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922A -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922A
KR20120079922A KR1020110001269A KR20110001269A KR20120079922A KR 20120079922 A KR20120079922 A KR 20120079922A KR 1020110001269 A KR1020110001269 A KR 1020110001269A KR 20110001269 A KR20110001269 A KR 20110001269A KR 20120079922 A KR20120079922 A KR 20120079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sition sequence
parity check
check matrix
p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358B1 (ko
Inventor
명세호
정홍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58B1/ko
Priority to PCT/KR2012/000165 priority patent/WO2012093894A2/en
Priority to US13/345,264 priority patent/US8707128B2/en
Publication of KR2012007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03M13/1102Codes on graphs and decoding on graphs, e.g.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03M13/1148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de parity-check or generator matrix
    • H03M13/116Quasi-cyclic LDPC [QC-LDPC] codes, i.e. the parity-check matrix being composed of permutation or circulant sub-matrices
    • H03M13/1165QC-LDPC codes as defined for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s, e.g. DVB-Satellite [DVB-S2]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06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1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error correction or error detection, not provided for otherwise
    • H03M13/615Use of computational or mathematical techniques
    • H03M13/616Matrix operations, especially for generator matrices or check matrices, e.g. column or row permu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1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error correction or error detection, not provided for otherwise
    • H03M13/618Shortening and extension of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3Joint error correction and other techniques
    • H03M13/635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rate matching
    • H03M13/6356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rate matching by repetition or insertion of dummy data, i.e. rate redu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3Joint error correction and other techniques
    • H03M13/635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rate matching
    • H03M13/6362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52DVB-T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3Linear codes
    • H03M13/15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 H03M13/151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using error location or error correction polynomials
    • H03M13/152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gebr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화, 복호화에 대한 것으로,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필요 시, 정보어에 단축을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어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어를 생성하는 과정과 필요 시, 상기 부호어에 천공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LOW DENSITY PARITY-CHECK CODES}
본 발명은 패리티 검사 행렬에 기반한 선형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공과 단축을 적용할 경우에 부호화/복호화(channel encoding/decoding) 복잡도를 감소 시키기 위한 채널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통해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는 다양한 부호 길이 또는 성능의 개선을 얻기 위해 단축 또는 천공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단축은 통상적으로 정보어의 일부의 값에 제한을 두어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의미하며, 천공은 생성된 부호어의 일부를 단순히 전송하지 않는 방법을 의미한다.
송신단에서 정보어의 일부에 단축을 적용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이라는 값으로 제한을 두며, 수신기에서도 이미 이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송신단에서 상기 으로 제한된 값들은 전송하지 않는다.
단축은 정보어 비트의 일부의 값을으로 제한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하기도 하지만,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상기 으로 값이 제한된 정보어 비트에 대응 하는 열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주어진 패리티 검사 부호에 천공을 적용했을 때, 많은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는 천공된 비트들을 소실(erasure)로 간주하여 상기 패리티 검사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복호화 방식은 천공된 비트가 많을수록 복호 효율성 감소의 원인이 되며, 특히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iterative decoding)를 적용할 경우에 느린 복호 수렴(convergence)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제한된 복호 복잡도 내에서 성능 개선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천공을 많이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복호 효율성을 증대 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패리티 검사 부호 또는 LDPC 부호로부터 천공(puncturing) 또는 단축(shortening)을 적용할 때 채널 부호화/복호화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을 적용할 때, 복호 복잡도 감소 및 성능 개선을 위하여 상기 LDPC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변형하는 방법 및 장치와 변형된 패리티 검사 행렬로부터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필요 시, 정보어에 단축을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어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어를 생성하는 과정과 필요 시, 상기 부호어에 천공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2견지에 따르면, 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단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됐을 때, 수신된 신호로부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하는 과정과 판단 또는 추정된 천공 및 단축 패턴에 따라,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LDPC 복호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송신 단의 장치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와 필요 시, 정보어에 단축을 적용하는 단축 적용부와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패리티 검사 행렬을 생성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와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어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어를 생성하는 LDPC 부호화기와 필요 시, 상기 부호어에 천공을 적용하는 천공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 단의 장치에 있어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됐을 때, 수신된 신호로부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하는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와 판단 또는 추정된 천공 및 단축 패턴에 따라,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와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LDPC 복호화를 수행하는 LDPC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리티 검사 부호 또는 LDPC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복호화 수행시 천공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주어진 패리티 검사 부호 또는 LDPC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변형하여 부호화/복호화 복잡도를 감소시키며, 복호 수렴 속도를 증가시켜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할 패리티 검사 행렬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LDPC 부호 패리티 검사 행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 비트가 포함된 패리티 검사 식을 결합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LDPC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의 예를 다르게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에 대응하는 LDPC 부호에서 1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 천공을 적용했을 때 패리티 검사 식의 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패리티 검사 행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에 대응하는 LDPC 부호에서 2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 천공을 적용했을 때 패리티 검사 식의 결합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패리티 검사 행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의 블록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부호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부호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및 방송 시스템에서 패리티 검사 행렬(parity check matrix)에 기반한 선형 부호(linear code)를 사용하는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호에 단축(shortening) 또는 천공(puncturing)을 적용하는 경우에 송수신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저밀도 패리티 검사(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및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단축 또는 천공을 적용할 때 효율적인 부호화/복호화를 위해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을 변환 하는 방법과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해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리티 검사 행렬에 기반한 선형 부호인 패리티 검사 부호(parity-check code)는 패리티 검사 행렬(parity check matrix) 또는 생성 행렬(generated matrix)을 이용해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리티 검사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001
또는 생성 행렬
Figure pat00002
가 주어져 있다면,
Figure pat00003
개의 정보어 비트(information bit)로 이루어진 길이가
Figure pat00004
인 정보어(information word)를
Figure pat00005
이라 할 때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인 관계를 만족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08
는 메시지
Figure pat00009
으로부터 얻어진 부호어(codeword)를 의미한다. 또한 주어진 선형 부호의 부호어가 조직적 부호(systematic code)인 경우에 부호어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로 나타나며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패리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메시지 길이(정보어의 길이)가
Figure pat00013
, 부호어의 길이가
Figure pat00014
인 경우에 패리티의 길이는 자명하게
Figure pat00015
가 되며, 패리티 검사 행렬의 크기는 최대 랭크(full rank)를 가질 경우에
Figure pat00016
이 된다.
구체적인 조직적 부호의 예로서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017
가 주어져 있다고 하자.
