링크(link)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키의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100)이 인식하고 있는 네트워크 키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제어부(250) 또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링크(link) 실패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와 다수의 전기제품(100)이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이들 외부 컴포넌트(200) 및 다수의 전기제품(100)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키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 키는 주기적으로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업데이트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또는 변경된 네트워크 키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업데이트 또는 변경된 네트워크 키의 전송이 실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네트워크 키를 변경한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는 통신불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따른 통신불능 상태를 규정하는 것이 제 1 매핑정보이다.
상기 매핑정보에는, 통신불능 상태의 타 원인으로서,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의 통신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이 변경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2 매핑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가 통신을 위하여 이용 가능한 채널은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다수의 채널은 주파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이 어느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더라도, 통신 수행중 다수의 채널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신품질이 양호한 다른 채널로 변경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채널변경 메세지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채널변경 메세지의 전송이 실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채널을 변경한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는 통신불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따른 통신불능 상태를 규정하는 것이 제 2 매핑정보이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제공하는 채널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100)이 인식하고 있는 채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제어부(250) 또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채널정보 공유 실패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매핑정보에는, 통신불능 상태의 또 다른 원인으로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여 갑자기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 또는 전기제품(100)의 전원이 OFF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 3 매핑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예기치 못한 문제에는, 정전 또는 고장상태와 같은 비상상황이 포함된다.
상기 매핑정보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기존에 사용하던 네트워크를 삭제하고 새로운 네트워크를 개설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 4 매핑정보가 포함된다. 즉, 통신불능 원인이 제 4 매핑정보인 것으로 인식되면, 전기제품(100)은 네트워크로부터 탈퇴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이사를 하여 새로운 외부 컴포넌트(200)에 종속하는 네트워크에 편입할 경우, 상기 제 4 매핑정보가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매핑정보에 따른 통신불능 상태의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외부 컴포넌트(200)에 구비되는 복구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통신 가능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전기제품(100)의 메모리부(140) 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부(140,240)에 모두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제 4 매핑정보에 따른 통신불능 상태의 경우, 자체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한 문제해결은 제한되며,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간에 통신연결 상태가 초기화 되고, 새로운 네트워크 연결시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관련한 설명은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는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모듈로서 제공되었을 때 통신모듈 내에 배치되는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품 제어부(150) 사이에는,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170)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210)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 및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 2 입력부(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전력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 2 통신부(210)의 사이에는, 통신을 위한 제 1 인터페이스(300)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제공되는 전력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으로 공급되는 전력에 관한 제 1 정보 및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또는 전력사용량에 관한 제 2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복구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구 프로그램에는, 상기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에 따라 구분되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불능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전기제품(100)에 제 1 통신부(110)가 장착되면(S11),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장착불량여부 또는 통신가능여부가 체크되기 시작한다(S12).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제 2 통신부(210)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부(110)로 체크신호가 전성된다(S13).
이후, 전송된 체크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응답신호가 있는지 인식된다(S14). 다만,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체크신호가 전송되고, 제 2 통신부(210)로부터 응답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응답신호가 없다면, 일단 체크신호 전송횟수(m)가 소정의 기준횟수(n)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15).
이는, 체크신호를 한번만 전송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통신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신뢰도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여러번 체크신호를 송신하여 통신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여러 번 송신해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응답신호가 없는 상태에 체크신호의 전송횟수(m)가 기준횟수(n)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횟수를 적산하고(m=m+1), 체크신호를 다시 한번 전송한다(S16,S13). 한편, 응답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체크신호의 전송횟수(m)가 기준횟수(n)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통신불능상태로 최종적으로 인식한다(S17).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통신불능상태를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 또는 전기제품(100)에는, 통신 불능상태가 표시된다(S18). 여기서 통신불능상태를 표시하는 것은 시각표시 뿐만 아니라 알람음과 같은 음성표시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는 제 1 통신부(110)의 통신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체크신호의 전송횟수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체크신호의 전송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체크신호가 연속적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되면 통신불능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설정시간은 20초일 수 있다.
한편, S14 단계에서, 체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응답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강도 이상인지 여부가 인식된다(S21).
상기 신호강도가 설정강도 이상이면,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 2 통신부(210) 간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인식되며,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간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S22,S23).
