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865B1 - 전기제품 - Google Patents
전기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9865B1 KR102069865B1 KR1020130001762A KR20130001762A KR102069865B1 KR 102069865 B1 KR102069865 B1 KR 102069865B1 KR 1020130001762 A KR1020130001762 A KR 1020130001762A KR 20130001762 A KR20130001762 A KR 20130001762A KR 102069865 B1 KR102069865 B1 KR 102069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 appliance
- information
- terminal
- electrical
- mo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08000031888 Mycos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634549 Microcos Species 0.000 claims 2
- 238000011022 operating i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235756 Microcos pan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가능한 전기제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의 설정거리내 접근여부를 인식하는 NFC 통신모듈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전기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 중 상기 전기제품에 표시할 수 없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NFC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의 전기제품에 의하면, 전기제품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리모컨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었다.
자사에서 출원한 특허 출원번호 10-2004-0080033호에는, 원격지에 있는 전자제품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환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선행특허에는, 원격지의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모드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전자제품의 원격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원격 제어신호는 중계기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되어 해당 전자제품으로 전송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안에 있는 전자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는 중계기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고, 원격제어 과정에서 기기간에 통신이 실패되는 문제점, 즉 통신수단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가능한 전기제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의 설정거리내 접근여부를 인식하는 NFC 통신모듈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전기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 중 상기 전기제품에 표시할 수 없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NFC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제품이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NFC)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한 전기제품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어 확인 가능하므로, 전기제품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기능선택을 위한 복잡한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제품의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NFC 통신방식을 통하여 전기제품과 단말기가 통신될 수 있으므로 기기간 통신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통신환경 설정을 위한 부대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NFC 통신모듈에는,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와 전기제품의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 별도로 구성되는 메모리부가 제공되므로, 특정 데이터의 송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제품들의 작동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작동정보가 확인될 수 있으므로, 연동되는 제품들의 모니터링 또는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를 전기제품에 갖다대는 동작만으로 전기제품의 온오프 제어 또는 작동코스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조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전기제품에 장착되어 전기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 가능하므로, 전기제품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내부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정보가 전기제품으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내부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정보가 전기제품으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단말기(100) 및 전기제품(200)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기제품(200)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또는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제품의 일 종류로서 세탁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기제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통신모듈(110) 및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가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본체(201)와, 입력부(205,206) 및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할 수 있는 제 2 통신모듈(21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205,206) 및 제 2 통신모듈(210)은 상기 본체(20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20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5.206)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을 위한 운전조건이 입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205,206)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을 ON 또는 OFF 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205) 및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시작 또는 종료하기 위한 시작종료 입력부(206)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205,206)는 터치 스크린 타입 또는 버튼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03)에는, 상기 입력부(205,206)외에 별도의 입력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위한 최소한의 입력부만 구성되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위하여 입력되어야 할 다수의 명령, 일례로 전기제품(200)의 작동 코스를 설정하기 위하여 입력되어야 하는 다수의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제품 기능, 즉 작동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입력이 제한되며, 상기 명령입력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 명령은, 상기 전기제품(200)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 명령보다 많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관한 정보 또는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에는, 상기 정보가 전송되는 상태 또는 전송에 관한 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관한 정보에는, 전기제품(200)의 온/오프 여부, 작동시작/종료 여부 또는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으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전기제품의 구동중에 발생한 정보로서, 일례로 전기제품의 작동에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전기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서 전기제품의 작동코스 정보일 수 있으며, 일례로 세탁기의 세탁코스 정보 또는 조리기기의 조리코스 정보(Cook data)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보(이하, 전기제품의 내부 정보)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전기제품의 외부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표시될 수 없으며,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기제품(200)의 제어부(25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정보 또는 전기제품(2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정보 중 상기 전기제품(200)에 표시할 수 없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 입력부(105)가 구비된다.