<수학식 1>
Figure pat00018
여기서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응되는 부호어
Figure pat00019
는 4개의 정보 비트(information bit)로 이루어진 정보어
Figure pat00020
와 5개의 패리티 비트로 이루어진 패리티
Figure pat00021
로부터
Figure pat00022
와 같이 구성 되며, 다음 <수학식 2>와 같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수학식 2 >
Figure pat00023
상기 <수학식 2>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정리해 보면, 패리티 검사 행렬의 각 행(row) 마다 하나의 대수적 관계식을 의미함을 알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각 관계식을 패리티 검사 식(parity-check equation)이라고 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24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0이 아닌 원소를 통상적으로 무게(weight)라고 하는데, 통상적으로 패리티 검사 부호는 이 무게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호화 및 복호화 복잡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즉, 전체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무게의 비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복잡도가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무게의 비율이 매우 낮은 부호를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 (low-density parity-check code, LDPC)라 하는데, LDPC 부호는 부호어 길이가 증가할수록 무게의 밀도는 더욱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패리티 검사 부호는 통신 및 방송 시스템의 요구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패리티 검사 행렬 중에서 패리티 검사 행렬을 가지는 부호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소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할 패리티 검사 행렬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은 각각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며, 패리티의 길이는
Figure pat00027
이다.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패리티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 즉,
Figure pat00028
번째 열(column)부터
Figure pat00029
번째 열까지의 구조는 이중 대각(dual diagonal) 형태이다.
따라서 패리티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해당하는 열의 무게의 개수는 마지막 열을 제외하고 모두 2이며, 마지막 열은 1이 된다.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 즉, 0번째 열부터
Figure pat00030
번째 열은
Figure pat00031
개의 열 단위로 특수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Figure pat00032
은 상기 도 1의 패리티 검사 행렬의 주요 파라미터 중 하나로서 주어진 시스템에 따라 값이 바뀔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은
Figure pat00033
개의 열 단위로 그룹화 된 형태로 생각할 수 있는데 각각의 열 그룹(column group) 내의 0 번째 열에서 무게이 존재하는 행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각 열 그룹 내의
Figure pat00034
번째 열에서 무게이 존재하는 행의 위치는 상기 각 열 그룹 내의 0 번째 열에서 무게 이 존재하는 행의 위치에서
Figure pat00035
만큼 순환적으로 이동(cyclic shift)된 형태이다. 여기서
Figure pat00036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037
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열 그룹의 개수(K 1 /M 1 )는 3이며, 3개의 열 그룹의 각 0 번째 열에 대한 무게-1을 가지는 행의 위치 정보가 < 표 1>과 같이 나타나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도 2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4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LDPC 부호 패리티 검사 행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시퀀스는 편의상 무게-1 위치 시퀀스(weight-1 position sequence)라고 하며,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번째 무게-1 위치 시퀀스는
Figure pat00045
번째 열 그룹 내의 첫 번째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하는 행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0 번 열부터 4 번 열로 이루어진 첫 번째 열 그룹에서, 상기 첫 번째 열 그룹 내의 첫 번째 열에 해당하는 0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0, 1, 2 번 행이다.
또한 상기 열 그룹 내의 두 번째 열에 해당하는 1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Figure pat00046
,
Figure pat00047
,
Figure pat00048
이다.
또한 상기 열 그룹 내의 네 번째 열에 해당하는 3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이 된다.
상기 도 2에서, 5 번 열부터 9 번 열로 이루어진 두 번째 열 그룹에서, 상기 두 번째 열 그룹 내의 첫 번째 열에 해당하는 5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0, 11, 13 번 행이다.
상기 열 그룹 내의 두 번째 열에 해당하는 6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Figure pat00052
,
Figure pat00053
,
Figure pat00054
이다.
또한 상기 열 그룹 내의 다섯 번째 열에 해당하는 9 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Figure pat00055
,
Figure pat00056
,
Figure pat00057
가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열 그룹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특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1>.은 0 번 열부터 4 번 열로 이루어진 첫 번째 열 그룹에서, 상기 첫 번째 열 그룹 내의 첫 번째 열에 해당하는 0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0, 1, 2 번 행과, 5 번 열부터 9 번 열로 이루어진 두 번째 열 그룹에서, 상기 두 번째 열 그룹 내의 첫 번째 열에 해당하는 5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0, 11, 13 번 행과, 10 번 열부터 14 번 열로 이루어진 세 번째 열 그룹에서, 상기 세 번째 열 그룹 내의 첫 번째 열에 해당하는 10번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한 행은 0, 11, 14 번 행을 나타낸다.
이제,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기술한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058
및 그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학식 1>의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059
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는
Figure pat00060
로 나타나는데 상기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따라 항상
Figure pat00061
,
Figure pat00062
를 천공하여 나머지 비트만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실질적인 부호어는
Figure pat00063
이 된다.
이제 <수학식 3>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4>에 나타난 4개의 패리티 검사 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4>
Figure pat00064
상기 <수학식 4>에서 식(1)과 식(2)를 결합하고, 식(3)과 식(4)를 결합하면, 다음 <수학식 5>와 같은 새로운 패리티 검사 식을 얻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65
이와 같이 <수학식 3>으로부터 <수학식 5>를 얻을 수 있는데 이 과정을 패리티 검사 행렬 관점에서 표현해 보면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 비트가 포함된 패리티 검사 식을 결합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수학식 4>, <수학식 5>에서,
Figure pat00066
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1)번 식과 (2)번 식을 결합하고,
Figure pat00067
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3)번 식과 (4)번 식을 결합하여 새로운 식이 도출한다.
이는 상기 도 3에서,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068
에서 0번째 행과 1번째 행을 결합하고, 2번째 행과 3번째 행을 결합하는 것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행들이 결합된 새로운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모두 0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불필요한 열들을 제거하면 상기 도 3에 나타난 새로운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069
를 얻을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기술한 패리티 검사 행렬 및 그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항상
Figure pat00070
,
Figure pat00071
를 천공할 경우에는 실질적인 패리티 검사 행렬은
Figure pat00072
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수신기 입장에서는 송신기에서
Figure pat00073
를 전송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Figure pat00074
를 이용하지 않고
Figure pat00075
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76
를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할 경우에는 9개의 비트와 5개의 패리티 검사 식으로부터 복호 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Figure pat00077
,
Figure pat00078
에 대해 소실(erasure)로 처리하여 복호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반해
Figure pat00079
,
Figure pat00080
에 대한 효과를 제거하여
Figure pat00081
를 사용하여 복호를 수행할 경우에는 7개의 비트와 3개의 패리티 검사 식만을 이용하여 복호 과정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복호 복잡도가 감소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송신기에서도 만일 항상 고정된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082
,
Figure pat00083
를 천공할 경우에는
Figure pat00084
를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부호화 복잡도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주어진 부호에서 천공된 비트가 많으면 많을수록 부호화/복호화 복잡도 감소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부호화/복호화 복잡도의 감소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형태의 패리티 검사 행렬 중에서 주요 파라미터들은
Figure pat00085
,
Figure pat00086
,
Figure pat00087
,
Figure pat00088
이며 무게-1 위치 시퀀스들은 <표 2>와 같이 나타나는 패리티 검사 행렬을 고려하면, 도 4와 같이 나타남을 쉽게 알 수 있다.