이와 같이, 체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감지되더라도, 신호 강도가 미약하여 원활한 통신수행에 제한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응답신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다시한번 체크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결국, 일정강도 이상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통신 가능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S17 단계에서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된 경우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불능 원인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결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상세히, 통신불능 상태가 인식되면, 그 원인이 제 1 매핑정보인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원인이 제 1 매핑정보인지 여부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제어부(250) 또는 제품 제어부(150)가 상기 전기제품(100)이 네트워크 상에 링크(link)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S31).
상기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1 매핑정보인 경우, 제 1 통신복구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상기 제 1 통신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네트워크 키 업데이트 메세지를 상기 전기제품(100)에 송신하고, 상기 전기제품(100)은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된다(S32).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수신되면, 이후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는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33).
S31 단계에서,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1 매핑정보가 아닌 경우, 그 원인이 제 2 매핑정보인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원인이 제 2 매핑정보인지 여부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제어부(250)가 상기 전기제품(100)이 통신 채널에 접속되지 않았음을 인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S34).
상기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2 매핑정보인 경우, 제 2 통신복구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상기 제 2 통신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가 네트워크 채널 변경 메세지를 상기 전기제품(100)에 송신하고, 상기 전기제품(100)은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된다(S35).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수신되면, 이후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는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33).
S34 단계에서,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2 매핑정보가 아닌 경우, 그 원인이 제 3 매핑정보인지 여부가 인식된다. 일례로, 상기 제 3 매핑정보는 정전등의 이유로 외부 컴포넌트(200)의 전원이 OFF되는 경우일 수 있다(S36).
상기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3 매핑정보인 경우, 제 3 통신복구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상기 제 3 통신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전원이 ON될 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전원이 ON되면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로부터 통신 준비상태 메세지가 상기 전기제품(100)으로 전송되고 상기 전기제품(100)은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에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된다(S37).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전원이 ON되고 통신 준비상태 메세지 및 확인신호가 송수신 되면,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는 상호 통신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33).
S36 단계에서,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3 매핑정보가 아닌 경우, 그 원인은 제 4 매핑정보인 것으로 인식된다. 상기 원인이 제 4 매핑정보인지 여부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의 제어부(250)가 상기 전기제품(100)이 네트워크로부터 탈퇴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S38).
상기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이 제 4 매핑정보인 경우, 제 4 통신복구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상기 제 4 통신복구 프로그램은, 외부 컴포넌트(200)를 중심으로 상기 전기제품(100)의 네트워크 연결을 초기화 하고 재연결을 시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의 재연결을 시도할 때,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 및 전기제품(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네트워크 참가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받은 측에서 이에 대한 허가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구축환경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를 서버로 하는 네트워크 키 및 통신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가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39).
상기 외부 컴포넌트(200)와 전기제품(100)의 네트워크 연결이 재구축되면, 상기 전기제품(100)과 외부 컴포넌트(200)는 상호 통신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33).
이와 같이, 통신불능 상태의 원인에 관하여, 확인 가능한 다수의 매핑정보를 미리 결정하여 두고, 통신불능 발생시 상기 다수의 매핑정보로부터 원인을 찾아 통신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통신복구를 위한 제어절차가 명확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0 : 전기제품 110 : 제 1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 1 입력부
140 : 메모리부 150 : 제품 제어부
200 : 외부 컴포넌트 210 : 제 2 통신부

Claims (13)

  1. 에너지 요금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에너지 요금관련 정보에 대하여,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인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부와 외부 컴포넌트간의 통신 가능여부가 불능인 것으로 인식되면, 미리 결정된 다수의 매핑정보로부터 통신불능 원인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며,
    통신불능 상태에서, 통신불능 원인은 상기 다수의 매핑정보 중 하나로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매핑정보에는,
    상기 외부 컴포넌트를 마스터 기기로 하는 네트워크 키(key)의 변경에 관한 제 1 매핑정보;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부가 이용하는 통신채널 변경에 관한 제 2 매핑정보;
    상기 외부 컴포넌트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제 3 매핑정보; 및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초기화에 관한 제 4 매핑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네트워크 키의 업데이트 메세지를 미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키가 변경되면,