상기 단말기 입력부(105)는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 내에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1)와느 별도로 버튼식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프로그램, 일례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메모리부(170) 및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170)와 제 1 통신모듈(110)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전기제품(200)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구동되는 구동부(260) 및 상기 제 2 통신모듈(210)과 구동부(26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260)는 모터 또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정보를 Writing(읽기 기능) 하거나,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 저장된 외부 정보를 Reading(쓰기 기능)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간에는, 일 통신방식으로서 제 1 인터페이스(310)가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10)에는, NFC 방식이 포함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무선태그(RFID) 기술중의 하나로서, 특정 주파수(13.56MHz) 대용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NFC는 기기간의 통신거리가 짧기 대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은 NF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이해되며,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을 "NFC 모듈"이라 이름한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면, 즉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이 설정거리 내에 있게 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태깅(Tagging)이 수행된다. 상기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통신모듈(210)과 제어부(250)간에는, 다른 통신방식으로서 제 2 인터페이스(320)가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20)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는,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이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의 접근을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21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모듈 인식부(211)는 안테나(antenna)일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는, 전기제품(2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220)에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구분되는 다수의 메모리 영역(221,223,225)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메모리 영역(221,223,225)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 영역(221)과,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223) 및 전기제품(200)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로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22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일례로 전기제품의 종류(세탁기, 조리기기, 냉장고등)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의 모델명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의 고유 ID(동일 모델명이라도 ID는 달라질 수 있음), 전기제품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작동코스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통신에 관한 정보에는, 제 1 인터페이스(310) 또는 제 2 인터페이스(320)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치국가 또는 지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는, 전기제품(200)의 구동과정에서 발생한 정보, 일례로 전기제품(200)의 구동중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에러 진단결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진단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Writing(쓰기)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은 상기 제어부(250)가 Writing 가능한 메모리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Writing을 수행하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된 정보를 Reading(읽기) 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은 상기 전기제품(200)에 에러가 발생한 즉시, 상기 전기제품(200)이 작동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작동코스가 완료될 때 및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이 OFF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에 에러가 발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이 도달한 경우,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에는 에러발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 상기 에러발생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의 에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접근하여,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내부 발생정보(에러발생 정보)는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으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된 내부 발생정보를 Reading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러에 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에러 진단결과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50)에서 에러에 관한 진단을 수행하고 진단결과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중에 소모된 전력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설정거리 내로 접근되어, 상기 전력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발생정보에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인 경우,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세탁기의 세탁코스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200)이 조리기기인 경우,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조리기기의 조리정보(Cook data)일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은 소정의 코스에 따라 상기 구동부(260)를 구동하는 제품으로 이해되며,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하나 이상의 작동코스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코스는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에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대한 정보 또는 업데이트 정보, 즉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는 소정의 서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하며,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정보를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Writing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외부 발생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그리고, Reading 된 정보는 전기제품(200)의 메인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은 상기 제어부(250)가 Reading 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된 외부 발생정보(작동코스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업데이트 정보로서 전기제품의 작동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되는 내부 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되는 외부 발생정보는 최신정보가 발생되면 덮어쓰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는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정보이므로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발생되면, 기존의 정보는 삭제되고 상기 새로운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 또는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100)에 규정되는 다수의 통신 모드 중 "NFC 모드"가 ON된 상태에서 시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FC 모드"가 OFF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NFC 모드"를 ON할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화면 또는 음성)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 발생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거나,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11).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모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다수의 모드 중,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세히, 제 1 송수신 모드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내부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송수신 모드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내용에 관한 정보 또는 에러 진단결과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 2 송수신 모드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 필요한 외부 발생정보(외부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제 2 송수신 모드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인 경우 상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전기제품(200)이 조리기기인 경우 상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는 조리코스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3 송수신 모드는,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제품들의 작동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제품에는 복수의 전기제품(20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일 전기제품(200)에서 발생한 정보, 일례로 전기제품의 작동정보가 타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로서 활용되는 경우, 이러한 전기제품들은 연동 가능한 전기제품(200)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일 전기제품과 타 전기제품의 연동에 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200)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 관한 정보에는 세탁 또는 건조코스에 관한 정보와, 세탁물 또는 건조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200)에는 조리기기 및 공기 조화기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 관한 정보에는 조리코스 또는 공기조화 코스에 관한 정보와, 오염물 발생량 또는 공기 조화능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200)에는 조리기기 및 냉장고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 관한 정보에는 냉장고의 저장물 또는 조리기기의 조리물에 관한 정보와, 조리코스(receipe)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제품에는 전기제품과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 또는 작동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과 서버의 연동에 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S12).
상기 다수의 송수신 모드 중, 일 송수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여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Tagging)될 수 있다(S13).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전기제품(200)의 내부 발생정보가 상기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되거나 외부 발생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즉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는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에 관한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14).
상기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 또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 전송완료 메세지가 표시되거나, 소리(Beeper)가 외부에 출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 발생정보 중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에러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는 상기 에러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 또는 진단완료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S15).