<무게-1 위치 시퀀스 1>
Figure pat0008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LDPC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의 예를 다르게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패리티 검사 행렬을 가지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다음의 <천공 규칙>을 가지는 천공을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전체 패리티 비트는 순서대로
Figure pat00090
,
Figure pat00091
, ,
Figure pat00092
로 나타낸다.
< 천공 규칙 >
규칙 1) 0번째 패리티 비트부터
Figure pat00093
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094
,
Figure pat00095
, ,
Figure pat00096
중에서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097
개의 패리티 비트를 결정한다. 상기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098
개의 패리티 비트를 편의상
Figure pat00099
,
Figure pat00100
, ,
Figure pat00101
라 한다.
여기서, 변수 A의 수에 따른 x0, x1, x2,.. 의 값은 시스템의 구현 상황에 따라 달라지거나, 미리 정해 질 수 있다.
규칙 2)
Figure pat00102
,
Figure pat00103
에 대해서
Figure pat00104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는 모두 천공을 취한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천공을 적용할 때 상기 <천공 규칙>의 규칙 1)에 따라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서
Figure pat00105
을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천공 규칙>의 규칙 2)에 따라
Figure pat00106
,
Figure pat00107
,
Figure pat00108
,
Figure pat00109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가 천공된다.
상기 도 1과 같은 형태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가지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Figure pat00110
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111
는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Figure pat00112
번째 행과
Figure pat00113
번째 행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식(parity-check equation)에 동시에 포함되기 때문에, <수학식 4>와 <수학식 5> 및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도 4의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상기 천공을 취할 각 패리티 비트가 포함되어 있는 패리티 검사 식에 대응되는 행들을 규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1번째, 2번째 행을 결합하고, 8번째, 9번째 행을 결합하고, 15번째, 16번째 행을 결합하고, 22번째 23번째 행을 결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은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114
가 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에 대응하는 LDPC 부호에서 1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 천공을 적용했을 때 패리티 검사 식의 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패리티 검사 행렬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115
는 천공된 4개의 패리티 비트가 제거되는 효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부호어 길이
Figure pat00116
Figure pat00117
이 되며 다른 주요 파라미터들은
Figure pat00118
,
Figure pat00119
,
Figure pat00120
으로 바뀐다. 또한, 상기
Figure pat00121
에 대한 무게-1 위치 시퀀스들 역시 <표 3>과 같이 변하게 된다.
<무게-1 위치 시퀀스 2>
Figure pat00122
결과적으로 상기 도 4에 나타낸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상기 <천공 규칙> 에 따라
Figure pat00123
,
Figure pat00124
,
Figure pat00125
,
Figure pat00126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를 항상 천공한다고 할 경우에는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 대응되는 상기 도 5의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127
를 이용한 패리티 검사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복호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게-1 위치 시퀀스 1>과 <무게-1 위치 시퀀스 2>의 수학적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서
Figure pat00128
을 정하여 먼저 1번째, 2번째 행을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2번째 행이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무게-1 위치 시퀀스 1>는 무게-1들이 위치한 행의 정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특정 위치의 행이 하나 줄어들면 상기 특정 위치 보다 아래쪽에 있는 행들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값은 하나씩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2보다 같거나 큰 숫자에 해당하는 값들이 모두 1씩 줄어들어야 된다.
마찬가지로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서
Figure pat00129
을 정하여 8번째, 9번째 행을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9번째 행이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9 보다 같거나 큰 숫자에 해당하는 값들은 모두 1씩 추가로 줄어들어야 된다.
마찬가지로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서
Figure pat00130
을 정하여 15번째, 16번째 행을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16번째 행이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16 보다 같거나 큰 숫자에 해당하는 값들은 모두 1씩 추가로 줄어들어야 된다.
마찬가지로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서
Figure pat00131
을 정하여 22번째, 23번째 행을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23번째 행이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23 보다 같거나 큰 숫자에 해당하는 값들은 모두 1씩 추가로 줄어들어야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Figure pat00132
,
Figure pat00133
,
Figure pat00134
,
Figure pat00135
를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 설정
2)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0 이상이고 1 이하인 숫자는 변화 없음
3)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1 보다 크고 8 이하인 숫자는 -1을 적용
4)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8 보다 크고 15 이하인 숫자는 -2를 적용
5)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15 보다 크고 22 이하인 숫자는 -3을 적용
6)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서 22 보다 큰 숫자는 -4를 적용
전술한 과정을 통해 <무게-1 위치 시퀀스 2>를 얻을 수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도 4에 나타낸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천공을 적용할 때 상기 <천공 규칙>의 규칙 1)에 따라 천공할 패리티 비트로서
Figure pat00136
뿐만 아니라 추가로
Figure pat00137
를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패리티 비트를 천공할 경우에는 먼저
Figure pat00138
에 대해 상기 과정을 통해 <무게-1 위치 시퀀스 2>를 구한 다음 다시 동일한 과정을 거쳐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무게-1 위치 시퀀스 1>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 천공된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139
는 천공된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140
효과를 제거하여 <무게-1 위치 시퀀스 2>를 얻은 것이기 때문에
Figure pat00141
보다 앞에서 천공된 패리티 비트 한 비트가 없어진 것과 같아 <무게-1 위치 시퀀스 2>애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서는 천공한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142
에 해당하게 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에 대응하는 LDPC 부호에서 1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 천공을 적용했을 때 패리티 검사 식의 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패리티 검사 행렬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기 무게-1 시퀀스의 변환 과정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Figure pat00143
,
Figure pat00144
,
Figure pat00145
,
Figure pat00146
를 천공 패리티 비트로 설정
2)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서 0 이상이고 3 이하인 숫자는 변화 없음
3)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서 3 보다 크고 9 이하인 숫자는 -1을 적용
4)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서 9 보다 크고 15 이하인 숫자는 -2를 적용
5)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서 15 보다 크고 21 이하인 숫자는 -3을 적용
6) <무게-1 위치 시퀀스 2>에서 21 보다 큰 숫자는 -4를 적용
전술한 과정에서
Figure pat00147
,
Figure pat00148
,
Figure pat00149
,
Figure pat00150
를 천공 패리티 비트로 설정하게 된 이유는 <천공 규칙>의 규칙 2)를 적용할 때
Figure pat00151
으로 변형되었기 때문임에 유의한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무게-1 시퀀스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152
는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에 대응하는 LDPC 부호에서 2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 천공을 적용했을 때 패리티 검사 식의 결합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패리티 검사 행렬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무게-1 위치 시퀀스 3>는 <표 4>와 같다.
