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440A -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440A
KR20120079440A KR1020110133358A KR20110133358A KR20120079440A KR 20120079440 A KR20120079440 A KR 20120079440A KR 1020110133358 A KR1020110133358 A KR 1020110133358A KR 20110133358 A KR20110133358 A KR 20110133358A KR 20120079440 A KR20120079440 A KR 2012007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shutter
display device
signal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085B1 (ko
Inventor
서제환
강용진
정도성
황태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02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433A/ko
Priority to KR1020110073649A priority patent/KR20120079436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358A priority patent/KR101212085B1/ko
Priority to EP11195058A priority patent/EP2475182A3/en
Priority to EP14180791.7A priority patent/EP2819410A1/en
Priority to BR112013017055A priority patent/BR112013017055A2/pt
Priority to AU2011354527A priority patent/AU2011354527B2/en
Priority to MX2013007775A priority patent/MX2013007775A/es
Priority to CA2823634A priority patent/CA2823634A1/en
Priority to PCT/KR2011/009997 priority patent/WO2012093789A2/en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1/00999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093789A2/en
Priority to JP2011287908A priority patent/JP5956751B2/ja
Priority to TW101100018A priority patent/TWI547140B/zh
Priority to US13/343,032 priority patent/US8854429B2/en
Priority to CN201210004564.3A priority patent/CN102595174B/zh
Publication of KR2012007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85B1/ko
Priority to US13/870,078 priority patent/US8836759B2/en
Priority to ZA2013/05308A priority patent/ZA201305308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3D안경 제어 방법은 3D 안경과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3D 안경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세지를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D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표시되는 3D 영상의 시청을 위한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좌안영상과 우안에 대응하는 우안영상을 교대로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셔터 안경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함에 따라 셔터 안경은 사용자의 양안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킨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안 영상을 표시할 때, 셔터 안경은 사용자의 좌안 측 셔터를 개방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우안 영상을 표시할 때, 셔터 안경은 사용자의 우안 측 셔터를 개방시켜,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셔터 방식에 의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좌우 영상 프레임과 셔터 안경의 좌우 셔터부 동작의 동기화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셔터 안경의 셔터부 동작의 제어가 요구되기도 하고, 셔터 안경 스스로 셔터부 동작의 제어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동기화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셔터 안경은 페어링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종래 페어링 과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주체가 되어 수행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D 안경의 셔터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와 3D 안경의 페어링 과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3D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3D안경 제어 방법에 있어서, 3D 안경과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3D 안경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세지를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안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이다.
상기 안경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동작 지연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의 주기보다 큰 주기로 송신된다.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의 듀티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3D 안경과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3D 안경의 셔터구동을 위한 구동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구동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한다.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의 주기보다 큰 주기로 송신된다.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신호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의 듀티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3D 안경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대응하여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의 수신 단계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기 보다 큰 주기로 수신된다.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셔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정지하는 것은, 상기 셔터의 동작을 상기 셔터가 오픈(open)된 상태로 정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셔터 온까지의 지연 정보 및 상기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에 따라 셔터의 동작 타이밍 및 듀티(duty)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셔터 동작 주파수의 1/2 주파수를 가진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 신호와 1/4 주기의 위상차를 가진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신호의 논리 레벨에 대한 XOR값을 인버팅하여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에 따라 쉬프트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의 듀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3D 안경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안 셔터부 및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3D 안경의 셔터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구동 타이밍 정보에 대응하여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되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클럭을 동기화시킨다.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관련된 시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이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의 주기 보다 큰 주기로 수신된다.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셔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의 동작을 상기 셔터가 오픈(open)된 상태로 정지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온까지의 지연 정보 및 상기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에 따라 상기 셔터부의 동작 타이밍 및 듀티(duty)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동작 주파수의 1/2 주파수를 가진 제1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클럭 신호와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진 제2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제2클럭 신호의 논리 레벨에 대한 XOR값을 인버팅하여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에 따라 쉬프트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의 듀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3D안경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메시지에 대한 Ack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3D안경에 대한 페어링 성공을 알리는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페어링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3D안경에 상응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임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SSI 임계치 정보는, 상기 3D안경의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RSSI 임계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홈 모드인지 또는 쇼룸 모드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팝업화면은, 상기 3D안경 및 다른 디바이스 중 상기 3D 안경이 페어링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3D 안경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3D 안경과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Ack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3D 안경에 대한 페어링 성공을 알리는 팝업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3D안경에 상응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임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SSI 임계치 정보는, 상기 3D안경의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RSSI 임계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홈 모드인지 또는 쇼룸 모드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팝업화면은, 상기 3D안경 및 다른 디바이스 중 상기 3D 안경이 페어링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3D안경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의 RSSI값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RSSI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 대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페어링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대상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임계치 이상의 RSSI값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일 경우, RSSI값이 최대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페어링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값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응답메시지에 대한 Ack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일정 기간 수신하지 못하면,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3D 안경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RSSI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RSSI 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페어링 대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임계치 이상의 RSSI값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일 경우, RSSI값이 최대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페어링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값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일정 기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3D 안경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D 안경의 셔터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와 3D 안경의 페어링 과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3D 안경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3D 안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3D 안경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3D 안경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와 3D 안경 사이의 페어링을 위한 메시지 스캔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와 3D 안경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a 내지 도 7b는 도 5의 3D 안경의 듀티 사이클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5의 3D 안경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3D 안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을 포함한다. 3D 안경은 복수 개(200-1, 200-2)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복수 개의 3D 안경이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3D 안경 이외에도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예를 들어 QWERTY 리모트 컨트롤러), 헤드셋(미도시, 예를 들어 2A2DP 스트림), 리모트 컨트롤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셀 폰(미도시), 마우스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제스쳐 리모트)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키보드를 지원할 필요는 없으나, 가능하면 상기 지원 옵션은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홈 모드(HOME MODE)에 대응되는 것으로 본다.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장치와 IR 통신 방식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하기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장치로 단순히 제어 데이터의 전송만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의 소정의 기능 요청 또는 외부 장치의 상태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은 IR 통신이 아닌 RF 통신 방식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F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RF 통신을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 짐으로 인하여 3D 안경이 주체적으로 페어링 성립이 가능하거나 3D 안경(200)은 안경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 싱크(TV 싱크) 또는 헤드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일반적인 페어링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3D 안경(200)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헤드셋(미도시),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셀폰(미도시) 등과 상기 페어링 성립과정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마련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쇼룸 모드(미도시)가 되는 경우(디스플레이장치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다른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상기 페어링 성립과정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3D 안경(200-1, 200-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의 양방향 통신을 통한 페어링 성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수신부(110), 제1신호처리부(120), 제1디스플레이부(130), 제1통신부(140), UI 생성부(15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단안 영상(또는 2D 영상)과 양안 영상(또는 3D 영상)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예를 들어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TV, PC, 프로젝터 등을 포함한다.