이하에서는,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내부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소정의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내부 발생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Writing 하게 된다. 상기 내부 발생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에러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소모 전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 발생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에러정보 일 경우, 에러가 발생한 즉시, 전기제품의 작동코스가 완료된 후 또는 전기제품의 전원이 OFF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NFC 쓰기 가능한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상기 NFC 쓰기 가능한 모드에 있으면, 상기 에러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상기 에러 정보를 Writing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에러정보와 함께 검증정보를 함께 Writing 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Writing 후,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으로부터 상기 검증정보를 다시 Reading함으로써 Writing을 완료하게 된다 (Write (A1)).
한편,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관한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이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때, 변경 또는 업데이트 될 정보가 있다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 변경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Writing 할 수 있다 (Write (A2)).
상기 단말기(100)가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통신 대상이 되는 적합한 전기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Read (B1)).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에러 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검증정보를 함께 Reading 할 수 있다 (Read (B2)).
이와 같이,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확인 또는 진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정보가 전기제품으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전기제품(2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단말기(100)는 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전기제품(200)에 Writing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발생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필요한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이면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세탁코스 정보이고, 조리기기이면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조리코스 정보일 수 있다.
먼저, 상기 단말기(100)가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통신 대상이 되는 적합한 전기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Read (B1)).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발생정보를 검증정보와 함께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3)에 Writing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Writing 후,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으로부터 상기 검증정보를 다시 Reading함으로써 Writing을 완료하게 된다 (Write (A)).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NFC 읽기 가능한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상기 NFC 읽기 가능한 모드에 있으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 저장된 전기제품의 고유정보를 Reading 하여 통신 가능상태를 확인한다 (Read (B2)).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검증정보와 함께 Reading 함으로써 Reading을 완료하게 된다 (Read (B3)). Reading 된 외부 발생정보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위한 정보로 반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제품은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전기제품의 작동에 필요한 코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한 전기제품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100)의 NFC 모드가 ON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 발생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거나,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21).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는 다수의 송수신 모드 중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는, 전원변경 모드 또는 마이코스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S22).
상기 송수신 모드가 전원변경 모드(제 4 송수신 모드)인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전원변경 모드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변경하는 모드로 인식된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가 태깅되면 상기 전원은 OFF로 변경되고,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가 태깅되면 상기 전원은 ON으로 변경되는 것이다(S23).
상기 송수신 모드가 전원변경 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 접근되면, 즉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되면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은 ON 또는 OFF로 변경된다(S24).
반면에, 상기 송수신 모드가 마이코스 모드(제 5 송수신 모드)인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마이코스 모드는, 전기제품(200)에서 구동 가능한 다수의 작동 코스 중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모드인 것으로 이해된다. 즉,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작동코스를 "마이 코스"로 지정하여 상기 단말기(100) 또는 전기제품(200)에 저장해둘 수 있다(S25).
상기 송수신 모드가 마이코스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되면, 상기 전기제품(200)은 상기 단말기(100)의 마이코스 구동 명령에 따라 미리 설정된 마이코스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마이코스에 따라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S26).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 및 연동기기(400)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은,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200)에는,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로서의 제 2 통신모듈(210) 및 상기 연동기기(400)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3 통신모듈(270)이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200)과 연동기기(400)간의 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제 3 통신모듈(270)과 연동기기(400)간에는 제 3 인터페이스(330)가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한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송수신 모드 중 제 3 송수신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전기제품(200) 및 연동기기(400)의 연동에 관한 정보가 모니터링 또는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200)에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7)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7)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 ON/OFF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200)의 구동여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 1 디스플레이부라 하고,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 2 디스플레이부라 이름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전기제품에 관한 기초정보만 표시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기초정보에 더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없는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 작동에러 정보 또는 소모전력 정보등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전기제품(200)이 상기 연동기기(400)와 연동하는 경우 연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7)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기제품(200)의 전면 구성을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200)에는, 상기 단말기(1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204)가 포함된다. 상기 장착부(204)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면부에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를 장착하여 전기제품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이 유선 연결되는 경우, 도면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장착부(204)에는 상기 단말기(100)의 장착여부를 인식하는 장착 인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인식부는 소정의 소켓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이 무선 연결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모듈과 전기제품(200)의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 일례로 NFC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기제품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성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100 : 단말기 101 :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105 : 단말기 입력부 110 : 제 1 통신모듈