Figure pat00153
상기 도 6의 패리티 검사 행렬
Figure pat00154
의 주요 파라미터들은
Figure pat00155
,
Figure pat00156
,
Figure pat00157
,
Figure pat00158
로 변경됨에 유의한다.
<천공 규칙>을 적용하여 복수 개의 패리티 비트를 천공할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천공된 패리티 비트들의 효과를 제거한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그에 대응되는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 상기 <천공 규칙>을 적용할 경우에 무게-1 위치 시퀀스의 변환 과정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얻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
Step 1)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서 0 이상
Figure pat00159
이하인 숫자는 변화 없음
Step 2)
Figure pat00160
에 대해서
Figure pat00161
보다 크고 이하인 숫자는 모두
Figure pat00163
를 적용함.
Step 3)
Figure pat00164
보다 큰 숫자는
Figure pat00165
을 적용함.
Step 4) 제 1 무게-1 시퀀스를 Step 1), Step 2), Step 3)에서 얻어진 새롭게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로 치환
Step 5)
Figure pat00166
로 치환
Step 6)
Figure pat00167
로 치환.
Figure pat00168
이 만족되면 다음 Step 7), Step 8)을 실행. 만족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제 2 무게-1 시퀀스로 저장하고, 또한 최종적인
Figure pat00169
값을
Figure pat00170
로 저장하고 종료.
Step 7)
Figure pat00171
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Figure pat00172
Step 8) Step 1)부터 Step 7)을 반복.
결과적으로 주요 파라미터가
Figure pat00173
,
Figure pat00174
,
Figure pat00175
,
Figure pat00176
인 제 1 무게-1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 상기 <천공 규칙>을 적용할 때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적용하게 되면, 천공된 패리티 비트에 대한 영향을 제거한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 대응되는 제 2 무-1 시퀀스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패리티 검사 부호를 나타내는 주요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Figure pat00177
,
Figure pat00178
,
Figure pat00179
,
Figure pat00180

다음으로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의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유럽 향 2세대 디지털 방송 표준인 DVB-T2에서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갖는 LDPC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할 때, DVB-T2에서 사용되는 LDPC 부호의 주요 파라미터들은
Figure pat00181
,
Figure pat00182
,
Figure pat00183
,
Figure pat00184
이며 <표 5>와 같은 무게-1 위치 시퀀스들을 갖는다.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185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에서
Figure pat00186
번째 무게-1 위치 시퀀스는
Figure pat00187
번째 열 그룹 내의 0 번째 열에서 무게-1이 위치하는 행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DVB-T2에서는 L1-pre 시그널링(signaling)이라는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시그널링이 존재하는데 200 비트의 정보어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DVB-T2 L1-pre 시그널링은 BCH (Bose-Chaudhuri-Hocquenghem) 부호와 LDPC 부호를 연접(concatenation)하는 방식으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부호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상기 L1-pre 시그널링에 0 값을 가지는 2872 비트를 padding (zero-padding)하여 총 3072 비트에 대해 BCH 부호화를 수행하여 168 비트의 BCH 패리티를 생성하고, 생성된 3240 비트의 BCH 부호어에 대해 상기 <표5>의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이용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200 비트의 L1-pre 시그널링에 대해 BCH 부호화를 수행하여 168 비트의 BCH 패리티를 생성하고, 총 368 비트의 BCH 부호어에 0 값을 가지는 2872 비트를 padding (zero-padding)하여 총 3240 비트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두 가지 부호화 방법들에서 zero-padding된 2872 비트는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최종 송신할 때는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LDPC 부호는
Figure pat00188
개의 패리티 비트를 생성하는데 DVB-T2 시스템에서는 L1-pre 시그널링을 위해 상기 생성된 12960개의 패리티 비트 중에서 11488개의 패리티 비트를 항상 천공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부호화된 L1-pre 시그널링은 1840 (= 368 + 1472) 비트로 구성된다.
DVB-T2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천공 규칙>과 유사한 천공 방식을 적용하는데 특히, 상기 천공되는 11488개의 패리비 비트 중에서
Figure pat00189
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본 발명의 <천공 규칙>과 동일한 방식으로 천공을 취한다.
1) 0번째 패리티 비트부터 35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190
,
Figure pat00191
, ,
Figure pat00192
중에서 천공을 취할 31개의 패리티 비트를 결정한다. 상기 천공을 취할 31개의 패리티 비트는
Figure pat00193
이다.
2) 편의상
Figure pat00194
,
Figure pat00195
,
Figure pat00196
,
Figure pat00197
,
Figure pat00198
,
Figure pat00199
,
Figure pat00200
,
Figure pat00201
,
Figure pat00202
,
Figure pat00203
,
Figure pat00204
,
Figure pat00205
,
Figure pat00206
,
Figure pat00207
,
Figure pat00208
,
Figure pat00209
,
Figure pat00210
,
Figure pat00211
,
Figure pat00212
,
Figure pat00213
,
Figure pat00214
,
Figure pat00215
,
Figure pat00216
,
Figure pat00217
,
Figure pat00218
,
Figure pat00219
,
Figure pat00220
,
Figure pat00221
,
Figure pat00222
,
Figure pat00223
,
Figure pat00224
라 하면,
Figure pat00225
,
Figure pat00226
에 대해서
Figure pat00227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는 모두 천공을 취한다.