제1수신부(110)는 외부의 도시되지 않은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소정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공급원은 외부 PC(미도시),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서버(미도시),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송출가능한 방송국의 송출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제1신호처리부(120)는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신호는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하고, 그 이외에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및 인코딩, 디인터레이싱,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 변환, 스케일링,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 디테일 인핸스먼트, 라인 스캐닝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신호이고, 상기 3D 영상신호가 다양한 포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신호처리부(120)는 상기 다양한 포맷에 대응하는 3D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D 영상신호의 포맷은 탑-바톰(top-bottom)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 수평 인터리브(horizontal interleave) 방식, 수직 인터리브(vertical interleave) 방식 또는 체커보드(checker board) 방식, 시퀀셜 프레임(sequential frame) 등을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제1통신부(140)에 의하여 3D 안경(200)과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페어링 성공을 알리는 팝업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제1신호처리부(120)에 의하여 처리된 입력 영상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3D 신호이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 및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140)는 3D 안경(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또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통신부(140)를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3D 안경(200)과 데이터, 셔터 동기 신호,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부(14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3D 안경(200)과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대하여, 페어링 과정은 하기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UI 생성부(15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3D 안경(200)과 페어링 성립 여부에 대한 팝업화면을 생성하여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팝업화면은 페어링 성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페어링 성립에 대한 정보는 3D 안경(20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맥 어드레스 또는 BD 어드레스), 페어링 성립의 성공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3D 안경 이외에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헤드셋(미도시) 등과 페어링을 수행하면, 상기 페어링 성립에 대한 정보는 페어링이 수행되는 전자장치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어떤 전자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3D 안경(200)과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140)를 제어하고, 상기 Ack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3D 안경에 대한 페어링 성공을 알리는 팝업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페어링 과정은 하기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버튼 형식으로 마련되거나 터치스크린을 위한 터치패널로 마련되거나 유무선으로 연결된 리모트 컨트롤러, 키보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3D 안경(200-1)은 제2통신부(210), 제2제어부(220), 제1사용자입력부(230)를 포함하고, 제2 3D 안경(200-2)는 제3통신부(212), 제3제어부(222), 제2사용자입력부(232), 제1센서부(242)를 포함한다. 제1 3D 안경(200-1)과 제2 3D 안경(200-2)과의 차이는 제1센서부(242)의 포함여부에 의존하여, 제1 3D 안경(200-1)은 일반 3D 안경(In Box Glasses)이고, 제2 3D 안경(200-2)는 센서 3D 안경(Sensor Glasses)이다.
제2통신부(210) 및 제3통신부(212)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RF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통신부(210) 및 제3통신부(212)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또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3D 안경(200-1) 및 제2 3D 안경(200-2)은 각각 제2통신부(210) 및 제3통신부(212)를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데이터, 셔터 동기 신호,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2제어부(220) 및 제3제어부(222)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각각 제2통신부(210) 및 제3통신부(212)를 제어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RSSI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RSSI 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페어링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페어링 과정은 하기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사용자입력부(230) 및 제2사용자입력부(23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3D 안경(200-1, 200-2)의 기능 또는 작동과 관련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제1사용자입력부(230) 및 제2사용자입력부(232)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입력부(230)는 제1 3D 안경(200-1)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은 상기 전원 버튼이 눌러졌을 때 인식되는 것이지, 버튼이 떼어졌을 때가 아니다. 전원 버튼이 눌러질 때, 제1 3D 안경(200-1)은 전원 온 상태와 전원 오프 상태(또는 슬립 모드) 사이에서 토글된다. 예를 들어, 제2사용자입력부(232)는 제2 3D안경(200-2)의 페어링 버튼 및/또는 리셋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사용자입력부(230) 및 제2사용자입력부(232)는 3D 안경(200-1, 200-2)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3D 안경(200-1)의 경우, 제1 3D 안경(200-1)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짧게 누르면(예를 들어, 3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초) 제1 3D 안경(200-1)의 전원이 온 된다. 제1 3D 안경(200-1)이 전원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버튼을 다시 짧게 누르면 (예를 들어, 3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초) 제1 3D 안경(200-1)의 전원이 오프 된다. 예를 들어, 제2 3D 안경(200-2)의 경우, 박스로부터 제2 3D 안경(200-2)을 최초로 꺼내고 제2 3D 안경(200-2)에 마련된 페어링 버튼을 누르면(예를 들어, 3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초), 제2 3D 안경(200-2)의 전원이 온 된다. 제2 3D 안경(200-2)이 최초로 전원 온 된 이후에는 후술할 제1센서부(242)의 감지에 의하여 제2 3D 안경(200-2)의 전원 온 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3D 안경이 한 번 전원이 온된 이후에는, 제1센서부(242)를 이용하여 안경 전원을 턴온할 수 있다. 제2 3D 안경(200-2)을 수동으로 전원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페어링 버튼을 다시 짧게 누르면 (예를 들어, 3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초) 제2 3D 안경(200-2)의 전원이 오프된다.
제1사용자입력부(230) 및 제2사용자입력부(232)는 3D 안경(200-1, 200-2)의 페어링 개시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3D 안경(200-1)의 경우, 제1 3D 안경(200-1)이 이미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이더라도, 제1 3D 안경(200-1)에 마련된 전원 버튼이 소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1초 내지 5초,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2초) 눌러지면, 제2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근접 페어링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3D 안경(200-2)의 경우, 제2 3D 안경(200-2)이 이미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이더라도, 제2 3D 안경(200-2)에 마련된 페어링 버튼이 눌러지면, 제3제어부(222)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근접 페어링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버튼은 상기 페어링 버튼이 눌러졌을 때 인식되는 것이지, 버튼이 떼어졌을 때가 아니다.
제1센서부(242)는 제2 3D 안경(200-2)의 소정의 움직임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부(242)는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제3 제어부(222)는 제1센서부(242)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제2 3D 안경(200-2)의 전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버튼에 의하여 최초로 제2 3D 안경(200-2)이 켜진 이후에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제2 3D 안경(200-2)의 움직임이 감지(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제2 3D 안경(200-2)이 집어 들어올려 졌는지를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하여 제2 3D 안경(200-2)이 터치를 감지(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에 제2 3D 안경(200-2)가 씌워 졌는지를 감지)되는 경우, 제3제어부(222)는 제2 3D 안경(200-2)의 전원을 온할 수 있다. 한편, 전원 온 된 이후에, 상기 제1센서부(242)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5분, 바람직하게는 1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 동안) 어떠한 움직임 또는 터치도 감지되지 않으면, 제3제어부(222)는 제2 3D 안경(200-2)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3D안경(200)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는 3D안경(2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의 동작 전원 지원은 제어부(220, 222)의 제어 하에 있다.