150 : 단말기제어부 170 : 단말기 메모리부
200 : 전기제품 205 : 전원 입력부
206 : 시작종료 입력부 207 : 디스플레이부
210 : 제 2 통신모듈 211 : 모듈 인식부
220 : 메모리부 221 : 제 1 메모리 영역
223 : 제 2 메모리 영역 225 : 제 3 메모리 영역
250 : 제어부 260 : 구동부
310 : 제 1 인터페이스 320 : 제 2 인터페이스
105 : 단말기 입력부 110 : 제 1 통신모듈
150 : 단말기제어부 170 : 단말기 메모리부
200 : 전기제품 205 : 전원 입력부
206 : 시작종료 입력부 207 : 디스플레이부
210 : 제 2 통신모듈 211 : 모듈 인식부
220 : 메모리부 221 : 제 1 메모리 영역
223 : 제 2 메모리 영역 225 : 제 3 메모리 영역
250 : 제어부 260 : 구동부
310 : 제 1 인터페이스 320 : 제 2 인터페이스
Claims (20)
-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가능한 전기제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의 설정거리내 접근여부를 인식하는 NFC 통신모듈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통신모듈에는, 상기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발생된 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로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전기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에서 발생된 정보 중 상기 전기제품에 표시할 수 없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NFC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러 정보 또는 소모전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드와,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드와,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드와,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변경하는 전원변경 모드와,
상기 전기제품에서 구동 가능한 다수의 작동 코스 중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구동되는 마이코스 모드가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실행되면, 실행된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상기 전원변경 모드인지 또는 상기 마이코스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상기 전원변경 모드일 경우,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제품에 태깅되면 상기 전원을 OFF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제품에 태깅되면 상기 전원을 ON으로 변경시키고,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상기 마이코스 모드일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제품에 태깅되면, 상기 전기제품은 상기 단말기의 마이코스 구동 명령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스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의 ON/OFF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 입력부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에 관한 시작 또는 종료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시작종료 입력부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 ON/OFF 여부 또는 구동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제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기제품으로 전송되는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러 정보와,
상기 전기제품의 소모전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기제품과 연동기기간의 연동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전기제품을 통하여 선택 제한되는 다수의 작동명령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전기제품에서 선택 제한되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말기 입력부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입력부 및 NFC 통신모듈이 제공되는 전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단말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제품에는,
일 전기제품과 타 전기제품이 포함되는 전기제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연동 가능한 제품에는,
일 전기제품과 서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1762A KR102069865B1 (ko) | 2013-01-07 | 2013-01-07 | 전기제품 |
CN201310439187.0A CN103680097A (zh) | 2012-09-24 | 2013-09-24 | 利用移动终端的家用电器及其运行方法 |
US14/035,458 US20140087661A1 (en) | 2012-09-24 | 2013-09-24 | Home appliance us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1762A KR102069865B1 (ko) | 2013-01-07 | 2013-01-07 | 전기제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9840A KR20140089840A (ko) | 2014-07-16 |
KR102069865B1 true KR102069865B1 (ko) | 2020-01-23 |
Family
ID=5173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1762A KR102069865B1 (ko) | 2012-09-24 | 2013-01-07 | 전기제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98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6115A (ko) | 2014-12-22 | 2016-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9436A (ko) * | 2007-01-23 | 2008-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63487B1 (ko) * | 2009-05-11 | 2015-10-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
KR101709480B1 (ko) * | 2010-05-17 | 2017-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
KR101773332B1 (ko) * | 2010-08-25 | 2017-08-31 | 코웨이 주식회사 |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댁내 장치 원격 관리 방법 |
KR20120122233A (ko) * | 2011-04-28 | 2012-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2013
- 2013-01-07 KR KR1020130001762A patent/KR10206986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9840A (ko) | 2014-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087661A1 (en) | Home appliance us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9385784B2 (en) |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1019148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a device for cleaning a submerged surface | |
KR101918301B1 (ko) | 전기제품 | |
CN102855744B (zh) | 基于智能手机的红外家电管理系统和方法 | |
KR10204692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RU2580274C2 (ru) |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 |
CN106331990A (zh) | 蓝牙配对系统、蓝牙设备的配对方法和智能终端 | |
KR20140052690A (ko) |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 |
CN104160717A (zh) | 家庭电气设备的动作设定系统 | |
CN102968898B (zh) | 基于手机短信的远程万能红外遥控系统 | |
CN104378672A (zh) | 一种智能遥控器 | |
WO2014024418A1 (ja) | 情報端末、情報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 |
JP2010097390A (ja) | データ書換システム | |
KR101820963B1 (ko) | 컴포넌트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기 | |
KR20170057487A (ko) |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 |
KR20120122233A (ko) |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JP6111988B2 (ja) | 空気調和機 | |
KR102069865B1 (ko) | 전기제품 | |
CN103489294A (zh) | 电器控制装置和电器控制方法 | |
CN104932574A (zh) | 风管机的控制系统 | |
KR102033932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69036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1270317B1 (ko) |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 |
KR101924474B1 (ko) | 전기제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