위와 같은 패리티 천공을 취할 때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를 적용하면 <표 6>과 같은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228
상기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패리티 검사 부호의 주요 파라미터는
Figure pat00229
,
Figure pat00230
,
Figure pat00231
,
Figure pat00232
와 같이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DVB-T2에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LDPC 부호를 사용하여 11488개의 패리티 비트에 천공을 적용할 때 상기 천공된 11488개의 패리티 비트 중에서 <천공 규칙>과 동일한 방식으로 천공을 취하는
Figure pat00233
개의 패리티 비트가 포함된 패리티 검사 식들을 결합함으로써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LDPC 부호를 얻을 수 있으며,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LDPC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한 후
Figure pat00234
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해서만 추가적으로 천공을 적용하면,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LDPC 부호를 사용하여 11488개의 패리티 비트에 천공을 적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표 6>의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하여 DVB-T2 L1-pre 시그널링에 대해 부호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상기 200 비트의 L1-pre 시그널링에 0 값을 가지는 2872 비트를 padding (zero-padding)하여 총 3072 비트에 대해 BCH 부호화를 수행하여 168 비트의 BCH 패리티를 생성하고, 생성된 3240 비트의 BCH 부호어에 대해 상기 <표6>의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한 다음 생성된 LDPC 패리티 비트 중에서 328개의 패리티 비트를 적절히 천공한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200 비트의 L1-pre 시그널링에 대해 BCH 부호화를 수행하여 168 비트의 BCH 패리티를 생성하고, 총 368 비트의 BCH 부호어에 0 값을 가지는 2872 비트를 padding (zero-padding)하여 총 3240 비트에 대해 상기 <표6>의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한 다음 생성된 LDPC 패리티 비트 중에서 328개의 패리티 비트를 적절히 천공한다.
상기 두 가지 부호화 방법들에서 zero-padding된 2872 비트는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최종 송신할 때는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부호화된 L1-pre 시그널링은 1840 비트로 기존의 DVB-T2 시스템과 동일하다.
상기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LDPC 부호를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하게 되면, 11160 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한 생성 과정이 필요 없게 되기 때문에 부호화 복잡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복호 과정에서도 11160개의 패리티 비트에 대한 처리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연산 복잡도 감소 및 필요한 메모리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VB-T2에서는 상기 L1-pre 시그널링의 길이가 200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BCH 부호화 또는 LDPC 부호화를 위해 정보어 부분에 대한 단축을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단축의 한 예로서 DVB-T2에서는 상기 L1-pre 시그널링의 부호화를 위해 항상 0 값을 가지는 2872 비트를 padding 하는데, 특히 상기 zero-padding 된 2872 비트 중에서 2520 비트는 LDPC 부호의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0번째 열 그룹과 8번째 열 그룹을 제외한 모든 열 그룹에 대응되는 정보어 비트에 해당된다. 정보어 비트의 값을 0으로 제한하는 것은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해당 열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해당 열들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0번째 열 그룹과 8번째 열 그룹을 제외한 모든 열 그룹에 대응되는 무게-1 위치 수열들을 제거하면, 부호화 과정에서 2520 비트에 대한 zero-padding 동작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복호 과정에서도 제거된 무게-1 위치 수열들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높은 부호화/복호화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서 0번째 및 8번째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제외한 시퀀스로 이루어진 <표 7>과 같은 <제 2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부호화/복호화가 가능하다.
<제 2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235
상기 <제 2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에 대응되는 LDPC 부호에 대한 주요 파라미터는
Figure pat00236
,
Figure pat00237
,
Figure pat00238
,
Figure pat00239
와 같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 또는 패리티 검사 부호에 대해 추가적인 단축 및 천공을 적용함으로써 DVB-T2와 완전히 동일한 부호어를 생성해 낼 수 있다.
상기 <표 7>의 <제 2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하여 DVB-T2 L1-pre 시그널링에 대해 부호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상기 200 비트의 L1-pre 시그널링에 0 값을 가지는 352 비트를 padding (zero-padding)하여 총 552 비트에 대해 BCH 부호화를 수행하여 168 비트의 BCH 패리티를 생성하고, 생성된 720 비트의 BCH 부호어에 대해 상기 <표7>의 제 2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한 다음 생성된 LDPC 패리티 비트 중에서 328개의 패리티 비트를 적절히 천공한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200 비트의 L1-pre 시그널링에 대해 BCH 부호화를 수행하여 168 비트의 BCH 패리티를 생성하고, 총 368 비트의 BCH 부호어에 0 값을 가지는 352 비트를 padding (zero-padding)하여 총 720 비트에 대해 상기 <표7>의 제 1 변형된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를 이용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한 다음 생성된 LDPC 패리티 비트 중에서 328개의 패리티 비트를 적절히 천공한다.
상기 두 가지 부호화 방법들에서 zero-padding된 352 비트는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최종 송신할 때는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부호화된 L1-pre 시그널링은 1840 비트로 기존의 DVB-T2 시스템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의 블록을 구성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패리티 검사 부호 또는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메시지 또는 정보어
Figure pat00240
는 송신기(710)의 부호화기(encoder)(711)로 입력된다.
상기 부호화기(encoder)(711)는 입력된 메시지
Figure pat00241
를 부호화하여 출력한 부호화 신호
Figure pat00242
를 변조기(Modulator)(713)로 전송한다.
상기 변조기(713)는 상기 부호화된 신호
Figure pat00243
를 변조한 후 변조된 신호
Figure pat00244
를 무선 채널(720)을 통해 수신기(7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기(730)의 복조기(Demodulator)(731)는 상기 송신기(710)에 의해 전송된 신호
Figure pat00245
을 복조한 후 그 결과
Figure pat00246
를 복호기(Decoder)(733)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복호기(733)는
Figure pat00247
로부터 메시지의 추정치(estimation value)
Figure pat00248
를 추정해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도 7의 통신 시스템에서 부호화기(711)로서 LDPC 부호화기를 적용할 경우에 상기 부호화기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부호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 장치는 제어부(81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 LDPC 부호화기(830), 단축 적용부(840) 및 천공 적용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단축 적용부(840)와 천공 적용부(850)를 LDPC 부호화기(830)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810)는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 LDPC 부호화기(830), 단축 적용부(840) 및 천공 적용부(850)를 제어하고, 구현상황에 따라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 LDPC 부호화기(830), 단축 적용부(840) 및 천공적용부(8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Figure pat00249
에 LDPC 부호화를 적용하기 위하여 단축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어부(810)의 제어 하에 단축 적용부(840)에서 먼저 단축을 수행한다. 단축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단축 적용부(840)는 생략될 수 있다.
LDPC 부호화기(830)는 제어부(810)의 제어 하에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에서 결정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LDPC 부호화를 수행한다.
천공이 필요할 경우에 LDPC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에 제어부(810)의 제어 하에 천공 적용부(850)을 통해 천공을 적용하여 상기 도 7의 변조기(713)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천공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천공 적용부(850)는 생략될 수 있다.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는 다양한 패리티 검사 행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한 무게-1 위치 시퀀스가 그 한 예이다.