도 3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 사이의 페어링 과정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 사이의 페어링을 위한 메시지 스캔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3D 안경(200)은 RSSI를 이용하여 근접 페어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입력부(230, 232)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3D 안경(200)에 마련된 사용자입력부(230, 232)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3D 안경(200)을 최초로 박스에서 개봉한 경우(아웃 오브 박스 시나리오), 3D 안경(200)에는 어떠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맥 어드레스 또는 BD 어드레스도 없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반 3D 안경(제1 3D 안경, 200-1)의 경우, 안경이 이미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된 상태이더라도 전원 버튼을 소정 시간(예를 들어 3초, 바람직하게는 2초) 이상 누르거나 센서 3D 안경(제2 3D 안경, 200-2)의 경우, 안경이 이미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된 상태이더라도 페어링 버튼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눌러지면 사용자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정되어 근접 페어링 과정이 개시된다. 이 때 상기 페어링 버튼이 눌러지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지 버튼이 떼어지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페어링 과정은 소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5분) 트라이되고, 만약 상기 페어링 과정이 상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5분) 내에 완료되지 못하면, 3D 안경(200)의 전원은 오프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과정 진행 중간에 일반 3D 안경의 전원 버튼 또는 센서 3D 안경의 페어링 버튼이 눌러지면, 3D 안경(200)의 전원은 오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3D 안경(200)의 제어부(220, 222)은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통신부(210, 212)를 제어한다. 상기 스캐닝 메시지 송신은 1.28s 주기를 갖는 질의 스캔을 두 번 송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640ms 주기를 갖는 질의 스캔을 두 번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근접 페어링은 상기 두 번의 질의 스캔 기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모두 검색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이다.
상기 3D 안경(200)으로부터의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 송신에 대응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응답 메시지를 3D 안경(200)으로 송신한다.
도 4는 3D 안경(200)의 질의 스캔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페이지 스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온 된 경우이고, 도 4(B)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위다. 도 4(A)의 경우, 3D 안경(200)은 1.28s 주기를 갖는 질의 스캔을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며, 상기 질의 스캔은 총 두 번의 전체 질의 스캔 구간을 가지게 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50ms 주기의 페이지 스캔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3D 안경(200)의 총 두 번의 전체 질의 스캔 구간 동안 상기 질의 스캔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페이지 스캔이 동일한 시간에 일어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3D 안경(200)으로 질의 스캔에 대응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4 (B)의 경우, 3D 안경(200)은 2.56s 주기의 질의 스캔 구간을 가지게 되지만,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되었으므로 페이지 스캔이 수행되지 않아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가 없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식별정보; 3D 안경(200)이 근접 페어링을 완료할 장치를 판단할 수 있는, 3D 안경(200)에 상응하는 임계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 정보;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RSSI값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RSSI 값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설정되어 3D 안경(200)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임계치 RSSI값은 3D 안경(200)의 모델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RSSI 값은 반드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3D 안경(200)으로 전송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 3D 안경과 상기 센서 안경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서로 상이한 임계치 RSSI 값이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치 RSSI 값 정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근접 페어링 과정 동안 3D 안경(200)과 홈 모드 또는 쇼룸 모드인지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홈 모드(도 1)인지 쇼룸 모드(미도시)인지에 따라 상이한 임계치 RSSI 값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홈 모드 또는 쇼룸 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UI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에 따른다.
만약 3D 안경(200)이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3D 안경(200)은 상기 응답 메시지의 RSSI 값과 상기 임계치 RSSI 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의 RSSI값이 상기 임계치 RSSI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3D 안경(200)은 해당 디스플레이장치(100)로 Ack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만약 3D 안경(200)이 두 개 이상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A), 3D 안경(200)은 상기 복수 개의 응답 메시지의 RSSI값 중 가장 큰 RSSI 값을 갖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여 Ack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만약 3D 안경(200)이 응답 메시지를 하나도 수신하지 못하면, 3D 안경(200)은 상기 페어링을 위한 스캐닝 메시지를 5 분 동안 송신을 지속한다. 만약 5 분 후에도 어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3D 안경(200)은 근접 페어링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3D 안경(200)의 제어부(220, 222)는 3D 안경(200)의 전원을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3D 안경(200)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성공적으로 페어링이 완료되면, 3D 안경(200)은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LED 표시부(미도시)를 통하여 표시한다.
3D 안경(200)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Ack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200)의 식별정보, 상태 정보 및 페어링 성공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3D 안경(200)으로부터 상기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팝업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상기 팝업화면은 상기 3D안경 및 다른 디바이스 중 상기 3D 안경이 페어링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상기 팝업화면은 페어링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페어링이 성공된 장치의 타입(예를 들어, 3D 안경, 리모트 컨트롤러, 헤드셋 등)을 식별하고,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의 셔터 동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및 3D 안경(4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2수신부(310), 제2신호처리부(320), 제2디스플레이부(330), 제4통신부(340), 신호생성부(350) 및 제4제어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생성부(350)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처럼 단안 영상(또는 2D 영상)과 양안 영상(또는 3D 영상)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예를 들어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TV, PC, 프로젝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한 수신부(미도시), 영상처리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통신부(340)는 3D 안경(4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이 근접 페어링을 개시하게 되면 양방향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상호 가지게 된다. 그 후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3D 안경(400)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4통신부(340)은 제4제어부(360)의 제어 하에서 3D 안경과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한다. 제4통신부(34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통신부(140)처럼 RF통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과 3D 안경(400)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4통신부(3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3D 안경(40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하여 제4통신부(340)는 제4제어부(360)의 제어 하에서 블루투스 클럭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 각각은 블루투스 클럭을 생성하는 로컬 오실레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생성된 블루투스 클럭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구별되기에,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은 각각 생성되는 블루투스 클럭을 동기화하여야만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루투스 클럭의 동기화를 위하여 제4통신부(340)는 3D 안경(400)으로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3D 안경(400)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로부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현재 카운트 값을 추출한다. 3D 안경 (400)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현재 카운트 값에 맞추어 블루투스 클럭이 생성되도록 로컬 오실레이터를 제어한다. 일 예로써, 상기 수신한 블루투스 클럭의 현재 카운트 값에 따라 3D 안경 내부의 블루투스 클럭의 카운트 값을 세팅함으로써, 3D 안경의 블루투스 클럭이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블루투스 클럭에 동기화되도록 한다.이로써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의 블루투스 클럭이 동기화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신호 생성부(35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2디스플레이부(33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3D 안경(400)의 구동 타이밍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33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는 제2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생성부(350)로 전달된다. 신호생성부(350)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에 대응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로써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가 관련되는 시점의 제2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카운트 값이다.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가 관련되는 시점은 상기 수직동기(Vsync) 신호의 라이징 에지 시점 또는 상기 수직동기(Vsync) 신호의 라이징 에지 시점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의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제어부(360)는 상기 신호생성부(350)에 의하여 생성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 제어 메시지를 3D 안경(400)으로 전송하도록 제4통신부(340)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3D 안경(400)의 좌안/우안 셔터부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제4제어부(360)는 신호생성부(350)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안경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안경제어 메시지를 3D 안경(400)로 전송하도록 제4통신부(340)를 제어한다. 상기 안경제어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 동기 신호 또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3D 안경(400)은 스스로 셔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구동 타이밍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 사이에서 형성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클럭(일 예로 블루투스 클럭)에 의해 표현될 수 있고, 상기 기재한 클럭 동기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은 이미 시스템 클럭(일 예로, 블루투스 클럭)의 동작 타이밍을 서로 알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상기 시스템 클럭의 특정 시점을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로서 전송하면, 3D 안경(400)은 구동신호의 발생 시점을 알 수 있다.