    상기 통신불능 원인은 제 1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기제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채널 변경 메세지를 미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통신불능 원인은 제 2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기제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가 비정상적인 원인에 따라 전원 OFF 되어 통신불능 상태가 인식되면, 상기 통신불능 원인은 제 3 매핑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비정상적인 원인에는 정전 또는 고장상태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이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의 네트워크에서 탈퇴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통신불능 원인은 제 4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제품.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불능 원인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매핑정보인 것으로 인식되면, 통신복구 프로그램이 가동하여 통신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전기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불능 원인이 상기 제 1,2 매핑정보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통신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전기제품으로 네트워크 키 업데이트 메세지 또는 채널 변경 메세지가 송신되고, 상기 전기제품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전기제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불능 원인이 상기 제 3 매핑정보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통신복구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컴포넌트의 전원이 ON될 상태까지 대기후,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전기제품으로 통신준비 확인메세지가 송신되고, 상기 전기제품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전기제품.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불능 원인이 상기 제 4 매핑정보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부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초기화 되고,
    상기 외부 컴포넌트 및 통신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네트워크 참가 요청신호가 송신되고,
    다른 하나가 이에 대하여 허가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재연결을 수행하여 통신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전기제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부간의 통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 및 통신부 중 일 기기로부터 체크신호를 송신하고,
    체크신호가 설정횟수 이상 전송되거나, 설정시간 이상 전송하였음에도 타 기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하는 전기제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부간의 통신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컴포넌트 및 통신부 중 일 기기로부터 체크신호를 송신하고,
    타 기기로부터의 응답신호의 강도가 설정강도 이하이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하는 전기제품.
KR1020120096802A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KR10189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02A KR101892757B1 (ko)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US13/972,047 US20140067136A1 (en) 2012-08-31 2013-08-21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080073.5A CN105681098B (zh) 2012-08-31 2013-08-29 电器及其控制方法
CN201310384398.9A CN103676824B (zh) 2012-08-31 2013-08-29 电器及其控制方法
US15/276,369 US10416626B2 (en) 2012-08-31 2016-09-2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02A KR101892757B1 (ko)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97A true KR20140029997A (ko) 2014-03-11
KR101892757B1 KR101892757B1 (ko) 2018-08-28

Family

ID=5064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802A KR101892757B1 (ko) 2012-08-31 2012-08-31 전기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765A (en) * 2017-03-24 2018-09-26 Howden Joinery Ltd Domestic produ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2979A1 (en) * 2007-04-18 2008-10-23 Sempa Power Systems Ltd. Heating facility using time-of-use electricity
JP2010007946A (ja) * 2008-06-26 2010-01-14 Rinnai Corp 温水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2979A1 (en) * 2007-04-18 2008-10-23 Sempa Power Systems Ltd. Heating facility using time-of-use electricity
JP2010007946A (ja) * 2008-06-26 2010-01-14 Rinnai Corp 温水暖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765A (en) * 2017-03-24 2018-09-26 Howden Joinery Ltd Domestic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757B1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822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al appliances
CN103513579A (zh) 家用电器的控制装置、控制方法和空调器
KR20180116306A (ko) 네트워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995877A (zh) 使用便携装置的智能家居系统
CN202615224U (zh) 家用电器的控制装置和空调器
CN102870307B (zh) 电流供给模块
US10110396B2 (en) Home appliance
WO2016021728A1 (ja) 情報機器および制御機器
CN105573132A (zh) 家庭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CN105182774A (zh) 基于G.hn的智能家庭网关控制系统及方法
JP2012222898A (ja) 電力測定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US10416626B2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2757B1 (ko) 전기제품
JP2013017264A (ja) 電力供給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US20080123556A1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Initialization And/Or Registration Steps For A Device, In Particular A Household Applicance
EP2663020B1 (en) Network system
EP302286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smart module in home network system
KR20180082489A (ko) 기사용 중인 전자제품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116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1954279A (zh) 一种智能家电的通信方法及智能家电
KR102076273B1 (ko) 전기제품 및 그 제어방법
KR101968945B1 (ko) 휴대용 공조기기 도킹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 유지관리 시스템
TW201532456A (zh) 無線控制系統的連線啓用方法
JP2015023456A (ja) 制御可能コンセントおよび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KR101588140B1 (ko) 가전제품 및 그의 등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