또한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는 일정한 단축 또는 천공의 적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호화/복호화 복잡도 감소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패리티 검사 행렬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부호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 장치는 제어부(91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920),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 LDPC 부호화기(940), 단축 적용부(950) 및 천공적용부(9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920),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 LDPC 부호화기(940), 단축 적용부(950) 및 천공적용부(960)를 제어하고, 구현 상황에 따라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920),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 LDPC 부호화기(940), 단축 적용부(950) 및 천공적용부(96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920), 단축적용부(950), LDPC부호화기(940) 및 천공적용부(960)의 기능은 도 8의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820), 단축적용부(840), LDPC부호화기(830) 및 천공적용부(850)의 기능과 동일하다. 제어부(910)는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의 기능도 제어한다.
만일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을 직접 저장하지 않으려면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을 시스템에 직접 적용하여 처음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로부터 직접 변환 작업을 적용하여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은 상기 도 9의 송신 장치의 부호화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920)는 일정한 단축 또는 천공의 적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호화/복호화 복잡도 감소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패리티 검사 행렬을 저장하고 호출한다(1010 단계).
만약,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을 직접 저장하지 않으면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가 처음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직접 변환을 적용하고,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1020 단계).
메시지
Figure pat00250
에 LDPC 부호화를 적용하기 위하여 단축이 필요할 경우, 제어부(910)의 제어 하에 단축 적용부(950)는 단축을 수행한다(1030 단계).
LDPC 부호화기(830)는 제어부(910)의 제어 하에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920)에서 결정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LDPC 부호화를 수행한다(1040 단계)..
천공이 필요할 경우에 LDPC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 값을 제어부(910)의 제어 하에 천공 적용부(950)가 천공을 적용하여 상기 도 7의 변조기(713)에 전달한다(1050 단계).
상기 1020 단계에서 패리티 검사 행렬을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도 9의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930)의 동작과 대응된다.
만일 도 8과 같이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 부의 동작을 생략하고,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직접 저장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102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010 단계, 1020 단계 및 1030 단계의 순서는 시스템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천공 또는 단축된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신 장치는 복조기(11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제어부(113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150) 및 LDPC 복호기(1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30)은 상기 복조기(11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150) 및 LDPC 복호기(1140)를 제어하고, 구현 상황에 따라 상기 복조기(11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150) 및 LDPC 복호기(1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조기(1110)는 단축 또는 천공된 LDPC 부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의 일부는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로 전달하고, 일부는 LDPC 복호기(1140)로 전달한다.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는 제어부(1130)의 제어 하에,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LDPC 부호의 천공 또는 단축 패턴에 대한 정보를 추정 또는 판단하여, 천공 및 단축된 비트의 위치 정보를 LDPC 복호기(1140)로 전달한다.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에서 천공,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하는 방법은 메모리를 이용하여 저장된 천공 및 단축 패턴을 사용하거나, 미리 구현되어 있는 생성 방법 등을 이용하여 천공 및 단축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130)는 LDPC 복호기에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150)에서 적합한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를 LDPC 복호기(1140)로 전달한다.
여기서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150)는 불필요한 부호화/복호화 복잡도 감소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패리티 검사 행렬을 미리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LDPC 복호기(1140)는 천공된 비트는 소실로 처리하여 복호를 수행하는데, 만일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패리티 검사 행렬로부터 천공 또는 단축의 적용이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의 역할은 생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천공 또는 단축된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신 장치는 복조기(12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220), 제어부(123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250),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 및 및 LDPC 복호기(1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복조기(12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22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250),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 및 및 LDPC 복호기(1240)를 제어하고 구현상황에 따라 상기 복조기(12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220),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250),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 및 및 LDPC 복호기(12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조기(12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220), LDPC 복호기(1240)의 기능은 상기 복조기(1110),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및 LDPC 복호기(1140)의 기능과 동일하다.
만일,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250)가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은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을 직접 저장하지 않으려면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를 시스템에 직접 적용하여 처음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에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적용하여 얻은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시스템의 LDPC 복호기(1240)에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송신 장치에서 단축과 천공을 모두 적용한 경우,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1220)는 단축에 대한 패턴 판단 또는 추정을 먼저 진행할 수도 있고, 천공에 대한 패턴 판단 또는 추정을 먼저 진행할 수도 있고, 단축에 대한 패턴 판단 또는 추정과 천공에 대한 패턴 판단 또는 추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도 있다.
또한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1220)는 복조된 신호의 일부를 통해 천공 비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천공 비트가 있을 경우, 천공 패턴에 대한 정보를 추정하여 천공된 패리티 비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축 또는 천공이 적용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1220)의 역할은 생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됐을 때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122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한다(1310 단계).
이후,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120, 1220)는 LDPC 복호기(1140, 1240)에 상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전달하고(1330 단계), 상기 LDPC 복호기(1140, 1240)는 상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데 대해 복호를 수행한다(1350 단계).
여기서, 사용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거쳐 얻은 패리티 검사 행렬이 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복호가 수행됨으로써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1310 단계 및 1330 단계는 변경 및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도 14의 수신장치는 상기 도 12의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를 시스템에 직접 적용하여 처음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에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적용하여 획득한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시스템의 LDPC 복호기(1240)에서 사용하는 실시 예에 대한 수신 장치이다.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됐을 때,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122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한다(1410 단계).
판단 또는 추정된 천공 및 단축 패턴은 제어부(1230) 및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1250)를 통해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로 전달된다(1420 단계).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는 처음 주어진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본 발명에서 제안한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과정>을 적용한다(1430 단계).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1260)는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를 LDPC 복호기(1240)에 전달하고(1440 단계), LDPC 복호기(1240)는 수신된 신호에 대해 복호를 수행한다(1450 단계).
만일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1410 단계부터 1440 단계까지의 동작은 변경 및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필요 시, 정보어에 단축을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어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어를 생성하는 과정과,
    필요 시, 상기 부호어에 천공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은,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규칙은,
    0번째 패리티 비트부터
    Figure pat00251
    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252
    ,
    Figure pat00253
    , ,
    Figure pat00254
    중에서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255
    개의 패리티 비트를 결정하고,
    Figure pat00256
    ,
    Figure pat00257
    에 대해서
    Figure pat00258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는 모두 천공을 취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전체 패리티 비트는 순서대로
    Figure pat00259
    ,
    Figure pat00260
    , ,
    Figure pat00261
    로 나타내고, 상기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262
    개의 패리티 비트를
    Figure pat00263
    ,
    Figure pat00264
    , ,
    Figure pat00265
    라 한다.