제4제어부(360)는 상기 안경제어메시지를 특정 시간(일 예로, Vsync 주기의 정수배)을 주기로 3D 안경(400)으로 전송하도록 제4통신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함이다.
제4제어부(360)는 제2디스플레이부(3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2디스플레이부(33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의 듀티를 수정하도록 신호생성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부(330)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 및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제4제어부(360)는 엄밀히 말하여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액정패널, 유기발광패널 또는 플라즈마 표시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패널의 종류에 따라 각 패널은 영상신호를 표시함에 있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4제어부(360)는 이러한 패널 종류에 따른 특성에 대응되는 구동 타이밍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 타이밍 정보의 듀티를 수정하도록 신호생성부(350)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제2디스플레이부(300)의 디스플레이패널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듀티를 가지는 구동 타이밍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3D 모드에서의 채널 변경 또는 입력 소스 변경 등으로 인하여 프레임 동기 신호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하여 3D 안경의 셔터 동작을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변경 또는 입력 소스 변경 등으로 프레임 동기 신호가 50hz, 60hz, 48hz 등 어느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4제어부(360)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가 변경되면, 변경된 프레임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안경(400)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생성하여 안경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변경된 프레임 동기 신호에 기초한 구동 타이밍 정보와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3D 안경의 셔터 타이밍의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어떠한 연유로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프레임 동기신호와 3D 안경(400)의 좌안/우안 셔터부의 동작 타이밍(또는 구동 타이밍)이 서로 상이하게 된 경우에도,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상기 안경제어메시지에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포함시켜 3D 안경(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좌안/우안의 순서와 3D 안경(400)의 좌안/우안 셔터부의 동작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6의 (A)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에 좌안/우안 영상의 출력시점에 대응되는 타이밍을, 도 6의 (B)는 3D 안경(400)의 좌안/우안 셔터 동작의 개폐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좌안/우안 영상의 출력시점 (A)과 3D 안경(400)의 좌안/우안 셔터부의 개폐시점 (B)이 상이하다. 이 때, 도 6의 (B)의 X 구간의 경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는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구간이나 3D 안경(400)의 경우 우안 셔터부가 개폐되는 구간이 되어 서로 일치하지 않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셔터 동작 지연 정보로서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는 기준 시점으로부터 3D 안경(400)의 좌안 셔터부의 온 시간 지연 정보(X 구간에 대응) 및/또는 우안 셔터부의 오프 시간 지연 정보(X 구간에 대응)를 3D 안경(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좌안/우안 영상의 출력시점과 3D 안경(400)의 좌안/우안 셔터부의 개폐시점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안경제어메시지 포함된 셔터 동작 지연 정보에 의해 3D 안경(400)의 셔터 온/오프 듀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가 L 셔터의 open 딜레이 정보 및 L 셔터의 close 딜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3D 안경(400)은 L 셔터가 open되는 제1 시점과 close되는 제2 시점을 알 수 있다. 결국, 3D 안경(400)은 셔터가 open되는 기간(= 제2 시점 - 제1 시점)을 알 수 있고, 듀티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복수 개의 3D 안경(400-1, 400-2)와 페어링 성립이 가능하고, 페어링 성립된 복수 개의 3D 안경으로 상기 안경제어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4제어부(360)는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를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상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3D 안경(400)으로 송신되도록 제4통신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장치(300)가 주기적으로 안경 제어 메시지를 3D 안경(400)으로 송신하고, 3D 안경(400)은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동기 신호, 더욱 바람직하게는 V 싱크 신호와의 동기화 유지를 위하여 충분히 자주 웨이크업 된다.
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4제어부(360)는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를 3D 안경(400)에 3D 안경(400)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의 주기로 송신되도록 제4통신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제어부(360)는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를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초) 이하의 주기로 송신하여 3D 안경(400)에 3D 안경(400)의 3D 모드 오프를 막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3D 안경(400)이 상기 안겨 제어 메시지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수신하지 못하면, 3D 안경(400)은 자동적으로 전원 오프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3D 안경(400)은 제3 3D 안경(400-1)과 제4 3D 안경(4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3D 안경(400-1)은 상기 제1 3D 안경(200-1)과 마찬가지로 일반 3D 안경이고, 상기 제4 3D 안경(400-2)은 상기 제2 3D 안경(200-2)와 마찬가지로 센서 3D 안경이다. 따라서, 제3 3D 안경(400-1)과 제4 3D 안경(400-2)는 제2센서부(432)의 포함 여부에 의존한다. 제3 3D 안경(400-1) 및 제4 3D 안경(400-2) 역시 상기 제1 3D 안경(200-1) 및 제2 3D 안경(200-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입력부(미도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 역시 상기 기재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3 3D 안경(400-1)은 제5통신부(410), 제5제어부(420), 제1구동부(430), 제1셔터부(440)을 포함하고, 제4 3D 안경(400-2)는 제6통신부(412), 제6제어부(422), 제2구동부(432), 제2셔터부(442)을 포함한다.
상기 제5통신부(410), 제6 통신부(412)는 상기 제2통신부(210)과 상기 제2통신부(212)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동일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따라서, 각각 제5제어부(420) 및 제6제어부(422)의 제어 하에, 상기 제5통신부(410), 제6 통신부(412)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근접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페어링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근접 페어링이 되면, 3D 안경(400)과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양방향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상호 가지게 된다. 그 후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3D 안경(400)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3D 안경(400)과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며, 이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4통신부(340) 부분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4통신부(340)로부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소정 시간동안 수신하고, 3D 안경(400)은 상기 수신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로부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현재 카운트 값을 추출한다. 3D 안경(400)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의 현재 카운트 값으로 로컬 오실레이터(미도시)를 세팅함으로써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블루투스 클럭에 동기화된 블루투스 클럭이 생성되도록 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주도 하에 제2디스플레이장치(300) 및 3D 안경(400)의 통신을 위한 클럭이 동기화 되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3D 안경(400)으로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5통신부(410), 제6 통신부(412)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420, 422)로 전달한다.
제5제어부(420) 및 제6제어부(422)는 상기 통신부(410, 412)를 통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으로부터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구동 타이밍 정보에 동기하여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되도록 셔터부(440, 442)를 제어한다.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 생략한다.
따라서 제5제어부(420) 및 제6제어부(422)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동기하여 셔터부(440, 442)의 동작을 제어하여 셔터 온/셔터 오프되도록 한다.
또한, 제5제어부(420) 및 제6제어부(422)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를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상응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5제어부(420) 및 제6제어부(422)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셔터부(440, 442)의 셔터 온/셔터 오프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셔터부(440, 44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제어부(420) 및 제6제어부(422)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3초 동안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셔터부(440, 442)를 제어하여 셔터 온/오프 동작을 정지시키고, 최종적으로 셔터가 오픈(open)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이후, 3D 안경(400)이 사용자에 의한 전원 버튼 눌림 또는 제2센서부(432)의 움직임 감지 등으로 전원이 온되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페어링이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페어링이 되어 있고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즉시 안경제어메시지를 수신되면 즉시 셔터부(440, 442)의 셔터 온/ 셔터 오프 동작을 재개한다. 이 과정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예를 들어 300ms 이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3D 안경(400)은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안경제어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 동기 신호와의 동기화 유지에 충분히 자주 웨이크업 될 수 있다.
또는, 3D 안경(400)의 제어부(420, 422)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안경제어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배터리(미도시)를 제어하여 3D 안경(4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만약 일반 3D 안경(제3 3D 안경, 400-1)의 경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동안 안경제어메시지(또는 프레임 동기 신호, 예를 들어 Vsync)를 수신하지 못하면, 일반 3D 안경은 전원 오프될 것이다.
만약 센서 3D 안경(제4 3D 안경, 400-2)의 경우, 제2센서부(432)의 감지에 의하여 센서 3D 안경이 사용자의 얼굴 상에 있는 경우,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안경제어메시지(예를 들어, BT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센서 3D 안경(제4 3D 안경, 400-2)은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를 찾기 위하여 전원이 켜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안경제어메시지는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20, 422)는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셔터 온까지의 지연 정보 및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에 따라 셔터부(440, 442)의 동작 타이밍 및 듀티(duty)를 제어함으로써 셔터부(440, 442)의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3D 안경(400)의 제어부(420, 422)는 셔터부(440, 442)를 위한 셔터 온-오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셔터부(440, 442)의 셔터 온/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420, 422)는 셔터부(440, 442)의 상기 셔터 동작 주파수의 1/2 주파수를 가진 제1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클럭 신호와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진 제2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제2클럭 신호의 논리 레벨에 대한 XOR값을 인버팅하여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가 모두 하이/모두 로우인 제1경우와 어느 하나가 하이 또는 로우인 제2경우로 나뉘어, 상기 제1경우를 셔터 온, 제2 경우를 셔터 오프로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420, 422)는 셔터부(440, 442)의 셔터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420, 422)는 상기 제1클럭 신호 또는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에 따라 쉬프트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오프 구동신호의 듀티를 제어하여 셔터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3D 안경(400)의 어떠한 듀티 사이클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듀티 사이클은 매 프레임 마다 변할 수 있다. 상기 듀티 사이클의 더 빠른 변화를 지원하는 것은 3D 안경(400)에 현재 구현된 것보다 더 빠른 업데이트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3D 안경(400)의 듀티 사이클에 대하여 하기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어 하에 따른 3D 안경(400)의 듀티 사이클을 보여주고 있다.
도 7a는 3D 안경(400)의 100% 듀티 사이클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D안경(400)은 좌안 셔터부(443, 444) 및 우안 셔터부(445, 446)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위하여 각각 L-신호와 C(L)-신호와; R-신호와 C(R)-신호를 이용한다. C(L)-신호 및 C(R)-신호는 각각 L-신호 및 R-신호의 90도 위상차를 갖는 신호이다. 상기 L-신호 및 C(L)-신호가 모두 하이(high)이거나 모두 로우(low)인 경우에 좌안 셔터부(443, 444)가 셔터-온이 되고, 상기 L-신호 및 C(L)-신호 중 어느 하나가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인 경우에 좌안 셔터부(443, 444)가 셔터-오프된다. 이는 우안 셔터부(445, 446)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도 7b는 3D 안경(400)의 80% 듀티 사이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C(L)-신호 및 C(R)-신호는 각각 L-신호 및 R-신호에 대하여 80%의 듀티 사이클을 가진다. 좌안 셔터부(443, 444) 및 우안 셔터부 (445, 446)의 셔터-온/오프 원리는 상기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셔터 온/오프 동작에 있어서, 상기 도 7a와 비교하여 좌안 셔터부(443, 444) 및 우안 셔터부 (445, 446)가 80%만 셔터 온이 되고, 120% 셔터 오프가 되는 것이다.
도 7c는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3D 동기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의 구동신호와; 3D 안경(400)의 듀티 사이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3D 동기 신호가 (A) 그래프와 같고, 3D 안경(400)의 듀티 사이클이 (E) 그래프와 같다. (E) 그래프는 상기 도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좌안 셔터부(443, 444)는 (E) 그래프의 L-신호/C(L)-신호가 모두 하이/모두 로우인 경우 셔터-온이 되고, 어느 하나가 하이 또는 로우인 경우 셔터-오프가 되어 셔터 온-오프 결과는 (B)그래프와 같다. 또한 우안 셔터부(445, 446) 역시 (E) 그래프의 R-신호/C(R)-신호가 모두 하이/모두 로우인 경우 셔터-온이 되고, 어느 하나가 하이 또는 로우인 경우 셔터-오프가 되어 셔터 온-오프 결과는 (C)그래프와 같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백라이트유닛(BLU)으로 구현되는 경우, 소정의 주기로 구동되어 결론적으로 좌안 셔터부(443, 444)가 셔터-온이고, 우안 셔터부(445, 446)가 셔터-오프이거나, 반대인 경우에 백라이트유닛이 구동되어, 사용자는 좌안 영상/우안 영상을 교대로 시청함으로써 3D 효과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고, 도 9는 3D 안경(400)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제2디스플레이장치(300) 및 3D 안경(400)의 제어 동작은 상기 도 5 내지 도7c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 간단히 기재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이 도 3 및 도 4에서 기재한 근접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 후, 제어 메시지 송신을 위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는 3D 안경(400)과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한다(S501). 신호 생성부(350)는 제4제어부(360)의 제어 하에서 제2디스플레이부(33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3D 안경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생성한다 (S502). 제4제어부(360)의 제어 하에서 제4통신부(340)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3D 안경(400)에 전송함으로써 3D 안경의 셔터 동작을 제어한다(S503).