    그리고,
    Figure pat00266
    Figure pat00267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268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269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270
    를 만족한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서 0 이상
    Figure pat00271
    이하인 숫자는 변화를 주지 않는 1 과정과,
    Figure pat00272
    에 대해서
    Figure pat00273
    보다 크고
    Figure pat00274
    이하인 숫자는 모두
    Figure pat00275
    를 적용하는 2 과정과,
    Figure pat00276
    보다 큰 숫자는
    Figure pat00277
    을 적용하는 3 과정과,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상기 1, 2, 3 과정에서 새롭게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로 치환하는 4 과정과,
    Figure pat00278
    로 치환하는 5 과정과,
    Figure pat00279
    로 치환하고
    Figure pat00280
    이 만족되면 7, 8 과정을 실행하고,
    Figure pat00281
    이 만족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제 2 무게-1 시퀀스로 저장하고, 또한 최종적인
    Figure pat00282
    값을
    Figure pat00283
    로 저장 후 종료하는 6 과정과,
    Figure pat00284
    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Figure pat00285
    를 적용하는 7 과정과,
    상기 1 과정부터 7과정을 반복하는 8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Figure pat00286
    는 천공을 취할 패리티 비트 수이고,
    Figure pat00287
    Figure pat00288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289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290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291
    를 만족한다.
  5. 제 1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292

  6. 제 1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293
  7.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단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됐을 때, 수신된 신호로부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하는 과정과,
    판단 또는 추정된 천공 및 단축 패턴에 따라,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LDPC 복호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은,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규칙은,
    0번째 패리티 비트부터
    Figure pat00294
    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295
    ,
    Figure pat00296
    , ,
    Figure pat00297
    중에서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298
    개의 패리티 비트를 결정하고,
    Figure pat00299
    ,
    Figure pat00300
    에 대해서
    Figure pat00301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는 모두 천공을 취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전체 패리티 비트는 순서대로
    Figure pat00302
    ,
    Figure pat00303
    , ,
    Figure pat00304
    로 나타내고, 상기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305
    개의 패리티 비트를
    Figure pat00306
    ,
    Figure pat00307
    , ,
    Figure pat00308
    라 한다.
    그리고,
    Figure pat00309
    Figure pat00310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311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312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313
    를 만족한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서 0 이상
    Figure pat00314
    이하인 숫자는 변화를 주지 않는 1 과정과,
    Figure pat00315
    에 대해서
    Figure pat00316
    보다 크고
    Figure pat00317
    이하인 숫자는 모두
    Figure pat00318
    를 적용하는 2 과정과,
    Figure pat00319
    보다 큰 숫자는
    Figure pat00320
    을 적용하는 3 과정과,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상기 1, 2, 3 과정에서 새롭게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로 치환하는 4 과정과,
    Figure pat00321
    로 치환하는 5 과정과,
    Figure pat00322
    로 치환하고
    Figure pat00323
    이 만족되면 7, 8 과정을 실행하고,
    Figure pat00324
    이 만족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제 2 무게-1 시퀀스로 저장하고, 또한 최종적인
    Figure pat00325
    값을
    Figure pat00326
    로 저장 후 종료하는 6 과정과,
    Figure pat00327
    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Figure pat00328
    를 적용하는 7 과정과,
    상기 1 과정부터 7과정을 반복하는 8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Figure pat00329
    는 천공을 취할 패리티 비트 수이고,
    Figure pat00330
    Figure pat00331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332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333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334
    를 만족한다.
  11. 제 7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12. 제 7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336

  13.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송신 단의 장치에 있어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와,
    필요 시, 정보어에 단축을 적용하는 단축 적용부와,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패리티 검사 행렬을 생성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 변환부와,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된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어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어를 생성하는 LDPC 부호화기와,
    필요 시, 상기 부호어에 천공을 적용하는 천공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는,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할 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규칙은,
    0번째 패리티 비트부터
    Figure pat00337
    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338
    ,
    Figure pat00339
    , ,
    Figure pat00340
    중에서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341
    개의 패리티 비트를 결정하고,
    Figure pat00342
    ,
    Figure pat00343
    에 대해서
    Figure pat00344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는 모두 천공을 취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전체 패리티 비트는 순서대로
    Figure pat00345
    ,
    Figure pat00346
    , ,
    Figure pat00347
    로 나타내고, 상기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348
    개의 패리티 비트를
    Figure pat00349
    ,
    Figure pat00350
    , ,
    Figure pat00351
    라 한다.
    그리고,
    Figure pat00352
    Figure pat00353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354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355
    은 정수이며, 를 만족한다.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는,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할 시,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서 0 이상
    Figure pat00357
    이하인 숫자는 변화를 주지 않는 1 과정과,
    Figure pat00358
    에 대해서
    Figure pat00359
    보다 크고
    Figure pat00360
    이하인 숫자는 모두
    Figure pat00361
    를 적용하는 2 과정과,
    Figure pat00362
    보다 큰 숫자는
    Figure pat00363
    을 적용하는 3 과정과,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상기 1, 2, 3 과정에서 새롭게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로 치환하는 4 과정과,
    Figure pat00364
    로 치환하는 5 과정과,
    Figure pat00365
    로 치환하고
    Figure pat00366
    이 만족되면 7, 8 과정을 실행하고,
    Figure pat00367
    이 만족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제 2 무게-1 시퀀스로 저장하고, 또한 최종적인
    Figure pat00368
    값을
    Figure pat00369
    로 저장 후 종료하는 6 과정과,
    Figure pat00370
    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Figure pat00371
    를 적용하는 7 과정과,
    상기 1 과정부터 7과정을 반복하는 8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Figure pat00372
    는 천공을 취할 패리티 비트 수이고,
    Figure pat00373
    Figure pat00374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375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376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377
    를 만족한다.
  17. 제 13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378

  18. 제 13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379

  19.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heck)를 사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 단의 장치에 있어서
    천공 또는 단축이 적용됐을 때, 수신된 신호로부터 천공 및 단축 패턴을 판단 또는 추정하는 단축, 천공 패턴 판단 또는 추정부와,
    판단 또는 추정된 천공 및 단축 패턴에 따라,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와,
    변환된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LDPC 복호화를 수행하는 LDPC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는,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 절차를 수행할 시,
    초기 패리티 검사 행렬에서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규칙은,
    0번째 패리티 비트부터
    Figure pat00380
    번째 패리티 비트
    Figure pat00381
    ,
    Figure pat00382
    , ,
    Figure pat00383
    중에서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384
    개의 패리티 비트를 결정하고,
    Figure pat00385
    ,
    Figure pat00386
    에 대해서
    Figure pat00387
    에 해당하는 패리티 비트는 모두 천공을 취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전체 패리티 비트는 순서대로
    Figure pat00388
    ,
    Figure pat00389
    , ,
    Figure pat00390
    로 나타내고, 상기 천공을 취할
    Figure pat00391
    개의 패리티 비트를
    Figure pat00392
    ,
    Figure pat00393
    , ,
    Figure pat00394
    라 한다.