도 9를 참조하면,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 3D 안경(400)이 도 3 및 도 4에서 기재한 근접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 후, 3D 안경(400)은 제2디스플레이장치(300)와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한다(S601). 상기 클럭의 동기화 이후, 제2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3D 안경(400)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S602), 3D 안경(400)은 상기 수신한 구동 타이밍 정보에 동기하여 셔터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S603).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은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140, 33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40, 33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 310)가 블루투스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110, 310)를 지원하기 위하여 플래쉬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래쉬 메모리(예를 들어, SST 및 Eon)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예를 들어, 2046)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메모리로서 상기 SST 및 Eon 두 가지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미니 드라이버가 이용될 수 있어야 하고, 두 개의 서로 다른 컨피그 파일(Config files)은 요구될 수 없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예를 들어, 2046)은 VSC 하에서 클래스 2 및 클래스 1.5 사이에서 스위치 가능하여야만 한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100, 300)가 홈 모드인 경우는 클래스 2, 쇼룸 모드인 경우는 클래스 1.5일 가능성이 크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예를 들어, 2046)는 디스플레이장치(100, 300) 상의 USB 포트(미도시)로부터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의 시스템 툴을 통해 업그레이드 가능하여야만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는 하기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의 지터 허용 범위 내에서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동기 신호(예를 들어, Vsync) 출력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프레임 동기 신호(예를 들어 Vsync)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안경(200, 400)은 도시되지 않은 LED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안경(200, 400)의 상태를 LED로 표시할 수 있으며, 3D 안경의 상태는 전원 온; 전원 오프; 자동 오프; 배터리(낮음, 충전 및 충전완료); 페어링 (페어링 모드 및 페어링 완료)를 포함한다. 또한 3D 안경이 일반 3D 안경(제1 3D 안경(200-1), 제3 3D 안경(400-1))인지 센서 3D 안경(제2 3D 안경(200-2), 제4 3D 안경(400-2))인지에 따라 상기 LED 표시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하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한다. 하기에서 BT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로부터 수신한 안경제어메시지를 의미한다.
표 1은 일반 3D 안경의 경우를 나타낸다.
상태 버튼 동작 2 컬러 LED 동작
전원 온 짧게 누름 3초 동안 그린 LED
전원 오프 짧게 누름(< 3초) 3초 동안 레드 LED
자동 오프 3초 동안 BT 신호 없음 LED 표시 없음
배터리 낮음 전원 온 매 2초 동안 레드 LED 온/오프
(0.3초 온/1.7초 오프)
페어링 모드 그린 LED 온/오프 (그린 온200ms -> 오프 200ms -> 레드 온 200ms -> 오프 200ms)
비록 페어링이 3초 전에 완료되더라도, 점멸 시간은 3초 이상이다
페어링 완료 LED 오프
표 2는 센서 3D 안경의 경우를 나타낸다.
상태 버튼 동작 2 컬러 LED 동작
전원 온 짧게 누름 3초 동안 그린 LED
전원 오프 짧게 누름(< 3초) 3초 동안 레드 LED
자동 오프 3초 동안 BT 신호 없음 (LED 표시 없음)
배터리 낮음 전원 온 매 2초 동안 레드 LED 온/오프
(0.3초 온, 1.7초 오프)
충전 오렌지 LED 온 (레드&그린 LED 플래쉬: 5ms 온, 5ms 오프)
충전 완료 LED 오프
페어링 모드 그린 LED 온/오프 (그린 온200ms -> 오프 200ms -> 레드 온 200ms -> 오프 200ms)
비록 페어링이 3초 전에 완료되더라도, 점멸 시간은 3초 이상이다
페어링 완료 LED 오프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안경(200, 400)은 낮은 배터리 모드(Low Battery Mode)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D 안경(200, 400)은 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3D 안경(200, 400)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3D 안경(200, 400)에 마련된 LED 표시부(미도시) 중 레드 LED가 매 2초 마다 점멸하기 시작한다(0.3초 동안 LED가 온되고, 1.7초 동안 LED가 오프된다).
특히 3D 안경이 일반 3D 안경(제1 3D 안경(200-1), 제3 3D 안경(400-1))인 경우, 배터리 레벨이 2.5V보다 낮아지면, 3D 안경(200-1, 400-1)은 낮은 배터리 모드를 표시한다. 배터리가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면, 낮은 배터리 모드가 사라진다.
또는 3D 안경이 센서 3D 안경(제2 3D 안경(200-2), 제4 3D 안경(400-2)) 인 경우, 배터리 레벨이 3.5V보다 낮아지면, 3D 안경(200-2, 400-2)은 낮은 배터리 모드를 표시한다. 3D 안경(200-2, 400-2)이 마이크로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포트에 연결되면, 충전을 시작하고 낮은 배터리 모드는 사라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안경(200, 400)은 제조사 리셋 모드(Factory Reset Mode)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D 안경(200, 400)의 제조사 리셋 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정보(예, 디스플레이장치의 BD어드레스)를 삭제하고, 페어링 과정 없이 전원을 오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3D 안경(200, 400)이 제조된 후 그 성능 또는 불량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테스트를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 이 페어링 과정에서 3D 안경(200, 400)은 상기 테스트를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지만, 이는 3D 안경(200, 400)의 제품 출고 후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테스트 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정보를 삭제하기 위하여 제조사 리셋 모드 기능이 존재하게 된다. 3D 안경(200, 400)이 제조사 리셋 모드로 진입하여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LED 표시부(미도시)의 그린 LED, 그 후 레드 LED가 각 1초 동안 점등될 것이다.
3D 안경이 일반 3D 안경(제1 3D 안경(200-1), 제3 3D 안경(400-1))인 경우, 제조사 리셋 모드는 일반 3D 안경에 마련된 전원버튼을 누르는 상태에서 배터리를 삽입함으로써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전원버튼은 하드웨어(H/W) 리셋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반드시 누르고 있어야 한다. 상기 부팅 중에, 펌웨어(F/W)는 상기 전원버튼이 눌러져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크한다. 만약 전원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3D 안경은 제조사 리셋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만약 부팅 후에, 상기 펌웨어(F/W)가 전원버튼을 체크하고, 전원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으면, 제조사 리셋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또는 3D 안경이 센서 3D 안경(제2 3D 안경(200-2), 제4 3D 안경(400-2)) 인 경우, 센서 3D 안경에 마련된 페어링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리셋 버튼을 누르면, 센서 3D 안경은 제조사 리셋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페어링 버튼은 상기 하드웨어 리셋 부팅이 완료되는 동안 반드시 눌러져 있어야 한다. 부팅 중에, 펌웨어는 상기 페어링 버튼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크한다. 만약 상기 페어링 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센서 3D 안경은 제조사 리셋 모드로 진입한다. 만약 부팅이 된 후에, 펌웨어가 상기 페어링 버튼을 체크하고, 페어링 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으면, 제조사 리셋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센서 3D 안경의 경우, 제조사 리셋 모드가 실행될 때, 추가적인 단계로서 센서부(242, 432)로의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안경(200, 4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주파수를 자동 검색할 수 있다.
3D 안경(200, 400)이 일반 동작 중일 때,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 동기 정보(또는 프레임 동기 신호로서, 일 예로 Vsync 신호 주파수)의 주파수가 50hz, 60hz, 및 48hz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변경되면, 3D 안경(200, 400)은 자동적으로 상기 신호 소스를 검색하여 새로운 신호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에서 표시되는 방송신호의 채널이 변경되거나 영상 소스가 변경되면, 프레임 동기 정보가 변경될 수 있고, 3D 안경(200, 400)은 상기 변경된 프레임 동기정보에 대응되는 신호 소스를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새로운 신호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는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싱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공존하는 쇼룸에 위치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를 쇼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쇼룸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하나의 3D 안경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하고 있는 3D 영상에 대하여 3D 효과를 누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로 다른 3D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적어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순서가 서로 동일함으로써 하나의 3D 안경의 좌안 셔터부와 우안 셔터부의 온/오프에 대응되어야 한다. 따라서, 쇼룸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로 싱크 동기화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가 쇼룸 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가 마스터 모드로 설정되면 다른 마스터 디스플레이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발견하기 위한 질의 스캔을 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가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마스터 디스플레이장치와 페어링 과정을 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마스터 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BD 어드레스)를 사용자 선택 가능한 값(예를 들어, 기 설정한 10개 값 중 어느 하나)으로 설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마스터 모드일 때 수행하는 질의 스캔은 다른 마스터 디스플레이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10개의 기 설정한 10개 값 중 어느 것이 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 중인 값이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드로 다운 메뉴(draw down menu)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기재한 기능의 목표는 마스터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장 또는 판매되면,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가 쇼룸의 그 자리에 위치하고, 다른 모든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들, 3D 안경, 헤드셋 및 리모트 컨트롤이 이들 장치들의 수리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는 프레임 동기 신호(예를 들어 Vsync 동기화)를 수신하기 위하여 연결할 수 없다.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내장된 블루투스 장치는 다른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의 CPU로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예를 들어 Vsync 신호)의 출력의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동기 신호(예를 들어 Vsync 신호)는 클락신호의 누락없이 생성되어져야만 한다. 상기 최저 제어 지연 단계는 10usec 이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최고 20msec까지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A2DP 헤드폰 및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지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300) 및 3D 안경(200, 400)은 신호 송신을 위한 지터(Jitter) 허용범위를 갖는다.
3D 안경(200, 400)의 셔터링 지터는 ±50usec 미만이다. 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동기 신호(예를 들어, Vsync 신호) 출력의 경우 ±8usec 미만이고, ±5usec가 되도록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는 ‘호스트 어시스트 협업(Host Assisted Collaboration)’ AFH(Adaptive Frequency Hopp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는 ‘호스트 어시스트 협업(Host Assisted Collaboration)’ AFH(Adaptive Frequency Hopping)의 마스크 대역폭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의 통신부(110, 31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호스트 어시스트 협업(Host Assisted Collaboration)’ AFH(Adaptive Frequency Hopping)의 마스크 대역폭을 제어함으로써 Wi-Fi의 대역폭과 다른 대역폭을 이용함으로써, Wi-Fi와 공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은 셀 폰을 위한 헤드리스 모드를 지원한다.
헤드리스 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내장된 BT(블루투스) 장치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전원 온 버튼(전원 온을 위한 몇 개의 리모트 키가 추가될 수 있다)을 인식하기에 충분한 스몰 스택(small stack)으로 구동되는 경우로 정의된다. 상기 BT 장치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전원 온 버튼이 눌러짐을 인식할 때, 상기 BT 장치는 하드웨어 인터럽트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웨이크업 시킨다. 상기 BT 장치는 전원 온 버튼 눌림의 인식하기 위한 스캔 모드가 요구되기에 IR 수신기보다 더 높은 전원을 소비한다.
헤드리스 모드를 지원하는 타겟 리모트 컨트롤러는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있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전체 BT 스택을 구동시키는, 이미 전원 온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표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 리모트 컨트롤러(In-box remote control)은 전원 온을 위한 IR을 계속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온을 위하여 BT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모든 BT 리모트 컨트롤러(BT in-box remote control)은 최초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을 위하여 상기 기재한 근접 페어링 과정을 요구한다. 이 기능은 초기 모델의 경우에는 이용할 수는 없으나, 미래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300)의 Tx 모듈 커넥터 스펙은 하기에서 보는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장치(100, 3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표 3)와 모니터(표 4)로 구현되는 경우를 분리하여 기재한다.
No . Pin Name I/O Pin description
1 Power_DET(STBY) I Power_DET(STBY)는 초기에 풀업됨
TV 스탠바이 모드 : 로우(Low)
TV 전원 온 모드 : 하이(High)
2 TV 웨이크 업 O 스탠바이 모드: 플로팅 (TV 시스템은 풀업저항 포함)
전원 온 시간 : 300msec 동안 로우, 그 때 다시 플로팅됨
3 A5V I BT 모듈 전원 공급은 DC 5V임
만약 TV가 턴 오프(스탠바이 모드) 일지라도, A5V가 공급됨
4 USB D-(BT) I/O USB 데이터 인/아웃
5 USB D+(BT) I/O USB 데이터 인/아웃
6 GND -
7 3D 싱크 아웃 I TV로부터 3D 싱크 입력
8 3D 싱크 인 O TV로 TV 프레임 싱크 출력하는 3D TV
No . Pin Name I/O Pin description Level
1 3D 인에이블 I 3D 인에이블은 초기에 풀업됨
2D 모드 : 로우(Low)
3D 모드 : 하이(High)
3.3V
2 페어링 메시지 O 표준 상태 : 플로팅 (모니터 시스템은 풀업 저항(3.3k)을 포함
페어링 성공  :  300msec 동안 로우, 그 때 다시 플로팅됨
3.3V
3 B5V I BT 모듈 전원 공급
B5v는 BT 모듈 리셋동안 MCU에 의하여 반드시 제어됨
5V
4 USB D-(BT) I/O USB 데이터 인/아웃
5 USB D+(BT) I/O USB 데이터 인/아웃
6 GND -
7 3D Sync Out I 모니터로부터 3D 싱크 입력 3.3V
8 NC O 예약됨(Reserved)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제1수신부
120: 제1 신호처리부 130: 제1디스플레이부
140: 제1통신부 150: UI생성부
160: 제1제어부
200: 3D 안경 210: 제2통신부
220: 제2제어부 230: 제1사용자입력부

Claims (48)

  1. 디스플레이 장치의 3D안경 제어 방법에 있어서,
    3D 안경과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3D 안경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세지를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안경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안경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3D 안경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3D 안경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동작 지연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3D 안경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안경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안경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의 주기보다 큰 주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3D 안경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안경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의 듀티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3D 안경제어방법.