    그리고,
    Figure pat00395
    Figure pat00396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397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398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399
    를 만족한다.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검사 행렬 추출부는,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패리티 검사 행렬에 대해 천공 규칙을 적용하고 무게-1 위치 시퀀스 변환을 통해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생성할 시,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에서 0 이상
    Figure pat00400
    이하인 숫자는 변화를 주지 않는 1 과정과,
    Figure pat00401
    에 대해서
    Figure pat00402
    보다 크고
    Figure pat00403
    이하인 숫자는 모두
    Figure pat00404
    를 적용하는 2 과정과,
    Figure pat00405
    보다 큰 숫자는
    Figure pat00406
    을 적용하는 3 과정과,
    상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상기 1, 2, 3 과정에서 새롭게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로 치환하는 4 과정과,
    Figure pat00407
    로 치환하는 5 과정과,
    Figure pat00408
    로 치환하고
    Figure pat00409
    이 만족되면 7, 8 과정을 실행하고,
    Figure pat00410
    이 만족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진 무게-1 위치 시퀀스를 제 2 무게-1 시퀀스로 저장하고, 또한 최종적인
    Figure pat00411
    값을
    Figure pat00412
    로 저장 후 종료하는 6 과정과,
    Figure pat00413
    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Figure pat00414
    를 적용하는 7 과정과,
    상기 1 과정부터 7과정을 반복하는 8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Figure pat00415
    는 천공을 취할 패리티 비트 수이고,
    Figure pat00416
    Figure pat00417
    은 각각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정보어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418
    은 정보어에 대응되는 부분 행렬에 대한 그룹화된 열의 수이다. 그리고
    Figure pat00419
    은 정수이며,
    Figure pat00420
    를 만족한다.
  23. 제 19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 1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421

  24. 제 19항에 있어서,
    DVB-T2 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위한 패리티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 2 무게-1 위치 시퀀스: DVB-T2>
    Figure pat00422
KR1020110001269A 2011-01-06 2011-01-06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0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269A KR101702358B1 (ko) 2011-01-06 2011-01-06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PCT/KR2012/000165 WO2012093894A2 (en) 2011-01-06 2012-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in a broadcasting/communication system using low density parity-check codes
US13/345,264 US8707128B2 (en) 2011-01-06 2012-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in a broadcasting/communication system using low density parity-check c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269A KR101702358B1 (ko) 2011-01-06 2011-01-06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922A true KR20120079922A (ko) 2012-07-16
KR101702358B1 KR101702358B1 (ko) 2017-02-03

Family

ID=4645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269A KR101702358B1 (ko) 2011-01-06 2011-01-06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07128B2 (ko)
KR (1) KR101702358B1 (ko)
WO (1) WO20120938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041B2 (en) 2015-02-25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parity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7125B2 (en) * 2009-11-18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601182B2 (ja) * 2010-12-07 2014-10-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20150046765A1 (en) * 2013-02-08 2015-02-12 Sony Corpora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CA2900007C (en) * 2013-02-08 2023-01-24 Sony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MX2015009939A (es) * 2013-02-08 2015-10-05 Sony Corp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datos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US20150082118A1 (en) * 2013-09-18 2015-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pun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211866A1 (en) * 2013-09-20 2016-07-21 Sony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432052B2 (en) * 2014-09-18 2016-08-30 Broadcom Corporation Puncture-aware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decoding
CN107615666A (zh) * 2015-09-16 2018-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Ldpc截短码的译码方法和译码设备
EP3598648B1 (en) * 2017-03-13 2021-02-24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Transmission scheme using a rate 1/4 (736, 184) ldpc code
US20220029637A1 (en) * 2018-07-27 2022-0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ldpc cod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108A (ko) * 2003-08-26 2005-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블록 저밀도 패러티 검사 부호부호화/복호 장치 및 방법
US20090259915A1 (en) * 2004-10-12 2009-10-15 Michael Livshitz Structured low-density parity-check (ldpc) cod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41B1 (ko) 2004-07-27 200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929080B1 (ko) * 2006-02-20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91196B1 (ko) 2006-06-07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JP4858335B2 (ja) * 2007-07-10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方法および符号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108A (ko) * 2003-08-26 2005-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블록 저밀도 패러티 검사 부호부호화/복호 장치 및 방법
US20090259915A1 (en) * 2004-10-12 2009-10-15 Michael Livshitz Structured low-density parity-check (ldpc) co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041B2 (en) 2015-02-25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parity thereof
US11658770B2 (en) 2015-02-25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parit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3894A2 (en) 2012-07-12
KR101702358B1 (ko) 2017-02-03
US8707128B2 (en) 2014-04-22
US20120179948A1 (en) 2012-07-12
WO2012093894A3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922A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드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0666391B2 (en) Method for encoding information bit sequence in communication network
KR101502623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부호/복호 방법 및 장치
RU25955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широковещания
KR101740316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10123637A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부호/복호 방법 및 장치
KR20130038782A (ko) 통신/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A3057817C (en) Method for performing encoding on basis of parity check matrix of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KR20120096510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636914A (zh) 用于编码和解码数据的方法和装置
US10848185B2 (en) Coding and decoding of polar codes extended to lengths which are not powers of two
KR102419967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20090095432A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채널부호/복호 방법 및 장치
JP2004511161A (ja) シンプレックス符号を使用した(n、3)符号と(n、4)符号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CN106936541B (zh) Rs编码加字节交织方法及系统
US11190210B2 (en) Method for encoding based on parity check matrix of LDPC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is
KR101503653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2211470B1 (en) Generating an exponent table for coding and decoding LDPC codewords of different lengths
KR101554064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8270448B (zh) 准循环低密度奇偶校验编码方法及装置
KR20220130645A (ko) 통신 또는 방송 시스템에서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90093778A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부호/복호 장치 및 방법
CN104410428A (zh) 一种基于分时的分组马尔可夫叠加编码的多码率码编码方法
CN101461141A (zh) 借助网格编码的调制的编码以及解码
KR101411720B1 (ko) 엘디피시 부호의 패리티 체크 행렬을 이용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복호기를 만드는 엘디피시 부호의 복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엘디피시 부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