  1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3D 안경과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3D 안경의 셔터구동을 위한 구동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구동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3D 안경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의 주기보다 큰 주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의 듀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3D 안경의 셔터 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대응하여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제어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의 수신 단계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기 보다 큰 주기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셔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정지하는 것은,
    상기 셔터의 동작을 상기 셔터가 오픈(open)된 상태로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셔터 온까지의 지연 정보 및 상기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에 따라 셔터의 동작 타이밍 및 듀티(duty)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셔터 동작 주파수의 1/2 주파수를 가진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 신호와 1/4 주기의 위상차를 가진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신호의 논리 레벨에 대한 XOR값을 인버팅하여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에 따라 쉬프트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의 듀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의 셔터 제어 방법.
  35. 3D 안경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안 셔터부 및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클럭을 동기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동기화된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3D 안경의 셔터구동을 위한 구동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안경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구동 타이밍 정보에 대응하여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되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클럭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안경의 페어링을 위한 리커넥션 트레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타이밍 정보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관련된 시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의 카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셔터 동작 지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는,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시점부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까지의 지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는,
    상기 3D 안경의 3D 모드 오프를 막기 위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의 주기 보다 큰 주기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는,
    상기 영상의 수직동기(Vsync)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제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셔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의 동작을 상기 셔터가 오픈(open)된 상태로 정지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46.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온까지의 지연 정보 및 상기 셔터 오프까지의 지연 정보에 따라 상기 셔터부의 동작 타이밍 및 듀티(duty)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안경.
  4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동작 주파수의 1/2 주파수를 가진 제1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클럭 신호와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진 제2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제2클럭 신호의 논리 레벨에 대한 XOR값을 인버팅하여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셔터 동작 지연 정보에 따라 쉬프트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오프 구동 신호의 듀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셔터 온 또는 셔터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KR1020110133358A 2011-01-04 2011-12-13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121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50A KR20120079433A (ko) 2011-01-04 2011-03-15 전자장치 및 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20110073649A KR20120079436A (ko) 2011-01-04 2011-07-25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20110133358A KR101212085B1 (ko) 2011-01-04 2011-12-13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EP14180791.7A EP2819410A1 (en) 2011-01-04 2011-12-21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1195058A EP2475182A3 (en) 2011-01-04 2011-12-21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823634A CA2823634A1 (en) 2011-01-04 2011-12-22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1354527A AU2011354527B2 (en) 2011-01-04 2011-12-22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MX2013007775A MX2013007775A (es) 2011-01-04 2011-12-22 Aparato de pantalla, lentes 3d y me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BR112013017055A BR112013017055A2 (pt) 2011-01-04 2011-12-22 aparelho de exibição, e óculos tridimensionais (3d)
PCT/KR2011/009997 WO2012093789A2 (en) 2011-01-04 2011-12-22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87908A JP5956751B2 (ja) 2011-01-04 2011-12-28 ディスプレイ装置、3dメガネ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TW101100018A TWI547140B (zh) 2011-01-04 2012-01-02 顯示裝置以及快門眼鏡
US13/343,032 US8854429B2 (en) 2011-01-04 2012-01-04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004564.3A CN102595174B (zh) 2011-01-04 2012-01-04 显示设备、三维眼镜及其控制方法
US13/870,078 US8836759B2 (en) 2011-01-04 2013-04-25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ZA2013/05308A ZA201305308B (en) 2011-01-04 2013-07-15 Display apparatus,3d glasses,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29641P 2011-01-04 2011-01-04
US61/429,641 2011-01-04
KR1020110073649 2011-07-25
KR1020110073649A KR20120079436A (ko) 2011-01-04 2011-07-25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20110133358A KR101212085B1 (ko) 2011-01-04 2011-12-13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PCT/KR2011/009997 WO2012093789A2 (en) 2011-01-04 2011-12-22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40A true KR20120079440A (ko) 2012-07-12
KR101212085B1 KR101212085B1 (ko) 2013-01-09

Family

ID=519828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50A KR20120079433A (ko) 2011-01-04 2011-03-15 전자장치 및 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20110073649A KR20120079436A (ko) 2011-01-04 2011-07-25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20110133358A KR101212085B1 (ko) 2011-01-04 2011-12-13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50A KR20120079433A (ko) 2011-01-04 2011-03-15 전자장치 및 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20110073649A KR20120079436A (ko) 2011-01-04 2011-07-25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20120079433A (ko)
MX (1) MX2013007775A (ko)
TW (1) TWI5471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42B1 (ko) * 2017-10-25 2023-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67B1 (ko) * 2006-05-03 2007-05-30 소프트픽셀(주) 입체영상 고글용 무선통신장치 및 그 방법
JP5229466B2 (ja) * 2008-09-02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5338478B2 (ja) * 2009-05-25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シャッタメガネ、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85B1 (ko) 2013-01-09
KR20120079436A (ko) 2012-07-12
TW201236440A (en) 2012-09-01
MX2013007775A (es) 2013-08-21
TWI547140B (zh) 2016-08-21
KR20120079433A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675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3dメガネ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20110234774A1 (en) Shutter glasses and method of obtaining shutter control signal of shutter glasses
US20140085183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46336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멀티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10025821A1 (en) Multicast stereoscopic video synchronization
US20120169852A1 (en)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US88668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2013005115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165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기화 방법, 안경장치의 동기화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안경장치의 동기화 방법
KR20120039197A (ko) 리모트 컨트롤러,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이들의 제어방법
US20130169620A1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linked with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225974B2 (en) Multi-view device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JP6002377B2 (ja) ディスプレ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シャッターメガネ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12085B1 (ko)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201500775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35539A1 (en) Multi-view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TWI519821B (zh) 使用於立體眼鏡中的電子裝置及方法
KR2012007943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400665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531279B2 (ja)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
CN103323953B (zh) 使用于立体眼镜中的电子装置及方法
KR20130044074A (ko) 중계 장치, 중계 방법 및, 3d 영상 시스템
AU20123604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JP2013198001A (ja) 表示システム、眼鏡、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